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1

교회론(敎會論, Ecclesiology)

교회론(敎會論, Ecclesiology) 구원론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속의 효과가 성령을 통하여 각 개인에게 적용되는 사실에 대해 언급하지만, 교회론은 구원의 주체이신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과 성령의 적용 사역을 통해서 구원된 모든 성도들이 천국 영화(榮化)에 이르기까지, 이 세상에서 어떻게 영적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야 할 지를 다룬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원받은 자들의 영적 공동체인 교회의 본질과 사역 등에 대해서 주로 언급한다. 1. 교회의 개념과 본질 1. 교회(Church)의 성경적 명칭 교회에 관한 명칭은 신약 성경에서 뿐만 아니라 구약 성경에서도 많이 나타나 있다. 이는 이미 구약 시대에도 신약 교회와 동일한 성격의 집단이 있음을 증명해 준다. (2) 에다( h d [ )..

교 회 론

교 회 론 1. 교회론의 역사적 배경 2. 교회의 기초 A. 말씀과 성례전 B. 성령의 역사 C. 인간의 믿음 D. 이스라엘 민족의 “ 약속의 역사” E. 궁극적 기초 : 예수 그리스도 F. 그리스도는 어떤 의미에서 교회의 기초인가 ? G. 그리스도가 교회의 기초란 무엇을 말하는가 ? 3. 교회란 무엇인가 ? A. 에클레시아 B. 하나님의 백성 C. 그리스도의 몸 D. 성령의 전 E. 하나님 나라의 표징 4. 성도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A.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입장 B. 개신교의 전통적 입장 C.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공동체의 질서 - 카리스마적 공동체 D. “성도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E. “형제 자매의 공동체”, “친구들의 공동체” F. 공동체의 새로운 사회 형태 G. 기초 공동체의 이상 5. 사도 계..

좋은 교회가 갖추고 있는 10가지 자질

좋은 교회가 갖추고 있는 10가지 자질 좋은 교회의 특징 10가지 ©픽사베이 목사이자 교회 상담가 Paul Tautges 씨는 미국 온라인 기독교 사이트 '카운셀링원어나더'(counselingoneanother)에 교회를 고를 때 살펴보아야 할 10가지 교회 자질에 관해 논했다. 1.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중심된 교회인가? 교회 벽보, 교회 사람들이 논의하는 내용, 설교 메시지 등을 보면 해당 교회가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나는 가끔 크리스천들에게 "왜 그 교회에 다니십니까?"라고 물어본다. 어떤 교회들은 악기와 음악에 심취해있다. 어떤 신도들은 홈스쿨링이나 교회 학교, 아이들을 위해 정밀하게 설계된 프로그램 때문에 특정 교회를 좋아한다. 유명한 설교자 때문에 어떤 교회에 다니는..

예배의 정신

예배의 정신 A. 예배 공동체로서 교회 1. 서론 현재 한국인 교회는 예배를 지나치게 중요한 나머지 모든 기능이 예배 기능에 종속되어 버린 교회입니다. 물론 교회에서, 예배란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기능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한국교회에서는 이 예배를 드리기 위한 바른 신학이 제대로 정립이 되지 않는 상태에 있습니다. 어떤 교회에서는 이런 형식의 예배를 채택하고, 다른 교회는 저런 형식의 예배를 취합니다. 그런가하면, 미국의 상황에서 예배는 한마디로, 미국의 실용주의를 교회에 도입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그것은 성도들이 예배와 그 형식을 ‘자신들이 좋을 대로 개조하고, 자신들에게 은혜받기 좋은 형태를 그들이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배의 경험이..

성령님과 교회 성장에 대해서 피터 와그너

성령님과 교회성장에 대해서 피터 와그너 예수님에 대해 조금 이라도 안다면 구원을 받고 (죄사함) 성령을 받아야 합니다 성령을 받지 못하고 하는 종교 행위는 친목을 도모 하는 모임 밖에는 않되는 것입니다 마태복음 11장 11절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예수님을 믿고 죄사함(구원) 을 받으면 세례를 받는데 성령의 세례를 주십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이 다 성령 세례 만을 받는 것이 아닙니다 죄사함을 받지 못하고 세례를 받으면 불세례를 받는데 이 세례는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는 세례로 가라지에 속하는 사람이 받는 세례 입니다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신다는 ..

