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배경사! 형성사!!

[스크랩] 가나안의 식물

하나님아들 2015. 5. 15. 18:42

가나안의 식물

 

 

성경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매일의 삶 속에서 접했던 자연 환경 가운데 팔레스틴의 식물의 종류는 상당히 다양하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일면 어려운 동시에 성경 이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이다. 팔레스틴의 식물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복잡하며 다른 지역과는 달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상당히 변화된 양상도 보여 왔다. 즉 초기 족장 시대의 비교적 풍요로왔던 자연 환경과는 달리 대규모 정착이 이루어졌던 왕정 시대의 자연의 모습은 일면 농경지 확대로 인한 정비를 이루었으나 큰 전란을 겪고 포로에서 돌아온 시점의 팔레스틴은 상당히 황폐한 모습이었다. 예수 당시에는 많은 토목 사업이 이루어지고 도시화가 이루어진 결과로써 도시 근교의 초지는 상대적으로 사라지고 과수 재배지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적인 변화는 무시하고 큰 맥락에서 가나안의 식물 분포 및 주요 식물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1) 가나안의 식물 분포도


가나안 만큼 다양한 생태 환경을 지닌 곳도 지구상에 흔치 않다. 이는 서쪽은 바다, 동남쪽은 사막에 둘러싸인 지형적 특징과 더불어 다양한 토양의 영향과 지형의 급격한 변화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다양한 자연 환경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성경의 자연적 배경 구실을 한다. 한편 이제 식물 분포로 관심을 좁혀 보면 가나안 전면적의 70% 이상은 산림 지대이다. 그리고 습지 및 초원 지대가 약 20%이며 나머지는 사막 지대이다.

주요한 사막 지대로선 유대 남부의 네게브(Negeb) 지역과 사해를 중심한 요단 골짜기 주변의 아라바(Arabah) 광야를 들 수 있다. 이 아라바 광야는 띠 형태를 이루면서 유대 동, 남부 지역에서 아카바 만에까지 곧장 이어진다. 한편 가나안에는 넓은 초원 지대가 그다지 많지 않다. 대신 사막 언저리에 겨울에는 풀이 자라고 여름에는 시들어 버리는 스텝(steppe)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텝은 유목민들의 방목지(放牧地)로서 더없이 좋은 곳이다. 오늘날도 베두윈족들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유목 생활을 하고 있다.

아래 지도는 이러한 팔레스틴의 기본 식물 분포 지대를 보여 준다.
 


 
2)가나안 삼림 분포


가나안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림 지역은 성경 역사의 주 무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이러한 산림 지대에 대해서는 기본 이해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정착 초기에만 해도 가나안의 산악 지대에는 전나무, 참나무, 소나무, 백향목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침엽수와 활엽수가 상당히 울창하게 자라고 있었다. 그러나 정착 단계에서 행해진 벌목(伐木)과 이후 계속된 대내외적 숱한 전쟁의 와중에서의 훼손은 극심한 산림의 황폐화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시온주의(Zionism)에 입각해 고토(故土)로 돌아온 유대인들의 눈에는 거의 불모지로 보일 정도였다. 그러나 1948년 이래 꾸준히 전개되어 온 녹화 사업으로 인해 다시금 옛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참고로 가나안 산림을 그 군락(群落)형태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알렙포 소나무 숲 : 갈릴리, 유대 일부 지방 및 갈멜 산, 길르앗, 사마리아 등지에 형성되어 있다. 대개 석회질이 많은 토양 지대로 소나무류가 숲을 이룬다.


② 상록 참나무 관목 및 교목대(喬木帶) : 지중해 연안과 요단 계곡 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참나무와 테레빈나무(terebinth)가 주종을 이룬다.


③ 낙엽성 활엽(闊葉) 참나무 숲 : 샤론, 남부 갈릴리, 에브라임 산지 및 바산 지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곳들은 가나안에서 가장 광활하고 아름다운 산림지로서 참나무과에 속하는 떡갈나무(tabor oak)가 주종을 이룬다.


④ 지중해안 상록 왜성(矮性) 관목대 : 지중해 지역은 동부 및 남부 변경 지대에서 볼 수 있다. 키가 작은 왜성 관목류는 교목대나 관목대보다 황폐한 곳에 형성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⑤ 낙엽성 초원림 : 동부 길르앗에서 볼 수 있는데 준 사막성 관목과 초본(草本)들이 넓은 초원을 이루고 있다.


