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의신학서론4
제2편 교의신학 인식론
제1장 교의신학의 인식론 제1절 지식의 원리 1. 실유의 원리 2. 외적 원리 3. 내적 원리 제2절 종교의 원리 - 실유의 원리 1. 종교와 신학의 관계 2. 종교의 본질 3. 종교의 기원 4. 종교의 좌소
제2장 신앙과 이성 제1절 신앙 - 주요한 내적 원리 1. 이성이냐? 신앙이냐? 2. 신앙 수위의 타당성 3. 신앙의 근거 제2절 이성 - 종속적 내적 원리 1. 이성의 고위 2. 이성의 종속
제3장 계시 제1절 계시의 개념 1. 계시의 의미 2. 기초적 가정 3. 부정적 견해 4. 계시의 방도 5. 계시의 구별 제2절 일반계시 1. 경역 2. 양식 3. 가치 4. 불충족성 5. 타락의 영향 제3절 자연신학의 문제 1. 로마와 종교개혁의 논쟁 2. 그 후 신학계에서의 논쟁 3. 빠트와 뿌룬너의 논쟁 제4절 특별계시 1. 필요성과 진정성 2. 개연성과 가능성 3. 특별계시의 방법 4. 내용 특징과 목적 |
※ 종교에 관한 소고(성경적 기독교) 1. 계시종교(이성과 계시) 2. 절대진리(주관과 객관) 3. 결과 (1) 무속화(인간의 행복과 신의 영광) (2) 신비주의화(개인적 체험과 성경계시) (3) 인본주의화(인간의 자율과 하나님의 주권)
제2장 성경신학의 원리
제1절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하나님 1. 직접대상으로서의 하나님 2. 간접대상으로서의 사물 3. 신지식과 사물지식의 관계
제2절 인식도구로서의 성경계시 1. 말씀이 계시된 성경 2. 영감으로 기록된 성경 3. 완전하게 충족된 성경 4. 논리가 일관된 성경
제3절 인식주체로서의 중생한 이성 1. 정통신학의 견해 2. 성경신학의 견해
제4절 인식주관지로서의 성령 1. 영혼을 중생케 하심 2. 계시를 깨닫게 하심 3. 진리로 자유케 하심 |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 11:36)
제1장 교의신학의 인식론 143p-165p
제1절 지식의 원리 143p-150p
교의학의 인식론은 기독교의 인식론이다. ☞ 철학적 인식론과 원리를 같이하되 내용만 달리함
인식의 3원리 |
철 학 |
교의신학 |
비 교 |
실유의 원리 |
지식의 논건 |
하나님의 존재 |
만물과 하나님 |
외적 원리 |
전달의 방편 |
하나님의 계시 |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
내적 원리 |
사람의 재량 |
종교적 성질 |
이성과 신앙 |
☞ 성경신학의 “인식의 원리”
성경신학의 원리 |
인식의 대상 |
인식의 도구 |
인식의 주체 |
인식의 주관자 |
기독교 진리 |
하나님 |
성경 |
중생한 이성 |
성령 |
인식론의 목표 -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들을 알 수 있는 인생 마음의 재량을 구명함에 있다.
교의학의 대가(빠빙크, 뻘콮)들은 교의학적 인식의 삼원리 주장함.
인식의 원리를 신학의 세 假定 또는 신학의 가능성의 삼중 근거라 하기도 한다.
1. 실유의 원리 - 하나님 144p-146p
1) 일반학문에서
만물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왔으니
그것들에 관한 모든 인생지식의 구경적 원천이 하나님에게 있다.
창조주인 하나님의 지식은 우리의 모든 지식의 무진 원천이기 때문에
하나님은 모든 학문적 지식의 실유의 원리이시다.
2) 교의학에서
하나님은 실유의 원리라 함은
하나님에 관한 모든 지식(교의학의 요구 대상)은 하나님에서 기원한다.
사람의 모든 하나님의 관한 지식은 하나님으로부터 인출된다.
하나님안의 자기 의식을 떠나는 사람,
곧 비인격적, 무의식적 하나님을 믿는 범신론은 신학의 가능성을 전폐한다.
2. 외적 원리 - 하나님의 계시146p-148p
1) 일반적 학문에서 - 자연에 하나님의 계시
지식의 외적 원리는 하나님께서 지으신 대로의 세계이다.(객관적 세계관)
하나님은 원형적 지식으로부터 모형적 지식인 창조물을 통하여 사람에게 전달하심.
그러므로 사유하는 인생이 자기의 세계를 창조하고 구성한다는 유심론과는 정반대이다.
2) 교의학에서 - 하나님의 특별계시(주관적 세계관 포함)
특별계시만이 오류와 미신을 면한 타락된 인류의 영적 요구에 응답하는 신지식을 전달한다.
자연은 성경의 광명에 비추어 해석되는 때에만 신지식 전달의 사역이 가능하다.
