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스크랩] 교의신학 서론2

하나님아들 2013. 1. 26. 16:17

박형룡박사 학력 및 경력

1897년 음 3월 28일 평북 벽동읍 출생

1. 학력

1913년 4월~1916년 3월 평북 성천 신성중학교 졸업

1915년 구정초 평북 선천 북교회 양순백목사에게 收洗

1916년 4월~1920년 3월 평남 평� 숭실대학교 졸업

1920년 4월~1921년 2월 설화사건 목포감옥 옥고경과

1921년 9월~1923년 7월 중국 남경 금릉대학교 졸업, 문학사 학위 수득

1923년 9월~1926년 5월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톤 신학교 졸업, 신학사 신학석사학위 수득

1926년 9월~1927년 5월 미국 캔터키주 남침례교 신학교 대학원 수료,

1933년 1월 위교 철학박사학위 수득

 

2. 경력

1927년 8월~12월 평북 신의주제일교회 전도사 시무

1929년 5월 5일 평양노회(평양서문외교회에서) 목사장립 받음

1928년 1월~1930년 8월 평양 산정현교회 전도사 동사목사시무

1930년 9월 ~1938년 6월 평양 장로회신학교 교수시무

1934년 5월~1959년 11월 장로총회 성경주석위원장 겸무

1938년 7월~1942년 8월 일본동경에서 총회 표준 성경주석 편집 전무

1942년 9월~1947년 7월 만주 봉천 만주신학교 동북학교 교수 교장 시무

1947년 10월~1948년 5월 부산 고려신학교 교장 교수시무

1948년 6월~1951년 7월 서울장로회신학교 교장 교수시무

1951년 9월~1972년 2월 서울장로회총회신학교 교장 교수시무

1954년 10월 ~1955년 3월 신학교육 시찰차 세계일주여행

 

3. 은퇴 후

1973년 8월 10년전 간행 시작한 교의신학 1질7권 완간

1975년 1월 신용산 성서대학장출명

1975년 11월 40년전 평양에서 초판간행한 신학난제선평 보수재판간행

1975년 12월 서울노회공로목사 추대받음

1977년 9월 전집간행착수

박형룡박사저작전집,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3년 9월 15일 발행.

 

제1편 교의신학 요의․사역․역사

제1장 교의신학의 요의

제1절 교의의 개념

1. 입장과 발달

2. 교의의 명칭

3. 교의의 형성

4. 교의의 요소

5. 교의의 발전

제2절 교의의 필요성

1. 역사적 근저

2. 인성의 요구

3. 전도상 필요

4. 교회에게 필요

5. 금일의 반교의적 경향

제3절 교의신학의 개념

1. 교의학의 명칭

2. 교의와 교의학의 관계

3. 교의신학의 정의와 대상

4. 교의학의 학적 지위

5. 다른 학문에 대한 비중

6. 교의신학의 위치

제1편 성경신학 서론

제1장 성경신학의 개요

제1절 성경신학의 정의

1. 신학의 어의

2. 전통신학의 정의

3. 성경적인 정의

제2절 성경신학의 학문적 위치

1. 전통신학의 여러 분야

2. 성경신학의 소속학군

3. 타분야 신학과의 관계

제3절 성경신학의 필요성

1. 신학의 난해와 혼란

2. 인본주의 신학의 도전

3. 사이비신앙운동의 발흥

 

 

서론2

말을 마치매 야고보가 대답하여 가로되 형제들아 내 말을 들으라 하나님이 처음으로 이방인 중에서 자기 이름을 위할 백성을 취하시려고 저희를 권고하신 것을 시므온이 고하였으니 선지자들의 말씀이 이와 합하도다 기록된 바 이 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또 그 퇴락한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 이는 그 남은 사람들과 내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모든 이방인들로 주를 찾게 하려 함이라 하셨으니 즉 예로부터 이것을 알게 하시는 주의 말씀이라 함과 같으니라 그러므로 내 의견에는 이방인 중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괴롭게 말고 다만 우상의 더러운 것과 음행과 목매어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라고 편지하는 것이 가하니 이는 예로부터 각 성에서 모세를 전하는 자가 있어 안식일마다 회당에서 그 글을 읽음이니라 하더라(행 15:13-21)

 

 

제1편 교의신학 요의․사역․역사

제1장 교의신학의 요의

제1절 교의의 개념

1. 입장과 발단(21p)

교의신학의 입장 - 정통주의(성경 + 교의)

원 리

교 파

특 징

내 용

실질적 원리

루터파․알미니안주의

이신칭의

인간의 구원․인간의 자유

형식적 원리

정통주의

성경의 권위

하나님의 영광․하나님의 주권

신 학

서 론

본 론 (내 용)

교의신학

교의내용의 일관하는 근본 원리

하나님․사람과 죄․그리스도․구원․교회․내세론

성경신학

개요와 근본적 원리

구약신학․신약신학(신존재․속성․사역)

 

2. 교의의 명칭(22p)

1) 고전적 성경적 의미 - 도그마(英 Dogma) 내 의견은 그렇다, 나는 확실히 안다.

