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372

구속교리와 구속사

구속교리와 구속사 제1장 서론 1-1 문제 제기 현대 사회는 한 마디로 표현하면 최첨단의 문명이 지배하는 사회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명은 모든 인류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가장 뛰어난 이지적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사람들의 관심도 최상의 지적 성찰을 하는데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그 무엇을 얻으려고 하기보다는 개인의 독특한 사고방식에 더욱 집착되어 개인주의가 팽배하고, 이기적인 가치관에 따라 자유로이 행동하기 때문에 종교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최첨단 문명은 또 다른 면에서 인류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것은 대중 매체를..

언약에 관한 학위논문 발췌안(Dissertation Presentation)

언약에 관한 학위논문 발췌안(Dissertation Presentation) A Study on the Covenantal Correspondence and Continuity involved in the context between Ephesians 1:4-14 and Genesis ch. 1-3 (언약의 진전과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성경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에게 언약을 방편삼아 말씀하신 언약적 자기계시서이다. 그런 의미에서 구약에는 오실 메시아가 약속돼 있고 신약에는‘선 언약-후 성취'라는 맥락에서 오신 메시아를 기술한다. 혹자는 이런 신구약의 언약적 연속성과 통일성에 근거해 구약의 중심 주제를‘하나님은 여호와'로, 신약의 중심 주제를‘예수는 그리스도'로 집약해 해설한다. 언약에 신실하신 ..

하나님은 편애하시는 분인가?

하나님은 편애하시는 분인가? I. 이것은 모든 신학사상체계가 봉착하는 난제이다. 만일 모든 인류가 다 같이 죄 가운데 죽어서 자기 스스로 구원할 힘을 잃어버렸다면 어째서 하나님은 그들을 다 같이 구원하시지 않고 어떤 자들은 구원하시고 어떤 자들은 내버려두시는 것일까요? 모든 사람이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만 정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모든 인간은 자연으로든 은혜로든 그들의 구원을 확보할 능력을 똑같이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반론은 유독히 칼빈주의만을 겨냥한 반론이 아니라 무신론자라면 누구나 모든 유신론자들을 향해 던지는 반론입니다. 그들은 말하기를 만일 무한한 능력과 거룩함을 소유한 하나님께서 계신다면 그는 어째서 이렇게 많은 죄악과 불행이 세상에 존재하도록 허락하시는가? 왜 불의한..

예정교리는 노력하려는 인간의 모든 동기를 낙담시킨다는 설

예정교리는 노력하려는 인간의 모든 동기를 낙담시킨다는 설 I. 목적뿐 아니라 방법까지도 예정되었다. 예정론을 믿게 되면 아무 일에나 노력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반론은 수단(手段)과 전혀 관계없이 목적만 예정된 줄 아는 잘못된 생각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고립 된 몇 개의 사건들이 여기 저기 산발적으로 예정된 것이 아니고 상호연관성과 연쇄적 반응을 가진 일련의 사건 전체가 예정 된 것입니다. 각 부분들이 모두 합쳐져서 하나님의 계획안에서 한 단위를 이루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일 수단이 실패하면 그 목적도 실패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추수할 것을 목적하신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씨 뿌리는 것도 목적하셨으며, 어떤 사람은 구원하기로 예정하신 하나님은 그가 복음을 듣고 믿어 회개할 것까지도 예정..

예정론은 하나님을 죄의 창조자로 만든다?

예정론은 하나님을 죄의 창조자로 만든다? I. 악의 문제 하나님께서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다 예정하셨다고 한다면 죄도 하나님이 만드시지 않았겠느냐는 반론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서 우리는 먼저 지혜, 능력, 성결, 공의에 무한하신 하나님께서 통치하시는 우주에 왜 죄악이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는 현재의 우리 지식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오묘하고 신비한 문제라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죄의 존재는 논리나 이성으로 결코 설명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본질적으로 비논리적이요 비이성적이기 때문입니다. 죄악이 우주에 존재한다는 단순한 사실은 칼빈주의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유신론에 대한 반증으로 무신론자와 회의론자들이 누누이 거론하는 것입니다. 웨스트민..

예정론은 숙명론인가?