⑥ 열대성 오아시스 식물 : 사해 주변, 아라바 골짜기, 남부 요단 계곡 등지에 형성되어 있다. 숲을 이루는 나무들은 대개 아프리카계 열대성 식물들이다.


⑦ 사구(砂丘) 식물 : 해안의 모래 언덕이나 사막 지대에 뿌리를 깊이 내리고 자라는데 광야 여행 도중 성막 건축에 이용되었던 조각목도 이에 속하는 곳으로 볼 수 있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소금기 머금은 바람이나 흙먼지 등에 강한 특징을 지닌다.


3) 가나안의 여러 식물


성경에는 100여종의 식물이 언급된다. 이 가운데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도 포함되어 있으나, 대개는 아열대적 지중해서성 식물과 사막 지대의 식물들이다. 이는 가나안이 북위 30도와 33도 사이에 위치한 아열대 지방이면서도 주변에 지중해와 아라비아 사막, 시나이 반도 등을 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성경에서 어떤 식물이 자주 언급된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가나안에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라고 이해할 수는 없다. 가나안 전역에서 널리 경작되는 밀보다 레바논 북부 지방에서나 볼 수 있는 백향목이 오히려 더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이 성경의 실상이다. 이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성경에 언급된 식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곡물

가나안에서 생산되는 대표적 곡물은 앞서 주요 농산물에서 살펴보았듯이 밀과 보리이다. 그밖에도 콩과 팥, 귀리와 조 등이 조금씩 생산된다. 이 중 밀과 보리는 이스라엘인들의 주식(主食)인 빵의 원료가 되며, 조와 귀리 등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원산지는 근동 아시아와 중부 아시아이다. 가나안에선 10,11월에 파종하여 다음해 5,6월에 추수한다. 가장 중요한 곡물 중의 하나로 갈아서 빵을 구워 먹거나 볶은 곡식 채로 먹는다.

하나님의 말씀

(렘 23:28), 영적

축복(시 81:16)

레 23:14; 신 8:8; 삼상 25:18; 왕하 4:42

보리

가나안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경작되던 곡물이다. 파종 시기는 밀과 같으나 수확 시기는 3,4월경이다. 가난한 서민들의 주요 식량으로써 밀보다 경작하기가 수월하다.

강인함

출 9:31; 민 5:15;

욥 31:40

나맥

일명 귀리 또는 쌀보리라고 한다. 밀의 변종으로 밀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수확한다.

축 9:32; 사 28:25;

겔 4:9

일년생 초본으로 죽을 쑤거나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나 대개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

겔 4:9

중국이 원산지이다. 가나안과 인접 지역의 들판이나 밭에서 잘 자란다. 이 역시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삼하 17:28; 겔 14:9

오랜 옛날부터 밭 작물로 재배되어 왔다. 가난한 사람들이 즐겨 먹는데 주로 죽을 쑤어 먹는다.

창 25:34;

삼하 17:27-29


(2) 유실수(有實樹)


가나안에서 널리 재배되는 포도와 무화과는 이스라엘인들이 빵과 함께 즐겨 먹는 상용(常用) 음식물이다. 그리고 그밖의 유실수 중에서 올리브는 식용 외에도 다용도 기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소중한 열매이다.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살구

나무

성경에선 일명 파단행(巴旦杏)으로 번역되어 있다. 실제로는 근동 지방에 흔한 감복숭아나무를 가리킨다. 열매에 고단위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어 미용에 좋다.

부활, 소망,

각성, 보호

창 43:11;

출 25:33-36;

렘 1:11

사과

나무

성경에서 가리키는 사과란 실상 살구이다. 봄철에 연분홍 꽃이 흐드러지게 피며 열매는 서양 오얏과 비슷하다.

아름다움,

향기로움

잠 25:11; 아 7:8

무화과

나무

가장 인기 있는 과실수 중의 하나이다. 고대로부터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었는데 그 열매는 당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자유, 번영

민 13:23; 20:5;

마 7:16

쥐엄

나무

자웅 이주(雌雄 異株)로서 주로 늦여름에 꽃이 피고 그로부터 약 10개월 후에 열매를 맺는다. 달콤한 맛을 지닌 열매는 사람이 먹기도 하나 대개 가축 사료로 쓰인다.