교의 - ① 교회가 공적으로 정의하고 ② 신적권위에 의한다고 선언한 교리(행 16:4)

2) 신학상 용법 - 교리는 교의보다 앞선다. 고로 교의는 교리 합치를 위해 개정이 가능.

○ 교리 - 성경적 종교의 근본적 요소

○ 교의 - 기독교 교리의 공적 표시 또는 작식

 

3. 교의의 형성(24p)

1) 성경적 인출 - 교의의 근거

2) 교회의 반성(교리적 논쟁) - 교의의 형성 과정

3) 교회의 공적 작식(현재 총회 안건 상정) - 교의의 결정

☞ R.C - 교회 ⇒ 성경 ⇒ 교의

P.T - 성경 ⇒ 교의 ⇒ 교회(총회)의 작식과 선언

L.M - 성경 ⇒ 교의 ⇒ (칼빈의 교리를 당시에 수용하는 자들이 교회를 이룸)

강남노회가 하나의 교회로서 중요한 이유

 

4. 교의의 요소(25p)

교의는 교회생활에 중요한 요소를 포함한다.

1) 사회적 요소 - 성도간 교제(☞ "교제 ⇒ 교의"가 아니고 "교의 ⇒ 교제" 가능) 교회관 오해

2) 전통적 요소 - 시대별 교회 사유(변증)의 결과인 유물(☞ 성경 근거) 성경관 오해(근본주의)

3) 권위적 요소 - 권위적 표준으로 굴복, 신앙, 순종케 함(그리스도의 짐과 멍에 - 마 11:30)

(☞ 성경의 권위 - 믿음의 분량 ; 롬 12:3) 계시관, 신관, 인생관 오해

4) 문화적 요소 - 표현 ; 문화적․철학적,

내용 ; 신학적 의미로 사용됨

 

5. 교의의 발전(28p)

1) 발전의 안정성 - 충돌, 오류인정 그러나 신적 섭리의 지도 - 정통주의의 한계

(☞ 근거의 불변․유전의 변화 불가피)

2) 발전의 眞正性 -

① 성경의 원천적 근거

② 교의 체계의 변증적 요소

③ 역사적 심판 감당 (☞ 정경변화에 따른 역사적 사명)

3) 발전의 합리성 - 신학적 체계와 교의의 역사적 발전(☞ 정경섭리론적 전제)

 

 

제2절 교의의 필요성

1. 역사적 근저(교의의 3중 根柢)(31p)

1) 이단에 대항 - 이단에 대한 교회의 저항(☞ 성경⇒해석⇒신앙⇒신조⇒교의)

2) 학습적 교훈 - 학습인 대상 교훈 및 세례용(☞ 교리문답 등 교조주의 - 마비성)

3) 성경석의(R.C) - (☞ 교의 - 성경해석 - 이단대항 - 현재 패전 - 성경신학 제창의 당위성)

 

2. 인성의 요구(33p)

1) 사람 마음의 조직적 본능 - (☞ 지 ; 깨닫고․정 ; 느끼고․의 ; 결단함 ⇒ 롬 12:2-8)

2) 사람의 인격의 통일적 성격 - 통일된 지식 요구(☞ 성경관 ⇒ 가치관 = 세계관-文史哲)

 

3. 전도상 필요(35p)

1) 정확한 교리적 견해의 전도상 중요성 - (☞ 성경자증 = 논리적 변증)

2) 교의적 전도의 중요성 - 교회를 영적 사상적으로 보호 또는 진흥(☞ 사도 ; 예수는 그리스도)

 

4. 교회에게 필요(37p)

1) 교회는 교리를 근본으로 한다 - (☞ 성경)

2) 교회의 통일은 교의적 일치를 요구한다 - (☞ R.C 형식적 통일, L.M 진리의 통일-교육 당위)

3) 교회는 진리수호의 의무를 지니고 있다 - (☞ 교회의 표지는 진리수호와 진리전승)

4) 세상에서의 교회의 입장은 통일된 증거를 요구한다 - (☞ 믿는 것과 아는 일 ; 엡 4:13)

5) 교회마다 교의를 가지고 있음은 사실이다 - (☞ 성경신학)

6) 교회의 안전과 진취력은 진정한 교의와 밀접히 관계되어 있다 - (☞ 정경의 변화)

 

5. 금일의 반교의적 경향(40p)

유래 ; 칸트의 감화 이래 교회의 신학교의는 非人望化 ∵초월계 인식불가

현대신학자들은 거절하지 않았지만 불리하게 설명하였다.

