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 세계관! 인생관! 신앙관!

[스크랩] 4. 구속 (요약) / 알버트 월터스

하나님아들 2018. 6. 14. 22:53

 

4. 구속 - 1) 회복으로서의 구원|성경적 세계관
신동식 | 조회 40 |추천 0 |2003.06.17. 15:48 http://cafe.daum.net/CPI2002/C2cl/72 

 

/ 정리 : 나쥬니 (www.nazuni.pe.kr)

 

 

 

4. 구속 - 1) 회복으로서의 구원

1. 구원의 의미

※ 회복(restoration) : 구속은 단순히 창조를 넘어선 어떤 것의 첨가가 아니라 손상되지 않은 창조계의 선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 주께서 너희를 위하여 예정하신 그리스도 곧 예수를 보내시리니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을 의탁하여 말씀하신 바 만유를 회복하실 때까지는 하늘이 마땅이 그를 받아두리라 (행3:20~21)

1) 구속 (redemption)
① 유괴, 납치, 포로 등의 단어를 연상케 하며, 몸값을 치르고 '다시 사온다'는 뜻이다.
② 구원의 핵심은 죄인을 속박에서 해방시키고 그에게 자유를 되돌려 주는 것이다.

새 노래를 노래하여 가로되 책을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하시도다 일찍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저희로 우리 하나님 앞에서 나라와 제사장을 삼으셨으니 저희가 땅에서 왕 노릇하리로다 하더라 (계5:9~10)

2) 화해 (reconciliation)
; 사이가 틀어진 친구나 서로 선전 포고를 한 동맹국이 원래의 우정과 동맹 관계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 났나니 저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케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책을 주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며 저희의 죄를 저희에게 돌리지 아니하시고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우리에게 부탁하셨느니라 (고후5:18~19)

3) 새롭게 함 (renewal; 헬. anakainosis - 롬12:2)
① 문자적으로 '다시 새롭게 만듦'을 의미한다. (헬.'ana-' = 영.'re-')
② 낡아서 못 쓰게 된 것을 새롭게 변화시켜 처음의 상태로 회복한다는 뜻이다.

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좇는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엡4:22~24)

너희가 서로 거짓말을 말라 옛 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 버리고 새 사람을 입었으니 이는 자기를 창조하신 자의 형상을 좇아 지식에까지 새롭게 하심을 받는 자니라 (골3:9~10)

4) 건강, 안전 (헬. soteria)
; 그리스도는 죽음에 이른 우리의 질병을 고쳐주시고 건강을 회복시켜 주셨다.
※ 틴데일(W. Tyndale)은 1525년 최초의 헬라어 신약 번역본에서 헬라어 '소테리아'를 모두 '건강'이라고 번역하였다.

많이 간구하여 가로되 내 어린 딸이 죽게 되었사오니 오셔서 그 위에 손을 얹으사 그로 구원을 얻어 살게 하소서 하거늘 (막5:23)

가로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며 (마27:40)

5) 거듭남 (regeneration)
; 죽음에 떨어진 후 다시 생명으로 회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좇아 중생(重生)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 (딛3:5)

6) 재창조 (re-creation)
; 하나님께서 창조계를 폐기하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다른 새로운 것을 지으신다는 의미가 아니라, 타락한 창조계를 계속 붙들고 계시다가 다시 건져내신다는 의미이다.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고후5:17)


2. 은혜는 자연을 회복한다

1) 구속은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에 새로운 생명과 생동감을 불어넣는 것이다.
→ '회복'은 구원이 새로운 무엇을 가져오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즉 구속이란 창조계의 삶에 이전에 없었던 영적인 혹은 초자연적인 차원을 덧붙이는 것이 아니다.

2) 구속의 과정에 덧붙여진 것들(사형, 이혼법, 도피성 등)은 단지 죄 없는 창조계를 회복할 목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그 목적이 달성되면 그것들은 폐기될 것이다.
; 이것은 의료 행위에 수반되는 약품, 붕대, 청진기 등과 같다.