예정론은 숙명론인가? 기독교의 예정론과 이교의 숙명론을 혼동하는데서 많은 오해가 생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미래의 사건은 절대적으로 확실하다는 것을 단정하는 것 외에는 양자 사이에 어떤 공통점도 없습니다. 양자는 운명론이 인격적인 하나님을 용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예정론은 무한히 지혜로우시고 능력이 많으시며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그렇게 이루어지도록 정하셨기 때문에 모든 사건들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숙명론은 물리적 필연성과 구별 지을 수 없는 마치 큰 강이 나무 조각을 떠내려 보내듯 어쩔 수 없이 인간을 이끌어가는 하나의 맹목적이며 무지한 그리고 비인격적이며 무도덕한 세력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건들이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예정론은 하나님께서 이 세계 질서 속에서 ..

성도의 견인 2

예정론 16 성도의 견인.hwp IV. 의(義)의 외부적 고백이 참된 그리스도인이라는 보증은 아니다. 참 그리스도인으로 보이던 자가 마지막에는 배교하고 마는 일이 있음을 설명하는 것도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는 흔히 사람에 대해 잘못 판단한다는 것과 참 신자인지의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없다는 것을 성경이나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비록 참 성질을 첫 눈에 알아 볼 수 없다 할지라도 가라지는 결코 곡식이 아니며 나쁜 고기는 결코 좋은 고기가 아닙니다. 사탄은 광명의 천사로 보일만큼 교묘히 변장할 수 있습니다(고후 11;14). 따라서 사탄의 종이 가장 그럴듯하게 거룩하고 헌신적인 것 같으며 경건하고 열심히 의를 행하는 자처럼 자신을 변장하는 일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

성도의 견인 (Perseverance of the Saints)

성도의 견인 (Perseverance of the Saints) I. 본 교리의 서술 성도의 견인 교리에 대해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사랑하기로 하여 유효적으로 부르시고 성령으로 깨끗하게 하신 자들은 전적으로나 궁극적으로 은혜의 상태에서 타락될 수 없다. 오히려 최후까지 보존되어 영원히 구원을 얻게 된다.”(17장 1항). 다시 말하면 일단 참 그리스도인이 되면 두 번 다시 아주 타락하여 멸망하는 일이 없고, 비록 일시적으로 죄에 빠져들어 가는 일이 있다 해도 결국에는 다시 돌아와서 반드시 구원을 얻는다는 것입니다. 이 교리는 독자적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칼빈주의 신학 체계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선택 및 유효적 은혜 교리는 논리적으로 그와 ..

영혼의 내적 변화의 결과

영혼의 내적 변화의 결과 본성을 죄로부터 깨끗이 씻어주는 이 내적 변화가 즉시 나타내는 중대한 효력은 의를 사랑하게 되고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제까지는 그이 성품이 죄에 속해 있었으나 이후부터는 성결하게 되면, 죄를 미워하고 선을 사랑하게 됩니다. 이 유효적이며 불가항력적인 은혜는 독자적으로 역사해서 인간의지 그 자체를 변화시켜 그 속에 거룩한 성품을 이루어 놓는 것입니다. 이 은혜는 인간으로부터 죄 된 것을 좋아하는 욕망을 제거시켜 놓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위장병 환자가 병세가 더해질까 먹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 먹지 않는 것처럼 하는 것이 아니라 죄를 미워하게 되기 때문에 그렇게 하도록 만듭니다. 전에는 두려워하고 저항했던 하나님의 의지에 대해 이제는 거룩하고 철저히..

영혼의 내적 변화의 결과

영혼의 내적 변화의 결과 본성을 죄로부터 깨끗이 씻어주는 이 내적 변화가 즉시 나타내는 중대한 효력은 의를 사랑하게 되고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제까지는 그이 성품이 죄에 속해 있었으나 이후부터는 성결하게 되면, 죄를 미워하고 선을 사랑하게 됩니다. 이 유효적이며 불가항력적인 은혜는 독자적으로 역사해서 인간의지 그 자체를 변화시켜 그 속에 거룩한 성품을 이루어 놓는 것입니다. 이 은혜는 인간으로부터 죄 된 것을 좋아하는 욕망을 제거시켜 놓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위장병 환자가 병세가 더해질까 먹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고 먹지 않는 것처럼 하는 것이 아니라 죄를 미워하게 되기 때문에 그렇게 하도록 만듭니다. 전에는 두려워하고 저항했던 하나님의 의지에 대해 이제는 거룩하고 철저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