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노시스(kenosis)에 대한 이해 케노시스(kenosis)에 대한 이해 I. 케노시스라는 개념의 기원 그리스도의 자기 비우심(THE SELF-EMPTYING OF CHRIST) 혹는 케노시스(kenosis, 빌 2:7절에 나오는 동사로부터 유래된 어휘)에 관한 문제는 교회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었던 문제였습니다. 주후 341년에 있었던 ‘안디옥 공의회(The Syn.. 역사신학 2020.02.11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과 설교(Preaching)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역사신학을 공부하는 학도들만 아니라 목회 하시는 목회자님들로부터 늘 받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체적인 답변은 실질적인 예화들(illustrations), 즉 생생한 예화들을 교회사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고.. 역사신학 2020.02.11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Why Should Christian Study the History of Church?)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말의 허와 실 미국의 텍사스(Texas)주의 휴스톤(Houston)에 있는 레이크우드(Lakewood Church) 교회의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이라는 목사는 매주일 설교를 하기 전에 약 30,000명의 교인들을 기립시키.. 역사신학 2020.02.11
역사신학 총론 역사신학 총론 1. 서론(序論) 기독교의 신앙과 역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역사는 누가 기록을 하든지 하지 않든간에 지금까지 기록되어 왔고 앞으로도 주님이 재림하시는 그날까지 계속 기록되어 질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 역사신학 2020.02.11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과 설교 라은성 교수 이 글은 2002년 11월 총신원보에 실었던 글입니다. 역사신학과 설교와 어떤 점에서 도움과 관계가 되는지를 적은 글입니다. 역사신학을 전공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설교는 pathos(대중)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힘든 시대가 되었습니다. 대중을 .. 역사신학 2020.01.06
성경과 5대 제국 성경과 5대 제국 (앗수르, 바렐론, 페르시아. 헬라, 로마)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인간과의 관계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에 반응하여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드림을 기록한 책이다. “성경과 5대제국”은 앗수르, 바벨론, 페르시아와 헬라, 로마라는 이스라엘에 영향을 끼친 강대국을 .. 역사신학 2020.01.04
유대인의 신년(新年) 1. 유대인의 신년(新年)(로쉬하샤나) 정통파 유대인들은 유대 달력으로 일곱번째 달인 '티슈리' 월의 첫번째 날과 두번 째 날을 신년으로 지킨다. 개혁파 유대인들은 첫번째 날만을 신년으로 지킨다. 유대력의 티슈리월은 태양력의 9월 말이나 10월 초의 가을에 해당한다. '로쉬 하샤나'라.. 역사신학 2019.12.25
초기 변증가 초기 변증가 사람들은 전도를 하면 싫어한다. 왜 그럴까? 하나님에 대해 무지해서 그렇다. 창조주하나님을 모르기 때문에 그렇다. 이 세상을 조성하시고 자신을 조성하신 하나님에 대해서 전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하나님을 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들이 아는 것은 하나.. 역사신학 2019.12.15
순교의 역사. 순교의 역사. 제1장. 사도들의 순교. 신약 초기의 기독교는 수많은 성도들의 순교를 발판으로 하여 성장하고 발전했다. 기독교의 순교역사는 사도들의 순교로부터 출발한다. 예수그리스도의 직접 제자였던 12사도와 바울사도가 기독교를 전파하다가 처참하게 순교 당했다. 그러나 성경은.. 역사신학 2019.04.20
셈, 함, 야벳: 세계 3대 인종의 시작 셈, 함, 야벳: 세계 3대 인종의 시조 "방주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들은 셈과 함과 야벳이며 함은 가나안의 아버지라 노아의 이 세 아들로부터 사람들이 온 땅에 펴지니라" (창 9:18-19) 1. 셈 : שם "쉠(shem)" - <뜻> “이름, 영광, 명예, 명성” 1) 노아의 장남(창5:32) 2) 노아의 세 아들 중 최고.. 역사신학 201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