3) '은혜는 자연을 회복한다' : 은혜는 자연에게 덧붙여진 은사가 아니다.
→ 은혜를 자연 이외의 어떤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다른 세계관에서는, 은혜가 가져온 '거룩한 영역'과 '세속적 영역(원래의 창조계)'을 구별하게 된다.


3. 구속의 범위

1) 그리스도의 구속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창조계 전체이다. (골1:20)
; 지상의 모든 악의 근본 이유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안에서 치유되고 극복되며, 따라서 원칙적으로 그의 구속은 죄의 모든 영향을 제거한다.
※ 개혁주의적 세계관의 특징은 죄와 구속 모두를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탄과 그리스도의 요구에는 전체주의적 성격이 있고, 그런 의미에서 중립적인 것은 창조계 안에 아무것도 없다.

그의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사 만물 곧 땅에 있는 것들이나 하늘에 있는 것들을 그로 말미암아 자기와 화목케 되기를 기뻐하심이라 (골1:20)

2) 죄와 구속의 범위가 전체 창조계를 포함하지만, 그 책임은 여전히 인간에게 있다. 아담으로 말미암아 지상적 영역 전체가 파멸되었지만,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세상이 회복될 것이다. 아담 안의 인류(불순종)는 우주를 타락시켰지만, 그리스도 안의 인류(순종)는 그것을 새롭게 만든다.

사망이 사람으로 말미암았으니 죽은 자의 부활도 사람으로 말미암는도다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 (고전15:21~22)

3) 새로운 인류(하나님의 백성)는 창조계의 모든 영역에서 새롭게 하는 일을 진행시키기 위해 부름을 받았다.
※ 우리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화목케 하는 직책'을 수행한다. (고후5:17~19)

4) 창조계에 대한 어떠한 구분도 화해, 구속, 구원, 성화, 새롭게 됨, 하나님 나라 등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하지 못한다. 왜곡은 모든 영역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 모든 곳에서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바라보며(창조), 모든 곳에서 인간의 불순종으로 인한 왜곡과 부패를 보면서 탄식하며(타락), 모든 곳에서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회복에 동참하여 승리의 깃발을 꽂는다(구속).

 

4. 구속 - 2) 하나님의 나라


1. 하나님의 나라

1) '나라(kingdom, 헬. basileia)'의 의미
① 일차적 의미 : '왕권', '주권', '통치', '지배' 등
② 공간적 개념('영역','지역')보다 정치적 개념('주권','통치')에 더 가깝다.
③ 그 강조점은 왕으로서 주권적으로 창조세계를 통치하고 계시� 하나님께 있다.

2) 하나님 나라의 의의
① 그리스도 안에서의 창조계의 회복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동일한 일이다.
②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계시인 신약 성경 전체의 핵심 주제이다. (헤르만 리델보스, "The Coming of the Kingdom")
③ 왕으로서 그리스도의 오심은 전체 구속사-세상을 구원하시는-의 정점이다.

가라사대 때가 찼고 하나님 나라가 가까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 (막1:15)


2. 예수님의 사역

1) 예수님의 사역은 '말씀'과 '행함'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① 말씀하시는 예수님 - 왕국의 도래에 관하여 가르치시고 전파하셨다.
② 행하시는 예수님 - 왕국의 도래를 실제로 증명해 보이셨다. (치유, 기적 등)

2) 예수님의 모든 기적은 재창조와 관련된 회복의 기적들이었다. 건강의 회복, 생명의 회복, 마귀의 억눌림에서 자유로의 회복, ... (단, 무화과나무 저주는 제외)
※ 이러한 기적들은, 구속이 창조계가 죄악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하나님께서 본래 의도하신 피조물의 삶으로 복귀되는 것이라는 것을 예증해 준다.

