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종교와 사회복지

하나님아들 2020. 2. 11. 16:29

종교와 사회복지

정 무 성

가톨릭대학교 교수

1. 머리말

사회복지의 생성 동기에는 인간사회 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상부상조의 정신이 기저를 이루고 있다. 어느 인간사회에서나 소외된 개인이나 집단을 도우려는 상부상조의 정신은 모든 사회복지활동의 보편적인 동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기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종교적 계명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의 모든 종교는 같은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뿐만 아니라 다른 곤경에 처한 사람들에게도 자선을 베풀도록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에서의 종교적인 동기는 개인적 자선행위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조직화되어 기관이나 시설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제도화되어 사회제도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근대사회에 와서 사회문제가 복잡해지고 왕권이 강화되면서 사회복지에 있어 국가의 역할이 강화되고 종교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축소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교의 사회복지적 역할은 인간이 종교를 신봉하는 한 지속되고 확대시켜나가야 할 사회적 과제이다.

한국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경험하면서 지역간, 계층간의 소득격차와 상대적 빈곤을 심화시켜 새로운 차원의 사회문제들이 양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가능한 책임을 최소화하고 그 대신 가족과 기업, 지역사회, 종교 등 민간부문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회복지체계의 틀을 마련하여 왔다. 이러한 정부의 사회복지제도는 폭증하는 국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민간부문의 복지체계도 산업화 과정에서 대부분 붕괴되었다. 특히 외국 선교단체들의 도움으로 서구식 사회복지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하던 종교계의 사회복지활동도 70년대 이후에는 외원기관의 철수와 함께 한동안 부진한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호국적 성격을 강하게 지녀온 한국의 종교계는 최근 IMF체제하에서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IMF와 함께 몰아닥친 고실업과 임금삭감은 가족과 기업의 복지공급 능력을 대폭적으로 약화시켰고, 민간부문에서 종교의 역할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부에서도 미흡한 공적 사회복지를 보완하기 위해 민간부문으로서의 종교의 사회복지적 역할과 비중에 대해 상당한 기대를 보여 왔다. 현재 종교계에서는 IMF에 따른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 활동에 상당한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종교계의 사회복지 참여가 높아지면서 기존 사회복지계와의 관계성에서 다양한 이슈가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에 대해서는 사회복지계와 종교계에서 나름대로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러나 사회복지계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사회복지적 역할은 지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인식해왔고, 종교계에서도 사회복지가 종교의 본질적 기능은 아니기 때문에 선교나 포교의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논의되었다. 하지만 이제 종교와 사회복지에 관한 논의는 21세기 한국 사회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민간 사회복지단체와 시설의 연합체로서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주도적으로 종교와 사회복지에 관한 이슈를 제10회 전국사회복지대회의 주제의 하나로 삼은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제자는 종교의 사회복지적 기능과 역할에 관해 이념적인 측면과 민간부문의 사회복지로서의 종교사회복지를 고찰하고, 자료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우리 나라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의 역사와 실태 및 문제점을 주요 종파별로 분석하여, 21세기 한국 사회복지체계 속에서의 종교사회복지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종교의 이념과 사회복지적 역할

가. 종교와 사회복지의 이념적 관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종교의 주요한 사회적 기능은 사회통합과 사회변화라고 할 수 있다. 사회통합의 기능이란 종교가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와 규범을 정당화하면서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공통된 집단의식을 마련해주고, 이에 따라 사회질서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원규, 1995:31). 그러나 다원주의 종교체계 속에서 종교의 사회통합의 기능은 종교적 활동만으로는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복잡한 사회관계 속에서 분열과 갈등이 팽배한 상황을 화합과 일치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소외계층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없이는 불가능하다. 개인적, 집단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해 물질적, 정신적 도움을 줌으로써 사회통합과 함께 인도주의적 방법으로 사회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들이 모아져서 종교사회복지를 구성한다.

그러나 종교사회복지란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다양한 종파의 이념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조흥식(1998:12)은 종교사회복지를 "사회문제의 해결과 예방, 인간의 사회적 기능수행의 활성화, 생활의 질적 향상 등을 위해 종교가 행하는 복지서비스"라고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개인이나 가족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회제도의 강화나 수정 및 변화에 대한 노력까지를 포괄한다.

그러나 이는 사회복지학의 관점에서 종교사회복지를 정의하는 것이고 종교계 입장에서는 종교적 이념의 실천을 보다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천주교 사제인 심흥보(1998:1)는 천주교 사회복지를 "개인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욕구나 문제에 그리스도의 사랑의 정신으로 함께 참여하여 그 문제를 나누고 함께 풀어나가기 위한 교회의 가르침과 교회의 사목적 지침, 그리고 그 가르침에 따른 교회 공동체의 직·간접적인 행위와 신자 개인이 신앙의 정신을 가지고 교회의 이름으로 또는 교회의 가르침과 지침을 실천하려는 다양한 노력"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하느님 사랑에 응답하는 이웃사랑의 구체적인 형태의 활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규정의 논란은 사회복지활동의 목표와 범위에 대한 갈등으로 이어진다. 종파나 교파의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를 특정 종교의 확산을 위한 수단 정도로 이해하려는 경향도 있고, 종교적 생활의 하나로서 단순한 자선 정도의 차원에서 사회복지를 개념화하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가 중요한 사회제도로 등장한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의 의미를 축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종교와 사회복지의 개념적 상하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본 고의 주목적이 아닌 만큼, 여기서는 종교사회복지를 포괄적으로 "사회복지의 실현을 위해 종교가 행하는 실천적 노력"이라 정의하고 논의를 계속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의 정치·경제적 발전과정에서 하나의 사회제도로 발달한 사회복지는 나름대로의 이념이 존재하지만, 이는 종교사상 속에 나타난 사회복지적 요소에 다분히 영향을 받았다. Friedlander(1976:2-6)는 사회복지의 기본이념은 인간의 존엄성, 자기결정권, 균등한 기회, 사회의 연대책임성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념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생명과 자유,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는 민주주의 이념과, 근면 검소하며 이웃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교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념적으로 사랑 혹은 정의와 같은 기독교의 중심가치들은 더불어 사는 사회를 실현하려는 사회복지의 기본이념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기독교의 이념에는 약자나 강자, 가난한 자나 부유한 자 모두가 신 앞에 평등하다. 이는 세상에서 불행을 당한 자들에 대한 우선적 관심으로 표현되는데, 예수의 실천적 사랑이 그 모델이다. 예수는 가난한 자, 눌린 자, 장애인, 나병환자, 슬픈 자, 소외된 자, 핍박받는 자, 빚진 자, 천대받는 자 등과 같은 불행한 이웃들과 늘 함께 하는 삶을 살았다. 이러한 예수의 삶은 교회가 지상에서 이루어야 할 사랑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즉, 교회가 소외된 이웃과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일은 기독교의 본질적인 사명임을 시사하고 있다.

로마 국제 까리따스 및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위원회 규약에서도 "종교, 이념, 사상, 민족, 피부색에 관계없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비롯하여 모든 인간들이 인간 공동체 안에서 하느님께로부터 부여받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그리스도교적 사랑과 정의에 입각한 사회를 건설하는데 적극 기여하는데 있다"고 선언함으로써 천주교회의 사회복지활동 이념이 그리스도의 사랑과 정의에 입각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의 사회적 관심은 특정 교단이나 교파에 속한 사항이 아니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교회가 마땅히 견지해야할 태도이다. 특정한 시대적 여건이나 교파 혹은 교단의 특성상 사회복지사업의 실천을 등한시 한 경우는 있을 수 있으나 기독교 정신에서 사회복지의 이념을 부인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정신들이 서구 사회복지를 발전시킨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나 인보관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의 생성과정에서 기독교정신이 영향을 미쳤고, 보수와 진보의 각기 다른 성향을 지녔지만 기독교인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편 동양의 종교들 속에서도 사회복지의 이념과 상통하는 내용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불교의 이념과 사회복지 이념과의 관계성은 대승경전(大乘經典)에 잘 나타나 있는데, 대승경전의 기본정신은 인간구제이고, 불타(佛陀)의 자비심이다. 그리하여 모든 생명을 위하고 실천을 생명으로 하는 불교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고자 노력하는 대승불교에서는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을 구제하여 이상사회인 불국토(佛國土)를 건설하고자 한다. 이러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인적인 신앙이나 깨달음에 머무는 것이 아니고 사회와 상호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일체중생에게 헌신하고 지혜와 자비의 행을 행하는 실천성이 담보되지 않고는 어려운 일이다 (송종서, 1998 : 48-49).

자비(慈悲)는 불교의 기본사상인데, 일체의 중생에게 자애의 손을 뻗고, 고뇌하는 자에게는 그 고뇌를 제거해주고, 빈곤한 자에게는 그 구하는 바를 보시(布施)하고, 병자에게는 약을 주어 치료하는 보살(菩薩)의 이타행(利他行)이 곧 자비인 것이다. 특히 보시(布施)는 자비심에서 나오는 행위로서 널리 남에게 재물을 베푸는 일이며, 불교의 보살행(菩薩行)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의 하나이다.

불교적 입장에서는 세속적인 사회복지사업의 실천 속에서도 특히 인간의 내면적인 주체성을 확립하는데 본질적인 목표를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과학적이고 객체적인 사회복지실천에만 그치지 말고 주체적이고 주관적인 인간을 망각하지 말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임송산, 1998:26-27). 즉, 사회적 평등의 단위로서의 집단적 인간에 대하여 개별화된 개개인을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의 기본이념에도 나타나 있는 개별화(individuali- zation) 혹은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의 가치와 상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불교에서는 인간은 불성이라는 최고가치를 지닌 존재이고, 또 그것이 모두에게 평등하게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존귀한 인격을 토대로 한 사회복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사회복지의 기본이념에 해당한다.

한편 원불교 사회복지사업을 발전시킨 원동력은 교화·교육·자선의 3대사업 병진정책과 무아봉공(無我奉公)의 정신의 제도화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교전]에 의하면 '무아봉공(無我奉公)'이란 "개인이나 자기 가족만을 위하려는 사상과 자유방종하는 행동을 버리고 오직 이타적 대승행으로써 일체중생을 제도하는데 성심성의를 다하자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심대섭, 1998:55-57). 이러한 원불교의 이타적 생활철학은 곧바로 사회복지활동으로 이어져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나. 민간 사회복지로서의 종교사회복지

사회복지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기준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복지서비스의 주체에 따라 구분한다.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인 경우에는 공공복지(public welfare), 개인 또는 민간단체가 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민간복지(private welfare)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복지는 국민연금, 의료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험(social insurance)과 생활보호사업 등의 공적부조(public assistance)로 구성된다. 민간복지는 기업, 민간 사회복지기관, 종교단체, 시민단체, 개인 등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 사회의 사회복지 총량은 공공복지와 민간복지의 합(合)으로 구성된다.

