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342

신론 (Theology Proper)

신론 (Theology Proper) I. 하나님의 존재 A. 삼위일체 1. 유대인의 유일신 신앙: 하나님은 한분이시다. 신 6:4 Shema 들으라.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 이시다! 출애굽 후 광야생활 40년이 지나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에 모세가 이스라엘에게 신신당부한 말씀. 실천적 무신론 아담의 타락 전후에 하나님과 대화, (추론)노아 시대의 사람들도 하나님이 한 분이신 것을 알지만,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에 있지 못했다(불순종). 하나님과 대화를 한다고 해서 신앙이 있는 것이 아니다(가인) 대홍수 이후에 8명이 살아남음. 그의 후예들이 하나님을 잘 섬기지 않고 바벨탑을 쌓음. 하나님의 진정한 의도를 생각하지 않음. 실천적 무신론: 하나님 말씀에 순종을 하지 않으면서도 예수를 믿는다고 생각하는 사..

하나님 2020.08.21

신약의 하나님의 이름

신약의 하나님의 이름 ​ ​ 마태복음 6장 9절-13절 ​ 하나님의 이름은 인간의 이름처럼 고유성을 가지기 위한 구별을 위함이 아니다 . 하나님은 홀로 한분이시기 때문에 자신에게는 이름이 필요가 없다 . 하나님의 이름에는 그의 신성과 능력이 있어 인간 영혼의 구원을 위해서 또는 복을 주시기 위해서 주신 이름이라는 것을 전편 글에 말했다 . ​ 1. 테오스 (θεοs)이신 하나님 ​ ​ 테오스 신약시대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테오스]로 총칭한다. 테오스란 이름은 구약에 8가지 의미를 함유한 복합적인 이름이다 . 그러면서도 단 한 분이신 하나님을 나타내신다. . 그리고 믿는 자들과 구속 관계에서 칭호 되었다 . ​ (눅12:6)참새 다섯이 앗사리온 둘에 팔리는 것이 아니냐 그러나 하나님 앞에는 그 하나라도 잊..

하나님 2020.08.16

하나님의 영원전 작정(RAAD)과 역사 속에서의 행하심(DAAD)

하나님의 영원전 작정(RAAD)과 역사 속에서의 행하심(DAAD) 본 연구는 후선택설과 전선택설에 대한 것인데, 화란의 최근 개혁신학계에서 특별히 A. 카이퍼, H. 바빙크, K. 데이크, G.H. 케르스턴, J.J. 판더 스카이트, K.스킬더, 그리고 G.C.베르카우어의 견해들을 요약하고 검토하고 있다. 각 신학자의 견해들의 특징들 몇가지가 먼저 제시되고, 그런 후 우리의 주제에 관한 그의 그들의 견해들이 뒤따르고 있다. 근본적인 주제는, 16세기와 17세기의 이 주제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죄를 그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허용하셨는지(전택설), 아니면 창조의 작정 후에 죄를 작정 가운데서 허용하셨는지(후택설); 선택이 창조와 타락의 전(전택설)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니면 그 후(후택설)에 있는 것..

하나님 2020.08.11

하나님의 절대적 인격의 속성들

하나님의 절대적 인격의 속성들 1. 하나님의 속성과 이름들 1) 이 교리를 고찰하는 목적 우리로 하여금 올바르게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도록 하려는 것. 어떻게 하나님을 예배할 것이며 어떻게 참된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인가를 배우는 것. 주님이 사마리아 여인에게 가르쳐주신 방식으로 예배 드리지 않는다면 결코 참된 예배를 드릴 수 없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요4:24)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요4:23) 2) 이 교리에 접근하는 방법 이름보다 속성을 먼저 다룬다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가게 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은 어떤 사람도 가까이 할 수 없는 영광, 절대로 접근할 수 없는 빛 안에 거하신..

하나님 2020.08.11

신론 (Theology Proper)

신론 (Theology Proper) I. 하나님의 존재 A. 삼위일체 1. 유대인의 유일신 신앙: 하나님은 한분이시다. 신 6:4 Shema 들으라.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 이시다! 출애굽 후 광야생활 40년이 지나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에 모세가 이스라엘에게 신신당부한 말씀. 실천적 무신론 아담의 타락 전후에 하나님과 대화, (추론)노아 시대의 사람들도 하나님이 한 분이신 것을 알지만,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에 있지 못했다(불순종). 하나님과 대화를 한다고 해서 신앙이 있는 것이 아니다(가인) 대홍수 이후에 8명이 살아남음. 그의 후예들이 하나님을 잘 섬기지 않고 바벨탑을 쌓음. 하나님의 진정한 의도를 생각하지 않음. 실천적 무신론: 하나님 말씀에 순종을 하지 않으면서도 예수를 믿는다고 생각하는 사..

