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스크랩] 예배란 무엇인가?

하나님아들 2018. 1. 15. 22:55

 예배란 무엇인가?     



 

 
 
 
    
1. 서론 (예배의 어원)
 
(히브리어: 아바드): 섬기다
* 노예가 주인을 섬기듯이 섬기다의 의미
(헬라어: 프로스퀴네오) 받들어 섬기다
* 무릎을 꿇고 주인의 발에 입 맞추듯이 경배하다.
(영어: Worship): 하나님께 최상의 가치를 돌려 드리는 것이다
 
2. 예배의 정의 - 윌리엄 템플
 
예배를 드린다는 것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의하여
우리의 양심을 살리는 것이며, 하나님의 진리를 마음에 공급하는 것이고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에 의하여
우리의 상상을 정결케 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사랑에 마음을 여는 것이고,
하나님의 목적에 의지를 바치는 것이다.
 
3. 예배의 중요성
 
예배는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목적이다.
예배는 우리를 구원하신 목적이다.
예배는 교회의 모습을 세상에 드러내기 위함이다.
예배는 은혜의 수단이다- 은혜의 수단으로 말씀과 성례가 있다.
 
4. 예배의 역사 (모세 이전 시대)
 
개인제단과 가정제단 중심 예배이다.
희생제물 중심의 예배이다.
) 가인과 아벨의 제사 / 노아의 제사 / 아브라함의 제사 / 야곱의 제사
 
5. 예배의 역사 - 성막시대 [모세 시대부터 솔로몬 시대까지]
 
번제- 속죄의 의미

* 제물을 완전히 불태워 드리는 제사
* 제물의 특징: 흠이 없는 양이나 소로 자신이 직접 잡아 드려야 한다.
* 예배는 하나님에 대한 자기부인이며, 자기의탁이다.
* 자신은 하나님 앞에서 죽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소제- 감사의 의미

* 곡물을 불태워 드리는 제사
 * 제물의 특징: 곡물을 드리되 반드시 고운 가루로 갈아, 고운 기름과
유향을 더하여 태워서 드린다.
* 하나님에 대한 헌신과 충성을 나타내는 제사이다.
* 예배는 우리의 뜻과 생각을 말씀의 절구통에 넣어 빻고 가는 시간이다.
 
속죄제- 정화의 의미

* 제사의 방법은 번제와 비슷하다.
* 제물의 일부만 태워 하나님께 드렸다.
* 삶 가운데서 죄를 인식할 때마다 속죄를 위하여 드리는 제사이다.
* 예배의 생활화를 의미한다.
* 우리의 직업 선택도 예배를 중시하며 결정되어야 한다.
 
속건제- 보상의 의미

* 제사의 방법은 속죄제와 비슷하다.
(속죄제: 돌이킬 수 없는 죄, 속건제: 돌이킬 수 있는 죄)
* 물질과 관련된 죄를 속죄하기 위한 제사이다.
* 예배자는 예배와 삶이 일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화목제- 친교의 의미

* 제물을 불태워 드리는 제사
* 제물의 일부는 하나님께 드리고, 일부는 제사장과 다른 이웃들과 나누었다.
* 일종의 잔치 제사요, 축제의 제사다.
* 감사제, 서원제, 자원제로 구별된다.
* 삶 속에서 사람과의 나눔을 통해 화목을 일구어내는 것이 예배이다.
 
6. 예배의 역사 - 성전시대 [솔로몬부터 포로시대 이전까지]

성막시대의 예배가 청산되었다.
 
성전시대의 변화가 온다.
* 성전을 화려하게 장식
* 예배에 악기를 사용
* 음악, , 기도가 추가됨
 
추후 성전예배는 형식화되었다.
 
(미가 선지자의 한탄)
내가 무엇을 가지고 여호와 앞에 나아가며 높으신 하나님께 경배할까 내가 번제물로 일 년 된 송아지를 가지고 그 앞에 나아갈까 여호와께서 천천의 숫양이나 만만의 강물 같은 기름을 기뻐하실까 내 허물을 위하여 내 맏아들을, 내 영혼의 죄로 말미암아 내  몸의 열매를 드릴까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 네게 보이셨나니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미가서 66~8)
 
결국 솔로몬 성전은 파괴되었다. (B. C. 587, 바벨론에 의해)     
    
7. 예배의 역사 - 회당시대 [포로 이후 예수님 시대까지]
 
예루살렘에는 스룹바벨 성전과 헤롯 성전이 재건되었다.
포로생활로 흩어져 있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는 곳에는 회당이 있었다.
성전에서는 희생제물의 예배중심이었다.
회당에서는 기도와 말씀이 중심이었다.
회당에서는 회당장이 예배를 주관하였다.
 
8. 예배의 역사 - 초대교회
 
예수님 시대부터 영적 예배로 전환된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요한복음 424)
예배는 장소의 문제가 아니다.
예배는 예배자의 마음이 중요하다.
새로운 예배시대가 도래함 - 영적 예배로의 전환
 
9. 영적 예배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로마서 121)
 
영적 예배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예배를 말한다.
,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예배는 진정한 예배는 우리의 몸을 산 제물로 드리는  예배를 말한다.

영적 예배는 생활예배이다
우리의 삶 속에서 매일매일, 순간마다 나 자신을 산 제물로 드리는 생활예배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진정한 예배이다.
 
10. 결론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신 이유는 예배를 받으시기 위함이다.
예배란 우리의 모든 인격을 하나님께 드리며 순종하는 것이다.
예배는 장소의 개념을 떠나야 한다.
예배는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영적 예배이다.
진정한 예배는 우리의 삶 속에서 자신의 헌신을 통해 드리는 영적 예배이다.
우리의 몸을 산 제사로 드리는 생활 예배자가 되자.
 
/출처ⓒ† http://cafe.daum.net/cgsbong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