3. 내적 원리 - 이성과 신앙148p-150p
1) 일반적 학문에서 - 이성 중점
객관적 외적 원리는 주관적 可受性과 상응되어야 한다.
과학은 주관이 객관에 적응하는 때에만 학문이 결과될 수 있다.
일반적 학문의 내적 원리는 이성에 중점을 둘 뿐 신앙을 제외하지 않는다.
인간은 범죄로 전적 패괴(전적 무능) 하였더라도 영혼의 심력들(知․情․意)은 상실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창조계에 계시된 진리들을 탐지함에 충족하다.
그러나 하나님의 진리의 참지식은 특별계시에 의한 구속에 영역에 속하므로 득달할 수 없다. ☞ 인생관에 대한 오해 靈에 대한 生死의 구분을 혼동하고 있다.
2) 교의학에서 - 신앙 중점
신학에서는 신앙이 내적 원리의 주역이 된다.(신학에서도 이성을 지식의 주요한 내적 원리로 말하지만 신앙에 두는 것이 더 타당하다.(중생, 심정의 순결, 하나님 의지에 향한 사랑, 성령의 조명 들을 지식의 내적 원리로 제시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신앙을 말한다)
신학적 지식의 내적 원리로서 신앙은 은사이지만 이성적 작업과 무관하지 않다.
과학적 세계관 - 객관적 대상, 신앙적 세계관 - 주관적 경험 대상(구속, 신지식)
제2절 종교의 원리151p-165p
☞ 종교의 원리를 통해 지식의 삼원리의 타당성을 규명하려 함
1. 종교와 신학의 관계151p-153p
☞ 외적 원리와 내적 원리의 관계를 설명함
1) 밀접한 관계
대체로 신학을 종교의 학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으나 관계는 밀접하다.
종교는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生적이고 의식적인 관계로서 구성된다.
종교는 하나님이 존재하신다는 것, 자신을 계시하셨다는 것, 사람으로 계시를 이용케 하셨다는 것을 가정한다. ☞ 신존재의 불확신 - 계시에 대한 불신 - 사람 불신의 불가피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를 기초 - 사람이 계시된 지식 수용 - 반성, 통일 - 신학의 구조
그러므로 종교 - 생활의 경역, 신학 - 사상의 경역에 결과적으로 나타난다.
기원의 논의 - 외적 원리인 계시의 필요성
종교 좌소의 설명 - 내적 원리인 신앙의 구성을 지시
2) 유일한 참종교
기독교만이 참 종교이다.
∵ 사람은 하나님과 교통하여 생활할 재량을 가졌으나 生得的이기 때문이다.
비교종교학은 기독교 진리가 인생 需要들과 열망에 응수하는가에 목적이 있다.
☞ 성경신학적 교의연구 또한 수용적 비판을 통한 우월성 확인에 있다.
3) 종교의 내용은 신학의 그것보다 크다.
신학은 성경계시의 해설이고, 종교는 진리들의 실천이다.
신학적 해설은 종교적 실천을 지도할 원리들을 논술
종교적 실천은 경험적 개인적 요소를 포함함으로 범위가 크다.
☞ 계시관, 신학 목적의 이탈, 가치관의 곡해
2. 종교의 본질153p-157p
종교의 개념은 성경에 의해서 결정된다.
1) 종교(religion)의 어원
○ 렐레게레(relegere) - 재독한다, 증언한다, 주의하여 수행한다.
종교는 신들의 예배에 관한 근실한 수행(대부분 신학자들 채택 -칼빈)
○ 렐리가레(religare) - 결부하다, 확실히 수립한다, 함께 결속한다.
종교를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결속(일반적으로 수납되던 설명)
종교에서도 신학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은 실유의 원리, 사람은 주체로서 내적 원리, 수행이나 결속을 위한 외적 원리의 공작이 있다.
2) 종교의 성경적 명사
○ 객관적 종교는 사람의 종교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율법, 계명, 그리스도의 구속사역, 전도)
○ 주관적 종교는 예배, 친교, 봉사로 표현되는 생활이다.
☞ 믿는 것과 아는 것에 하나된 성도의 영적 예배
3) 종교의 본질의 역사적 개념
○ 초대교회에서는 종교를 하나님을 지식하며 봉사하는 바른 양식으로 정의됨
○ 중세기에는 (아퀴나스의 정의)사람이 하나님께 所要의 봉사와 존영을 드리는 덕행
○ 종교개혁자들은 종교를 존숭하는 경외를 함께하며 감사하는 예배와 사랑의 봉사로나타나는 하나님과의 영적 교통으로 봄(종교의 워닐로서의 경건과 종교의 행동으로서의 예배로 분류 - 신망애에 나타나는 내면적 예배와 교회의 에배 및 봉사생활에 표현되는 외적 예배를 분류)
○ 근대에는 객관적 종교의 본질을 주관화 하였다.