공공복지와 민간복지는 각각 장단점이 있고 그 범위에도 차이가 있다. 공공복지는 민간복지에 비해 사회효과성이 뛰어나고, 사회연대성의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평등의 가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Gilbert, Specht, & Terrell, 1993: 59-62). 반면에 민간복지는 공공복지에 비해 비용효과성이 높고, 덜 관료적이며 융통성이 있고, 시민의 능동적인 참여와 수혜자의 선택의 자유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ayo, 1994: 27). 즉, 민간복지에서는 특수성과 선별성이 강조되는 반면 공공복지에서는 사회성과 보편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이 둘은 상호보완, 협력관계에서 사회 전체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사회복지는 공적이거나 민간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쌍방이 관계되는 복지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토지 건물 설비를 제공하고 실제의 관리 운영은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민간 사회복지법인 등에게 위탁하는 관민협력체제의 복지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서구의 선진산업국가에서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공복지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사회보험이 공공복지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복지국가의 이념이 대두됨에 따라 점차 공공복지가 사회복지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도 단순한 시혜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권리로 인식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에 몰아닥친 석유파동 이후 선진 복지국가들은 복지행태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행태 변화에 대해 지금까지의 논의는 주로 정부복지지출의 감소 측면에 초점이 주어져왔다. 그러나 복지비의 감소 사태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조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복지국가 위기감에 대한 우려가 지나간 현 시점에서도 지속되고 있으며 복지비 감소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복지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조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주로 정부나 기업, 비영리 사회복지단체에 의해 제공되던 사회복지서비스가 시민들의 자원봉사활동, 종교·시민단체, 영리목적의 사회복지기관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나라의 복지체제의 전반적인 윤곽을 파악하고 그 공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각 복지프로그램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공공복지가 발달한 나라에서도 많은 사회복지 활동이 가족이나 공동체의 비공식적인 원조망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며, 기업이나 민간기관 등의 민간복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부문의 사회복지는 서구 선진복지국가에서 공공복지가 발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축소되기도 하였지만, 복지서비스의 공급체계가 다원화되면서 그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대인서비스의 중심을 이루는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의 민간 사회복지의 효과성은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복지활동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 편의주의적인 복지행정으로 비용효과성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정무성, 1997:54-55).

공공복지에 대한 민간복지의 역할은 주된 제공자, 보완적 제공자, 보충적 제공자 등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Kramer, 1981:235-247). 주된 제공자의 역할은 정부의 복지서비스 제공기능이 부재하거나 미약하기 때문에 민간복지에서 제공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보완적 제공자의 역할은 정부의 복지서비스와는 질적으로 차별화 되는 복지서비스를 적절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시장경쟁을 이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한편, 보충적 제공자의 역할은 정부서비스의 대체로서의 민간기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와 수혜자들에게 정부서비스 이외에 또 다른 하나의 대안으로서의 선택권을 확대해 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서구사회에서 종교사회복지는 민간복지로서 공공복지와 깊은 상호관계를 맺으며 보완적 혹은 보충적 역할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특히 오늘날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행복을 보장하기 위한 전문적인 분야로 인식되고 있는 전문사회복지실천은 교회의 사회봉사 활동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기독교의 교리와 가치에 입각한 교회의 사회봉사 활동이 현대 민간부문 사회복지활동의 기원이 되었던 것이다.

체계적인 교회 사회봉사 활동의 기원은 초대교회의 집사(deacon)직분을 둔 배경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사도들이 말씀 전파하는 일에 바빠서 봉사하는 일까지 제대로 돌볼 수 없게 되자 과부들에게 식량을 배급하는 봉사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일곱 집사를 임명하였다. 그 이후 교회의 사회봉사 활동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고대나 중세 교회의 이웃에 대한 사회봉사 활동은 당시 사회의 폐쇄성을 고려할 때 혁신적인 것이었으며 불우한 사람을 도움으로써 사회관계를 확장시키는데 공헌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중세교회의 무분별한 구제활동은 수혜자의 의존심을 조장하였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김동국, 1986: 26-36).

종교개혁시대에는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을 구분하는 이원적 신앙관이 강하여 신앙생활에 있어 영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특히 루터는 구원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사회봉사를 경계하면서 교회와 교인의 무리한 사회선교활동은 배제하였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국가가 가난한 사람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사회문제의 책임을 지나치게 국가에만 떠맡기는 결과를 낳아 교회의 사회복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이삼열 역, 1992: 96-99).

17,8세기의 유럽의 경건주의와 18,9세기의 미국의 복음주의는 교회로 하여금 사회적 역할을 더욱 멀리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조류는 세상적 가치와 현실을 과소평가 하면서 현실거부 혹은 현실 도피적인 사회적 태도를 조장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무렵의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은 기껏해야 개인의 구제와 자선에 초점을 맞추는 구호적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그것도 개인구원 및 복음화의 과제에 비해서는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복음화의 수단 정도로만 이해되었다 (이원규, 1994: 234).

이에 대해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걸쳐 생겨난 유럽의 기독교 사회주의 (Christian Socialism)와 미국의 사회복음운동 (Social Gospel Movement)은 당시 반사회적 개인복음에 집착하고 있었던 교회들에 대한 대응으로 생겨나,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야기되었던 많은 경제·사회문제들에 대한 교회의 책임의식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을 전개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구호적 차원의 소극적 태도에 머물러 있던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종교기관은 사회복지적 입장에서 보면 지역내 훌륭한 민간복지 자원이며, 종교 입장에서 지역사회는 종교의 사명을 완성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장이다. 특히 우리 나라처럼 급속한 산업화와 IMF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가 팽배한데 비해 공공복지가 미흡한 사회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촉매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자비와 사랑의 당위성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 한국 종교계는 정부 사회복지사업의 협력자, 보완자, 비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종교는 직접적으로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사회운동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사회분위기를 창출하거나 대정부적으로 사회복지예산 증액이나 사회복지프로그램 확대를 요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복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 민간부문에서의 종교사회복지와 일반사회복지의 관계

현대사회에서는 사회복지대상자의 욕구가 다양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이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도 다양해지게 된다. 공급주체의 다양화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적 구축이 선행되지 않으면 서비스의 중복이나 누락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급주체별로 분화되어 있는 서비스를 지역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체제를 정비하여야 한다. 특히 민간 사회복지기관들의 연계·협력체계를 강화하여 민간부문 복지총량의 극대화를 이룸으로써 기존의 복지자원의 영세성으로 인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단위에서 다양해지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들(사회복지기관과 시설,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간의 역할과 접근 전략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있어야 한다. 최근 종교기관과 함께 시민단체들도 실직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지원사업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복지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여러 민간 주체들이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합류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지만 기존 사회복지기관들은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독점적 위치에 도전을 받게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상호 갈등관계이기 보다는 역할분담을 통해 상호 협력적이고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종교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주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자선적 차원에서 응급구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자신들이 모금한 기금과 인력을 중심으로 소외계층에게 즉각적이고 융통성 있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훌륭히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전문성과 체계성의 결여로 인해 서비스가 중복되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등 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낮추는 경우가 있다.

반면에 사회복지기관들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인력과 체계적인 조직체계 속에서 응급구호보다는 일상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제도적인 틀과 예산지원의 한계 속에서 새로운 사회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력이 약하고 매너리즘에 빠진 행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대부분의 민간 사회복지기관들이 그 재정의 상당 부분을 정부에 의존하고 있으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자원을 마련하거나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얻어내려는 노력을 등한시하여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단체와 시민단체의 융통성과 즉각성, 기존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성과 체계성이 상호 연계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종교·시민단체는 공식적 민간 사회복지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그 역할과 위상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민간 사회복지기관들도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종교계의 자원과 연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내의 요보호자들에 대한 보호와 일상적인 프로그램제공의 기능은 사회복지기관이나 시설이 담당하고, 지역문제의 자치적인 해결을 위한 주민자치 운동이나 조직화는 시민단체가, 사회복지자원의 동원이나 응급구호적인 활동은 종교기관이 주로 담당하는 역할분담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역할분담이 상호 별개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연계체계를 이루어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정무성, 1999:20-21).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전략에 있어서도 각 공급주체간의 차별화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지역사회복지의 모델은 ①지역사회개발(locality development) ②사회계획 및 정책(social planning/policy) ③사회행동(social action) 등이 있다(Rothman, 1995:26-61).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상부상조와 참여를 통한 주민중심의 지역사회통합을 이루려는 노력이다. 이는 종교단체들이 지역사회에 개입할 때 주로 고려해볼 수 있는 개입방법으로, 실제로 천주교회에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다.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은 지역사회문제에 대해 전문가와 전문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기술적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서비스기관과 사회복지기관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행동 모델은 지역사회내 소외집단에 대한 법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리회복을 위한 주민조직활동들로 구성된다. 모든 행동이 대결적인 형태를 띄는 것은 아니지만 시위, 데모, 항의 등을 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시민운동단체나 진보적인 종교단체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론들이 특정 단체만의 독점적인 개입전략은 아니지만 각 서비스 공급주체별로 자신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개입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3. 종교사회복지의 역사적 맥락