3) 하나님 나라의 도래, 즉 창조계의 회복과 치유에는 자유케 하시는 왕(예수 그리스도)과 속박하는 찬탈자(사탄)와의 대결이라는 측면이 담겨져 있다. (마12:28)

4) 그리스도의 회복 사역에 관한 몇 가지 예증
① 18년 동안 허리가 굽어 몸을 펼 수 없었던 여인의 병을 고쳐주시면서, 예수님은 그 여인이 18년 동안 사단에게 매인 바 되어 있었다고 말씀하셨다. 사단의 속박에서 자유케 되는 것은 바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나타내는 것이다. (눅13:16)
※ 병 고침은 사탄과의 대결로 이해할 수 있다. (행10:38)
② 거라사인에게 들려있던 귀신이 예수님의 신성과 왕권을 인정하고 고백한 사실은 하나님 나라가 현존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또다른 증거이다. (눅8:28)
③ 세례 요한이 그의 제자들을 보내어 예수님께서 '오실 그 이(메시야)'이신지 여쭈었을 때 대답하신 말씀은, 자신의 '회복하는 사역'이 바로 메시야임을 증명한다는 것이었다. 그것 역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뜻하는 것이다. (마11:4~5)

그러나 내가 하나님의 성령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 (마12:28)


3. '이미'와 '아직'

1) '이미' 임한 하나님의 나라 (현재적)
① 예수님은 그 나라가 이미 임했다고 말씀하셨다. (마12:28;눅17:20~21)
② 하나님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 이미 현존한다.
※ 눅17:21의 '너희 안(헬. entos)에'는 '안(within)'이라는 뜻보다 '가운데(among)'라는 뜻에 가깝다. 즉 그 말씀은 바리새인들 '가운데' 있는 예수님 자신을 가리킨다.

Once Jesus was asked by the Pharisees when the kingdom of God was coming, and he answered, "The kingdom of God is not coming with things that can be observed nor will they say, 'Look, here it is!' or 'There it is!' For, in fact, the kingdom of God is among you." (눅17:20~21, NRSV)

2)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 (미래적)
① 예수님은 '나라가 임하옵시며'라고 기도하라고 가르치셨다. (마6:10)
② 그 나라의 도래는 아직 완료된 실재가 아니다. (계11:15)

3) '이미'와 '아직' 사이의 긴장
①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미'와 '아직'의 두 국면은 그리스도의 초림과 재림 사이의 중간기를 특징짓는다.
② 이 긴장의 시기에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가 그리스도께 주어졌다는 사실을 세상에 전한다. (마28:18~20;행1:7~8 → 눅19:11-27)
※ 하나님의 나라, 즉 그리스도의 왕권이 미치지 않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나라

1) 구원은 복귀(repristination)가 아니라 회복(restoration)이다.
→ 복귀는 역사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것으로, 문화적인 반동과 퇴보이다.

2)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원은 창조 구조에 순응하여 발전의 현단계에 이른 문화와 사회를 회복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역사적 발전을 거부하지 않으며 오히려 진보적이다.

보좌에 앉으신 이가 가라사대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하시고 ... (계21:5)

 

 

 

4. 구속 - 3) 다른 왕국관과의 비교


1. 기독교 내의 다른 천국관

※ '천국'에 대한 이해는 우리 세계관에 대한 분명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여전히 그 나라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경향이 있다.

1) 경건주의
① 하나님 나라를 개인적 영역, 즉 영혼의 내면 생활로 국한시킨다.
② 누가복음 17장 21절을 '너희 가운데(among you)'라고 번역하는 것보다 '너희 안에(within you)'라고 번역하는 것을 선호한다.
※ 이런 경향은 그리스도인의 생활면에 있어서 사회적 역할은 무시하고 각 개인의 윤리적 측면만을 강조하게 된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은 공적 생활의 영역을 배제하지 않는다. (참조. 사58:6~7;약1:26~27)

2) 로마 카톨릭의 전통
① 하나님 나라를 제도적 교회와 동일시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왕권의 범위를 제한한다.
② 오직 목사와 선교사만을 그 나라의 '전임 사역자'로 보고, 평신도들은 그들이 교회 일에 봉사하는 만큼만 그 나라의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③ 모든 인간사가 '교회와 세상'이라는 두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고 오해하도록 만든다.
※ 이 전통은 이원론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삶의 영역을 '거룩한 영역'과 '세속적 영역'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인에게 '완전한 삶'과 '허용된 삶'의 두 가지 생활 방식이 존재하는 것처럼 왜곡시켰다.

