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357

각 제사의 요소(要素)와 영적의미의 상해(詳解)

각 제사의 요소(要素)와 영적의미의 상해(詳解) 제사명 제사의 요소 영 적 의 미 번제 (1) 흠없는 제물(레1:3) 그리스도께서 원천적으로 완전하심을 예표함(고후5:21;벧전1:19) 성도가 헌신하되 자기자신을 최선의 상태로 온전히 주께 드려야함을 상징함 (2) 경배자가 제물의 머리에 안수하여 죄를 전가함(레1:4)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죄를 대신 짊어 지심을 예표함(요1:29;고후5:21) (3) 경배자가 제물을 죽임(레1:5)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속죄를 위해 죽으심을 예표함(마20:28;롬4:25) (4) 제사장이 제물의 피를 단 사면에 뿌림(레1:5)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속죄를 위해 피흘리심을 예표함(마26:28;히9:12-14) (5) 제사장이 제물의 각을 뜸(레1:6-8) 그리스도와 성도가 헌신..

성경에 나타난 '법'과 관련된 용어들

성경에 나타난 '법'과 관련된 용어들 성경에는 법과 관련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계명도 법이며, 인간 사이에서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것도 법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법과 관련된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와 정의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 조금의 차이에서도 우리는 많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 안에 숨겨진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법과 관련된 용어들의 사용과 원어를 살펴봄으로 성경과의 gab을 줄여보기 원한다. 1. 구약의 용어들 법 계명 율례 법도 규정 명령 hr;/T (토라) hQ;j (훅카) hr;/T (토라) tr,m,v]m (미쉬메레트) qj (호크) hw:x (차와) 율법, 지시 가르침, 훈계 계명, 법령 규정, 법령 법규, 관습 율법, 지시 ..

이적(異蹟), 기적(奇蹟)과 표적(表蹟)의 차이점

이적(異蹟), 기적(奇蹟)과 표적(表蹟)의 차이점 이적, 표적, 기사 이 세 가지는 성경에서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① '이적'(異蹟)은 상식적이고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이거나 초이성적인 비상한 사건(일)을 가리킨다. ② '표적'(表蹟, sign)은 초자연적 능력에 의해 외부로 나타난 현상을 말한다. '표징'과 동의어로 쓰인다. 표적은 이적을 실현하는 자의 신분과 그 이적이 뜻하는 바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막16:20; 행14:3). ③ '기사'(奇事, wonder)는 기이하고 경이로운 일 또는 장래 일에 대한 징조나 암시를 가리킨다(시106:22; 단6:27; 마24:24). 놀라운 일을 경험한 자의 입장에서 나타낸 표현으로, 주로 그 사건의 신비성에 강조점..

이적(異蹟), 기적(奇蹟)과 표적(表蹟)의 차이점

이적(異蹟), 기적(奇蹟)과 표적(表蹟)의 차이점 이적, 표적, 기사 이 세 가지는 성경에서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① '이적'(異蹟)은 상식적이고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이거나 초이성적인 비상한 사건(일)을 가리킨다. ② '표적'(表蹟, sign)은 초자연적 능력에 의해 외부로 나타난 현상을 말한다. '표징'과 동의어로 쓰인다. 표적은 이적을 실현하는 자의 신분과 그 이적이 뜻하는 바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막16:20; 행14:3). ③ '기사'(奇事, wonder)는 기이하고 경이로운 일 또는 장래 일에 대한 징조나 암시를 가리킨다(시106:22; 단6:27; 마24:24). 놀라운 일을 경험한 자의 입장에서 나타낸 표현으로, 주로 그 사건의 신비성에 강조점..

계명, 율례, 법도, 규례의 차이

계명, 율례, 법도, 규례의 차이 구약은 하나님의 율법(law)과 율례(statutes)와 규례(ordinances)에 관해 자주 말한다. ​ 십계명은 기초가 되는 율법이다. 이 계명들은 완전치 않기 때문에 율례들이 보충한다. 이 때문에 출애굽기 20장에 있는 계명들 다음에 출애굽기 21장-23장까지는 십계명의 세부사항들과 이 계명들을 보충하는 많은 율례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율례에는 심판이 들어 있지 않다. 일단 심판을 율례에 추가하면 그 율례는 규례가 된다. 예를 들어 십계명중 하나는 안식일을 지키는 것에 관련된다(출 20:8-11). 이 계명을 보충하는 율레들은 안식일에 무엇을 행할 수 있는가에 관해 몇가지 세부적인 사항을 제공한다. 어떤 율례는 여행에 관해서(행 1:12), 어떤 것은 ..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豫定)