○ 근년에는 종교를 귀납적 연구로 학득할 수 있는 자연적, 심리적, 역사적 현상으로 봄.
◎ 종교의 개념들은 하나님, 계시, 신앙을 종교의 삼원리로 전개되었다.
☞ 하나님께서 선택된 백성들을 주권적으로 중생시켜 계시를 깨달아 알고 경외(전인격적 신앙생활)케 하심으로 영광을 선포하신다.
3. 종교의 기원157p-162p
종교의 기원을 자연적인 현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에 의한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의 갈등.
1) 역사적 방법에 의한 설명
인류의 역사를 원시종교 관점으로 연구하여 종교의 기원을 발견하고자 한다.
진화론을 기초하여 최고형이나 원시형을 찾으나 결과는 많은 오류가 있다.
2) 심리적 방법에 의한 설명
시간의 진정에 역사적 방법을 보충하려는 시도가 심리학적 방법으로 사람의 영적 성질에 있는 종교의 원천을 찾고자 한다.
이 방법은 사람의 자연적 환경과 협력하여 종교를 일으킨다고 한다. 가상적 원시인으로부터 출발점을 찾으나 진화론적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3) 비교 종교학의 결론
과학적 분류에 의하면 비교 종교학은 역사, 비교, 철학의 삼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역사적 방법이나 심리적 방법은 비교 종교학의 사역의 부분들이다.
비교종교학의 견실하고 신중한 연구에 있어서 모든 종교는 계시에 기초한다.
4) 유신론적 방법에 의한 설명
유신론적 방법은 종교의 설명은 하나님의 계시에서만 발견된다. 그러므로 하나님, 계시, 신앙을 종교의 삼원리로 가정하는 동시에 계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4. 종교의 좌소162p-165p
인생 영혼의 생활에 종교의 참된 좌소에 대한 논의는 종교의 내적 원리의 이해에 일조함.
1) 지정설
종교의 본질을 지식에서 찾아 심리적 기초를 지성에 지정한다. - 헤겔
2) 의지설
종교를 도덕적 행동으로 정의하고 그 죄소를 의지에 탐구한다. - 칸트
다양한 펠라기우스 주의(半펠라기우스주의, 알미니안주의, 소씨너스주의, 초연신론, 이성론)
3) 감정설
종교를 감정으로 정의하여 그 좌소를 감정에 탐구한다, - 슐라이어막허
신비파와 경건파, 낭만주의
4) 심정설
성경적인 견해로써 종교의 좌소를 심정(heart)에 정한다. - 레이들로(Laidlaw)
(심정이란 인격적 도덕적 생활의 초점을 의미한다. 인격적 주체가 아니고 인격적 기관을 말함)
신학적 지식의 주요한 내적 원리인 신앙은 심정을 좌소로하여 운동하면서 知․情․意의 여러 요소를 포함한다.
☞ 신앙의 좌소는 전인격에 자리 잡는다. 미주 참조
제2장 신앙과 이성167p-187p
☞ 중생한 이성이 주체가 되어 믿는 것을 신앙이라 하기 때문에 더 근본적인 표현이다.
제1절 신앙 - 주요한 내적 원리167p-176p
1. 이성이냐? 신앙이냐?167p-170p
1) 이성이 수위냐?
하나님의 진리인식의 기관으로서 인생 이성의 수위를 단언하고 이것을 논의의 중심으로 함은 매우 관례적인 일이다.
2) 신앙이 수위냐?
프린스톤에서 윌필드의 전임자였던 A.A.하지는 이성이 종교적 관념들의 구경적 원천과 척도 아닌 이유를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1) 연역적으로 사람의 현재의 무식, 도덕적 타락, 유죄한 상태 때문에 이성은 능히 존재나 성격이나 우리와의 관계나 우리에 관한 목적에 대하여 확증하거나 충족한 보도를 사람에게 제공할 품질과 재량을 가지지 못한 것이다.
(2) 보편적 경험에 의하여 보면 하나님의 도우심이 없는 이성은 이런 목적을 달성함에 보익한 일이 전혀없고 다만 과도히 의뢰된 때에 계시를 등한시하고 사람을 회의주의와 혼란에 인도하였다.
3) 신앙하는 이성
구프린스톤 학파는 이성의 수위를 강조하고 화란 학파는 신앙의 수위를 역설하였다.
‘신앙하는 이성’은 중생한 이성이 신앙에 보강에 이바지한다.
☞ 중생한 이성이 올바른 원천이다.(각주 3 참조)
2. 신앙 수위의 타당성170p-172p
1) 일반적 고찰
기독교 신학은 출발점을 신앙하는 주체에 두었고 신앙으로 출생하였고 “신앙을 통하여 이성에”라는 준칙의 지도와 관할을 받아 왔다.
3세기 터툴리안 ; 背理인고로 믿을 만하고 불가능 한 고로 확실하다.
11세기 안셂 ; 믿을 수 있기 위해 이해를 축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기 위해 믿는다.