3) 세대주의
① 하나님 나라를 종말론적 미래로 국한시켜서 천년 왕국과 완전하게 일치시킨다.
→ '나라가 임하옵시며'를 '천년 왕국이 속히 임하옵시며'로 이해한다.
② 하나님 나라와 천년 왕국 모두 '이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4) 자유주의 (ex-사회 복음주의)
①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적이고 진보적인 것처럼 보이는 것에 '하나님 나라'라는 명칭을 붙이고, 이에 거스르는 모든 움직임은 근본적으로 세속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② 그 나라가 자유 민주주의나 마르크스 주의의 사회 정치적 운동에 나타난다고 본다.


2. '두 영역'과 '두 통치'

1) 창조계는 각각의 독특한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한데, 이런 구분 자체는 하나님이 정하신 창조 질서로서 선한 것이다.
※ 이렇게 구분할 수 있는 영역을 예로 들자면, 교회, 가정, 정치, 사업, 예술, 교육, 출판, 사고, 감정, 식물과 동물, 무생물 등이다. (참조. 창1:11,21,24,25,27,...)

2) '두 영역' 이론은 이 영역 자체를 구분하여 '거룩한 것'와 '속된 것'으로 나누는데, 흔히 교회(하나님의 나라)와 그 밖의 영역(세상)으로 쉽게 분할한다.

3) 하지만 성경의 관점은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을 '두 영역'으로 구분하지 않고, 창조계 전체에 나타나는 하나님과 사탄의 '두 통치(=나라)'로 구분한다. 따라서 각각의 모든 영역에서 이 통치권 사이의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창조의 법에 더 순종하고 일치하는 만큼 하나님 나라의 영토는 확장되지만, 인본주의 정신(골2:8)이 인간의 사고를 세속화하는 곳에서는 그 영토를 잃게 된다. 이런 현상은 어떤 영역에서나 나타나는 것으로 '중립적'인 영역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은, 피조계가 위치하는 영역, 즉 '구조(창조 질서)'에 의해 구분되지 않고, 어떤 통치에 따르는가 하는 '방향'에 의해 구분된다. 방향의 양상은, '순종/불순종', '타락(죄)/구속', '왜곡/회복' 등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노략할까 주의하라 이것이 사람의 유전과 세상의 초등 학문을 좇음이요 그리스도를 좇음이 아니니라 (골2:8)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며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며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마6:24)


3. '육'과 '영'의 대립

1) 두 왕국간의 구분은 개개인에게 있어서 '육'과 '영' 혹은 '옛사람'과 '새사람'의 구분과 동일하다.
※ 종교개혁은 '육'과 '영'을 희랍 철학의 '육체'와 '영혼'으로 이해하지 않고, 육체와 영혼 모두를 둘로 나눈다고 보았다. (루터:"전인격이 육신이다")

2) '육체의 일(갈5:19-21)'은 단순히 육체적인 범죄가 아니며, '성령의 열매(22,23)' 역시 단순히 정신적인 것이 아니다.

3) '영'과 '육'은 전인격에 걸쳐서 서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 바울은 갈5:17에서 '거스른다'는 반립(反立)과 관련된 헬라어를 사용하였다.

4)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께서는 하나님의 창조의 본의를 재확정하시고 영화롭게 하기 위해 왜곡에 대항하신다. 이러한 '성령의 일'을 거스르는 것이 바로 '육체의 일'이다. (참조. 고전6:19-20;엡4:30;살전4:7-8;약4:5)

만일 너희 속에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면 너희가 육신에 있지 아니하고 영에 있나니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 (롬8:9)

 

 

 

4. 구속 - 4) 영적 전쟁

※ 구속 : 죄의 무효화를 통해 그리고 모든 곳에 미친 죄의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려는 노력을 통해 창조계의 선함을 회복하는 것 (참조. 막16:15)

또 가라사대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every creature/all creation)에게 복음을 전파하라 (막16:15)


1. 승리가 확정된 영적 活�

1) 영적 전쟁의 기본 요소
① 두 나라 : 하나님의 나라 ↔ 사탄의 나라 [부정적 의미의 '세상'] (골1:13)
② 두 왕 : 예수 그리스도 [합법적인 왕] ↔ 사탄 [찬탈자]
③ 두 군대 : 하나님의 백성 [교회] ↔ 사탄의 속박 아래 있는 자들
④ 싸우고 있는 영토 : 하나님의 창조계 모든 영역
※ 아브라함 카이퍼는 이 전투를 '반립(反立,antithesis)'이라고 불렀다.