눅 15:16

나무

열매가 검은 것과 흰 것 두 종류가 있다.이중 흰색 뽕나무는 누에를 치기 위한 것이며, 검은 뽕나무는 식용이다. 원산지는 페르시아로 추정되는데 요단 계곡에 많이 자란다.

삼하 5:23;

대상 14:14,15;

눅 17:6

비자

나무

일명 호도나무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페르시아와 트랜스코카시아로 추정된다. 그 열매는 흔히 날것으로 먹으나 간혹 볶아 먹기도 한다.

창 43:11; 아 6:11

감람

나무

장수하는 나무 중 하나로 오래된 것 중에는 1,000년을 넘은 것도 있다. 대개 5월에 꽃이 피며 그때로부터 5,6개월 후에 열매가 맺힌다. 열매는 50%이상이 기름 성분을 지니고 있어 먹기도 하나 주로 기름을 짜 여러 용도에 사용한다.

번식, 화평,

축복,

아름다움

창 8:11, 삿 9:8

느 8:15; 렘 11:16

종려

나무

성경에서 말하는 종려나무는 실제로 대추 야자나무이다. 열매는 당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영양가가 높다. 때문에 사막에 사는 베두윈족들은 낙타 젖과 대추야자를 주식으로 삼고 있다.

의, 승리,

아름다움

레 23:40; 삿 4:5

요 12:13

석류

나무

원산지는 동인도 제도이다. 열매는 오렌지 크기이며 새콤하고도 감칠 맛을 지니고 있다. 즙으로 술을 빚기도 하며 열매 껍질은 염색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풍요

출 28:33; 민 20:5;

신 8:8

포도

나무

온대에서 아열대 지방에 걸쳐 널리 재배되는 나무이다. 그 종류만 해도 수백 종으로써 형태와 색깔, 맛과 당분 등이 각기 다르다. 가나인에선 8,9월이 포도 수확철이다.

평화, 비옥,

번영

창 40:10; 신 8:8;

사 7:23; 마 7:16


(3) 채소와 박과(珀果) 식물


근동인들의 기본 요리 재료에 양념으로 추가하는 파, 마늘, 부추 등은 가나안에서도 자생하거나 재배된다. 그리고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수박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가나안에서 재배되어 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성경에서 말하는 파는 실상 양파이다. 가나안에는 이웃 애굽에서 전래 되었는데 점차 개량종이 개발되었다.

민 11:5

마늘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서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일찍부터 재배되었다. 주요 양념의 하나로 특이하고 짙은 냄새가 난다.

민 11:5

부추

매운 맛을 지닌 초본으로 날 것으로도 먹으며 양념으로도 사용한다. 근동 여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우리 나라의 부추와 비슷하다

민 11:5

수박

가나안과 그밖의 지역에서도 즐겨 먹는 과실이다. 살과 즙이 많은 과육은 향기가 좋고 청량제 구실도 한다.

풍성함

민 11:5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참외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애굽에서는 아주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었다.

민 11:5


(4) 섬유 식물


가나안의 주요 밭 작물 중 하나인 삼, 즉 아마(亞麻)는 근동 지역의 대표적 섬유 식물이다. 한편 목화가 언제부터 가나안에서 재배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성경에서 말하는 삼은 대개 아마를 가리킨다. 아마를 손질하여 베를 짜는 방법은 고대로부터 알려져 왔다. 그 열매는 짜서 기름을 뽑으며 남은 열매 찌꺼기는 사료로 이용된다.

출 9:31

목화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지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재배되었다. 다년생 초본으로서 열매 안에 희고 긴 실로 싸여 있는 씨앗이 들어 있다.

온화함

에 1:6


(5) 향료와 조미료


성경에 언급된 것들 중에는 박하처럼 가나안에 자생하는 것도 있으나 외국에서 수입해 쓰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회향

일년생 초본으로 꽃은 노란 색깔이다. 열매는 납작하고 조그마한 날개가 달려 있는데 방향성(芳香性)이 있어 약용, 향료로 쓰인다.

지혜

사 28:25; 마 23:23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이다. 열매는 약용으로 쓰이며, 잎은 채소와 향료로 쓰인다.

출 16:31; 민 11:7

대회향

일년생 초본이다. 강력한 방향 성분을 지니고 있는 열매는 향료, 음료, 과자, 빵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사 28:25; 마 23:23

박하

가나안 도처에서 자생하는 물풀과(Mentha) 식물이다. 잎과 꽃에서 향료를 채취한다.