칼빈 ; 성령의 조명없이는 말씀이 효과를 가지지 못하며 신앙이 인생의 지력보다 우월하다.
2) 성경적 논거
성경은 우리의 외계에 있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계시와 함께 성경적 내면적 조명을 말하며 신앙을 내면적 원리로 지시한다.
믿음으로 우리가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으신 줄 아나니(히11:3)
☞ 근본 믿음이 아니라 깨달음으로 믿어진 믿음
‘신앙’은 신학적 지식의 내적 원리로 성경에서 칭호된 명사이다.
3) 신앙 인식의 확실성
신학이 의지하는 기독교 신앙의 인식력은 자연 이성과 자발적 신앙보다 정확하고 견실하다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인생 성질 안에 자발적으로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이성적 변론이나 즉각적 확인에 의하는 일반적 학문의 지식과 다르다. 이 신앙은 하나님의 약속들에 의지하는 때문에 확실성을 그 자체에 둔다. 이 확실성은 믿는 교회 순교자들과 핍박 중 守信者들에 의해 실천적으로 증명된 것이다.
3. 신앙의 근거172p-176p
1) 성령의 증거
마음속에 신앙을 발생시킴에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
로마교회 ; 교회 대신 성령의 조명을 신앙의 최심의 근거로 본다.
칼빈 ; ‘성령의 증언’의 교리를 상설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루터 ; 신앙은 성령에 의한 하나님의 작업
근대 ; 성령의 증언에 대해 경험에 의한 논증을 하는 신비주의자들과 혼돈하고 있다.
☞ 인식의 주체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인식의 주관자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2) 성령의 증언의 오개념
(1) 새 계시를 가져온다는 것 ; 성령의 증언의 교리는 신비주의 원리이다.
신앙이란 증언에 기초한 확인이니 확실한 증거가 없는 곳에는 신앙이 나타나지 않는다.
(2) 경험에 의한 변론과 동일하다는 것 ;
경험의 증언은 성령의 직접적 증언의 성격을 가지지 않는다.
(3) 성령의 증언의 정해
성령의 사역은 그리스도안에 工作된 구원의 적용에 행하는 전사역과 관련되어 있다.
성령의 조명을 받은 신자는 성경을 공부하면서 신적 표식이 있음을 발견한다.
성령의 증언은 신앙의 근거이기보다 신앙의 방편이다.(성경이 신앙의 근거)
☞ 성경의 진리에 대한 자증의 논리가 없으므로 성령의 증언이라는 근거를 제시하게 됨
제2절 이성 - 종속적 내적 원리177p-187p
1. 이성의 고위177p-183p
진리인식에 있어서 신앙이 수위에 있으나 이성은 차석에 종속적 사역을 인정해야 함
1) 이성의 가신성
사유과정에 삼요소 ;
사유하는 영혼 ; 주체
사상을 구성하는 재료로 사용하는 감각들과 기억들 ; 사상을 구성하는 재료
실유같은 본유관념들 ; 기구
영혼은 본유관념들을 기구로 사용하여 뇌가 받은 감각들로부터 지식을 만들어 낸다.
2) 이성의 능력범위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과 창조된 우주다.
3) 신학상 이성의 작용
(1) 이성의 제1작용은 계시의 수납이다.
(2) 이성의 제2 작용은 사물의 가능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3) 이성은 이것에서 오는 계시의 증거들을 판단하여야 한다.
4) 변증학의 가치
월필드(B.B.Warfield)는 변증학의 수위를 단언함에 의하여 이성의 수위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신앙이 하나님의 은사임을 약화시키지 않았다.
☞ 이성의 가신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신앙과의 종속적 관계를 말하였다.
이는 인식의 주관자와 주체로 분류하지 않은데서 기인한다.
2. 이성의 종속183p-187p
이성은 인성의 고유한 일부이다.
☞ 하나님의 절대이성과 인간의 종속적인 상대적 이성으로 분류된다.
1) 이성의 유한성
☞ 하나님의 절대이성에 종속된 인생의 이성은 유한적이다.
2) 이성의 타락성
자연인의 이성으로 인한 객관적 자연에 대한 지식도 상대적일 뿐이다.
☞ 자연 만사와 만물을 통해 창조주로서 주권적 섭리자이신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얻지 못함
3) 이성의 원칙적 회복
중생한 이성은 원인의 본래적 이성의 회복이다. 타락한 유래적 성격을 인식하고 하나님과 하나님의 우주에 대한 관계를 옳게 이해한다.
제3장 계시189p-234p
지식의 삼원리 중 내적원리인 ‘신앙과 이성’ 다음에 외적원리를 고찰함
제1절 계시의 개념189p-200p
1. 계시의 의미189p-190p
계시란 하나님이 사람에게 자신을 낱내시거나 혹은 진리를 시달하여 특별히 보여주시는 행위
계시(revelation)는 정체를 드러냄(unveling)을 의미하는 라틴어(revelatio)에서 인출됨
2. 기초적 가정190p-192p
불가결의 가정을 기초로하여 성립된다.
