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인 성탄절, 예배 드려야 하나?…美 교회 '시끌'
미국에서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에 예배를 예정대로 진행할 것인가 취소할 것인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올해 크리스마스가 주일이라 벌어지는 해프닝 아닌 해프닝인 것이다.
이런 미국의 실정에 대해 여론조사기관인 ‘라이프웨이 리서치’가 1,000 명의 개신교 목회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89%의 개신교 목회자가 크리스마스에 예정대로 주일예배를 개최하겠다”고 응답해 압도적으로 많은 목회자가 교파를 막론하고 크리스마스 당일에 일요예배를 예정대로 진행할 예정인것으로 밝혀졌다.
교파 별로 살펴보면, 루터교 94%, 그리스도교 93%, 침례교 91%,
장로교 91%가 “크리스마스 당일에 예배를 개최하겠다”고 답변했다.
“일요일인 새해에 송구영신 예배를 개최한다”는 교회도 침례교 92%, 그리스도교 95%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마스에 예배를 취소하는 교회 목회자는 “크리스마스와 새해 사이의 일요일에는 가족끼리 모여 휴식을 취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예배를 진행하는 목회자는 “크리스마스 당일이 일요일인 경우 주일학교와 성경공부는 취소하지만, 폭설로 교통이 마비되는 상황이 아니면 예배를 취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산타클로스
기원[편집]오늘날의 터키에 해당하는 지역의 주교였던 성 니콜라우스라는 실존 인물과 관련된 유럽의 설화이다.
그는 남몰래 많은 선행을 했는데, 그가 죽은 후 그의 이야기는 노르만족들이 유럽으로 전했다. 12세기 초 프랑스의 수녀들이 니콜라우스의 축일 (12월 6일)의 하루 전날인 12월 5일에 과거 성 니콜라우스의 선행을 기념해 가난한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기 시작했고, 그 풍습이 유럽 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17세기쯤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이주한 네덜란드 사람들이 자선을 베푸는 사람을 성 니콜라우스라는 이름 대신 산테 클라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발음이 그대로 영어가 되었고, 19세기경 크리스마스가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오늘날의 산타클로스로 불리게 되었다. 유럽에서는 ‘크리스마스 아버지’라고 불렸으며, 지금도 영어권 밖의 지역에서는 그렇게 부르는 곳이 많다
붉은 옷의 유래[편집]붉은 모자를 쓰고 붉은 옷을 입은 모습으로 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1931년, 미국의 음료 회사 코카콜라가 겨울철 콜라 제품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자 이를 막기 위해 홍보 전략으로 코카콜라의 상징적인 색, 붉은 색을 산타클로스에게 입히면서, 백화점 홍보에 나선 것에 크게 알려졌다. 하지만 이러한 산타의 모습은 코카콜라 이전부터 있었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1][2]
굴뚝으로 들어오는 유래[편집]4세기경 터키에 세 자매가 살고 있는 가난한 집이 있었는데 그 집은 너무 가난해서 결혼을 못하고 있었다. 평소에 착한 일을 하던 주교 성 니콜라우스가 세 자매를 도와주기로 결심하는데 니콜라우스 주교는 아무도 모르게 금 주머니를 굴뚝으로 떨어트렸다. 금덩이는 신기하게도 벽에 걸어 둔 양말 속으로 들어간다. 금을 받은 세 자매는 그 돈으로 결혼한다. 니콜라우스 주교의 이 이야기가 후세에 전해져 풍습이 생겼다.
기원에 대한 각종 이설[편집]현재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의 북유럽의 국가들은 각자 자국에서 산타클로스가 유래되었다고 주장해 오고 있고, 미국,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국가들도 자국 내의 산타클로스 마을이 진짜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슈! 난제! 중요한 문제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대교회 세습은 성경적인가? (0) | 2018.01.02 |
---|---|
[스크랩] 꼭! 알아야 할 회개와 자복의 차이점 (0) | 2017.12.19 |
[스크랩] 목회자와 순교적인 설교* (0) | 2017.12.17 |
[스크랩] 큰 교회 원치않았습니다*옥한흠목사 (0) | 2017.12.17 |
[스크랩] 루머 스캔들 휘말렸을 때 어떻게 대처할까? (0) | 201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