가. 한국의 불교사회복지 역사

한국의 종교사회복지 전통은 불교에서 찾을 수 있는데, 삼국시대에는 불교사회복지라고 할만한 구체적인 사례에 관한 문헌이 별로 없다. 그러나 임송산(1998:161-179)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불교사회복지에 대한 기술이 많이 보이지 않는 것은 역사서의 내용이 간단하여 사회복지사업까지 소개가 안되어 있기 때문이며, 실제로는 상당한 불교사회복지사업이 조직적으로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 증거로 불교전래 이전과 이후의 재난과 구제사업 사례를 통계로 비교해 볼 때 불교전래 이후의 횟수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아 국가의 복지사업이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국의 불교사회복지는 고려시대에 왕성한 사회복지활동을 보여주었다. 고려의 사회복지활동은 왕조중심의 시혜적 민생구휼사업들이었으나 불교중심의 문화를 이루고 있던 시대인 만큼 정부와 민간의 사회복지활동에 있어 불교의 영향이 매우 컸다. 특히 사찰은 왕과 귀족과 평민이 시납(施納)한 풍부한 전지(田地)와 노비(奴婢), 세민(細民), 수원승도(隨院僧徒)의 인력을 소유하여 매우 부유하였으며, 사원의 토지에는 면세특권이 주어져 2중, 3중의 가렴주구(苛斂誅求)를 피하여 자기토지를 가지고 사원에 투탁(投託)하는 농민도 많았다. 그리하여 흉년이 들면 사찰은 대개 기민구호(饑民救護)의 중심을 이루었다 (임송산, 1998:222-232). 또한 그 이름 자체가 불교적인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을 비롯하여 제위보(濟危寶) 및 혜민국(惠民局) 등이 국가기관으로 설립되어 요보호 국민들의 구제를 담당하였다. 이러한 기관에서는 질병자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물질적 시혜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재해구제사업에 있어서 고려는 유례없는 각종 재해를 당하여 태조이래 궁민(窮民)구제를 위해 창제(倉制)를 도입하여 국가가 운영함으로써 어려울 때 즉각적으로 빈민을 구제하였고, 곡가조절을 통하여 빈민의 경제생활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또한 재앙법을 제정하여 국민의 부담을 감면하고 궁민구제책도 아울러 강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제활동의 장소로 전국의 사찰과 사원이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11대 문종 18년(서기 1064년) 3월에는 제하여 "지난해에는 큰물이 져서 추곡을 손상시켰으므로 백성들을 생각할 때 급히 구휼하여야 할 것이므로 ......... 이 달부터 5월까지 개국사(開國寺) 남쪽에 음식을 마련하여 궁민에게 베풀도록 하라"고 하였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궁민구제사업은 관과 종교가 협조체제를 이루어 시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고려시대는 동양의 전형적인 봉건제도 질서를 유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종교와 함께 요보호대상자들에 대한 구빈사업이나 보호사업을 활발히 시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 왕성했던 불교사회복지가 조선시대에 와서는 배불정책(排佛政策)으로 많이 위축되기는 하였지만 적어도 세종 때까지는 각종 사회복지사업이 사찰에서 행해졌고, 승려들에 의해 그 업무가 수행되었다. 특히 신라시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중엽에 걸쳐서 보(寶)라는 조직이 성행하였는데, 이는 복전(福田)인 사원이나 공공기관에 전지(田地) 또는 전곡(錢穀) 등을 시납하고, 그것을 본전으로 하여 수요자에게 대부 또는 교환하여 이익을 취하여 삼보(三寶)에 바치는 자(資)로도 쓰고, 또는 제도중생사업(濟度衆生事業)이나 공익사업의 자(資)에 공(供)하여 영원히 이익이 있게 하는 사업이었다 (임송산, 1998:24).

일정시대에도 승려와 신도들이 죽을 쑤어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구제한 사례와 조선불교소년회가 자선동요무용가극을 열어 재만불우동포(在忎不遇同胞)를 구제한 사례, 관음(觀音)거사의 복지사업사례, 양근 비구니스님의 복지사업사례 등이 있었다. 현대적 의미의 불교사회복지사업은 1930년대 말부터 시작하여 스님 및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 양로원, 고아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다가 1980년대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상담기관, 장애인시설, 재활시설, 복지관 등의 설립과 복지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송종서, 1998:51).

나. 기독교의 사회복지사업 역사

1) 한국 개신교회의 사회복지 역사

한국 개신교회는 19세기 후반부터 외국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선교사들은 초기부터 소외계층에 대한 선교정책을 확고히 수립하여 사회복지사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초기 선교사들의 사회봉사 활동은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한국인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당시 한국사회의 심각한 욕구가 보건과 교육이라고 판단하여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을 택한 것이다. 심령의 구원을 위해 선교의 한 방편으로 육신의 치료에 힘썼고, 무지를 계몽하여 새로운 세계를 밝혀 줌으로써 선교의 결실을 맺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선교 초기에 있어 한국정부의 선교금지 정책을 순화시키기 위해서도 효과적이었다 (이만열, 1981: 12).

19세기 말 우리 나라의 의료수준은 매우 열악하였다. 거의 모든 질병을 마귀의 소행으로 생각하고, 치료를 위해 마귀를 쫓아내기 위한 기도와 제물을 바치는 것이 고작이었다. 이와 같은 의료적 암흑시대에 기독교의 전파와 함께 발달한 서양의술이 도입되게 된 것이다. 1884년 미국 북장로교 소속의 의료선교사 알렌(Allen)이 우리 나라에 들어옴으로써 의료선교를 통한 복음전파의 발판을 구축하였다. 의료선교사들은 당시 우리 나라의 환자들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의료사업을 전개하였다. 특히 불우한 처지에 놓여 있는 환자들을 위한 무료진료를 통하여 자선사업적 의료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또한 당시 우리 나라에서 유행하던 천연두, 콜레라, 말라리아, 발진티푸스, 이질, 결핵, 나병, 마약 등에 관한 예방과 공중위생 계몽사업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나 선교회에서는 이러한 의료사업이 복음전도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우려해서 의료 선교사들의 활동을 제한하기도 하였다 (신광섭, 1994: 188-191).

의료선교사 알렌의 탁월한 의술과 헌신적 봉사로 서양인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으로 바뀌자, 1985년에는 미국 장로교의 언더우드(Underwood)와 감리교의 아펜젤러(Appenzeller)가 파송되어 교육사업들이 펼쳐졌다. 선교사들의 교육사업이 있기 전까지 우리 나라는 신교육에 접근하는 길을 구미에서 직접적으로 찾지 못하고, 소수 젊은 지식인들이 일본과 중국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하였다. 즉,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사업을 통해 우리 나라는 신교육에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한일합방 이전까지의 기독교계 학교의 교파별 통계를 보면, 장로교가 605개교에 학생수 14,708명이고, 감리교가 200개교에 학생수 6,423명이며, 성공회나 천주교 등을 합하면 950여개 학교에 달하고 있었다 (민경배, 1983: 238).

그러나 초기 한국의 선교사들은 내적 신앙의 체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자 혹은 심령주의자들의 신앙부흥운동의 영향을 받아 파송된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들 선교사들의 신앙 형태는 경건주의적, 부흥회적 유형의 신앙이었다. 즉, 교회와 사회의 접촉 단절을 전제하고 방주적 개념을 기조로 하는 피안적 신앙이었다. 이러한 신앙적 특성으로 인해 사회문제의 원인을 근원적이고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접근하기보다는 선교의 일환으로 동정적인 구제사업 혹은 박애사업에 치중하였다 (신광섭, 1994:191-192).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사들에 의한 신교육은 국민들에게 일제 식민지하에서의 민족의식과 민권의식을 갖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 결과 구한말과 일제시대에는 교회가 계몽운동과 애국운동에 적극 관여함으로써 사회운동 차원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일제 식민통치기간 중에는 농촌 개발사업, 농민 계몽사업들이 선교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는데, 농사전문지, 농사학교, 농사강습회, 신용협동조합운동 등을 통하여 선교과제를 실천하였다.

해방 후 60년대까지 우리 나라는 정부수립 및 한국전쟁으로 인한 혼란과 빈곤으로 인해 사회문제가 심각하였다. 특히 전쟁으로 인한 고아, 미망인 등의 요보호자가 급증하고 많은 사람들이 가난으로 고통을 받았으나 체계적인 복지제도는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이 기간동안 외국 선교단체를 중심으로 펼쳐진 고아원과 같은 시설보호, 물자구호 및 민간차원의 자선활동은 당시 한국 사회복지의 핵심을 차지하였다. 이때부터 전쟁 미망인과 고아들을 위한 전문 사회사업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한국개신교회의 이러한 일련의 사회복지사업들은 전도사업을 간접적으로 촉진하여 교회의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박영호, 1979; 22-48).

2) 한국 천주교의 사회복지역사

한국 천주교회의 사회복지에 대한 노력은 선교초기부터 있어 왔으며, 그러한 노력들이 한국의 근대적 사회복지의 태동을 가능케 했다. 특히 초기 고아원이나 양로원 사업들은 조선 후기사회의 유교적 신념체계가 사회통합적 기능을 상실하면서 발생한 빈민구호의 공백을 보충하는데 기여하였다.

심흥보(1998)는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역사를 6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제1기는 '초기교회 신앙정립과정의 활동기'(1777∼1886)로서 교회는 사목자들의 가르침과 사목정책, 평신도의 활동을 통해 하느님 사랑의 표현이 이웃사랑, 그중에서도 가난한 이웃에게 대한 사랑이라는 것을 증거 했다. 최초로 서양종교를 전파하면서 천주교는 자선행위를 신자생활의 중요한 권장행위로 간주하였다. 이는 신자들이 계명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인 동시에 노인과 고아들의 영혼을 구하는 좋은 수단이었기 때문이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자선행위들은 1917년 2월 1일 설립된 인애회에 계승 발전되어 조직적인 박애사업으로 발전한다(박석돈, 1995:27).

제2기 '종교자유획득과 수도회 결성이후의 활동기'(1886∼1910)동안 교회는 천주교회 기초단위인 각 본당이 본당에 파견된 수도자들과 함께 지역사회 안에서 그 지역사회의 기초복지랄 수 있는 고아 수용과 영유아 보육, 노인 수용과 보육, 수용된 고아와 노인의 치료를 위한 시약소를 운영하며 사회복지 활동을 펼쳤다. 그리하여 우리 나라 최초로 근대적 성격의 사회복지시설인 천주교회 고아원이 조선말엽 고종25년(서기 1888년) 3월 지금의 서울 명동에 세워진다. 이어 4개월 뒤 노인들을 위한 최초의 양로원도 설립되었다(권오구, 1997:241-242). 이러한 사실은 근대적 의미의 사회복지시설의 설립과 운영에 있어 종교계가 주도적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다.