계시의 제1 가장은 우리의 신관에 있다.
계시의 제2 가정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 성경관에 의해 신지식이 가능하며 신지식에 의해 피조물인 인간지식이 가능하다.
이는 성경의 진리성에 대한 자증의 논리 부재로 인한 교의신학의 중요한 결함이다.
3. 부정적 견해192p-194p
1) 초연신론
18세기의 초연신론은 하나님이 창조 이후에는 속성과 법칙을 부여하고 간섭하지 않으신다.
일반계시는 인정하나 특별계시는 부정한다.
2) 범신론
하나님과 세계는 하나라는 것을 원리로 삼고 있어 만물은 하나님의 성질의 부분으로 봄
유한세계 밖에 하나님을 구하지 않음
3) 범신론적 관념론
19세기 초엽의 관념론은 하나님의 내재성을 강조함
자연과 초자연의 구별을 철폐하여 현대주의의 근본원리와 동일함.
4. 계시의 방도194p-196p
신적 사물의 지식이 사람에게 어떻게 계시되는가?
1) 이교견해
(1) 원시적 견해
원시민족들은 종족적 전설들을 최고 법정으로 삼음, 영감인물에 의한 점복을 신뢰
(2) 헬라 철학적 견해
신에 의한 계시를 배제하고 사람이 점진적으로 신들을 발견한다는 관념들을 대용.
쏘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이 견해를 반대하였다.
2) 기독교의 견해
(1) 이중 계시관
자연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와 초자연적으로 소개된 성령의 특별계시로 구별함
17세기까지는 문제가 없었으나 경계가 불분명함을 인정.
토마스․아퀴나스는 ‘자연계시는 신지식이 가능하나 특별계시만이 삼위일체, 그리스도 안에 성육신하신 하나님을 알게 한다’ 하였고 개혁자들도 수용함.(철학적 계시관 수용)
(2) 일반계시에 치중
초연신론과 이성론에 의한 결과로 17세기 하반과 18세기에는 성경을 희생하여 일반계시에 치중하려 함.
(3) 유일계시관
19세기 이후 칸트나 슈라이막허의 감화이래 자연과 특별계시 사이의 차이가 무시됨
두 계시에 대한 방도가 아닌 유일한 계시를 생각하는 두가지 방식으로 이해함
(4) 위기신학의 계시관
19세기 신학의 과격한 자유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20세게 초 나타난 빨트, 부룬너 들의 위기신학은 정통주의와 자유주의 양비적인 계시관을 가지고 있다.
일반계시에 대해 빨튼, 소극적, 뿌룬너는 적극적 태도를 보이나 성경에 대해 파괴적인 비평함
성경의 부분들로 주관적 경험에서 ‘나에게 그의 말씀으로’ 되게하는 하나님의 조명에 발견됨
빨트 ; ‘내가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경험한 것이 진리’
뿌룬너 ; ‘성경의 어느 부분들이 하나님의 참말씀인지를 그가 내게 말씀하실 때 알 수 있다’
5. 계시의 구별 196p-200p
1)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는 방법상 구분
기원 ; 모든 계시가 다 초자연적임
오직 양식에서 자연계시는 자연현상을 매개로 전달되고, 초자연계시는 사변들의 간섭을 함의.
개혁자들은 타락으로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1) 하나님은 자연으로부터 배울 진리를 초자연계시로 재공포, 교정, 해석함이 필요하다.
(2) 사람을 성령으로 조명하여 창조물을 통하여 하나님을 다시 보게 함이 필요하다.
2)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구별의 종류 |
계시의 구별 |
기 원 |
범 위 |
목 적 |
방법상 구별 |
자연계시 |
초자연적 |
자연 자체 |
과학적 지식 |
초자연계시 |
초자연적 |
간섭 함의 |
신비의 지식 추가 | |
성질상 구별 |
일반계시 |
창조 |
모든 인류 접수 |
지성적피조물에 발언 |
특별계시 |
재창조 |
영적 인물만 해석 |
구속 |
3) 성경적 구별
위 두종류의 분류가 역연히 인정됨
제2절 일반계시200p-208p
1. 경역200p-201p
세계에 나타나는 현상들과 사실들을 경역으로 하여 시달된다.
1) 원시적 계시
타락 이전 계시 방편으로 초자연적 요소(직접적 교제)가 많았다. 초자연적 계시를 직접 시달
2) 타락 이후의 계시
타락한 이후에도 피조물을 통하여 이성적 하나님을 계시하신다.
2. 양식202p-204p
1) 자연현상
범신론 ; 하나님과 자연을 동일시
초연신론 ; 자연은 충족한 하나님의 계시
일반적 ; 우주를 지향하여 하나님의 권능, 영광, 신성, 선의 나타 남
2) 역사적 사변
기독교교의학은 역사적 사변들에 하나님의 권능과 섭리의 계시를 발견한다.
