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강 현대철학의 흐름과 방향 제2강 현대철학의 흐름과 방향 ◆ 현대철학의 생성존재론 ▲ 현대철학의 타자 오늘날의 철학자들이 말하는 타자라고 하는 것은 이런 것입니다. 여기에 우리가 살아가는 상징계가 있고 이 위에서 우리는 모두 그물 지워지고 기표화되어 있죠. 말하자면 보았으나 본 게 없는 세계죠. 이런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1강 현대철학이란 무엇인가? 제1강 현대철학이란 무엇인가? ◆ 근대철학의 이성중심주의 ▲ 오늘날의 철학의 범주 세계철학사 시간을 죽 해왔는데, 이번 학기에는 세계철학사의 마지막 시간이죠. 제목은 오늘날의 철학입니다. '오늘날'이란 것을 어떻게 잡아야하는가는 쉽지 않은 문제죠. 언제까지가 오늘날이냐? 오..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12강 근대철학의 비판 제12강 근대철학의 비판 ◆ 근대철학비판의 다양한 담론들 ▲ 현대의 근대성 비판 - 탈근대의 출현 오늘 할 내용은 막스-레닌의 입장을 이어서 완전히 정치적으로 아예 새로운 국가를 탄생시킨 경우들이 많죠. 그것만 있는 게 아니라, 서구 자체 내에서, 자유주의 정책을 갖는 지역들 내에..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11강 정치철학은 국가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제11강 정치철학은 국가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레닌과 그람시를 통해 살펴보는 정치철학 ▲ 레닌 이후의 정권교체 또 레닌은 문화혁명을 제창하는데, 문화혁명을 일으켜서 대중교육과 협동조합을 역설하죠. 그러면서도 관료제도의 위험을 고발하고. 국수주의를 비판하고, 1924년에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10강 정치철학에 대해서 제10강 정치철학에 대해서 ◆ 정치철학의 성격과 역할 ▲ ‘정치’의 왜곡된 의미가 근대의 의미로 정립되기까지 우리가 현대 사상에서 1,2 강에서는 주로 존재론(ontology) 또는 형이상학(meta physics)을 가지고 했고, 그 다음에 3, 4 강은 주로 현상학, 해석학을 했죠. 1, 2강은 세계에 대한 거시..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9강 구조주의에 대해서 제9강 구조주의에 대해서 ◆ 구조주의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 근대성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전통철학의 합리주의를 이어받은 구조주의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합리주의 사고, 합리주의라는 건 아주 쉽게 말하면 이 세계가 어떤 합리적인 질서를 가지고 있다는 거예요. 근데 합리적인 질서..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8강 분석철학에 대해서 제8강 분석철학에 대해서 ◆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 ▲ 분석철학 - 방법론적 철학 오늘 할 내용은 분석철학이에요. 지난번에 말씀드린 대로 니체와 베르그송으로 대변되는 존재론 계통이 있죠. 존재론은 존재론인데 생성의 존재론이죠. 전통적인 형이상학이 흄, 칸트, 콩트에 의해서 논박..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7강 합리주의에 대해서 제7강 합리주의에 대해서 ◆ 합리주의는 어떻게 이어지는가 ▲ 꾸르노, 과학은 원리를 검토하고 현상의 원인과 이유를 묻는 것이다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이자 철학자이기도 한 꾸르노(Augustin Cournot, 1801-1877)는 실증주의와는 다른 인식론을 제시함으로써 인식론의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6강 실증주의에 대해서 제6강 실증주의에 대해서 ◆ 실증주의 등장 ▲ 현대 합리주의의 세 갈래 이번 학기에 20세기를 수놓은 여러 가지 사조들, 생각의 흐름들을 보고 있고, 그 중에서도 특별히 개별적인 사상이나 결론보다는 20세기 사상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전제되는 사유 문법을 배우고 있죠. 그래서 이른바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
제5강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제5강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 해석학의 유래 존재와 언어를 해 봅시다. 해석학. ‘해석학(Hermeneutik)은 ‘헤르메스’에서 유래한다.‘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 아시죠? 제우스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메신저이죠? 칼립소가 오디세우스를 붙잡아놓으니까 놔 주라고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202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