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초기 변증가

하나님아들 2019. 12. 15. 21:36

초기 변증가

 

사람들은 전도를 하면 싫어한다왜 그럴까하나님에 대해 무지해서 그렇다창조주하나님을 모르기 때문에 그렇다이 세상을 조성하시고 자신을 조성하신 하나님에 대해서 전혀 모르기 때문이다그러면서도 그들은 하나님을 안다고 말한다그러나 그들이 아는 것은 하나님에 대해서 왜곡되고 심히 비틀어진 지식을 가지고 있을뿐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 옳다고 생각한다하나님을 창조주로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부러 믿고싶지 않은 것이다왜 그럴까죄성이 있기 때문이다인간은 근본 죄의 후손들이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해서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초대교회시대에도 그랬다. Roma제국이나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인을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았다무슨 일만 발생하면 모두 그리스도인들 때문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그렇지 않음을 그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변증가들이 나선 것이다.



초기변증가(初期辦證家)들이라 하면주후 2세기나 3세기 전반에 그리스도교에 대한 유대인 및 이방인들의 근거 없는 비판 내지는 중상모략과 그리스도교에 대한 Roma제국의 핍박에 대항하여 그리스도교의 진리성을 문필활동(文筆活動)을 통해 증명하려고 시도한 사람들을 말한다이들은 그리스도교에 대한 이교도(異敎徒)들의 공격에 대하여 선한 행실로만 대응하는 것에 만족하지 아니했다즉 침묵으로만 일관하지 아니하고그리스도교가 어찌하여 미신(迷信)이나 사교(冊敎)가 아니라 진리의 종교구원의 종교가 되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초기 변증가들은
a. 코트라토스(125년 경 변증서)
b. 아리스티데스(2세기 전반 활약)
c. 순교자 유스틴(100-165)
d. 타티안(110-180)
e. 아테나고라스(타티안과 동시대인)
f. 안디옥의 감독 데오빌로0157-181/191)
g. 사데의 감독 멜리톤(190)
h.디오그네트서의 저자(3세기 초에 저술 활동)
I. 미누키우스 펠릭스(2세기 후반-3세기 전반)
 
이 중 라틴어를 사용하는 Roma제국 서부에서 태어난 사람은 미누키우스 펠릭스 한 사람이다그리고 Roma제국 영역 밖 Orient지방에서 태어난 사람은 타티안밖에 없다나머지는 모두 헬라어를 사용하는 Roma제국 동부에서 태어났거나활약하였으므로, “희랍변증가”(Greek Apologists)라 한다타티안은 앗수르 출신의 변증가였으나 대표적 희랍변증가인 순교자 유스틴의 제자였으므로 보통 희랍변증가로 분류한다.


변증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외적인 면에서 그리스도교에 대한 유대인 및 이방인들의 비판 내지는 중상모략 그리고 유대인 및 Roma제국에 의한 그리스도교 박해가 변증가 출현의 중요한 원인이었다.


주후 1세기말 경부터 새로 그리스도교로 개종해 오는 사람들 가운데 지식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많이 포함되었다이 사실이 변증가 출현의 중요한 역사적 배경이 된 것이다주후 1세기 말 이전까지만 해도 그리스도인은 거의 대부분 서민과 무식자들로만 구성돼 있었으나그 후부터 조금씩 지식계층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그리스도교로 개종해 오는 사람들이 있었다변증가들은 이들 중에서 그리스도교의 진리성을 변증하기 위하여 노력했다변증가들은 자기들의 신앙이 진리를 추구하는 이방인들에게 영적 만족을 줄 수 있는 내적인 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신하였다당시 Roma제국은 Hellenism문화의 영향 아래 있었다. Roma제국 동부는 헬라어가 통용어였고, Roma제국의 서부에도 헬라어를 해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그리고 당시 인문교육을 받은 사람치고 헬라의 서사시인 Homer(주전8세기)의 시()를 공부하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 Homer의 서사시일리아드오딧세이는 지금도 세계적인 고전이다.일리아드는 일리온 또는 트로이(Troy)라는 도시의 멸망에 관한 서사시다.오딧세이는 트로이 전쟁(Troy 戰爭주전1250-1240)의 영웅 오딧세우스의 10년 간에 걸친 유랑생활에 관한 서사시다


Hellenism 문화를 일으킨 헬라 사람들은 신화에만 집착하지 아니하고인간의 이성도 중요시하였다이 점에서는 로마 사람들도 큰 차이가 없었다헬라 사람들이 철학(哲學)이라는 학문분야를 발전시킨 것은 이러한 연관에서 이해할 수 있다로마인들도 헬라의 철학을 받아들인다키케로(Cicero 주전106-3)와 세네카(Seneca 주전4-주후65 )가 대표적 예다이러한 상황에서 초기변증가들은 그리스도교가 결코 이성에 반()하는 미신이나 사교가 아니라 도리어 헬라 사람들이 추구하던 진선미(眞善美)에의 이상(理想)을 충족시켜 주고도 남을 수 있는 유일하게 참된 가르침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초기변증가들은 대부분 헬라철학에 대하여 최소한 어느 정도의 소양을 갖춘 지성인들이었다주후 2세기 초 이후 그리스도교는 Hellenism 문화의 영향을 지성인들이 상당수 받아들였다

/출처ⓒ† http://cafe.daum.net/cgsbong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과 5대 제국  (0) 2020.01.04
유대인의 신년(新年)  (0) 2019.12.25
순교의 역사.  (0) 2019.04.20
셈, 함, 야벳: 세계 3대 인종의 시작  (0) 2019.04.19
[스크랩] 최근의 복음주의 신학동향  (0) 2019.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