3) 마음의 구조
사람의 마음의 구조에 신적 사상이 체현되어 있다.
3. 가치204p-205p
1) 이교의 기초
이교에게 자연을 통해 종교를 추구할 수 있게 한다.
2) 기독교의 확증
특별계시에 의한 말씀의 견지에서 일반계시를 고찰함으로 자연에서의 하나님의 섭리를 볼 수 있다
4. 불충족성205p-207p
펠라기우스는 일반계시의 충족성을 말하며 ‘자연의 법칙’, ‘모세의 율법’, ‘그리스도의 율법’의 세 방도를 말하였다. 18세기 초연신론자들과 이성론자들이 일반계시의 충족성을 주장함
1) 미확실한 지식
일반계시는 하나님과 영적 사물에 관하여 절대적 확실한 지식을 전달하지 않는다.
2) 막연한 구원의 길
일반계시에 의하여 죄인으로서 수요하는 구원의 방도를 찾지 못한다.
3) 불충족한 종교의 기초
이교의 중요한 기초는 될지언정 기독교의 기초는 될 수 없다.(표지 참조)
☞ 계시가 불충족한 것이 아니라 계시를 인식하는 인간 이성이 불충족함
5. 타락의 영향207p-208p
1) 사람의 악화
타락으로 말미암아 불충족하게 되었다.
2) 자연의 문란
자연도 저주 아래 있게 됨으로 하나님을 충족히 계시하지 못한다.
☞ 택자는 성경에 따른 신지식의 결과로 인생관과 역사관이 정립되고 결론적인 세계관이 확립.
그러나 불택자들에게는 변명치 못하게 하시기 위한 섭리로서 특별계시가 없으면 불가능.
제3절 자연신학의 문제208p-221p
자연신학이란 자연 또는 이성에 의한 진리를 자료로 인정하는 신학이다.
1. 로마와 종교개혁의 논쟁209p-211p
1) 로마의 변호
1로마교회는 자연신학의 권리와 가능성을 교리체계의 한 유기적 부분으로 중요시하였다.
바티칸회의는 하나님의 관한 자연적 지식을 합리적 지식으로 치중하여 신앙과 지식과 구별하여 자연적 광명으로 하나님을 불완전하게나마 알 수 있다고 하였다.
2) 칼빈의 논평
‘우주의 전구조에 계시하시되 사람들이 눈을 뜨는 때에는 반드시 그를 보게하는 방식으로 매일 그 자신을 거기에 공연히 제시하신다’
우리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내면적 계시에 의하여 신앙으로 조명되기까지는 무형한 하나님을 지각할만한 눈을 가지지 못한다.
뻘카우어(G.C.Berkouwer)에 의하면 칼빈은 일반계시의 실재성을 고백하되 자연신학을 기각하였다고 말함
월필드(Warfield)는 성령의 감화아래 있는 중생인에게는 자연신학이 가능하지만 자연인에게는 불가능함을 말하였다 함
2. 그 후 신학계에서의 논쟁211p-212p
16세기로부터 자연신학은 교의학의 서론으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자연으로부터 인출된 하나님 지식을 가르치는데 사용되었다.
초연신론자들은 하나님의 실유와 속성들이 세계의 구조와 진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는 이유로 초자연계시의 필요성을 부인하였다.
데비드․흄은 ‘자연신학에 의한 하나님 지식도 추정적이어서 합리적 확실성을 가지지 못한다’.
뻐틀러 감독은 자연종교와 계시종교는 하나이어서 자연신학의 진리들은 기독교 신앙의 진리들을 위한 기초를 준비하였다.
릴츌과 그의 학파는 자연신학에 이의를 제기하고 하나님 지식의 원천을 과학이나 철학적 판단을 배제하고 가치판단을 통하여 추구하고 계시를 위탁하였다.
보수주의 신학자들은 계시신학에 대조하여 자연신학을 논하였다. 그들은 일반계시와 자연신학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시하였다.(찰스 하지, R.L.땝네)
3. 빠트와 뿌룬너의 논쟁212p-221p
1) 논쟁의 유래
하나님의 일반계시를 사실로 시인하는 것은 옳은가?
그리스도 계시를 상대화하여 독특성을 위험에 처하게 하였다.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의 의의는 세계안에서 일반적 신적 현현의 관념 때문에 점차로 상대화 하였다. 그러나 개혁파의 일반계시에 대한 개념과는 다르다.
일반계시의 시인은 불가항적으로 자연신학에게 신학체계의 한 자리를 지정함이 아닌가?
그리스도 중심의 특별계시와 함께 일반계시를 인정하는 것이 개혁신학의 입장이다.