제3기 '일제식민시기의 활동기'(1910∼1945)동안 교회는 한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교회의 사회에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한 일제식민정부의 의도에 따라 보육, 양로, 교육, 의료 분야의 사회복지 활동 분야에서 쫓겨났지만, 교회는 사회의 기본교육과 언론문화 복지를 통해 사회복지 활동을 펼쳤다. 그리고 이러한 일제의 박해로 인해 여성수도자들이 본당의 전례보조와 예비자 교리 등의 기능적인 일로 축소 종사하게 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수도회가 본당과는 별도로 자체적인 사회복지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제4기 '해방후 활동기'(1945∼1975)동안 교회는 미국 가톨릭 구제위원회를 비롯한 외원단체의 후원 아래 해방과 전후의 한국 소외계층들에게 사회복지 활동을 펼쳤다. 그러한 과정에서 '인보성체 수도회' 같은 사회복지 전문 수도회와 '빈첸시오 아 바울로회'와 같은 전문 사도직 단체가 설립되었다.

제5기 '인성회 조직 이후의 활동기'(1975∼1991)동안 교회는 미국 가톨릭 구제위원회의 활동과 자산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인성회로 이어받아 인간 개발과 사회복지를 실현했다. 그리고 본당 중심의 지역사회 복지가 교구나 수도회 차원의 전문 사회복지 활동으로 대체되고, 정부는 사회복지 시설의 운영을 천주교에 위탁하기 시작했다. 또한 특수사목의 형태로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사목자들이 생겨났다.

제6기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 조직 이후의 활동기'(1991∼)동안 교회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산하의 인성회를 사회복지위원회로 개칭하고 사회복지를 전담하도록 했다. 그래서 각 교구마다 사회복지회(국 또는 위원회)가 설립되고 교구 내의 사회복지 업무를 통합적으로 계획, 조정, 지원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천주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의 두드러진 특징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주체와 사업내용에 있어 변화를 보여왔지만, 교회의 선교활동과 사회복지활동을 분리시키거나 사회복지활동을 부차적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것이다. 선교와 복지를 통합된 사목으로 여기고 사회복지활동을 지속적으로 조직화, 전문화시키면서 한국 사회복지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4.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의 실태와 문제점

김홍권(1997)은 종교별 사회복지시설법인(수용시설중심) 현황분석을 통해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를 평가하였는데, 전체종교인구중 36.4%인(1994년 통계청 사회지표 기준) 개신교가 각종 수용시설을 통해 64.4%의 대상자를 수용하고 있었고, 종교인구 11.8%인 천주교가 28.2%, 종교인구 48.8%인 불교가 4.9%, 종교인구 0.6%인 원불교가 2.1%로 나타났다. 개신교와 천주교가 사회복지시설을 통해 보호하고 있는 인원은 전체 수용인원의 93.5%를 차지하였다. 개신교가 수용하는 절대인원은 많으나 종교인구 대비 수용인원은 천주교가 많았다. 정신질환, 노인복지, 아동복지, 부녀복지, 병원 등은 개신교의 시설이 많았고, 나환자, 장애인, 결핵환자, 부랑인들의 수용은 천주교가 더 많았다.

이러한 분석은 최근 2-3년간의 불교계의 약진이 반영되지 않았고, 종교계 사회복지활동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인가 소규모 수용시설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한계는 있지만 우리 나라 종교계의 사회복지실태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IMF체제를 맞아 종교계는 실직자관련 지원사업을 확대해가고 있다. 개신교, 천주교, 불교, 원불교 등 4대 종단에서는 300여개에 이르는 노숙자 숙박시설과 무료급식, 실직자 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에서 무료급식이 전체의 약 78%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직자 쉼터와 노숙자 숙박시설은 각각 11%와 4%를 차지하고 있다 (사회복지신문, 1998).

각 종파별로 사회복지행정 형태도 차이를 보인다. 특히 개신교와 천주교의 종교적 교회조직의 특성이 사회복지행정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개신교는 개별 교인들이 주로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데 비해 천주교는 교구별로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단일 교구 내에서도 개별수도회나 수녀회단체별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사회문제가 복잡해지고 사람들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중앙집권적인 가톨릭은 조직적인 체계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활동에 조직적으로 참여했는데 반해 개신교는 개교회 중심적인 성향으로 인해 사회복지사업에 체계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제도적, 조직적 장치가 결여되어 있다. 그러나 개신교의 개교회적인 성향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사업을 독립적으로 전개하기에는 유리한 측면도 있다(정무성, 1998).

그러나 오늘날 한국 교회는 초기 선교사들의 활발한 사회복지사업의 전통을 살리지 못하고 교회의 사회선교적 사명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에 현대적 사회복지사업을 도입한 기독교는 70년대까지는 외원기관의 활약으로 민간 사회복지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외원기관의 철수에 따른 공백을 교회가 담당하지 못하고, 대부분 사회 전반적인 성장논리에 편승하여 교회 자체의 양적 성장을 위한 활동에 주력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한동안 기독교인 수가 급속히 증가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지만, 이웃을 외면한 채 교회의 자체 성장에만 주력해온 이기주의적 행태가 많은 사람들에게 실망과 우려를 안겨주고 있다. 특히 의식 있는 젊은이들이 교회의 물량주의적 모습과 일부 성직자와 교인들의 윤리성이 결여된 행위에 실망하여 교회를 일탈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결국 교회의 발전에도 바람직하지 못할 것으로 여겨진다는 반성 하에 교회의 사회복지적 역할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더구나 우리 나라 불교인들은 기독교에 비해 불교가 사회복지참여에 더 미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가 부진한 이유로는 관심과 추진력을 가진 승려의 부족, 기성불교 지도자 전체의 무관심, 종단 총무원의 무관심 등의 응답이 전체의 86.9%를 차지해 불교인 개개인의 성향의 문제보다는 승려, 불교지도자, 총무원의 자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불교계에서는 많은 불교인(97.8%)들이 한국에 불교사회복지를 진흥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송산, 1998:27-53).

한국 종교사회복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산발적으로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은 예산편성의 소극성, 사업의 비전문성, 전달체계의 비체계성을 지적할 수 있다. 예산편성의 소극성은 교회 및 사찰 전체 예산의 10%미만의 수준에서 사회봉사비가 책정되고 있는 수준에서 볼 수 있다(김인숙, 1998:63).

이처럼 종교계의 사회봉사비 지출비율이 빈약한 이유는 종교지도자들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소극적 태도에서 기인한다. 이에 대한 일반 신도들의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어서, 각 종파의 재정능력을 고려했을 경우에도 사회봉사비 지출이 저조하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정무성, 1998).

한국 종교사회복지의 비전문성은 그 프로그램의 유형에 잘 나타나 있다.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 연구회의 조사(최원규 외, 1990)를 참조로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의 수를 살펴보면, 5가지 이하를 실시하고 있는 교회가 전체의 32.6%였고, 10가지 이하는 36.5%, 10가지 이상은 약 28% 정도로 평균 8개 정도의 프로그램들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 같은 수치는 외적으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프로그램이 상당수 있는 것처럼 보이나, 그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형식적이거나 일시적인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교단 차원에서 개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을 종합적으로 분류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의 자료(1994)에 의하면 교단 산하 사회복지관련 총1,286시설 중 아동복지 시설이 493개로 38.3%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청소년복지 시설이 246개로 19.1%를 차지하고 있다. 그 사업내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조사와 유사하게 선교원, 유치원, 장학사업 등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최근 노인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노인복지시설과 프로그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실제 내용은 경로잔치와 노인대학이 주를 이루고 있다.

1995년 2월 조계종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하였는데, 그 산하에는 어린이집, 청소년회관, 독서실,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 등 56개의 시설이 있으며, 불교계 전체적으로는 300여개의 복지시설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불교 19개 종단의 승려가 2만이 넘고, 신자도 2000만 명이라는 규모, 그리고 한국 전통적 사회복지발전에의 기여에 비해 오늘날 한국 불교는 사회복지의 기관이나 시설, 인력들이 너무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의 내용에 나타난 특징을 보면 시설방문이나 장학사업 등 일시적, 응급구호적 성격의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선교원, 유치원 같은 선교효과와 수익을 동시에 올릴 수 있는 유료 프로그램의 비중이 큰 반면, 예방적이거나 장기적이고 전문적 기술을 요하는 사회복지사업의 실시는 매우 미흡한 것을 볼 수 있다.

종교계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비체계성은 종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비교적 다른 종파에 비해 조직적인 사회복지사업을 펼치고 있는 가톨릭은 1991년 주교회의 산하에 가톨릭사회복지를 체계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위원회(과거 인성회를 개편)를 두고, 군종 교구를 제외한 14개 교구에 '사회복지국(혹은 사회복지회)'을 설치하였다. 또한 전국 1000여개의 교구 소속 본당에는 '사회복지분과' 혹은 '사회분과' 등이 설치되어 교회가 사회복지활동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불교계내 조계종도 총무원 산하에 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하고, 총무원의 하부조직이라 할 수 있는 전국 24개의 본사에 '문화사회복지부'를 설치하여 소속 공찰들의 사회복지활동을 기획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개신교는 교단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예장통합의 경우 총회 산하에 '사회부'를 설치하고 각 노회와 개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을 지원, 협의하고 있다(김인숙, 1988:57- 58; 이선우, 1999:18-22). 그러나 상부 조직들이 각 종단의 기초 단위인 지교회, 본당, 말사 등에 대한 통제력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 종교사회복지의 과제

현재 우리 나라는 인구 및 가족구조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추세는 21세기 한국 사회복지사업의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가족구조적인 면에서는 부부중심의 핵가족이 보편화되어 가구규모가 줄어들고 단독가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유교주의적 가족관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 가족해체의 증가, 청소년 자녀의 비행문제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인구적인 측면에서 우리사회는 급속히 노령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산업재해와 교통사고의 다발, 공해 등으로 인하여 선천적 및 후천적 장애인도 증가 추세에 있다. 한편 후기 산업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함에 따른 여성들의 복지욕구도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사회전체의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21세기 정보화 사회, 통일한국의 특성과 함께 복합적인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IMF이후 실업의 규모와 증가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크게 나타나면서 실직자와 그 가족을 중심으로 소외계층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IMF체제하에서 현 우리 나라의 공적사회복지체계는 그 한계를 명백하게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소외계층에 대한 종교계의 사회복지참여는 복지사회를 이루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교사회복지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과정에 ①통합성, ②접근용이성, ③자율성, ④효율성 등의 민간사회복지 원칙이 고려되어야 한다. 통합성이란 지역별, 분야별, 기능별 영역간의 체계적인 연계를 통해 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접근용이성은 지역사회내에서 주민들이 공간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서비스 공급자에게 접근하는데 저해요소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율성은 다양한 복지욕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을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게 발휘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율성이란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민간부문으로서의 종교사회복지도 이러한 원칙들이 준수되는 차원에서 구축되어야 한다(정무성, 1999).

