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과 치유의 역동관계 상담과 치유의 역동관계 박은규 교수(목원대학교) 본 강의의 주요 목표는 상담과 치유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 문제를 전체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쉬운 과업이 아니지만 적어도 이 두 사이의 역동관계 중 가장 중요한 국면들을 찾아낼 수 있다. 상담과 정신치료..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03
웃음치료법 웃음치료법 1.웃음은 감기예방에 특효약이다 코미디 비디오를 본 그룹과 가만히 방에 않아 잇었던 그룹의 침을 분석한 결과 코미디 비디오를 웃은 그룹의 침에서 감기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1gA의 농도 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대체의학 치료에 효과가 있..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03
73가지 심리학이론 73가지 심리학이론 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배탈이 났다고 하더라도 닭고기와 배탈 사이에..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03
카운슬링의 원리와 실제 카운슬링의 원리와 실제 1. 상담이란 무엇인가? 상담이란 무엇인가? 나름대로의 의견은 있지만, 이것을 규정하는 것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언제 행복하고 언제 불행한가를 설명할 때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것이다. 상담에 대한 여러 가지 보편적인 이론이 있지만, 각 학자마다 나름..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03
부부 관계 자료 모음(행복한 가정 만들기) 부부 관계 자료 모음(행복한 가정 만들기) 녹슬어 가는 천국 방언 “여보, 미안해요” “여보, 사랑해요” “여보, 저는 괜찮아요” “여보, 당신 좀 어때요?” “여보, 그렇게 해요” “여보, 당신 참 잘했어요” “여보, 당신 참 멋져요” “여보, 고마워요” “여보, 피곤하시죠?” “여..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02
종교와 사회복지 종교와 사회복지 정 무 성 가톨릭대학교 교수 1. 머리말 사회복지의 생성 동기에는 인간사회 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상부상조의 정신이 기저를 이루고 있다. 어느 인간사회에서나 소외된 개인이나 집단을 도우려는 상부상조의 정신은 모든 사회복지활동의 보편적인 동기라고 할 수 있..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2.11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1]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1]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 돈 브라우닝과 토마스 오든의 방법론 비교 Interrelatedness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in Pastoral Care: Comparative Study on Methodology of Don Browning and Thomas Oden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심리학은 미국 문화 전반에 걸..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2.11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2]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2] 목회적 돌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상호관계[2] 2) 고전적 기독교 신앙의 회복 1980년대 논문인 "잃어버린 정체성을 회복함"에서, 오든은 교회의 '고전적 목회적 전통'이 현대 심리학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어떻게 20세기에 크게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2.11
발달심리학 발달심리학 제 1주차 발달심리학의 개요 발달심리학의 기초 - 서론적인 질문 1. 기독교교육가가 왜 발달심리학을 배워야 하는가? 2. 발달은 무엇인가? - 환경과 유전과의 관계와 연관지어서... - 성장과 성숙의 개념과 관계하여서... 3. 발달의 일반적인 원리는? 4. 발달의 영역과 발달심리학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2.11
사회화 중심의 교육목회론 /박봉수 목사 사회화 중심의 교육목회론 /박봉수 목사 교육목회를 생각할 때 두 번째로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는 신앙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사회화’이다. 이 이미지는 위의 고전적인 교수 중심의 교육목회론의 제한성을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반교육학..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