역사신학

[스크랩] 초대교회사 - 1. 역사신학의 정의

하나님아들 2019. 1. 22. 12:45

. 역사신학 개관(槪觀)

 

고전 10:1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2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세례를 받고 3다 같은 신령한 식물을 먹으며 4다 같은 신령한 음료를 마셨으니 이는 저희를 따르는 신령한 반석으로부터 마셨으매 그 반석은 곧 그리스도시라 5그러나 저희의 다수를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신 고로 저희가 광야에서 멸망을 받았느니라 6그런 일은 우리의 거울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저희가 악을 즐겨한 것같이 즐겨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 함이니 7저희 중에 어떤 이들과 같이 너희는 우상 숭배하는 자가 되지 말라 기록된바 백성이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논다 함과 같으니라 8저희 중에 어떤 이들이 간음하다가 하루에 이만 삼천 명이 죽었나니 우리는 저희와 같이 간음하지 말자 9저희 중에 어떤 이들이 주를 시험하다가 뱀에게 멸망하였나니 우리는 저희와 같이 시험하지 말자 10저희 중에 어떤 이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저희와 같이 원망하지 말라 11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 12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

 

 

1. 역사신학의 정의

 

1)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

 

역사신학은 성경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등과 더불어 신학의 4부문 중 하나로 역사학적 방법을 써서 과거의 자료를 엄밀하게 관찰하고 규합하고 정리하고 해석함으로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기독교 신앙의 역사(=교회사)의 의미를 연구하는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역사신학의 과제는 교회사에서 일어난 해당 사건과 사실의 신학적 개념을 하나님의 뜻 안에서 진술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적 · 사회적 · 문화적 메커니즘을 성경적으로 규명함으로 현대 교회가 보존하고 계승해야 할 바른 신앙이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작업이다.

7:1여호와께로서 예레미야에게 말씀이 임하니라 가라사대 2너는 여호와의 집 문에 서서 이 말을 선포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 경배하러 이 문으로 들어가는 유다인아 다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 3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 길과 행위를 바르게 하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로 이 곳에 거하게 하리라 4너희는 이것이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 하는 거짓말을 믿지 말라

 

2) 역사신학의 연구와 방법론

 

역사신학 연구의 주된 초점은 교회의 역사 가운데 발생된 연구 대상으로서의 사건과 인물 혹은 이슈에 영향을 끼친 주요한 신학적 사항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판정하고 설명하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역사신학은 신학과 역사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계시를 해명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즉 교회사에서 이루어진 신학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방법을 성경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것이다.

 

3) 성경계시(啓示)와 초()역사

 

성경 계시(啓示)는 초()역사(=원역사)적인 성격을 갖는다. 성경의 예를 들어서 왕상 17장의 사르밧 과부의 사건과 왕하 5장의 군대장관 나아만의 사건을 우리가 이해하는 역사라고 한다면, 이 사건들에 대한 눅 4장의 예수님의 해석을 초역사라고 할 수 있다.

4:24또 가라사대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선지자가 고향에서 환영을 받는 자가 없느니라 25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엘리야 시대에 하늘이 세 해 여섯 달을 닫히어 온 땅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과부가 있었으되 26엘리야가 그 중 한 사람에게도 보내심을 받지 않고 오직 시돈 땅에 있는 사렙다의 한 과부에게 뿐이었으며 27또 선지자 엘리사 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문둥이가 있었으되 그 중에 한 사람도 깨끗함을 얻지 못하고 오직 수리아 사람 나아만뿐이니라 28회당에 있는 자들이 이것을 듣고 다 분이 가득하여 29일어나 동네 밖으로 쫓아내어 그 동네가 건설된 산 낭떠러지까지 끌고 가서 밀쳐 내리치고자 하되 30예수께서 저희 가운데로 지나서 가시니라

 

성경 계시는 일반적인 역사주의나 역사가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역사학적 제()방법들 만에 의해서는 해명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계시된 진리를 학문적으로 파악하는 신학이 주장하는 기초적인 사실은, 계시란 어디까지나 역사 속에서 발생한 하나님의 섭리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역사신학자가 보아야 하는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계시는 어디까지나 하나님의 뜻을 아는 가운데서 역사적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4) 신앙과 신학의 역사적 성격

 

기독교 신앙이나 기독교 신학 자체는 역사적(언약 성취사 또는 구속사)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역사적 성격의 계시는 이미 신구약성경 66권으로 종결되었다. 때문에 오늘날 역사적 맥락이 없이 주장되는 개인적인 주관이나, 경험에서 얻어진다고 하는 하나님의 뜻은 계시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성경 계시를 연구하고 현대적으로 해명하는 신학의 한 분야로서, 악한 자가 임하는 종말의 시대에, 역사신학을 공부하는 신학도들에게 주어진 역사적 과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살후 2:7불법의 비밀이 이미 활동하였으나 지금 막는 자가 있어 그 중에서 옮길 때까지 하리라 8그 때에 불법한 자가 나타나리니 주 예수께서 그 입의 기운으로 저를 죽이시고 강림하여 나타나심으로 폐하시리라 9악한 자의 임함은 사단의 역사를 따라 모든 능력과 표적과 거짓 기적과 10불의의 모든 속임으로 멸망하는 자들에게 임하리니 이는 저희가 진리의 사랑을 받지 아니하여 구원함을 얻지 못함이니라 11이러므로 하나님이 유혹을 저의 가운데 역사하게 하사 거짓 것을 믿게 하심은 12진리를 믿지 않고 불의를 좋아하는 모든 자로 심판을 받게 하려 하심이니라

출처 :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들
글쓴이 : 오직 성경으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