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선교사! 목회자란!

[스크랩] 비유의 정의와 특징, 해석원리

하나님아들 2017. 7. 13. 22:14

비유의 정의와 특징, 해석원리


1. 비유의 정의

하늘의 영적세계를 지상의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 비유이다.  성경자체가 비유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모든 직유적 표현 (every simile), 은유(metaphor), 속담 (proverb), 이야기, 알레고리, 모범 사례 등등이 비유의 의미에 포함된다. 간단히 말해서, 간단하거나 확장된 비교가 있는 언어 수사법을 일컫는다.


2. 비유의 특징

(1) 비유는 굉장히 현세적이다.

하늘의 영적 세계를 지상의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 비유로 볼 수 있는데 바로 1세기 당시 매일의 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일상적인 것들을 소재로 사용한 것이다.

(2) 사실적 상징주의이다 (Realistic symbolism)

즉 비유는 진리의 명료성보다 암시성에 그 특징이 있다. 암시적 진리가 명백한 진리보다 청중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여졌다. 일종의 이것은 암호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확 드러낸 것이 아니라 감추면서 암시하는 성격을 비유가 지니는 것이다.

(3) 비유는 간결성을 지닌다.

복음서의 비유는 비교적 간결하다는 특징이 있다. 인물 설정이나 내용, 구조도 매우 단순한 편이다. 등장인물도 둘셋을 넘지 못한다. 줄거리도 전체 주제와 작은 부줄거리가 있다. 비유가 오로지 한 point 만 가지고 있다는 것은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

(4) 청중과의 관련성.

특별히 우리가 예수님의 비유를 공부할 때 염두에 둘 것은 청중과의 깊은 관련성 문제이다. 즉 비유는 단순히 진리를 설명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청중의 반응을 끊임없이 유도한 것이다. 이점이 당대 유대인의 비유와 예수님의 비유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당대 유대인들의 비유에는 교훈적인 면이 있었지만 예수님과 같이 결단하게 하거나 청중에게 도전하는 면은 강하지 못하였다. 더 나아가 비유는 추상적 진리를 평범한 청중의 언어로 구체화시킴으로 청중의 기억을 돕는 효과를 준다.

(5) 반복성.

비유를 보면 자꾸 되풀이 해주시는 것이다. 누가복음 15장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세 번 씩이나 반복하셨다. 결국 그 주제는 동일하다.

(6)마지막에 결론이 있다.

(7) 하나님 나라 중심적 종말론

비유의 가장 주된 주제는 하나님 나라이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 중심적 종말론이 가장 큰 주제이다. 하나님 나라의 임재하심으로 현재적이며 미래적인 하나님 나라가 가장 중요한 중심 주제이다. 또 종말론이 항상 복음서의 비유에 깔려 있다. 물론 모든 비유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것만은 아니다. 다른 주제로 기록된 비유도 있다. 주요 주제가 그러하다는 것이다.


3. 해석원리

(1) main-point가 무엇인지 주의하라.

비유 전체가 강조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무엇인지 그것을 잘 잡아야 한다. 모든 자세한 비유의 세부사항들을 다 해석하려 하지 마라. 본문이 그것을 필연적으로 요구하지 않는 이상 모든 세부사항들을 다 자세하게 해석하지 말라는 것이다.

(2) original context 비유가 어떤 상황에서 말씀되어지고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비유를 볼 때 그것 자체만이 아니라 인접문맥 전후좌우 단서를 줄 수 있는 것들을 세밀하고 꼼꼼하게 보아야 한다. ex. 눅 15 탕자의 비유에서 15:1을 보면 이 비유의 context가 나온다. context 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문학적 문맥, 신학적 문맥, 사회적 문맥 등등.

(3) 비유를 교리화 하는 것을 조심하라.

이런 경우는 주석가들에게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거지와 나사로 사건을 지나치게 확장해서 지옥론에 대한 조직신학을 발전시키는 등, 비유를 지나치게 확장하여 신학화하여 교리화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물론 비유에 신학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몇 가지 의미와 내용을 확장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4) 성경의 배경에 대해서 익숙해져야 한다.

성경의 지리 문화 역사 사회적 상황, 언어 등에 대해서 공부해야 한다.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