이러한 맥락에서 조흥식(1998)은 종교사회복지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①사랑을 토대로 하는 종교의 공동체적 사명에 충실해야 한다. ②사회 어느 조직 보다 강제성이 아닌 자발성을 기초로 해야 한다. ③사회 어느 조직 보다 긴급하게 대처하는 선도성을 기초로 해야 한다. ④국가의 공공정책 및 제도에 보완적이며 보충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⑤정부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압력단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비판성을 가져야 한다. ⑥복지공급자 우선 보다 복지대상자 우선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⑦종교 교파간 공조체계를 갖추어서 상호 협조하는 공조성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사회복지적 입장에서 종교가 사람들의 각종 사회적 욕구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사회복지적 자원임에는 틀림이 없다. 특히 종교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나 사회복지사들은 종교 자원을 잘 활용함으로써 개인 혹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성직자들에게 있어서도 사회복지적 지식과 지역사회내의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는 종교의 사회적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실제적으로 외국의 경험에서도 교회가 지역사회의 사회복지기관과 연대하여 주민들을 위한 상담 및 교육사업을 실시한 결과 그렇지 않은 곳보다 훨씬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봉사사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교회내 모임만큼 결속력이 있고 봉사심을 가진 집단을 지역사회내에서 발견하기 쉽지 않다. 미국의 경우 기독교인들이 지역사회봉사에 더욱 적극적이고, 학교나 병원, 기타 사회단체등 비영리기관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회에 헌금과 시간의 투자를 많이 하는 사람들이 사회봉사에도 더 헌신적으로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Yankelvovich, Skelly, and White, Inc., 1986: Hodgkinson, Weitzman, and Kirsch, 1988).

2차대전 이후 미국의 개신교회가 지역사회복지사업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Pepper(1956; 17-26)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①교회가 사회사업을 하나의 분리된 영역으로 생각하지 않고 일상 사역의 한 영역으로 간주하였다. 그 구체적인 증거로 사회복지사, 심리사, 사회과학자들이 목회과정에 상당수 참여하였다. ②교회의 사회사업은 인간의 물질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영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써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③교회와 사회복지기관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고 협력관계를 긴밀히 유지하였다. ④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교회 간의 협력과 정보교환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사회복지의 원칙과 외국 종교 사회복지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한국의 종교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해서 종교계는 사회복지사업을 위한 재정·인력·공간제공을 확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복지수준은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복지와 민간복지의 합으로 결정되는데, 우리 나라는 국방비와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예산의 과다지출로 인해 국가경제력에 비해 매우 빈약한 복지비를 지출하고 있다. 우리 나라 중앙정부의 사회보장 및 복지부문 지출수준은 국내총생산의 3.88%로 선진국의 1/6-1/7 수준에 불과한 규모이다. 따라서 정부의 사회복지예산 확대가 시급히 요청되지만, 종교계 각 종파에서 예산의 10%만 사회복지활동에 투자한다면 소외계층들의 복지향상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개신교의 경우 58,000여 교회의 재정 규모를 3조 5천억원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의 10%를 사회복지에 투자해도 3천5백억의 규모이다. 개신교가 전체 종교인구의 36.4%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고 타종교도 비슷한 재정규모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종교계가 전체적으로 10%만 투자한다면 약 1조원의 재원이 조성될 것으로 계산된다(이에 각 종교계 사회복지법인들이 출연하는 기금을 계산하면 훨씬 많아짐). 이는 우리 나라 정부의 생활보호예산과 맞먹는 규모로 소외계층을 위해 상당히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수준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종교계는 무한한 인적자원들이 자원봉사자로 나설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선진국 국민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20%수준에 이르는데 반해서 우리 나라는 4% 수준에 불과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미국 기독교인의 경우 70%이상이 적어도 1주일에 1시간이상 교회 밖에서의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도 신앙을 바탕으로 이웃사랑을 실천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와 결단을 가진 각종 재능의 소유자가 종교계에는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사회봉사를 실천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그 구체적인 실천방법이나 기술을 모르는 신자들을 위해 사회봉사 세미나나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종교사회복지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들 자원봉사를 관리하고 필요한 사람에게 연결시켜줄 수 있는 체계도 갖추어야 한다.

이와 함께 주로 주말에만 이용되는 종교기관의 시설들을 주중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위해 개방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 종교 기관만큼 지역곳곳에 산재해 있는 조직은 없을 것이다. 사회복지서비스는 가능한 대상자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최일선 조직인 지교회, 성당, 사찰 등은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최적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는 종교계가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달체계가 조직화,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 종교별로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상설 기구를 만들어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방향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전문기구는 각 종교산하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와 연합하여 과학적인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한 종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 정부에서도 종교계 사회복지 대표자협의회의 상설기구화를 추진하여 종단간 모임을 정례화하고, 9개소의 종교계 복지활동정보지원센타의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

나아가서 지역사회내의 종교단체간 혹은 전문 사회복지기관과의 협동적 노력이 필요하다. 연합프로그램은 지역사회내 종교간 구체적인 정보 및 자료의 교환을 가능케 함으로써 서비스의 중복이나 단절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사회복지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가 다양화되면서 각 민간 주체들간의 역할갈등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역단위별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협의체의 구성이 시급하다. 즉, 사회복지기관과 종교기관, 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민간 사회복지부문의 협의·조정기구인 사회복지협의체를 구성하여 여러 형태의 복지사업이 협동적 연계망 속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기관 및 종교기관, 시민단체간의 조정과 협력의 증진을 꾀하고 사회복지의 효율화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6. 맺는말

종교가 자신의 교리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은 사회이다. 일종의 사회제도로서의 종교기관은 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적 역할을 매우 중요한 종교의 사회적 기능으로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실제로 초대교회 때부터 현대까지 내려오면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들은 새로운 이웃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어 복음 전파사업을 간접적으로 촉진함으로써 교회의 발전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나라처럼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가 팽배한 사회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촉매자로서의 종교의 역할은 사회의 발전과 함께 종교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동안 우리 나라 대부분의 종교계는 체재에 대한 무조건적인 순응을 강조하면서 정치적 부패,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부조리와 모순에 대해 묵시적으로 동조하거나 방관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의 축복을 원하는 신자들의 수를 늘리고 교세를 확장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종교가 귀족화 되고 권위적이 되어 소외계층을 오히려 더 소외시키는 사회제도로 전락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탈역사적인 성향은 의식 있는 젊은층과 지식층들로 하여금 종교를 외면하게 만들었고, 이는 한국 종교의 장래에 적잖은 우려를 낳게 만들고 있다.

IMF시대를 대처하고 21세기를 새롭게 맞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복지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공공과 민간의 협조 관계(partnership)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사회복지사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현재의 대량실업은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만 의존하기에는 실직자와 그 가족의 문제가 크고 복잡하다. 따라서 사회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해결과정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즉, 실직자와 그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민간의 자원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한국 종교계는 그동안 쌓아 놓은 역량을 바탕으로 능동적이고 역동적으로 사회복지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그러나 민간부문에서 사회복지사업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조직화되고, 민간자원의 동원이 용이하고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전문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민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주체들이 공공체계에 합리적으로 연결되면서 민간부문 상호간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교사회복지도 이제 단순한 동정심에서 나오는 즉흥적인 도움의 차원을 넘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에 입각한 사업계획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전문적이고 자율적이며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특히 종교별, 교파별로 독립적인 기존 활동체계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종교계가 복지활동에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정부와 민간단체, 종교계의 상호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권오구(1997). [사회복지 발달사]. 서울: 홍익재.

김동국 편(1986). [사회복지사]. 서울: 집현전.

김인숙(1998). "종교계 사회복지 참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 '98 겨울호. pp.54-65.

김홍권(1997).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 평가." 사회복지신문 제306호, 7면.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1994). [교회사회봉사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박석돈(1995). "가톨릭 복지사업," [한국가톨릭대사전] 개정판 제1권. 서울: 한국교회사연 구소.

박영호(1979). [기독교와 사회사업]. 서울: 예수교 문서선교회.

송종서(1998). "사회복지에 임하는 불교의 이념과 방향성,"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심포지엄자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47-51.

신광섭(1994). "한국 기독교의 복지사적 고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사 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심대섭(1998). "원불교와 사회복지사업,"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 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55-62.

심흥보(1998). "한국 천주교 사회복지사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삼열 역(1992). "교회사의 전통에서 본 사회봉사." 이삼열 편.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서울: 숭실대학교 기독교사회연구소. pp.91-112.

이만열(1981).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서울: 지식산업사.

이선우(1999).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와 종교기관: 가톨릭을 중심으로," [월간 복지동향] 제5호. pp.18-22.

이원규(1994). "교회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편. [교회사회봉사편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_____(1995). "한국교회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한국기독교사회복지회 편. [기독교와 사회복지]. 서울: 예안.

임송산(1998). [불교사회복지: 사상과 사례]. 서울: 홍익재.

정무성(1997). "산업복지의 사회복지적 성격," [사회과학연구] 제13집. pp.51-65.

_____(1998). "한국 개신교회의 사회복지사업행태와 개선과제." [기독교사회 복지] 제6집. pp.69-90.

_____(1999). "민간 사회안전망의 필요성과 효율적 구축방안," 민간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조흥식(1998). "종교 사회복지활동의 방향과 과제," [제1회 종교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종교계사회복지대표자협의회. pp.9-21.

최원규, 이영환, 신은주, 김환준. <한국교회 사회봉사 사업 조사연구>. 서울: 한국자원봉사 능력개발 연구원, 1990.

Friedlander, W.A.(1976). Concepts and Methods of Social Work. Engle- wood Cliffs, NJ: Prentice-Hall.

Gilbert, N., H. Specht, P. Terrell(1993).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odgkinson,V.A., M.S. Weitzman, and A.D. Kirsch(1988). From Belief to Commitment: The Activities and Finances of Religious Congregation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Kramer, R.(1981). Voluntary Agencies in the Welfare Stat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Mayo, M.(1994). Communities and Caring. Hampshire: Macmillan.

Pepper, A.R.(1956). "Protestant Soial Work Today," In F. E. Johnson (ed.). Religion and Social Work. New York: Harper & Brothers.

Rothman, J.(1995). "Approaches to Community Intervention." In Rothman, J., J.L. Erlich, J.E. Tropman (eds.). Strategies of Community Intervention (5th. ed.). Itasca, IL: F.E. Peacock.