2) 전쟁의 경과
① 하나님 나라의 영토는 하나님께서 친히 지으신 창조계 전체이다.
② 하나님의 원수인 사탄이 무력으로 그 영토를 침입하여 점령지로 차지하였다.
③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당신의 합법적 영토를 회복하시기 위해 반격하셨는데, 그의 죽음과 부활에 의해 승리는 원칙적으로 성취되었다.
④ 하나님께서 창조계에 교두보를 세우시고 모든 창조계에 대한 권리를 선포하셨다.
⑤ 우리, 곧 그리스도의 군사들은 사탄의 잔당들을 소탕하며 최후 승리를 기다리고 있다.
⑥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셔서 모든 영토 위에 하나님의 주권을 확정하실 것이다.

3) 오스카 쿨만의 비유 -「Christ and Time」
① D-Day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② V-Day :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 → 그리스도의 재림과 마지막 심판
※ 우리는 이 두 시기 사이에 살고 있으며, 승리를 확신하고 있지만 여전히 치열한 전쟁을 수행하고 있다.


2. 영적 전쟁의 성경적 이해

1) 성경의 전투적 이미지들
① 엡6:10~20 ; 하나님의 전신 갑주
② 골2:8~15 ; 철학과 헛된 속임수의 노략과 십자가의 승리
③ 고후10:3~6 ; 우리의 싸우는 병기
④ 계12:7~9,17;16:12~16;17:8~14... ; 어린양과 용 사이의 우주적 전쟁

2) 잘못된 기독교 애국주의는 하나님 나라의 대의(大義)를 특정한 국가의 지정학적 이해와 동일시한다. 성경에서 묘사되는 영적 전쟁을 이런 잘못된 기독교 애국주의에 대한 지지로 곡해해서는 안 된다.
※ 성경에 사용된 용어로써 성경을 읽어야 하며 또한 성령께서 전투적인 용어를 쓰시면서 의도하신 바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성경적 세계관은 창조계에 대한 통제권을 두고 하나님과 그 대적 사이에 심각한 전쟁이 실제로 진행되고 있음을 인정한다.

우리의 싸우는 병기는 육체에 속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 앞에서 견고한 진을 파하는 강력이라 모든 이론을 파하며 하나님 아는 것을 대적하여 높아진 것을 다 파하고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 그리스도에게 복종케 하니 (고후10:4~5)


3. 전쟁의 희생자

1) 영적 전쟁이 '영적'이라고 해서 결코 덜 심각하거나 덜 현실적인 것은 아니다.

2) 이 전쟁은 귀신 들림이나 축귀(逐鬼)의 경우에 가장 극적으로 드러나기는 하지만, 매스미디어, 의료윤리, 공공교육 등의 점진적인 세속화와 같이 뚜렷하거나 노골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드러난다.

3)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했을 때 성경적 세계관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면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을 진학하는 고등학생에게는 다음과 같은 선택의 여지밖에 남지 않게 된다.
① 예배가 교실과는 전적으로 분리된다는 지적 분열증에 빠진 삶을 영위하게 되거나
② 세속적 인본주의의 소용돌이 속에 함께 휩쓸려 가게 된다. (참조. 골2:8)

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 하여 저를 대적하라 ... (벧전5:8~9)



개혁주의적 세계관 [요약]

1) 창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훨씬 포괄적이다.

2) 타락은 창조계에 한 구석도 빠짐이 없이 철저히 영향을 끼친다.

3)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속은 타락만큼이나 그 범위가 넓다.

※ 타락 혹은 그리스도의 구원이 창조계 전체를 포괄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타락의 철저한 성격과 구속의 우주적 범위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적당히 타협하여 받아들이는 것이다.


 

출처 : 생명나무 쉼터
글쓴이 : 둥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