지혜

눅 11:42

겨자

가나안 도처에선 잡초처럼 취급되는 흔한 풀이다. 씨앗은 아주 작고 검은 색을 띤다.

작음

마 13:31; 17:20

번홍화

다년생 초본이다. 향수 및 의약품, 염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다.

아 4:14

침향

남부 아시아에 자생하는 열매를 맺는 상록 교목이다. 약품과 향료로 사용되며 향기가 좋아 그 나무는 분향용으로도 쓰인다.

이스라엘

교회

시 45:8; 잠 7:17;

요 19:39

유향

달콤한 향내가 나는 흰꽃이 피는데 잎사귀를 짓이겨 빨강, 노랑, 오렌지 색깔의 물감을 얻을 수 있다. 여인들이 화장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

아름다움

아 1:14; 4:13

창포

인도 및 인근 지역에서 향료로 널리 사용한다. 다년생 초본으로서 방향유를 뽑을 수 있는 식물이다.

아름다움

출 30:23; 아 4:14

육계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반도 등지에서 자생하는 상록 교목이다. 식물의 뿌리에 대단히 향기로운 성분이 들어 있어 향수와 향료로 사용된다.

호의

출 30:23; 잠 7:17;

아 4:14

풍자향

키 큰 다년생 초본으로 노란색 또는 연두색 꽃이 핀다. 줄기와 뿌리에서 점착성(粘着性) 액체가 나오는데 불에 태우면 강한 향기가 난다.

부귀

출 30:34

몰약

서남 아라비아, 아비시니아, 소말릴란드 등지에 자생한다. 가지나 줄기에서 향기가 나는데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약간 떫고 매운 진이 나온다. 이 수지는 약재, 향수 원료, 방부제 등으로 사용된다.

연인(아 1:13),

입술(아 5:13)

창 37:25; 아 5:13;

막 15:23; 요 19:39

나드

마타리라의 다년생 초본이다. 히말리야에 자생하는데 여러 나라에서 향료로 사용한다.

막 14:3; 요 12:3


(6) 임목(林木)과 관목(灌木)

성경에서 흔히 언급되는 나무들로는 백향목, 상수리나무, 조각목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백향목은 성전과 왕궁을 짓는데, 그리고 조각목은 성막(tabernacle) 및 성막 기구 제작에 사용되기도 했다(출 25:10,23; 26:15,26).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백향목

레바논의 특산물이며 소나무의 일종이다. 재질이 단단한 데다 잘 썩지 않으며 윤기와 향기가 좋아 가구나 고급 건축 자재로 사용된다.

영광, 위엄.

아름다움

레 14:4; 왕상 4:33;

시 80:10; 겔 27:5

조각목

시나이 반도에 자생하는 싯딤나무이다. 일명 애굽 아카시아로도 불리우나 이 나무는 우리나라의 아카시아와는 다르다. 나무에 옹이가 많고 가늘어서 훌륭한 목재는 아니나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강인함

출 35:7; 36:20;

37:1; 신 10:3

떨기

나무

장미과에 속하는 떨기류로 가나안과 시리아 전역에 자생한다. 높이는 90cm가량이며, 흰 꽃 또는 연분홍 꽃이 송이를 이루며 핀다.

출 3:2-4

잣나무

동부 지중해 연안국에 자생한다. 관상용 또는 방풍림으로 심기도 하는데 높이는 9-15m이다.

하나님, 축복

사 41:19; 60:13;

겔 27:5

로뎀

나무

가지가 많은 관목으로 싸리 나무처럼 생겼다. 사막과 모래 언덕에서 자라는 나무로 베두윈족들이 땔감으로 사용한다.

왕상 19:5

월계수

가나안과 지중해 연안의 여러 나라에 자생한다. 봄에 흰 꽃이 피며 열매는 검은 빛으로 장과(奬果)이다. 잎과 열매는 향료로 쓰이며 나무에서 나는 방향액은 약재로 사용된다.

승리

사 44:14

우슬초

하얀 솜털이 나 있는 다년생 관목이다. 높이 30-60cm로 작은 흰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며 박하향을 풍긴다.

겸허, 비천

출 12:22; 레 14:4;

요 19:29

짠나물

명아주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염분이 많은 땅에서 흔히 자라며 초록빛 작은 꽃이 핀다.