Yankelovich, Skelly, & White, Inc. The Charitable Behavior of Americans. Findings analyzed by V.A. Hodgkinson and M.S. Weitzman.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1986.

토 론


김 진 수

보건복지부 복지자원과장

발제자께서는 한국 종교사회복지사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복지 사업에 대한 예산출연의 과소, 사업의 비전문성,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 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다음 내용을 잘 제시하고 있어 종교계와 정부가 함께 경청해야 될 사항으로 생각한다.

먼저 적정한 예산편성을 위한 방안으로 종교계가 전체 재정의 10%만 복지사업에 투자하다면 약 1조원의 재원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한국 종교계 사회복지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재정의 확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종교계 복지사업의 비전문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종교별로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상설기구를 만들어 종교사회복지사업의 전반적인 계획수립과 방안을 수립해야 하고 산하 대학과 연합하여 사업의 실천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종교계 대표자협의회의 상설기구화를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지역별, 분야별, 기능별 영역간의 체계적인 연계를 통하여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이 지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불편함이 없이 복지서비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야 하며,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조직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비록 한정된 재원이라도 최대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서비스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고 복지서비스의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전적으로 주제발표 내용에 공감하면서 그간 정부와 종교계가 복지사업추진에 상호협력하여 노력해 온 결과 그 추진내용과 향후계획을 부연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로 '98년 6월 각 교단이 연합하여 종교계대표자협의회를 발족하였으며 현재는 사단법인으로 등록을 준비중에 있다.

앞으로 동 협의기구가 정식 등록되고 모임 개최가 정례화되면 종단간 상호 복지서비스 정보교류를 통해 종교계 복지사업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모든 교당이 복지사업비를 총 재정의 10%이상 투자하자는 범종교계 복지선언이 나올 것을 기대해 마지않는다. 위와 같이 종교계 복지재정이 조성되게 되면 공공재정 부족으로 인한 사회복지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데 그 역할을 충실히 해 줄 것으로 본다.

둘째로 '98년 11월부터 정부가 사회복지사업기금으로 6억9천만원을 지원하여 현재 설치중인 종교계 복지활동정보지원센터 8개소가 금년 6월까지 개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 정보센터가 개설되면 이를 중심으로 계파별 종교적 특성에 맞는 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나아가 사회복지계와 정보교류를 위해서는 사회복지협의회에서 운영중인 사회복지정보센터와 상호 연계 운영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범종교적 정보교류가 활성화되면 이를 토대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실천방안을 실무급 회의에서 수시로 수립 확정하고 마련된 사회복지프로그램은 범종교적 추진운동으로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셋째로 종교계의 사회복지분야 참여를 제도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에 종교계의 참여를 명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업법시행령 제13조에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회원으로 종교계를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9조에도 임원선임시 종교계 인사를 이사로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앞으로는 종교계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사회복지계와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고 파트너십(partnership)을 긴밀히 유지할 것으로 본다.

넷째로 그간 종교계는 아동, 장애인 등 수용시설과 지역주민들의 이용시설인 사회복지관 그리고 미인가시설들을 운영하는 방법으로 사회복지사업에 직간접으로 참여하여 왔고 개별모금을 통하여 저소득층을 지원하거나 자원봉사활동을 전개하여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실직자 등을 위한 무료급식과 쉼터운영, 노숙자 숙식제공에 앞장서는 등 IMF를 맞아 소외계층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활동에 인적 물적자원을 지원하는 등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정부에서도 각 종교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숙자 특별보호사업에 계속 지원하는 등 상호 협력관계를 계속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민간복지사업에 종교계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도록 복지종사자의 재교육 지원이나 종교계 자원봉사단체 등에 정부포상을 하는 등 종교계의 복지사업 참여확산 분위기 조성을 위한 활동에도 관심을 가지고 계속 노력할 계획이다.

토 론


김 통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종교와 사회복지'에 관한 발표자의 글은 IMF이후에 복지자원의 주요한 원천중에 하나로서 부각되고 있는 종교계 복지자원과 관련하여, 종교의 사회복지적 이념, 종교사회복지의 역사적 흐름, 종교계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들을 잘 제시하고 있다. 모두가 아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우리 나라 국가정책의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는 한 사회복지에 대한 공공자원의 투자는 현재로서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교계의 자원을 포함한 민간자원의 동원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공공자원의 부족, 사회안전망의 부실, 그리고 공공(실업자) 복지프로그램의 역기능 등을 고려할 때 그 보완적 복지자원으로서 나타날 수밖에 없는 종교계 자원에 대해서 다시 한번 더 심도 깊은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에 더하여 몇 가지 점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1. 연구의 전체적 구성측면에서, 저자는 연구의 전반부에서 종교의 사회복지적 역할 그리고 역사적 맥락에 대해서 많은 지면(12쪽)을 할애하면서 잘 설명하고 있지만, 보다 더 본격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내용들인 종교계 사회복지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그 과제에 대해서는 절반 분량(6쪽)에 그치고 있다. 종교계 자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교리적 배경 그리고 역사적 내용도 중요하겠지만 후반부에서 시도된 내용들이 오히려 사회복지 실천적 관점에서 더 우리에게 필요하며 시사점들을 제시할 수 있는 내용들이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실증적 자료의 부족도 있겠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지 못하고 비교적 단순하게 언급되고 있다.

2. 기존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과 종교기관의 역할을 분담하자고 저자는 8쪽에서 제시하고 있다. 즉 "지역사회 내의 요보호자들에 대한 보호와 일상적인 프로그램제공의 기능은 사회복지기관이나 시설이 담당하고 ............... 사회복지자원의 동원이나 응급구호적인 활동은 종교기관이 주로 담당하는 역할분담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역할분담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성격의 "역할분담론"은 현실적으로 그리고 적극적 참여를 위한 전략적인 관점에서도 타당하지 않을 수가 있다. 현재 많은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들이 이미 종교계가 주체가 되어서 운영되고 있으며 그 운영결과 역시 다른 민간주체들에 비해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종교계도 사회복지 실천에서 간접인 역할보다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보다 더 참 의미와 동기부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종교계에서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전문인력을 배치 없이 운영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운영을 하고 있는 것처럼, 오히려 전문사회복지인력이 종교계에 배치되어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어야 하겠다.

3. 저자는 13쪽 하단에서 "중앙집권적인 가톨릭은 조직적인 체계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활동에 조직적으로 참여했는데 반해 개신교는 개교회 중심적인 성향으로 인해 사회복지사업에 체계적으로 개입할 수가 있는 제도적, 조직적 장치가 결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개신교가 가톨릭처럼 통일된 전문 부서(명)가 전국적으로 존재는 하지 않지만 개교회별로 다양한 하위부서(예: 女선교회)별로 사회복지적 활동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더욱이 조직화되어 있다는 가톨릭이 연구자 주장처럼 기초단위인 본당에 대한 통제력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통일된 이름을 가진 부서의 존재여부로서 각 종파별 실천활동으로 비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이며 더욱이 종파간에 단순 비교는 민감한 사항이 될 수가 있다.

4. 실제로 종교계의 사회복지참여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중앙의 교단도 아니고 개별 교회, 성당, 사찰의 담임목회자 혹은 신부 그리고 주지스님의 의지적인 요소이며 이것이 다른 요소들에 비해서 더 크게 작용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사회복지참여가 종교계의 실제적인 주체인 목회자 혹은 성직자들의 "개별화된 의식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성직자를 양성하는 신학교 교육에서부터 사회복지 마인드를 가지게끔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의 프린스톤 신학교처럼 졸업하려면 신학학위와 사회복지학위 모두를 하게끔 하는 것은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성에 대한 좋은 사례가 될 수가 있다.

5. 발표자가 지적한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의 現문제에서 첨가해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은 '내부 대상자중심'이다. 즉 제공되는 재화나 서비스가 내부지향적으로 주로 교인들이나 교인들과 관계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제대상 선정과정도 매우 임의적으로 결정되기도 하여 무원칙적인 경우가 많다(김통원, 1998a). 비효율적 혹은 내부지향적으로 종교계 자원이 제공되는 경향은 특히 전문사회복지인력이 없는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6. 발표자가 제시한 종교사회복지원칙들에 더 해서 김통원(1998b)이 제시한 교회자원 동원의 6대 원칙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선도성의 원칙

한국종교계가 시대적 요청에 따라서 여러 가지 역할이 있겠지만 IMF 대량실업이라는 국가의 어려움에 종교계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겠다. 즉 빛과 소금의 역할을 선도하여야 하겠다. 예를 들면, 그 동안 성장일변도에 치우쳤던 한국교회가 성서적 가르침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가 있는 솔선수범을 할 수가 있는 기회가 될 수가 있다.

(2) 상호보완성의 원칙

먼저 정부와의 협력적인 파트너십 관계를 가져야한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그 중에서도 종교계자원 동원에서의 서로 역할분담을 하여 상호보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체 사회안전망 구조가운데 종교계자원이 커버할 수가 있는 대상 및 프로그램의 다르게 전개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3) 자율성의 원칙

정부의 보조금이나 IMF 실업자 프로그램의 위탁운영 등 향후 정부자금이 종교계로 유입됨에 따라서 여러 가지 정부의 간여가 자연스럽게 시작하게 된다. 가능한 종교계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보장하는 비간섭주의적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율적일 수가 있다. 종교계자원의 장점들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관료적인 통제로서 접근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현명하다.

(4) 전문성의 원칙

종교계의 막대한 잠재력은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는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가 없다. 사회복지사와 같은 전문가들을 고용하여 software(프로그램)중심으로 활성화시켜야 한다.

(5) 無선별성의 원칙

IMF 실직자에게 제공되는 공공 프로그램(예: 은행대부)은 선별적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종교계자원은 이러한 선별 없이 본인이 원하면 누구에게나 자원이 즉각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물론 일부 프로그램에 따라서 간편한 Means Test가 있을 수가 있겠지만 원칙적으로 무차별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겠다. "짐진자들이여 다 내게로 오라"라는 성서 말씀처럼 종교계자원은 어떠한 차별도 없이 "다"(모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6) 지역사회중심의 접근성 원칙

개신교의 경우, 個교회중심이 교회자원 동원에서 체계적이지 못하고 개별적이고 과시적인 측면을 일부 노출하기도 했지만 오히려 개교회 중심의 독립성이 지역사회에 적절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더 효율성을 가질 수가 있다. 어느 정도의 전문성을 가미한 책임성만 확보된다면 지역사회중심의 교회자원 동원이 더 적절하게 진행될 수가 있다.

