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5

“선관위 비밀번호 12345? 기업이면 바로 담당자 해고”

“선관위 비밀번호 12345? 기업이면 바로 담당자 해고”입력2025.02.21.  [부정선거 의혹을 보는 두 가지 시선] 보안전문가 왕효근 대표의 ‘부정선거 검증論’● “북한·중국, 선관위 해킹 안 했다” 단언 못 해● 해커들은 어디든 해킹…선관위 표적 가능성● “해킹 발생” 단언 못 하지만 노출돼 있는 건 사실● “해킹 가능” 발표에도 검증 않는 선관위…“난센스”● 선거인명부 시스템 ‘손 탄 흔적’ 확인해야● ‘PW 12345’는 내부자 동조 근거 될 수 있어● 내부자의 협조 배제 못해…보안 관계자 컴퓨터 살펴야   왕효근 스텔스솔루션 대표. [동아DB]“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서버가 ‘해킹됐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절대 해킹될 리 없다’고는 더욱 말 못 한다.”‌‘보안전문가’ 왕효근 스..

건강 챙기려 먹은 ‘이 음식’… 오히려 살 찌게 할 수도, 뭘까?

건강 챙기려 먹은 ‘이 음식’… 오히려 살 찌게 할 수도, 뭘까?입력2025.02.20.  글루텐 프리(Gluten-free) 식단이 영양소 결핍과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건강을 위해 챙겨 먹었던 글루텐 프리(Gluten-free) 식단이오히려 영양소 결핍과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지난 19일(현지시각) 뉴욕포스트 외신에 따르면, 글루텐 프리 제품은 설탕과 칼로리가 많고, 섬유질과 단백질 같은 필수 영양소가 부족하다.글루텐 프리는 밀가루에 함유된 특정 성분인 글루텐을 피해 음식을 먹자는 뜻이다. 글루텐은 밀, 보리, 귀리 등에 들어 있는 ‘글루테닌’과 ‘글리아딘’이 결합한 식물성 단백질의 혼합물이다.실제로 글루텐 프리 식단을 섭취한 셀리악병 환자의 8..

이번 겨울 사라진 ‘삼한사온’…원인은?

이번 겨울 사라진 ‘삼한사온’…원인은?입력2025.02.20. 오후 9:27  수정2025.02.20. 오후 10:17 기사원문김세현 기자 TALK  916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글자 크기 변경하기SNS 보내기인쇄하기 이번 겨울 사라진 ‘삼한사온’…원인은?KBS뉴스  재생1,796  00:0001:50    [앵커]이번 주 내내 추위가 기승입니다.우리나라 겨울 날씨를 나타내는 '삼한사온'과 달리 이번 겨울은 한번 강추위가 오면 쉽게 물러가지 않고 있습니다.그 이유가 뭔지, 김세현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리포트]이번 주 내내 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시민들의 옷차림은 더 두꺼워졌습니다.[최원석/경북 포항시 북구 : "입춘부터 지금까지 계속 추운 것 같아요. 옛날에는 좀 따뜻했다가 추웠다가 반복했..

네이버, 딥시크 대항마 내놨다

네이버, 딥시크 대항마 내놨다입력2025.02.20.  '하이퍼클로바X' 신모델 공개MMLU 정답률 68%→79.6%운영비 기존보다 50% 이상 개선네이버가 자사 초거대 AI(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 업데이트를 마쳤다.효율적인 구조로 모델을 설계해 운영 비용을 줄이면서도 성능은 더 고도화했다. 네이버는 20일 하이퍼클로바X 플래그십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사내에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X 신모델은 기존 모델 대비 약 40% 수준의 파라미터 수로 구성됐으나 성능은 더 고도화됐다. 주요 학습 데이터인 한국어, 영어, 코딩·수학에 대해 19개 벤치마크로 종합적인 성능을 비교한 결과, 모든 분야의 평균 점수가 기존 모델을 앞질렀다. 특히 MMLU(대규모 다중과제 언어이해 평가)에서는 정답률 79..

"설탕의 200배" 제로음료 하루 3캔 먹였더니…몸에서 생기는 변화

"설탕의 200배" 제로음료 하루 3캔 먹였더니…몸에서 생기는 변화입력2025.02.20.  탄산 음료 관련 사진. /사진=이미지투데이이른바 '제로음료'에 설탕 대신 들어가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이 인슐린 수치를 높여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이하이 차오(Yihai Cao) 교수팀은 20일(현지시간) 생쥐에게 아스파탐이 든 먹이를 먹인 결과, 인슐린 수치가 급상승해 동맥에 더 많은 지방 플라크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차오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국제 과학 학술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12주 동안 생쥐에게 매일 아스파탐 0.15%가 든 먹이를 먹인 뒤 변화를 살펴봤다.아스파탐 함유 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