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구약개론!! 281

구약성경 39권의 개요

구약성경 39권의 개요 1. 창세기 (50장) 창조하시는 하나님 1 기록연대 B.C1446-1406년경 저자 : 모 세 장소 : 시내 광야 2 대 상 이스라엘 백성 3 요 절 (1: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4 주 제 인류의 구속역사를 위한 서막 5 핵심인물 아담, 하와, 노아, 아브라함, 사라, 이삭, 리브가, 야곱, 요셉 6 기록목적 하나님의 창조사역과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들을 일반백성들로부터 분리하시는 점진적인 구원사역을 기록 7 내 용 1. 창조와 인간타락 (1:1-5:32) 2. 홍수심판, 인류분산 (6:1-11:32) 3. 아브라함의 생애 (12:1-25:18) 4. 이삭의 생애 (25:19-26:35) 5. 야곱의 생애 (27:1-36:43) 6. 요셉의 생애 (37:1-50:..

구역성경 배열 순서와 그 의미는

구역성경 배열 순서와 그 의미는 구약성경은 연대기 순으로 기록되어있지 않은데 그 배열의 순서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답변 : 66권의 성경 순서는 전체적으로는 연대기를 우선하되, 내용별로 모았습니다. 성경을 둘로 나눌 때는, 구약과 신약으로 나눕니다. 두 말할 것 없이 연대순서가 성경 66권의 순서에서는 가장 큰 틀이라는 뜻입니다. 1. 구약을 먼저 살펴본다면 성경 기록 연대로 보나 그 성경 내용으로 볼 때, 창세기로부터 시작되는 모세 5경이 제일 먼저 있습니다. 창세로부터 모세 때까지를 기록한 다음 가나안에 들어가는 '여호수아'서, 그 이후 이어지는 시대가 '사사기'의 사사시대입니다. 그리고 '사무엘서' '열왕기서' '역대서'는 사사기 이후의 이스라엘 왕정시대를 연대기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사사기..

구약 성경의 산책

구약 성경의 산책 서 론 1) 성경을 개관하는 작업이 필요한 이유 * 나무는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 전체를 먼저 보고 나서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 좋다. 2) 구약 성경의 구조를 알아봅시다. * 우리말 성경(39권)-율법서(5), 역사서(12), 시가서(5), 선지서(17) - 역사서(17)-역사 이야기(이스라엘의 시작-끝), 과거 이야기, 사건 중심 - 시가서(5)-노래, 현재 신앙의 삶, 자기 개인의 경험 - 선지서(17)-대선지서(5)-사, 렘, 겔, 단, 애, 소선지서(12)-설교, 미래에 대한 기대 * 히브리 성경(24권)-토라1권,사무엘서(1권),역대기(1권),열왕기서(1권),소선지서(1권) * 모두 일어나 창세기-말라기까지 외워본다. 틀린사람은 앉고 끝까지 남은사람은 상을준다. 지도 보기..

구약총론

구약총론 Ⅰ. 서론 1. 신학이란 무엇인가? 토마스 아퀴나스 - 철학은 신학의 시녀이다. - + - 하나님의 말씀을 들음 - 말씀연구(기도가 필수적임) ☞Every Pastor must be a theologian 2. 신학의 분과 1)주경신학 - 총론(구약총론, 신약총론) - 일반총론 - 정경학 비평학 - 고등비평 하등비평(본문비평 -저자, 역사성, 특징, 문체, 본문전승) - 특수총론(각론) - 성경 각 권의 저작 및 개요 - 역사(지리, 고고학, 이스라엘 역사, 구약역사) - Hermeneutics(성경해석의 방법론) - Exegesis(석의, 주석) - 성경 각 권의 연구(성경해석방법) - 성경신학(Biblical Theology, 또는 계시역사) - 석의 결과 신학이 형성됨. 신학이 주석을 보조..

