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6 7

50세 이후 관절을 파괴하는 운동 습관 5

50세 이후 관절을 파괴하는 운동 습관 5입력2025.02.16. photo. Pixabay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50세 이후 건강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 중 하나다. 하지만 주의하지 않으면 특정 운동 습관이 특히 관절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연골은 자연스럽게 마모되고 관절은 염증, 경직, 통증에 더 취약해진다. 충격이 큰 움직임, 좋지 않은 자세, 필수 회복 단계를 건너뛰면 이 과정이 가속화되어 만성 관절 문제와 장기적으로 활동하기 어려운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50세 이후 관절을 파괴할 수 있는 5가지 일반적인 운동 실수를 확인해보자.1) 고충격 유산소 운동을 너무 많이 한다달리기, 점프 등은 심혈관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고강도 운동은 노화된 관..

“이사한 뒤 두통 심해” 치매 진단받은 30대의 충격 원인

“이사한 뒤 두통 심해” 치매 진단받은 30대의 충격 원인입력2025.02.16.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보일러서 새어 나온 일산화탄소가 원인영국의 한 30대 여성이 이사 후 두통,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을 겪어 병원에 찾았다가 치매 진단을 받았다. 조사 결과 보일러에서 새어 나온 일산화탄소가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됐다.최근 영국 더 선 등은 두 아이의 엄마 수 웨스트우드 러틀리지(52)의 사연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는 18년 전 이사한 뒤 3년 동안 끊임없는 두통과 어지러움, 집중력 저하로 고통을 받았다. 그러다 집에서 쓰러졌고, 주요 장기가 기능을 멈추는 위급 상황까지 벌어졌다. 당시 수의 나이는 30대 중반에 불과했다.수는 병원을 찾았지만 의사들은 증상의 원인을 알 수 없어 당..

“병 아깝잖아~” 참기름 담고, 간장 담고…가족들 ‘병’ 부른 엄마의 이 습관

“병 아깝잖아~” 참기름 담고, 간장 담고…가족들 ‘병’ 부른 엄마의 이 습관 [건강+]입력2025.02.16.  플라스틱 생수병 재사용의 위험성재사용 횟수 많을수록 위험도 증가면역 체계 교란부터 암 유발 등 경고생수병으로 사용하는 일회용 플라스틱을 아깝다고 재사용할수록 미세플라스틱에 더 많이 노출된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일상적으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채 살아가고 있다. 안 좋다는 건 알아도 편의성이 높다보니 숨 쉬듯 이용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생수병에 들기름, 간장 등을 넣어 보관하는 모습. SNS 캡처미세플라스틱의 경우 1일 안전 섭취량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장기적인 영향도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그렇다보니 막연하게 나쁘다는 것만 알고 경각심을 갖지 않는 경우가 ..

유튜브에서 확인된 민심… 탄핵 반대 집회 압도적 열기

유튜브에서 확인된 민심… 탄핵 반대 집회 압도적 열기입력2025.02.16.  15일 광주 동구 금남로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앞에서 세이브코리아 주최로 열린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에서 참가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와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탄핵 반대 집회의 열기가 거리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유튜브를 통한 실시간 중계와 영상 조회수가 급증하며 탄핵 정국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15일 광주 금남로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는 경찰 추산 3만명 이상이 운집하며 대규모로 진행됐다. 해당 집회를 실시간 중계한 매일신문 유튜브 채널의 조회수는 16일 기준 340만 건을 넘어섰다. 이는 최근 열..

中, 이젠 `지리정보`까지 마구잡이 수집… 보안우려 커진다

[기획] 中, 이젠 `지리정보`까지 마구잡이 수집… 보안우려 커진다입력2025.02.16.  BYD, 딥시크 협업 신의눈 확대개인정보 중국 본사 전송 우려커지는 보안이슈, 투자 거부도"韓도 기업 규제완화, 지원해야"중국이 미래 핵심 산업의 기술을 확보하고, 개인정보가 통용되는 대규모 플랫폼 사업을 전방위 영역으로 확장하면서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최근 '딥시크 쇼크'로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한국의 첨단산업 경쟁력 뿐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중국은 미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정부의 대규모 지원으로 AI 등 첨단 분야의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사이버 보안이 미중 분쟁의 또 다른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

어릴 때 ‘이것’ 사용시간 길다고?…청소년기 스트레스·우울 증가

어릴 때 ‘이것’ 사용시간 길다고?…청소년기 스트레스·우울 증가입력2025.02.16.  핀란드 연구팀 “스크린타임 대신 신체활동 늘려야”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어린 시절부터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스크린타임(screen time)’이 길수록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핀란드 이위베스퀼레 대학 에로 하팔라 박사팀은 15일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을 통해 187명의 아동을 청소년기까지 추적 조사한 결과 아동기의 신체활동과 생활 습관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발표했다.이번 연구는 2007년 10월~2009년 11월 수집된 6~9세 어린이들의 신체활동과 생활 습관 등에 대한 데이터와 8년 후인 2015년 1..

“배불러도 또 들어가…‘디저트 배’ 따로 있었다” 獨 연구팀 입증

“배불러도 또 들어가…‘디저트 배’ 따로 있었다” 獨 연구팀 입증이보희 기자입력 2025-02-14 독일 연구팀 “설탕이 마약성 호르몬 분비해 식욕 촉진”이미지 확대수면섭식 증상을 앓게 되면 신체가 만족 욕구를 최대한 충족할 사탕, 쿠키, 케이크 등 음식을 찾게 된다고 미네소타대(大) 헤네핀카운티 의료센터 교수인 카를로스 솅크 박사는 설명했다. 픽사베이 제공“난 디저트 배 따로 있어.”배가 아무리 불러도 디저트가 나오면 또 먹게 되는 뇌의 메커니즘이 밝혀졌다.설탕을 먹으면 포만감을 조절하는 뇌 신경세포가 마약성 호르몬을 분비해 식욕이 더 촉진되면서 디저트를 먹고 싶어진다는 것이다.14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독일 쾰른 막스 플랑크 신진대사 연구소(MPIMR) 헤닝 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