(☞ 교의의 미숙에 다른 결과 - 성경신학의 역사적 사명)

논거 ; ① 우주의 실체에 대한 불가지론

② 당시대 개념에 의한 주조

③ 신앙의 자유 방해(☞ 철학적 논리로 공격)

변증 ; ① 현상을 통한 배면의 실체 지식 가능

② 진리의 조직적 표현이기 때문에 변경 불가(☞ 고집)

성경의 복음진리의 조직적 질서적 연구와 교훈을 명령

(☞ 성경의 통일성 논리 부재, 오직 성경신학적 대응만이 가능 - 학문성, 역사적 사명의 의미)

 

 

제3절 교의신학의 개념

1. 교의학의 명칭(42p)

1) 고대적 명칭

① 오리겐 ; 원리에 대하여 ② 랙텐티우수 ; 신도원리, ③ 어거스틴 ; 略記, ④ 다메섹인 요한 ; 정통신앙 정해,

중세 명칭 - 智言 ⇒ 개론, ⑤ 멜랭톤 ; 신학통의, ⑥ 칼빈 ; 기독교강요(☞ 성경신학개론)

2) 신학이란 명칭

신학(θεος λοϒια) = 하나님(θεος) + 로고스(λοϒος)

○ 교부시대 ; 교부들이 삼위일체 연구에 사용

○ 12세기 피털․아벨랄두스 - 기독교 교리를 조직적으로 연구하는데 처음 사용

○ 종교개혁 이후 ; 루터파, 개혁파 신학자간에 성행

○ 增數에 따른 경계확정의 필요에 의해

강론적, 조직적, 이론적, 적극적, 교의적 등 형용사를 붙임

○ 17-18세기 교의와 윤리를 구별하는 과정에서 교의학 출현

3) 우승한 명칭 ; 교의학이 조직신학보다 우승

① 연구대상을 정확히 지시

② 교의학은 성경에서 인출, 조직신학은 표준 교의를 조직

4) 동학의 이명 ; 불가분의 하나이다. 그러나 교의학이 신학계 일반적 용어

 

2. 교의와 교의학의 관계(46p)

1) 교의학은 교의형성에 조력 -

교의는 성경적 근거와 교회의 작식으로 교의가 형성되기 때문에 교의학의 산물은 아님

2) 교의의 해설과 기준

○ 교의학의 목적 ; 교의의 해설과 옹호

○ 교의학의 기준 ; 교의의 논의

 

3. 교의신학의 정의와 대상(49p)

1) 하나님을 대상으로 한 정의

○ 어거스틴 - 신격에 관한 합리적 논의

○ 개혁파 - 하나님에 관한 지식 혹 학문

○ 현재 - 하나님과 그의 우주에 대한 관계의 학문

 

2) 계시를 대상으로 한 정의

아브람․카이퍼 -

① 하나님을 대상으로 한 지식으로의 신학(인식력에 의한 모형적 하나님 지식)

②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대상으로 한 학문(계시된 하나님 지식을 연구의 대상)

찰스․하지 - 성경의 진리와 사실

끄리피드․도마스 - 과학은 자연법칙들의 학술적 표현, 신학은 하나님 계시의 학술적 표현

※하나님은 학적 연구의 직접 대상이 아니다.

(☞ 신학의 대상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다)

 

3) 신앙 혹 종교를 대상으로 한 정의

슐라이막허 - 기독교신앙의 학(주관적 경험에 의한 학)

릴츌 - 기독교신앙의 학문적 강해(종교 도덕적 경험)

 

4) 최적정한 정의

하나님과 우주(세계관)에 대한 관계를 논하는 학

신학(θεος λοϒια) = 하나님(θεος) + 로고스(λοϒος)

(☞ 神學의 정의는 하나님에 대한 학문이다. 하나님의 존재, 속성, 사역)

 

4. 교의학의 학적 지위(53p)

1) 학적지위의 의문

과거 - 신학은 모든 학문의 여왕, 교의학은 여왕의 머리에 면류관

현재 - 18세기 말부터 학적 지위가 부정(원인 - 칸트의 지식기능의 비평)

불가지론자 헐벌․스펜설 - 신학은 학의 영역 이외에 있다.