하나님의 작정(作定)과 예정(豫定)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은 쉽지 않은 교리입니다. 사람마다 교단마다 교파마다 생각과 주장이 다릅니다.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것만을 공부합니다. 오늘은 먼저 하나님의 작정이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1. 하나님의 작정(the Divine Decrees)이란 무엇인가 1) 하나님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정하신 영원한 목적이 있습니다(엡 1:11, 시 33:11). 2) 하나님은 그의 영광을 위하여 일어날 모든 일을 미리 정하셨습니다(롬 9:22, 행 2:23). 이것을 하나님의 작정이라고 합니다. 3) 그러나 이 문제는 교파마다 강조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매우 난해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4) 작정의 문제는 주로 칼빈주의 교단에서 배우게 됩니다., 2. 성경은 하나님의 작정을 어떻..

하나님의 작정(作定)

하나님의 작정(作定) 우선 우리는 하나님의 작정을 설명할 때 '예정교리'라고 하는 설명을 들었을 것이다. 이 부분을 간략하게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① 하나님의 영원한 지혜에 기초 ②장차 일어날 일들 ③불가항력적(롬9:19)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뇨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뇨 하리니 ④무조건적:unconditional ⑤불변적 ⑥총 포괄적 하나님 작정의 의미 Decrees, Predesfiration이라 하며 하나님의 작정이란 하나님께서 장차 발생할 모든 일들을 미리 정하시는 그의 영원하신 계획 혹은 영원하신 목적이라 정의 할 수 있다. 이 하나님의 작정은 여러 가지 특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단일한 작정이지만 우리는 가끔 하나님의 작정을 복수형으로 말하곤 한..

하나님의 섭리(攝理)

하나님의 섭리(攝理) 1. 섭리의 정의 하나님은 당신이 창조하신 만물을 그 작정의 목적에 합당하게 유지 보전시키실 필요가 있는데, 이의 전 과정이 바로 섭리(providence)이다. 2. 섭리의 대상 정신적·물리적 사건을 포함하여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 세계의 모든 일이 하나님 섭리의 대상이나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우주(시 103:19 ; 단 5:35) 2) 물질적 세계(시 104:14 ; 마 5:45) 3) 동물계(시 104:21,28 ; 마 6:26 ; 10:29) 4) 국가적 사건(욥 12:23 ; 행 17:26) 5) 사람의 출생과 운명(삼상 16:1 ; 시 139:16 ; 사 45:5 ; 갈 1:15,16) 6) 인간의 성공과 실패(시 75:6,7 ; 눅 1:52) ..

남은 자

남은 자 (remnant / shaar / sheerit / leimma / yatal / hypoleimma / palat /malat / sharid / aharit / loipos / kataloipos / hypoleipo) I. 남은 자 무서운 재난에서 살아남은 공동체의 한 무리를 가리키거나 공동체의 가능한 미래의 생존이 거기에 달려 있는 한 무리를 가리킨다. 수 10:40, 대하 20:23-24, 렘 50:26과 같은 구절들은 세속적 영역에 있어서 남은 자조차 하나도 없게 하는 완전한 파멸의 원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창32:7-8, 삿 21:16-17과 같은 구절들은 공동체의 미래의 생존의 책임을 짊어진 자로서의 '남은 자' 의미를 설명한다. 이 용어의 신학적 용법은 죄악에 가득차고 비신앙적인..

사랑에 대한 이해

사랑에 대한 이해 1. 사랑의 의미(意味) 1) 하나님께 속한 것으로 (요일4:7), 하나님의 속성입니다(요일4:8,16). 2) 한없이 베푸는 일로(창22:2;요일4:7), 희생과 동의어입니다(레19:18;고전13:3). 3) 성도로서는 온전하게 매는 띠입니다(골3:14). 2. 사랑의 목적(目的) 하나님의 백성이 되기 위함입니(레26:12;렘31:1;히8;10;계21;3;벧전2;10). 3. 사랑의 구분(區分) 1) 하나님의 인간에 대한 사랑 하나님께서 그 외아들 그리스도를 세상에 주신 일에 의해(요3:16), 또는 죄인인 인간을 위해 그리스도께서 죽으심으로써(롬5:8), 하나님의 사랑이 분명해진 것입니다 (호2:16,20;요3:16;롬5:8). 2) 인간의 하나님에 대한 사랑 사죄의 사랑에 대한 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