구약성서개론(舊約聖書槪論)

구약성서개론(舊約聖書槪論)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김이곤(金二坤) Prof. Ee Kon Kim, Ph. D. 한신대학교 Hanshin University II. 오경(五經: Pentateuch) § 16. 용어와 내용 1. 용어: ①창 → 신: ή πεντα-τευχος penta-teuchos(AD 2C Tertullianus의 글에서 발견. ②다섯 권의 책을 한 단위로 묶어 구분한 것, 주전 4세기 경에 이루어진 것으로 봄(왜? 주전 3세기의 LXX가 이미 이 구분을 알고 있다는 점) ③학자들이 추가적으로 만든 용어: tetra-teuch(4경), hexa-teuch(6경), Hepta-teuch(7경), Octa-teuch(8경), Ennea-teuch(9경) ..

구약 개론 7

구약 개론 1. 개론학사와 개론학의 방법들 1) 구약개론학의 과제를 간략히 서술하라.(26-27) 개론학은 고고학의 덕분으로 재현되는 고대중동의 틀 속에서 보이는 구전전승의 과정에서 부터 개별문서들의 문서적인 고정과 여러 책들의 요약을 거쳐 구약이 정경으로 합생되고, 문서 형태의 최종적인 확정에 이르기까지 구약의 문서들의 성립과 전승을 추구해야 한다. 2) "개론"이란 표시를 제일 먼저 사용한 사람은?(28) 아드리아누스 신부가 그의 저서 "성서들 개론(Einleitung in die gottlichen Schriften)"에서 사용하였다. 3) 중세기의 구약개론 학자들은 누구인가?(28) 라쉬(Raschi)라는 사람과 이븐 에스라(Ibn Esra) 이븐 에스라는 축자영감설때문이라도 단지 암시적으로만 이..

구약개론

제목: 구약개론 (김성주 교수) 구약연구 목차 1. 하나님 나라를 중심으로 본 성경------------------ 3 A. 구약에 대한 critical approach-------------------3 B. 성연구의 도입--------------------------------4 C. 성경의 역사성--------------------------------6 2. 창세기---------------------------------------11 3. 출애굽기-------------------------------------37 4. 레위기---------------------------------------67 5. 민수기---------------------------------------87 6. 신..

구약 서론

구약 서론 1. 목적 첫째, 구약 성경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계시에 의해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을 인식하는데 있다. (계시성) 둘째, 구약 연구의 방법과 과제를 아는 것에 있다. 2. 참고서 정 규남, [구약개론] (개혁주의신행협회) 포괄적 내용을 다룸. J. Young [구약총론] 문서론을 중점으로 다룸으로 편협적임. M. F. Unger [구약개론] 정경과 가경을 치중해서 다룸. 홍 반식 [구약총론] 전반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개론적으로 다룸. G. L. Archer [구약총론] 문서론을 중점적으로 다룸. R. K. Harrison [구약서론] 구약신학 발전사, 이스라엘 역사 W. Kaiser [구약총론] 단편적인 개요서. Ernst Wurthwein [The Text of the O. T] 사..

구약 각권 연구

강사 : 최영찬 목사 충 현 교 회 성 경 연 구 원 서 문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공부해야 한다. 그러나 혼자 하나님의 말씀을 공부하는 일은 쉽지 않다. 교회를 오래 다닌 사람들 중에도 성경에 대하여 부분적으로만 알고, 전체적인 눈을 가지지 못한 경우가 많다. 시중에는 우리들이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여러 가지 교재들이 나와 있다. 그 교재들은 각자 나름대로 그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 나름대로의 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교재를 선택하여 공부함으로서 체계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공부할 수 있다. 이 책은 성도들에게 성경 전체에 대한 눈을 가지도록 도와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림을 통하여 성경을 지루하지 않고 쉽게 공부..

구약성경의 9가지 핵심

구약성경의 9가지 핵심 Ⅰ.서 론 성경이 지닌 통일성은 성경을 대하는 수많은 독자의 생각과 마음에 지울 수 없는 인상을 부각시켰다. 곧 창세기의 처음 세 장의 주제가 요한계시록의 마지막 세 장의 주제와 너무나도 두드러진 유사점을 지닐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있는 모든 장들이 너무나 긴밀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어 성경을 존재케 하신 하나님의 목적을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성경의 기본적인 통일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들이란 다름 아닌 중요한 성경 개념들의 발전과정을 성경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 책의 목적은 그 같은 방법을 통해 구약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는 주제 아홉가지-유일신론, 하나님의 절대 주권, 선택, 언약, 신정정치, 율법, 희생제도, 믿음, 구속-을 보수적이면서도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