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0 12

폐쇄형서 개방형으로…생성형 AI 무서운 진화

폐쇄형서 개방형으로…생성형 AI 무서운 진화 [인포로 본 세상]입력2025.02.10.  더스쿠프's infographic인포그래픽으로 본 세상그간 폐쇄형 AI 모델이 주류오픈소스 AI 빠르게 따라잡아대표적인 예로 딥시크 있어시장 주도권 오픈소스가 잡아한눈으로 살펴보는 AI 진화론AI 개발사들이 오픈소스 모델을 통해 자사 AI의 성능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2022년 11월 오픈AI가 챗GPT를 세상에 내놨으니, 생성형 AI가 붐을 일으킨 지도 2년이 흘렀다. 생성형 AI는 과연 어디까지 진화했을까.[※참고: 생성형 AI는 기존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텍스트·이미지·음악 등 콘텐츠를 만드는 AI 기술을 일컫는다.] 생성형 AI의 흐름은 2023년을 분기점으로 두개로 나뉘어 있다. 202..

직장인 27%는 AI에 일자리 뺏긴다…의사·판사는?

직장인 27%는 AI에 일자리 뺏긴다…의사·판사는?입력2025.02.10.  한은·IMF 공동 연구, 'AI와 한국경제' 분석“AI 도입, 10년 내 GDP 최대 12.6% 높인다”[자료 한국은행][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한국에서 의사·금융 전문가·대학 교수 등이 인공지능(AI) 도입 혜택을 크게 누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 직업은 AI에 많이 노출돼 있으나 직업의 사회적·물리적 속성으로 인해 대체가 쉽지 않은 직군이다.10일 한국은행이 국제통화기금(IMF)과 공동 연구한 'AI와 한국경제'에 따르면 '높은 노출도, 높은 보완도'를 갖춘 직업이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임금 상승 혜택을 누릴 가능성이 높았다. 의사, 한의사, 기업 대표 및 기업 고위 임원, 금융 전문가, 대학 교수, 고..

어쩐지 살이 덜 찌더라… ‘이 음식’ 체지방 증가 막아준다!

어쩐지 살이 덜 찌더라… ‘이 음식’ 체지방 증가 막아준다!입력2025.02.10.  체지방 소모에 도움을 주는 음식들을 섭취하면, 체중 조절에도 효과적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살은 찌기는 쉽지만 빼기는 정말 어렵다. 문제의 몸속 체지방은 쌓이는 걸 막기 위해서 무엇보다 식단 관리가 중요하다. 체지방은 몸속 지방의 양을 말하고, 체지방률은 체중 대비 지방의 비율을 말한다. 정상적인 체지방률은 남성은 10~20%, 여성은 18~28%이다. 체지방 소모에 도움을 주는 음식들을 섭취하면, 체중 조절에도 효과적이다. 체지방 증가를 막는데 도움주는 식품을 알아본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과, 배사과나 배 같은 과일은 수분 함량이 상당히 높다. 또 식이섬유 역시 풍부하기 때문에 장시간 포만감을 유지하는데 효..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입력2025.02.04. IBS3차원이나 2차원에서 움직이는 자유전자와 달리 1차원에 속박된 전자들은 서로 강한 상호작용을 한다. 루팅거 액체 이론은 1차원 전자계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전도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60년 전 제시된 물리학 이론을 실험으로 처음 증명하고1차원 전자계를 최초로 구현했다.차세대 양자 소자와 전자기술 개발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문호 반데르발스양자물질연구단장과 박홍근 미국 하버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60년 전 제시된 '루팅거 액체 이론(Luttinger liquid theory)'을 실험으로 증명하고 1차원 전자계를 구현해 전자 이동 과정을..

여자가 남자보다 말 많다?…"나이에 따라 달라"

여자가 남자보다 말 많다?…"나이에 따라 달라"입력2025.02.04.  25~64세 여성은 같은 나이대 남성보다 하루 평균 3000단어를 더 많이 말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여자가 남자보다 말을 많이 한다는 인식과 고정관념이 있지만 성별에 따른 말 수는 나이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5~64세 여성은 같은 나이대 남성보다 하루 평균 3000단어를 더 많이 말했고다른 나이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또 사람들의 말수가 해마다 줄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마티아스 멜 미국 애리조나대 심리학과 교수팀은다양한 연령의 사람들이 하루에 말하는 말수를 조사하고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에 공개했다.여성이 남성보다 말이 많다는 고정관념은 많은 문화권에..