2) 빨트의 공세
칼․빨트는 ‘나는 모든 자연신학의 공공연한 반대자다’라고 하였다. 왜냐하면 자연신학이란 ‘사람 자신이 하나님, 세계, 사람에 대해서 자신에게 보도할 재량과 능력을 가진다고 선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칼빈이 창조계에 나타난 계시를 읽기 위해서는 특별계시의 안경이 필요하다고 한 의미와 다른 주장으로 하나님의 창조사역을 통한 본래적 계시란 전혀 없다고 함.
3) 뿌룬너의 반동
빨트의 일반계시에 대한 반동은 성경과 직접 충돌한다. 신․구약 성경에 의하면 세계의 창조는 즉시 계시, '하나님의 자기 시달'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참된 하나님 지식을 가지지 못하였으나 그 때문에 하나님의 계시도 없다며 일반계시와 자연신학을 구분하였다.
제4절 특별계시221p-234p
1. 필요성과 진정성221p-223p
1) 필요성
인간의 타락을 인하여 초자연계시로 재공포, 교정, 해석함이 필요해 졌고 중생인으로 창조물을 통하여 하나님을 다시 보게 하심이 필요하였다.
칼빈 ; 창조주에게 인도하기 위해 자기를 사람에게 계시하여 구원을 얻게 하는데 필요하다.
A.A.하지 ; 일반계시와 자연계시를 동일시 함. 첫째, 이성 자체가 타가함과 둘째, 종교적 열망이 있음과 셋째, 이성의 삶에 있어 무관함과 넷째, 이성론이 공격과 파괴에만 강함으로 특별계시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 성경의 필요성을 성경신학의 방법으로서 계시의존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식의 대상인 하나님을 아는데 필요하다. 구원을 얻는데 필요하다. 구원의 방법이 특별계시 → 신지식 → 신앙 → 구원(영생) - 성경적 기독교 성경관 참조
2) 진정성
왜곡된 이교도의 자주장은 진정한 특별계시를 반증하지 못한다.
하나님은 역사의 진정에 초자연적으로 간섭하시어 참된 수속사역을 전개하시며 구속의 진리들과 사실들을 성경에 특별히 계시하셨다.
2. 개연성과 가능성223p-226p
1) 개연성(蓋然性)
(1) 사람의 수요
① (심리적으로)일반계시만으로 알 수 없는 난제를 모를 때 사람은 만족을 느끼지 못한다.
② (역사적으로)자연이 공급하는 高級文野와 지식에 의해 하나님과 사람에 관해 설명할 수 없다.
(2) 하나님의 지선
① (하나님은 全智하시니)하나님은 자연을 통하여 자기 계시를 시작하셨으므로 보충과 완성으로 특별계시를 내리실 것도 분명하다.
② (하나님은 全善하시니)하나님은 인생의 긴급한 수요를 간과하지 않으신다.
2) 가능성
우주는 자연법칙의 지배 아래 있지만 하나님은 창조주, 계시주, 입법주시므로 필요에 의해 간섭이 가능하다.
☞ 진리란 일관된 논리로만 가능하다. ; 자증성
성경의 논리 내용 ; 구약은 하나님의 언약내용이고 신약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취내용이다.
3. 특별계시의 방법226p-231p
신현. 예언, 이적은 이방종교들이 수요를 느끼어 탐구하였으나 특별계시에만 실물이 발견된다.
1) 신현
구속의 특별계시를 통하여 하나님이 가까이 오심은 가능화하고 현실화하였다.
(1) 이스라엘 백성 중에 하나님의 거주
하나님은 선민으로 더불어 언약을 맺으시어 자기를 알리셨는데 이를 이루신 과정을 통해 무생물로 백성과 함께 하시는 象徵을 지으셨다.
(2) 천사를 통하여 나타나심
자의식적 피조물 특별히 천사를 통해 나타나셨다.
(3) 성육신과 교회
그리스도의 성육신에서 神峴은 절정에 달하였으니 그의 안에 신격이 충만히 체현되었다.
그가 보내신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의 거주하는 영적 실재이다. 교회는 성령의 전이다.
2) 예언
이교세계의 죄인들은 인생들의 매개를 통하여 신들의 계시를 받으려 함
하나님이 특별계시의 영역에서 자기의 사상과 의지를 시달하시는 방식 중 예언을 구성하는 부분이 있다.
(1) 구약에서의 여러방식
인생 언어로 말씀하셨고 투첨이나 우림과 둠밈으로 말씀하셨다. 꿈도 계시의 방식이었고 고등한 방식의 이상으로 보여 주는 것이었다. 일반적 계시의 방식으로 선지자들에게 직접 교통하시기도 하였다.
(2) 신약에서의 최고 방식
로고스로서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오, 자신이 예언의 원천이다. 그는 제자들에게 성령을 계시의 영으로 보내 주셨다.
3) 이적
이적은 하나님을 특별히 계시하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1) 의미
이적들은 하나님의 특별한 권능의 현현이며 하나님의 특별 임재의 표적이다.