7. 발표내용의 17쪽 하단에서 "개신교의 경우 58,000여 교회의 재정규모를 3조 5천억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 데 이의 10%를 사회복지에 투자해도 3천5백억의 규모이다. ............. 종교계가 전체적으로 10%만 투자한다면 약 1조원의 재원이 조성될 것으로 계산된다."고 하였다. 본 토론자가 발표한 논문(김통원, 1998a, 1998b)에 의하면 "비록 대부분의 교회들이 물질적으로 가난하여 재정적 자립도가 떨어지지만, 1991년 1년간 예수교장로교단(통합) 산하의 5,000여 교회의 본재정의 총합계가 약 3,000억원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된다. 개신교의 총 교회수가 약 58,000개 이므로 약 3조 5천억 규모의 재정으로 10%을 사회복지활동비로 사용한다면 약 3,500억이 사회봉사를 위한 가용 재정자원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그동안의 경제규모등 여러 가지 변수들을 고려하면 현재의 개신교전체의 연간 가용재정자원은 최소한 연간 5,000억에서 최대 약 1조원정도가 되리라고 본 연구자는 추정한다. 물론 종교계 전체의 가용 재정자원은 이 보다 훨씬 많아질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화폐적인 재정자원이외에도 물질적 자원(식품, 의류, 생활용품 등) 동원 능력도 화폐적 재정자원 동원능력에 버금할 정도로 가지고 있다고 추정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발표자가 주장한 내용 "종교계가 전체적으로 10%만 투자한다면 약 1조원의 재원이 조성..."에 비해서 본 토론자는 종교계가 최소한 연간 1조 5,000억에서 최대 약 3조원정도가 되리라고 더 많이 추정한다.

8. 발표자가 제시한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이외에 종교 사회복지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과연 구체적으로 무엇이냐? 크게 종교계로부터의 재원확보와 활성화전략으로 나눌 수가 있으며 구체적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비록 개신교입장에서 세우진 내용들이지만 다른 종파의 경우에도 대부분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김통원, 1998a, 1998b).

(1) 재원 확보전략

▶ 목표: 사회복지실천을 위해서 각 단위 종교기관(교회)의 총 예산

규모 10% 이상의 재원을 마련한다(10+ 운동 전개).

▶ 유도방법: 個교회의 예산규모와 사회복지비의 비율을 종파별로

매년 공개발표하며 가능하면 Award 체계를 마련한다.

(가칭의 예: 교회자원동원 심사위원회)

(2) 활성화 전략

▶ 종파별로 사회복지참여를 위한 전체 의지를 표명화

예 : KNCC에서 선언문이나 목회서신으로 적극적 참여의사

표명(가칭: '예수사랑 실천운동'을 전개)

▶ KNCC 등에서 사회복지위원회 기능강화하여 리더쉽을 발휘

(예: 교회별로 '예수사랑 실천운동'의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 목회자 대상으로 총회에서 기본 교육실시 및 교회별로 순회강연

▶ 각 교계 혹은 교단별로 '사회복지 정보지원센타'를 운영함으로서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 및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지원

⇒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에 관한 정보제공

⇒ 목회자를 위시한 관련자 교육훈련

⇒ 프로그램 도입, 개발 및 보급

⇒ 프로그램 운영평가 및 자문

⇒ 홈 페이지 운영 및 정보망 구축

⇒ 연구조사 및 세미나 개최

▶ 개교회별로 IMF실업자 및 사회봉사를 위한 전담부서 마련

(예: 사회부, 사회복지위원회 등)

▶ 교인 300인 이상의 개교회는 유급전문사회복지사를 1인을 채용

▶ 국가재원의 보조는 종교계의 프로그램별로 Matching Fund식의

지원을 하며 반드시 그 활동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가 따라야

한다(최성재, 1994).

▶ 범종교계 합동 및 교계별로 학술세미나 개최 및 기초조사사업을

함으로서 이론적 토대 및 방향성을 제시

9. 이상과 같은 종교계의 사회복지 참여는 오히려 종교계가 새로이 변화될 수 있으며, 성숙할 수가 있는 계기로 또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로 보는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예로서, 개신교가 1987년에 와서 그 성장이 멈추고 있으며, 일부 젊은 세대들이 교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것은 교회의 개인주의적 성향 때문이라고 한다(이성희, 1994). 이제는 한국교회가 數라는 양의 개념에서 봉사라는 質의 개념으로 목회적 패러다임이 변형되어야 한다(이성희, 1994). 자기중심적 교회에서 이웃에게 관심을 돌리는 성장구조에서 성숙구조로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결국 종교계의 적극적인 사회봉사(복지) 참여는 정체된 종교계의 갱신과 성숙의 탈출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참 고 문 헌

김통원, IMF 실직자문제와 교회자원 활용, 한국교회협의회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한 논문, 1998a, pp. 1- 18.

김통원, IMF 실직자문제와 한국교회-개신교 교회자원의 동원을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제 475호, 1998b, pp. 232-243.

이성희, 교회사회봉사 실천을 위한 목회학적 고찰, 교회사회봉사총람, 대한

예수교장로회총회, 1994, pp. 162-177.

최성재, 교회사회봉사사업의 계획과 실천, 교회사회봉사총람, 대한예수교

장로회총회, 1994, pp. 252-273.

토 론


종교사회복지의 전문성에 관련한 몇 가지 반론

이 혜 숙

동국대학교 교수

주제토론에 앞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본 대회에 종교분과가 생겼다는 사실 자체가 크고 반가운 변화라는 점입니다. 정교수께서도 밝힌 바와 같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종교는 사회복지적 참여에의 보편적 동기가 되어 개인적 자선행위로 나타나기도 하고, 조직화되어 기관이나 시설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제도화되어 사회제도로 발전하기도 하였습니다.

지난해 춘계 사회복지학회에서 발표된 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강철희, "한국인의 후원 활동에 관한 연구",1998.4) , 종교가 후원이나 자원봉사의 중요변인(同, p.60)이며 후원금의 매개경로로서 가장 선호되는 매체가 종교기관(同, p.70)이며, 후원자 중 4분의 3이 종교인(同, p.74)이라고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업의 또 다른 중심축인 사회복지사 가운데 종교인 비율, 직업선택의 동기에서나 업무 수행과정상 내적 추진력에서 신앙심의 비중, 혹은 복지시설 관리 운영자의 시설 설립 동기나 후원조직의 배경에 종교계 관련 여부 등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종교계의 사회복지 참여도는 드러난 통계 수치 이상의 크기가 되리라 예상합니다.

정교수께서는 발제 논문에서, 종교사회복지란 "사회복지 실현을 위해 종교가 행하는 실천적 노력"이라는 포괄적 정의를 가지고 논의를 시작하였습니다. 바로 그 매우 포괄적인 개념 정의가 자칫 종교사회복지라는 분야에 대한 정체성이나 연구 필요성의 애매모호함으로 연결될까 염려됩니다. 하지만 여기서의 원론적인 수준을 넘어 각론에 이르는 것은 각 종단·교단의 이론가와 실천가들이 그 개념을 명확히 하려는 노력과 함께 가능하리라 보고, 여기서는 저의 개인적인 연구를 참고삼아 말씀드릴까 합니다(졸고, "불교사회복지학의 체계화를 위한 연구", 1994).

예컨대 불교사회복지에 관한 개념 정의는 아래와 같은 도형을 이용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A에서 G에 이르는 각 영역에서의 실천 과제가 조금씩 다르고 그 전체인(A+B+ …+G)합집합의 개념을 불교사회복지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A 복지관련교리


F D

  G

C 불교인 E B 불교계복지사업

종교사회복지의 개념 정의는 단순히 용어적 규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활동영역을 규정하며 정체성을 세우는 일이 되므로 사실은 매우 중요한 기초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가운데 전개된 정 교수님의 논문에서 가장 큰 오해는, 종교사회복지의 영역을 축소해 보았다는 것이고 특히 미인가시설 사업이나 응급 구호사업에만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전문성·체계성 등의 지적은 예견된 결론이었다는 것입니다.

종교사회복지의 비전문성·비체계성·비효율성 등을 거론한다면, 그것은 동시에 한국의 민간사회복지 일반이 그러한 수준에 있다는 자평이 된다는 것과 아울러 그 수준을 개선시키고 높이고자 하는 노력은 소위 종교계만의 과제가 아님을 확인하고 강조하는 방향으로 토론코자 합니다.

정교수님의 발제 논문으로 돌아가서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복지서비스 공급주체를 설명할 때 "비영리사회복지단체에 의해 제공되던 사회복지 서비스가 시민들의 자원봉사 활동, 종교 ·시민단체, 영리목적의 사회복지기관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제공된다고 하였습니다. 그 분류는, 뒤이어 '민간부분에서의 종교사회복지와 일반사회복지와의 관계'라는 절에서 분명히 사회복지 서비스 공급 주체들은 "사회복지기관과 시설,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이라고 재확인됩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지역사회내의 요보호자들에 대한 보호와 일상적인 프로그램 제공의 기능은 사회복지 기관이나 시설이 담당하고, 지역문제의 자치적인 해결을 위한 주민자치 운동이나 조직화는 시민단체가, 사회복지자원의 동원이나 응급 구호적인 활동은 종교기관이 주로 담당하는 역할 분담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종교단체에 의한 응급 구호활동이 현재 종교사회복지의 전부이며 고유한 역할인 것처럼 자리매김 하고 있는 정교수의 관점이야말로 종교사회복지에 대한 개념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종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큰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아시다시피 통상 종교계에서는 신자 개인 혹은 종교기관단체(예, 사찰·교회 혹은 그 신도회 조직)가 일시적 위문·보호·응급구호 활동 등을 시작하고 그런 사업이 지속되다 미인가시설 사업이 되고 나아가 인가시설사업이 되곤 합니다. 그런 순차를 거쳐 오늘날 많은 종교계 복지법인·종교법인이 인가시설·위탁시설을 운영하게 되었는데, 그처럼 인가시설이 되고 나면 그렇다고 해서 종교계에 의한 복지사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가시설이 되면 정부지원이 생길 수 있고 혹은 종교계 복지법인이 아예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기관·시설들의 경우 재정 및 관리감독이 정부에 의존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런 경우 모두가 정교수께서 분류하신 바, 사회복지 서비스 공급 주체 가운데 '사회복지기관·시설'에 해당되면서 여전히 모(母)복지법인 즉 종교계로부터 지원·후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종교사회복지를 논의하면서 위에서처럼 인가된 복지시설·기관들을 종교사회복지의 범위에서 제외 분리시키고, 더욱이 그 시설들의 관리 운영자·종사자·후원자들이 대부분 종교계 구성원이며 아울러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종교계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도외시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종교계의 사회복지 기여부분을 축소해보려는 의도가 있으신지, 혹시 종교계 복지사업이 비전문적이고 비체계적이고 영세하다는 논지를 일관되게 하시려는 의도이신지, 혹은 종교계 참여의 전통적 형태에만 착안한, 시대에 뒤진 선입견 때문이신지 알 수가 없습니다.

