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최근의 복음주의 신학동향 최근의 복음주의 신학동향 박용규 박사(총신대학교 교회사) 들어가면서 20세기 초 현대주의대 근본주의 논쟁 후 영향력을 상실했던 복음주의 신학이 1960년대부터 생명력을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복음주의 신학이 회복되는 일련의 과정은 복음주의 운동과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진행되었..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9.01.27
[스크랩] 교의학 교의학 교의학 및 기타 교의학들 총 요약 (HORST G.PÖHLMANN과 칼 바르트, 황승룡의 조직 신학을 중심으로) 교의신학은 주석적,역사적 신학과 실천적 신학 사이를 잇는 연동 벨트로서, 그 규범인 성서에 매여서, 1. 실존적 기능, 2.재생적 기능, 3.생산적 기능 그 리고 4. 합리적 기능을 수행한..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9.01.22
[스크랩] 신조란 무엇인가? 1. 신조학의 의미 신조학은 원래 라전어로 "심볼룸"(Symbilum)이라 불려졌다. 이 말은 희랍어의 "숨볼론"(Sumbolon)에서 온 것으로 원래 기장, 표어, 상징 등을 의미한 것이었다. 키프리안(Cyprianus)이 일찍부터 이 말을 신앙고백이란 뜻으로 사용했었다. 이 말을 처음 교회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9.01.18
[스크랩] 루터, 칭의론 가르쳐 행위 약화시킬 의도 전혀 없었다 크리스찬북뉴스 인터뷰] ‘루터 전문가’ 김용주 목사 ▲김용주 목사. ⓒ크리스천투데이 DB 종교개혁 501주년을 맞아, 크리스찬북뉴스에서 마르틴 루터 전문가인 김용주 목사(분당두레교회 담임)와 만나 인터뷰한 내용을 나눕니다. -편집자 주 -목사님, 반갑습니다. 근래에 목사님께서 쓰..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2.07
[스크랩] 조직신학 신론 조직신학 신론 1. 하나님의 존재론(存在論) 모든 사람은 하나님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한한 인간이 무한하신 하나님에 대하여 완전한 지식을 가질 수는 없다. 다만 인간은 선천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소유할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 능력은 계시와 접촉..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21
[스크랩] 종교 사상 역사 종교 사상 역사 1. 초대교회 vs 영지주의 영과 정신은 선하고 육과 물질은 악하다는 극단적 이원론에 근거하여 구약의 창조주 하나님을 물질을 만든 저급한 신으로 보았다 . 그리고 선한 그리스도의 영이 악한 인간의 육을 입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를 꺼려하였기 때문에 그들이 설명하..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21
[스크랩] 섭리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섭리의 교리는 하나님이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 아신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지속적인 활동과 하나님이 세상에서 하고 계신 일, 그리고 태초에 세상을 창조하신 일 이래 끊임없이 하고 계신 일에 대한 묘사이다. 1. 섭리 교리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 현재 세..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21
[스크랩] 개혁주의 교회와 신조 개혁주의 교회와 신조 신앙고백 또는 신조는 성경에 근거한 신앙을 요약한 [신앙의 규칙](rule of faith) [신앙의 상징](simbol of faith)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같은 신조의 권위와 유용성에 대하여 그리스도인들은 두 가지 극단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하나는 신조에 절대적인 권위..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10
[스크랩] 제 2스위스 신앙고백 제 2스위스 신앙고백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A.D. 1566) (1) 제 2스위스 신앙고백의 역사적 배경.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는 Zwingli의 제자였던 블링거(Henry Bullinger)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그는 스스로 이 신앙고백에 따라서 살고, 죽기를 원하는 마음으로 이 작업을 수행했다고 밝혀지고 있다. ..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10
[스크랩] 조직신학 신론 조직신학 - 신론 신론 하나님의 정체를 설명코자 하는 접근으로는 그 본질적 규명, 속성적인 접근, 그리고 구약에서 하나님이 갖는 명칭들과 신약에서 갖는 명칭들의 성격을 찾아봄으로써 가능하다. 하나님의 본질은 그가 영이시고 인격적인 존재이심을 우선 들수 있는데 하나님은 그 본..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201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