(2) 작용
만물의 창조는 하나님의 이적이었으며 보존은 부절한 이적이다. 이적은 예언이 지시하는 진리를 체현하여 예증한다.
(3) 최대의 이적
이적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 표적이란 무엇인가 참조.
4) 세 방식의 연결
참 예언이 거짓 예언과 구별되는 검증은 예언이 신현과 이적과 유기적 관계를 가지는데 있다.
이적없는 예언과 예언없는 이적 그리고 양자가 다 신현과 관계가 없이는 추상들이다.
☞ 이스라엘의 언약대로 이루시는 모든 역사섭리, 찬양섭리, 예언섭리가 특별계시의 방식이다.
4. 내용 특징과 목적231p-234p
특별계시의 양식의 고찰은 특별계시의 내용 특징과 목적의 탐문에로 인도한다.
1) 특별계시의 내용 특징
특별계시는 일반계시보다 특이한 다면적 내용과 성격을 가졌다.
(1) 역사적이다
특별계시의 내용은 여러 세기의 역사적 발전의 과정을 통하여 점차로 전개되었다.
(2) 언사적 사실이다
특별계시는 그 내용이 독점적으로 말씀과 교리로 구성되어 지성에 향해서만 발언하지 않고 사실과 행동을 포함하였다.
(3) 구원론적이다
특별계시는 구원의 계시이다. 그 내용이 구원론적인 요소를 최대의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성경적 기독교 성경관 참조, 말씀이란 무엇인가? 참조
2) 특별계시의 목적
특별계시는 구원의 계시니만치 죄인의 구원이 그 목적이다.
각주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의하면 「모든 제일원리들」은 「무엇이 인하여 있으며, 되며, 알려지는 근본적 원천이라」하였다. 이는 실유의 원리들이 지식의 원리들로 될 수 있음은 존재하는 사물들(실유)은 그것들의 알려짐(지식)의 근거 혹 이유로 보았기 때문이다.
고대철학에서는 실유의 원리가 보다 더 큰 주의를 받았고, 근대철학에서는 지식의 원리가 그러하다.
박용기, 성경신학개론, 진리의말씀사, 1997.7, pp, 73-96.
일반적으로 진리인식의 기관을 가리켜 이성(理性)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인간의 이성이 진리를 인식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성기능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영혼이 오감(五感)을 통해 접수한 정보나 이미 접수된 정보들로 하여금 사유하는 자료들에 대해 옳고 그름과 좋고 싫은 것을 판단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특히 사유과정, 곧 사고해서 유추하는 과정은, 인간의 영혼이 시공(時空)이나 형상(形象)과 같은 본유관념들(innate ideas)을 기구로 사용하여 오감을 통하여 들어오는 온갖 정보를 두뇌 속에 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두뇌는 밖에서 오감을 통하여 계속 들어오는 정보와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 곧 기억들을 종합해서 사고하며 유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유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지식을 받아 들여서 옳고 그름이나 참과 거짓, 그리고 좋고 싫음 등을 판단하며 진리를 확인하고 인식하는 기관을 이성이라고 하는 것이다.
박용기저, 무엇인가Ⅱ, 진리의말씀사, 1994.10, pp, 29,30.
"계시란 근본적으로 모두가 다 초자연적인 것인데 다만 계시 방법상의 구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연계시는 하나님의 창조 법칙에 의한 자연현상을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고, 초자연 계시는 하나님의 창조 능력에 의한 초자연 현상을 통하여 주어지는 것으로 말하고 특별계시나 일반계시는 계시의 성질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모두가 자연적이나 초자연적으로 주어짐을 말한다.”
표적의 근거는 구약의 선지자들의 예언에 근거하며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 자신과 메시야 권한에 종속된 사도권자들이다.
표적의 특성은 대인 표적은 반복적이고 대물 표적은 단회적이다.
표적의 목적은 예수가 구약에서 언약된 메시야임을 증거하는데 있으며, 절정은 성경대로 죽으시고 성경대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이다.
차하순편저, 사관이란 무엇인가?, 청람문화사, 1987.1, p, 108-109.
아이스펠트는 양자의 관계성을 일방적으로 무시해 버린 신학이 정통주의와 경건주의요, 그 반대쪽이 종교사학파의 입장이라는 것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역사와 계시의 문제는 구약성서 안에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것을 무시한 정통주의와 경건주의는 계시를 중요시한 까닭에 역사를 무시했고, 이와 반대로 종교사학파에서는 역사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계시를 무시하고 말았다.”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의신학서론5 (0) | 2013.01.26 |
---|---|
[스크랩] 교의신학 서론4 (0) | 2013.01.26 |
[스크랩] 교의신학 서론4 (0) | 2013.01.26 |
[스크랩] 교의신학서론3 (0) | 2013.01.26 |
[스크랩] 교의신학 서론2 (0) | 201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