궁핍

욥 30:4

화석류

60-120cm높이의 상록 관목이다. 식물 전체에서 향기로운 액이 나오므로 향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평화, 감사

느 8:15; 사 55:13;

슥 1:8

상수리

나무

가나안과 동부 지중해 연안국에 흔한 참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높이 15m 정도이며 꽃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거룩

창 35:4; 수 24:26;

사 6:13

신풍

나무

낙엽성 교목으로 가나안 북부 지방에서 주로 서식한다.통칭 플라타너스인데 학계의 정식 명칭은 버즘나무이다.

창 30:37; 겔 31:8

버드

나무(a)

동부 지중해 전역에 흔한데 우리 나라의 버드 나무와는 다르다. 봄에 꽃이 피는데 오렌지나무의 꽃과 유사하다. 초록빛 열매는 개암과 비슷하다.

창 30:37; 호 4:13

버드

나무(b)

참버드나무 또는 유프라테스 포플라로 추정된다. 강가나 산간 지대에서 볼 수 있으며 열매는 삭과(朔果)이다.

레 23:40 시 137:2

에셀

나무

사막, 모래 언덕, 늪지 및 강변 등 어디서나 잘 자란다. 늦 여름에 꽃이 피는데 희고 자그마한 꽃이 송이를 이룬다.

창 21:33; 삼상 22:6

갈대

가나안 전역의 강가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1.2-3m의 높이에 굵기는 1-2.5cm이다.

심판

연약함

왕하 18:21; 욥 40:21

왕골

사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 3-4.5m에 굵기는 3-8cm로 멍석, 파피루스, 작은 배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훌레 계곡 및 가나안 해안 평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출 2:3; 욥 8:11

애기

부들

다년생 초본이다. 가늘고 긴 줄기 위에 아주 조그마한 꽃과 열매가 달린다. 한글 개역 성경에선 갈대로 번역되어 있다.

연약

출 2:3,5; 사 19:6

가시

나무

가나안에서만도 이 종류에 속하는 것으로 100여종이 있다. 가나안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가지로 그리스도의 가시 면류관을 만들기도 했다.

멸시, 조롱,

고난

출 22:6; 마 27:29;

요 19:2

찔레

식물 전체에 보드라운 털이 나 있는 다년생 초본이다. 사해 부근과 요단 계곡 남쪽에 자생하며 꽃은 연분홍 또는 푸른 색이다.

고통, 해악

미 7:4

엉겅퀴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노란색 꽃이 핀다. 겨울에 나는 잎은 요리 재료로 쓰이기도 했다.

무가치, 고난

창 3:18; 사 34:13


(7) 기타

이 름

특 징

상징적 의미

성경 구절

쐐기풀

일년생 초본으로 가나안에는 4종류가 있다. 꽃과 열매는 초록빛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습지, 쓰레기더미, 길가에서 잘 자라며 몸에 닿으면 자주색 액체를 분비한다.

불신앙

심판, 파멸

욥 30:7; 습 2:9

가라지

벼과 식물의 독보리를 가리킨다. 낱알 껍질 밑에 자라는 곰팡이 탓으로 이 낱알이 들어간 밀가루는 씁쓸한 맛을 띠며 유독하다.

죄악, 오염

마 13:24-30

독초

가나안 전역의 황무지에 흔한 초본이다. 유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당근과 비슷한 잎사귀가 난다.

분노, 심판

신 29:18; 렘 23:15

국화과 초본으로 우리 나라의 쑥과 유사하다.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는 잎은 식용이나 약재로도 쓰인다.

부정, 처벌,

고통

신 29:18; 렘 23:15

쓴나물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 식물은 국화과 식물이다. 베두윈족들은 쓴 맛이 나는 데도 이것을 나물로 먹는다.

슬픔

출 12:8; 민 9:11

박덩굴

스미스(Smith)와 같은 학자는 이를 아주까리로 추정하기도 한다. 아주 까리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한편 박은 일년생 초본으로 열매는 바가지를 만드는 데 쓰인다.

시원함

욘 4:6,7

합환채

만드라고라(mandragora)라 불리우는 식물이다. 희고 붉은 꽃이 핀 후 노란색 열매를 맺는다. 고대 근동 지역에선 최음제(催淫劑)로 사용되었다.

사랑

창 30:14-16;

아 7:13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