하나님 2020.08.11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시는가(1)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시는가(1) 박일민 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하나님은 졸거나 주무시지 않는다. 하나님은 늘 깨어서 일하고 계신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요 5:17)고 하시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하셨다. 하나님은 무슨 일을 어떻게 하고 계시는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계획을 하시는 일과, 계획을 실행에 옮기시는 일과,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간섭을 하시는 일이다. 우리는 이것을 각각 작정, 창조, 섭리라고 부른다. 이 중 작정과 창조에 대해서 다루되 본호에서는 작정, 다음호에서는 창조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기로 하자. 1. 작정의 대상과 목적 하나님은 "모든 일을 그 마음의 원하시는 대로 역사"하는 ..

하나님 2020.07.10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시는가(1)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시는가(1) 박일민 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하나님은 졸거나 주무시지 않는다. 하나님은 늘 깨어서 일하고 계신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요 5:17)고 하시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하셨다. 하나님은 무슨 일을 어떻게 하고 계시는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계획을 하시는 일과, 계획을 실행에 옮기시는 일과,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간섭을 하시는 일이다. 우리는 이것을 각각 작정, 창조, 섭리라고 부른다. 이 중 작정과 창조에 대해서 다루되 본호에서는 작정, 다음호에서는 창조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기로 하자. 1. 작정의 대상과 목적 하나님은 "모든 일을 그 마음의 원하시는 대로 역사"하는 ..

하나님 2020.07.10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교의학 03 / (The Divine Essence an Attributes) 저자/역자 : 리처드 멀러/김용훈 | 출판사 : 부흥과개혁사 발행일 : 2014-12-30 | (150*228)mm양장 960p 판매가 : 45,000원 → 40,500원 신학서론과 개혁파 신학체계의 두 원리들(principia)에 대한 본 연구는 실로 그 자체로 스콜라주의적인 정통주의 개신교 사상에 대한 논의와 부분적인 재평가를 위한 알맞은 기초를 제공한다. 함께 다루어진 이 세 개의 논제들(loci)은 17세기 신학의 전제들과 방법들에 대한 일별을 제공한다. 정통주의자들이 신학 원리들로 규정했고 아마 틀림없이 개신교 정통주의의 정신에 가장 중요했던 이 교리들의 두 가지 내용들―성경..

하나님 2020.07.10

하나님의 속성들

하나님의 속성들 하나님의 속성(屬性, attribute)이란, 하나님의 존재와 그 사역들에 있어서 그에게 돌려지는 성질을 가리킨다.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결코 그 둘을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다. 하나님의 전(全) 본질은 각 속성에 관계되어 있고, 하나님의 모든 속성들은 전 본질에 관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비록 하나님의 본질(what) 자체에 대해서 묵상하거나 파악하기 어렵다 할지라도, 하나님의 계시된 속성들(what kind of)을 통하여 그의 본질에 대해 좀더 많은 지식을 가질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어떤 존재이신지 즉 하나님의 본질이 무엇인지는 정의(定義)하기 어려우나, 그의 속성들로 그를 서술할 수는 있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4문: "하나님은 어떤 분..

하나님 2020.04.20

아버지의 예정과 선택

부제: 신앙 삶의 전략과 전술(3)/신앙 삶도 detail에 있다(67) 사도 바울은 하나님을 이렇게 소개한다.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11:36절) 만물(萬物)은 하나님의 창조 결과이다. 당연히 만물은 주(主: Lord)로부터(from)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through) 마침내 주에게로(unto) 돌아간다. 주(主)가 출발(from), 과정(through)과 도착(unto)을 모두 주도한다. 출발에서 계시된 목적(目的: purpose, aim)은 과정(過程: process, development)을 거쳐 도착(到着: arrival)에서 달성된다. 주(主: Lord)에 의한 출발(from)은 무엇인가? 출발은 사전 계획..

하나님 20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