아닌게 아니라 우리 나라 사회복지사업은 종교계의 영세한 미인가 시설사업, 일시적·응급 구호적 사업의 총량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 자신이 최근 <불교사회복지정보지원센터>의 준비 과정에서 복지활동 사례 조사를 하였는데, 교리적 지침 때문인지 자신의 활동을 드러내는데 부정적 소극적인 경우가 많았고, 특히 사찰의 응답 가운데 32% 정도가 아동이나 노인이 동거하며 수용 보호되는 상황이었는데 그것이 사회복지의 수용보호사업의 일환일 수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무료급식과 함께 그저 사찰의 전통이라고만 생각하는 것이었습니다.

요컨대 저로서는 종교사회복지의 영역을 크게 셋으로 나누어, 복지관 등 인가사업·미인가 시설사업·시설외 구호사업으로 구분하고 각각에서의 특성과 문제점 등을 별도로 연구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교수께서도 그런 구분아래 우리의 중요관심사인 '전문성'에 관한 검토를 했어야 더 적절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정교수께서 지적한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은 "예산편성의 소극성, 사업의 비전문성, 전달체계의 비체계성"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예산 편성의 소극성은 종교기관 즉 교회·사찰·성당 등의 사회봉사 부문 예산만을 의미하는 것 같고, 그 밖의 신자 개개인의 후원총량이 사회복지 전반에 기여하는 비중이 고려되지 않았음을 지적코자 합니다.

'사업의 비전문성'에 대해서는 만약 그것이 "예방적이거나.... 전문적 기술을 요하는 사업"을 의미한다고 본다면, 종교계 사업만이 아니라 기타 운영주체에 의한 사업장에도 적용되어야 할, 우리의 사회복지계 일반의 공통과제라고 하겠습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시설의 대표격이라고 보시는 것 같은 복지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들이 과연 얼마나 예방적이고 전문적 기술을 발휘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전달 체계의 비체계성'을 지적하셨는데 사찰이나 교회의 종무 행정 혹은 사목 행정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것과, 그에 따라서 해당 교단의 사회복지 사업이 체계적일 수 있다고 동일시하는 것은 다소 비약적 사고가 아닌가 싶습니다.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은 個 사찰·個 교회·신자개인 등 중앙보다는 지말(枝末) 조직에서의 참여동기화가 훨씬 보편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집니다. 종교계 지말 조직 단위로 지역사회내의 문제를 찾고 자원을 확충하고 서비스를 전달하게 되는 통상의 과정이 "지역주민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사업을 독립적으로 하는데 유리함"을 이해하면서도, 정교수께서는 종(교)단 중앙으로부터 통제를 받아야 더 체계적이고 더 조직적이라고 보는 입장이신 것 같아서 그에 대한 부연설명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그와 같이 중앙집권식의 체계화, 조직화란 오히려 뒤에 가서 정교수가 제안하시는 종교사회복지의 전달체계 원칙들 가운데 특히, 자율성·효율성·접근용이성에 위배되는 사업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종교계 복지 사업은 본질상 교리에 대한 신념을 공유하고자 하는 토대 위에서 자발적으로 시작하고, 복지대상자를 우선시 하므로 복지수요(need)가 있는 곳에 reach-out하여 즉각 ·긴급 대처하는 '선도성'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 점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 같고, 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개선과 비판의 책임, 지역사회 내에서 종교 교파간의 복지사업 공조가 필요하다는 원칙제안에 동의합니다.

끝으로 토론자의 개인적인 관점에서 몇 말씀 덧붙여볼까 합니다. 종교계 복지사업 가운데 작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인가 시설이나 시설외 구호사업이 소위 전문적 ·체계적·지속적·효율적 등이어야 한다면 그것은 관리운영자나 종사자만의 책임이 아니라, 관련 교단·종단과 지방 정부가 후원·지원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고 봅니다.

영세한 시설이나 응급구호사업 등을 규제 감독한다는 발상보다는 후원하며 지도 육성한다는 인식 하에,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feedback이나 supervision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장, 단기 사회복지 workshop 같은 것이 개설되면 시설 종사자·운영자들이 연수 교육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서로 사업상의 경험을 공유하며 연계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까지 논의한 과정에서 크게 주목되지는 않았으나, 종교사회복지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사회복지사·복지기관 운영주체 등 상호관계에서 종교적 특성을 고려하는 직접실천의 기술"이라는 연구주제를 다시금 제안하면서(졸고, "임상사회사업에서의 종교관련 issue", 춘계 사회복지학회지, 1998, 참조바람) 본 토론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좋은 발제 눈문을 주신 정교수님, 토론하면서 더욱 종교사회복지를 궁리하도록 기회를 주신 사회복지협의회 그리고 이 자리에 함께 해주신 여러분들 대단히 감사합니다.

토 론


이 영 철

광주대학교 교수

미국예일대학의 교수이며 역사학자인 폴 케네디(Fall Kenedy)는 '21세기의 준비'라는 저서에서 21세기는 정보화시대, 금융혁명의 시대, 생명공학의 시대로 규명 짓고 21세기는 기술과 지식이 생존의 필수적 요소라 말하고 있다.

그 동안 한국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경험하면서 지역간, 계층간의 소득격차와 상대적 빈곤을 심화시켜 새로운 차원의 제사회문제들이 심각히 노정 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IMF체제하에서 실업문제, 임금삭감 등 정부의 구조적 조정문제는 대량실업 문제를 가져왔고, 이로 인한 가족의 해체와 기업의 합병은 퇴출과 실직이라는 심각한 사회위기를 조성하기에 이르고 있다.

물론 정부의 입장에서는 공공복지 부문에서 사회안전망 구축이라는 실업대책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치하고 정부의 대대적 실업대책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상당한 부분이 아직도 미비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을 본다면 지금까지 사회복지 문제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기능은 기존의 사회복지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답습하는 정책으로 일관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국민정부의 출범은 IMF의 출범 속에서 복지정책의 새로운 파라다임을 구축할 겨를이 없이 그대로 기존구조의 틀을 유지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사회복지를 생각한다면 종교와 사회복지에 대한 발표자의 논제는 아주 시기가 적절하고 중요한 이슈가 아닐 수 없다.

불교에 대한 토론 내용을 간략히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본 발표자는 종교의 이념과 사회복지적 역할에서 종교와 사회복지의 이념적 관계를 논하면서 종교사회복지를 포괄적으로 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해 종교가 행하는 실천적 노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것은 천주교, 기독교, 불교를 포함한 종교의 기본사상이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사회복지의 기본이념과 일치한다고 보고 있는 점이다.

둘째, 민간사회복지로서의 종교사회복지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회복지 총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공복지와 민간복지의 합성으로 구성되고 있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 가장 두드러진 사회복지의 구조변화는 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정부나 기업, 비영리 사회복지단체에 의해 제공되던 사회복지서비스가 지역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 사회복지기관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본다면 종교사회복지는 민간복지로서 공공복지와 같은 상호관계를 맺으며 보완적 혹은 보충적 역할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종교기관은 사회복지적 입장에서 보면 지역내 훌륭한 민간복지자원으로 보고 있는 점에 대해서 동의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종교사회복지와 일반사회복지의 관계이다. 이것 역시 지역사회단위에서 최근 다양해지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들간의 역할과 접근전략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동의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교사회복지와 일반사회복지와의 관계는 상호 갈등관계이거나 역복지적인 기능과 역할이 아니라 상호의 역할분담을 통해서 상호 협력적이고, 보완적이며 통합적인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종교단체와 시민단체의 융통성과 효율성 그리고 기존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성과 체계성이 상호연계 체계를 형성해 나아갈 것으로 본다. 이것 역시 지역사회에 대한 각가지 개입전략에 사회행동모델은 총체적 사회복지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반드시 개입전략을 개발해 나아가야 한다.

다섯째, 종교사회복지의 역사적 맥락이다. 본고는 종교사회복지의 역사적 과정을 불교사회복지, 기독교사회복지, 특히 개신교회의 사회복지와 천주교의 사회복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앞으로 종교사회복지는 과거도 그랬고 미래에도 복지사회의 구현을 실형하기 위해서 보다 폭넓고 광범위한 종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사상을 보다 구체화시켜 이를 이론과 실제에 접목시키는 작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여섯째, 종교계 사회복지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이다. 한국의 사회복지 사업은 종교계 사회복지 사업의 실천을 그 효시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하면 발표자의 논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개신교와 천주교가 사회복지시설을 통해 보호하고 있는 인원은 전체수용인원의 93.5%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최근 IMF 경제환란을 맞아 종교계는 실직자 관련 지원사업을 확대해 가고 있다. 즉 개신교, 천주교, 불교, 원불교 등 4대 종단에서 300여개에 이르는 노숙자 숙박시설, 무료급식, 실직자 쉼터 등을 운영하며 사회안전망 구축에 그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각 종교계간의 사회복지사업은 기존의 사회복지 단체나 사회단체에서 실시해 오고 있는 사회복지프로그램의 실천으로 보고 있으나 여기에서도 중요한 것은 전문성과 체계성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사회복지행정의 일원화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한국의 종교사회복지의 문제점에 대해서 예산편성의 소극성, 사업의 전문성, 전달체계의 비체계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 역시 종교지도자들의 소극적 태도에서 적극적 자세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사회복지 시설의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도 그 책임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21세기 복지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파라다임으로 구축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종교계는 각 종파나 계파간의 이념이나 사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전체적이고 총체적인 입장에서 종교의 일치화를 궁극적 목표로 하면서 거시적이고 거국적인 총체적 사회복지 이념구현에 우리모두 함께 동참하는 것이 오늘의 전국사회복지대회의 의의라 생각하고 본 토론을 맺을 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