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377

칼빈주의 구원론

칼빈주의 구원론 1. 서 론칼빈주의 개혁파 신학의 구원론에서 성령의 주권적 사역, 특히 구원의 적용에 있어서의 성령의 사역은 개혁파 신학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이것은 개혁파 구원론이 인론적인 것이 아니라 신론적으로 고찰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그리고 또한 이것은 인간의 구원이 인간의 선행이나 노력에 의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 받는다는 성경적 진실에 근거한 논의이기도 한 것이다.그러므로 구원적 신앙에 있어서의 성령의 역할을 알고 이해함은 칼빈주의 구원론의 핵심을 이해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것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2. 본 론구원의 적용이란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객관적 구속 사역을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죄인의 마음과 생활에 성령께서 주관적으로 구속을 실행하시는 사..

구속사적 성경해석

구속사적 성경해석박종철교수(고신대)A. 정의와 관계된 문제점성경 본문을 바르게 읽는 자라면 성경에서 구속사를 회피할 수 없다. 그것은 성경이 만들어진 자체 과정이 이 구속사 사상을 유지하려는 데서 이루어졌기 때 문이다. 이 구속사가 어떻게 정의되든 구속사는 우리가 단순히 믿는 대로 삼위 일체 하나님이 인간을 위해 하신 모든 신적 행동을 총체하는 개념으로 특히 예 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께서 성도의 공동체 생활을 하는 자기 백성에 대한 자기 계획을 실현하는 역사적 사실들의 총체를 의미한다.이중에서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 수난, 죽으심, 부활, 승천이 핵심이 되 고 있다. 하나님께서 여러 선지, 여러 직분 등 계시 기관을 통해 성령으로 증거 하였으니 후대인들은 이 하나님의 계시와 사건들에 기초를 두..

(신학)학위관련 영어표현

(신학)학위관련 영어표현    일단 각 학위명칭에 해당하는 영어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학사학위: bachelor's degree석사학위: master's degree박사학위: doctor's degree그리고 신학을 의미하는 영어단어는 divinity입니다.따라서 신학관련 학위는 다음과 같겠죠?신학사: bachelor of divinity신학석사: master of divinity신학박사: doctor of divinity혹은 다음과 같이 앞머리만 따서 쓰기도 합니다.신학사: B.D.신학석사: M.D.신학박사: D.D.질문에 대한 답이 충분히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이 곳 게시판에 질문해주세요.추가로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언급하신 순서대로 설명을 해보면,우..

장로교 조직신학

장로교 조직신학 서론제1부: 신학의 개념, 역사, 방법1. 신학의 개념과 분야들1-1. 신학의 개념신학(神學, theology)은 말 그대로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학(學) 혹은 학문(science, 과학)이란 "체계적 연구에 의해 얻어진 사실들이나 원리들에 대한 지식" 즉 어떤 주제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학이란 하나님과 그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엄격한 의미에서 신학은 조직신학을 가리킨다.기독교 정통 신앙의 입장에서 볼 때, 하나님의 진리들은 하나님의 특별계시들의 기록인 성경에만 명확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들에 관한 ..

신학 용어

신학 용어     1. 신학사조liberalism(자유주의), neoorthodoxy(신정통주의), fundamentalism(근본주의),neoevangelism(신복음중의), evangelism(복음주의), conservatism(보수주의),progressivism(진보주의), puritanism(청교도주의), radicalism(급진주의),calvinism(칼빈주의), new theology(신 신학) 2. 신학체계biblical theology(성서신학), historical theology(역사신학),systematic theology(조직신학), pratical theology(실천신학)homiletics(설교학), liturgics(예배학), pastoral theology(목회학),pasto..

조직신학 요약

조직신학 요약..............................................................................................................................................................................1 인간에 대하여                       2 하나님에 대하여                        3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4 성령에 대하여                       5 성경에 대하여                           6 믿음에 대하여7 구원에 대하여                     8 교회에 대하여                     ..

20세기 복음주의 지성 운동의 대표자 존 스토트 목사와의 대담

20세기 복음주의 지성 운동의 대표자 존 스토트 목사와의 대담   지난 3월 4일 오후 네 시 경 존 스토트 박사가 옥스퍼드시의 성 안드레 교회에서 열린 복음주의신학대회에서의 강연을 마치고 위클리프 홀로 들어섰다. 대담을 맡은 정성욱 교수는 지고 교수인 옥스퍼드대학의 알리스터 맥그래스 교수의 안내로 존 스토트 목사를 소개받고 대담에 들어갔다 신앙 배경과 이력안녕하십니까? 스토트 목사님! 만나서 반갑습니다.저 또한 반갑습니다. 정 목사님! 피곤하시지는 않으신지요? (78세의 노령을 의식한 물음이었다. 노령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정정해 보였다)괜찮습니다. 많이 피곤하지는 않군요. 자 이제 대담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가족을 소개해 주시죠. 결혼을 안하셨으니까 부모님과 형제들 중심으로 소개해 주십시오.저는 19..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존 스토트-1   복음주의의 위대한 유산 존 스토트 존 스토트(John Robert Walmsley Stott)는 현존하는 탁월한 설교가이자, 복음 전도자이며, 기독교 학자이고, 저술가다. 그는 20세기 후 반에 기독교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세계 복음주의 신앙의 대표적인 목회자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 복음주의 신앙 운동을 주도했으며, 세계복음주의협회(World Evangelical Fellowship)를 창설하여 그 시대를 이끈 장본인이다.그는 평생을 영국 런던의 한 복판에 자리한 올소울스 교회 (All Souls Church)의 설교자로 사역했다. 특히, UCCF(한국의 IVF)와 국제복음주의연맹(IFES?International Fellowship of Evangelical Student)을 중심으..

12신조 / 우리는 이것을 믿는다.

12신조 / 우리는 이것을 믿는다. 1신조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靈感)된 말씀(딤전 3:16)으로 신앙과 생활에 대하여 정확무오(正確無誤)한 (마 5:17; 요 10:35) 유일의 절대 규범이다. (시 119:105) 성경은 구원만이 아니라 성경이 언급한 과학과 역사도 무오하다. 2신조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은 한 분뿐이시며(신 6:4; 딤전 2:5) 유일한 경배대상이시다. (신 6:13; 마 4:10)하나님은 스스로 계시는 분(출 6:14; 사 40:28)으로 어디나 계신다. (왕상 8:27; 사 66:1)하나님만 참 신(神)이시고, 사람들이 섬기는 모든 신(神)들은 다 우상들이다. (사 40:18-19)하나님은 만물 및 인간의 창조자로 피조물인 만물 및 인간과 구별되신다.(창 1:1, 27-..

중요한 신앙 고백서

중요한 신앙고백서 (1) 말부르그 신조1529년 독일 황제 빌립의 소집으로 말부르그 회담이 모이게 되었는데, 이 회담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이 로마 카톨릭의 위협에 맞서 연합 전선을 구축하기 위해 모인 회담이었다. 회담 결과 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위격, 이신칭의, 세례, 선행들, 신앙고백, 세속권위 같은 교리들에 관한 전반적인 의견 일치를 표명한 15개조를 공포하였다. 그러나 , 제 15항의 성만찬에 관해서는 완전 일치를 보지 못함으로 결과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진영을 분열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2)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The Confession of Augsburg)1530년 황제 칼 5세가 소집한 독일의회에 제출되었던 루터파 신앙고백이다. 작센선후 요한이 루터, 요나스, 부겐하겐, 멜랑히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