양자컴퓨팅이 '우주의 종말' 예측한다

양자컴퓨팅이 '우주의 종말' 예측한다입력2025.02.10. 오전 10:28 기사원문이병구 기자 TALK  915본문 요약봇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글자 크기 변경하기SNS 보내기인쇄하기가짜 진공이 진짜 진공으로 붕괴하며 '우주 거품'이 형성되는 과정이 양자컴퓨팅으로 시뮬레이션되는 것을 표현한 그림. 양자장 이론에 따르면 가짜 진공 상태에 있는 우주는 언젠가 진짜 진공으로 붕괴한다. Zlatko Papic/University of Leed 제공과학자들이 양자컴퓨팅 기술로 우주의 종말을 예측하는 물리학 이론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했다.즐라트코 파픽 영국 리즈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자카 보뎁 독일 율리히 물리학연구소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양자컴퓨팅 원리를 활용해 우주의 궁극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시뮬..

'계엄 지지' 최준용♥한아름 "정치적 발언, 우파는 왜 안돼?"

'계엄 지지' 최준용♥한아름 "정치적 발언, 우파는 왜 안돼?"입력2025.02.10.      배우 최준용 아내 한아름씨가 억울함을 호소했다. /사진=한아름씨 인스타그램배우 최준용 아내 한아름씨가 정치적 성향을 드러냈다가 방송에서 통편집을 당했다고 주장했다.한씨는 지난 7일 "영덕 겨울 바다와 시골집에서 너무 예쁘게 재밌게 촬영했는데 남편의 정치적 사회적 이슈로 인해 통편집되고 이 외에 다른 방송도 통편집너무 속상하다"고 털어놨다.그는 "좌파 배우들은 정치적 발언하고도 잘만 방송 나오던데 우파는 왜 대체 왜 안 되는 건지… 설마설마했는데 정말이었다"고 글을 남겼다.이어 "그래. 영덕에 여행 다녀왔다 생각하고 우리는 더 빡세게 응원하자. 더 크게 소리치자. 대한민국 만세. 윤석열 대통령 파이팅! 누가 이..

벌교 ‘꼬막’서 쓴맛 나…“먹어도 되나요?”

벌교 ‘꼬막’서 쓴맛 나…“먹어도 되나요?”입력2025.02.10.  보성 벌교 꼬막서 ‘쓴맛’ 민원 잇따라수온상승 영향·동물성 플랑크톤 다량 섭취 가능성 제기전남도, 원인 규명 나서 “인체에 무해”“위생·맛·먹이원 분석 결과 특이점 없어…조사 진행 중”탱글탱글하고 쫄깃한 식감과 담백한 맛이 일품인 ‘꼬막’은 겨울철 별미로 손꼽힌다. 특히 전남 보성 벌교에서 나오는 양식 꼬막이 연간 3000t으로,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그런데 최근 이곳 꼬막에서 ‘쓴맛이 난다’는 민원이 나와 수산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현재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가 원인을 분석 중인데 1차 위생 검사에서 별다른 문제점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갓 삶아낸 벌교 새꼬막.전남도의회와 보성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 사..

‘혈당 스파이크→혈당 OOO’…‘잘 다듬은 우리말’ 1위 차지

‘혈당 스파이크→혈당 OOO’…‘잘 다듬은 우리말’ 1위 차지입력2025.02.10.  국립국어원, ‘2024년 다듬은 말’ 발표‘업스킬링’→‘역량 강화’‘밸류업’→‘가치 향상’‘펫 시터’→‘반려동물 돌보미’지난해 한 해 동안 우리 사회에 들어온 외국 용어 중 우리말로 가장 잘 다듬은 말은 ‘혈당 스파이크’를 바꾼 ‘혈당 급상승’이 꼽혔다.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우리 사회에 들어온 외국 용어 76개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고 국민 수용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잘 다듬은 말은 ‘혈당 급상승’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할 외국 용어는 ‘옴부즈퍼슨’이 꼽혔다고 10일 밝혔다.‘2024년 다듬은 말’은 3월부터 12월까지 총 18회 전문가 논의와 매회 2500명을 대상으로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

5초 만에 가짜 리뷰 '뚝딱'… AI에 발등 찍힌 e커머스

5초 만에 가짜 리뷰 '뚝딱'… AI에 발등 찍힌 e커머스입력2025.02.10.  체험단 모집했더니 AI 이용해 5초만에 리뷰 뚝딱AI 도입에 적극적인 e커머스가 도리어 AI 부작용에 고심〈사진=AI 생성 이미지〉'씹는 재미가 있었고, 소스가 어우러져있어서 더욱 맛있었습니다. 납작한 떡갈비의 주재료를 찾아봤어요. 1갈비, 2양파, 3 마늘…떡갈비는 한국의 전통 음식 중 하나로, 원래는 갈비를 다져서 만든 요리입니다…'e커머스 A플랫폼에 올라온 떡갈비 후기다. 체험 중심 리뷰와 달리 재료나 유래까지 설명하며 두 페이지를 가득 채우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만든 후기로 보인다.1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e커머스는 AI를 활용한 신규 어뷰징에 몸살을 앓고 있다. 생성형 AI가 양산하는 가짜 리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