한국 교회의 예배 형성사

한국 교회의 예배 형성사 I. 들어가는 말 이글의 목적은 한국 장로교 예배의 형성과정을 서술함으로써 한국 장로교 예배의 개혁을 위한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별히 이 글은 한국 교회 초기에 나타나는 여러 예배의 형태들을 서술하고 그것들이 오늘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관심을 가진다. 이렇게 우리의 지나온 예배를 살펴보는 것은 이후 우리들이 예배를 갱신할 수 잇는 중요한 기초가 될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이글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 교회의 초기 예배가 진정한 예배라기 보다는 집회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는 이글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 교회의 초기 예배가 집회의 성격을 가질 수 밖에 없었는지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II. 초기 한국인들이 경험한 만주교회의 예배 교회는 어디에 존재하..

예배(禮拜)란 무엇인가?

예배(禮拜)란 무엇인가? Ⅰ. 이끄는 말 Ⅱ. 예배란 말의 뜻 Ⅲ. 예배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 Ⅳ. 구약시대의 예배 Ⅴ. 신약시대의 예배 Ⅵ. 맺는 말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 ( 롬12:1 ) Ⅰ. 이끄는 말 성도들의 생활에 있어서 예배행위(禮拜行爲)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하나님께 대한 예배는 성도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외적인 자세라고 할 수가 있겠다. 그러므로 성도의 하나님께 대한 예배는 신자 스스로가 내면에 가지고 있는 하나님께 대한 신앙(信仰)의 표현인 것이다. 따라서 예배는 신앙을 전제(前提)하고, 신앙은 예배를 수반(隋伴)한다. 그러므로 건전한 신앙은 건..

교회성장의 기본 원리 - 자연적 교회성장

교회성장의 기본 원리 - 자연적 교회성장 1.서론 20세기에 수많은 교회성장학 교재가 발간되었는데 이에는 두가지경향이 있다. - 하나 : 교회성장은 오로지 기도를 통해서 온다. 기도를 통한 능력만을 강조하는 - 다른 하나는 : 교회성장은 어떤 성장한 하나의 교회를 모델로 해서 그 교회가 사용한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우리교회도 똑같이 성장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인 문제는 기도를 많이 해도 교회가 성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성장한 교회의 model(모델)을 그대로 추출해도 성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 영성주의적 교회성장론이 성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방법주의적 교회성장론이 성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뜻. 이런 문제의 궁극적인 핵심은 교회는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생명체 혹은 유기체라는데 있는..

건강한 교회란?

건강한 교회의 설교 양육-전도’설교형태 다양 ----김홍기 목사/www.21church.com 나는 설교로는 도저히 스펄전을 따르지 못한다. 그러나 제일침례교회(이후FBC)는 스펄전이 목회하던 교회(이후MPT)보다 더 좋은 교회이다. 복음전도적인(evangelistic) 교회의 대신으로 구령하는(soul-winning) 교회를 발견했기 때문이다.”지금은 전설적인 목회자가 되어버린 잭 하일즈 목사가 주장한 말이다. 스펄전과 하일즈 필자는 2000년 3월 하일즈 목사가 40년간 목회하고 있던 FBC를 방문해 보았다. 당시 그 교회는 매년 약 8천 명의 새신자에게 침례를 베풀고 있었고, 재적교인은 10만 명이 넘었으며, 4천 명 이상의 재학생을 가진 독립된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더욱이 놀라운 사실은 만 ..

교회란 무엇인가?

교회란 무엇인가? 1. 에클레시아의 의미 1) 교회론에 들어가면서 교회가 무엇인가를 바르게 안다는 것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개인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생활만 잘하면 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갖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그것은 바른 이해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교회는 신앙인을 낳고 기르는 어머니와 같고 교회는 신앙인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교회는 그 본질에서 이탈하지 말아야 하고 그 형태는 본질을 바르게 담아 나가는 그릇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교회가 무엇인가를 바르게 알고 자기가 속해 있는 교회를 바람직한 교회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2천년 교회의 발자취를 더듬어 보면 교회는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해 오고 있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