(☞ 문제의 오해 ; 교의학 자체의 불완전성 때문에 학적 지위의 의문을 가지게 됨)

 

2) 연약한 대책

H.R.메킨토쉬(H.R.Macintosh) - 신학은 지적 표현(신학의 대상을 인간의 심리적 현상으로 대치)

D.C.메킨도쉬(D.C.Macintosh) - 만일 신학이 학문이 되려면 근본적으로 경험적이어야 한다.

 

3) 견실한 해결

루돌프 아이슬러 - 학이란 다만 조직화된 지식이다. 고로 교의학은 학일 수 있다.

 

4) 여러 각도에서의 긍정

쉐드 ; 인생 지성에게 참될 뿐 아니라 모든 합리적 지성에 참된 '절대적 학'이다.

카이퍼 ; 신학의 대상은 하나님의 알려지지 않은 본체가 아니라 알려진 모형적 계시이다. 그러므로 학문의 유기체 안에 상당한 지위를 얻는다.

칼.빨트 ; 교의학은 한 학문이다. 그러나 한 시도요, 절대적 학문은 아니다.

(☞ 유일한 대안 ; 유일한 학문은 성경신학이다)

 

5. 다른 학문에 대한 비중(58p)

1) 철학과의 비교(☞ 계시관에 대한 오해)

철학과 신학은 같은 목표를 갖는다. 다만 방법이 다르다.

○ 기초

신학 - 신존재를 신앙하고 만물의 원인이라는 관념으로 시작 - 인생관 세계관을 발전시킴

철학 - 다른 무엇과 만물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다. - 무엇과 내재한 능력으로부터 발전시킴

○ 구분 - 기원 - 기준

신학 - 믿음 - 계시로의 객관

철학 - 관념 - 철학자의 주관

○ 철학은 교의학자에게 일정한 가치를 갖는다.

① 기독교 입장에 지원을 제공한다.(철학적 결론들을 성경적 입장의 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② 이성은 존재의 기초적 난제들을 해결하기에 부적당 하가는 것을 제시하여 준다.

③ 교육받은 불신자의 견해들을 알게 한다.(믿음과 같아서 이론적 설득 불가 ; 진화론)

☞ 성경적 기독교 참조

 

2) 심리학과의 비교(☞ 신관에 의한 인생관의 오해)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방식과 이유를 질문하는 학문으로 종교생활의 사실을 연구.

교의학과 일치 - 종교경험의 현상 설명은 교의학과 일치

교의학과 상이 - 원인을 설명하는 형이상학적 해석은 크게 다름

 

6. 교의신학의 위치(60p)

1) 신학상 지위 - 가장 중심적인 위치이다.

신학의 4대분 - 교의신학, 주경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 4대 신학은 성경신학의 보조적인 신학이다. 주경신학은 성경신학에 입문하도록 해서 성경신학을 통하여 하나님을 깨달아 새생명을 얻게 하고 새사람으로 성숙되어져 가게 한다. 그런데 신앙의 뼈대가 교의신학적 논리체계로 나타나고, 성경신학적 신지식에 의한 역사해석이 역사신학으로 정리되며, 성경신학적 신지식에 의한 삶의 모습이 실천신학으로 표출이 되어진다. 이렇게 성도의 성숙된 삶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하나님께 영광과 존귀를 돌리며 은혜의 영광을 찬송하게 되어진다.

 

2) 소속학군

① 계시의 내용 전부를 신앙과 의무의 체계들로 구성하는 것은 교의학과 윤리학

② 구성의 과정인 교리사, 신조학

③ 이단운동에 대항하여 교의체계를 옹호하는 논쟁신학으로서의 변증학

3) 변증학과의 관계

① 방호의 학문으로 독립적 체계의 학문으로는 불가하고

② 신학보다 앞선 원천이기 때문에 인생의 이성 위에 신학이 설 수 없으며

③ 신학의 원리들을 순수이성의 산물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신학의 성질과 충돌된다.

 

4) 윤리학과의 관계

기독교 윤리학의 기초적 가정들을 기독교 교의학에서 인출한다.

칼빈은 기독교강요에 십계명을 통해 독특한 윤리사상을 주장하였다.

 

 

각주

칸트는 이 책에서 인간이성의 권한과 한계에 대하여 단적으로 질문하며,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形而上學)의 성립가능성을 묻는다. 즉 인간의 이성은 감성(엄밀히 말하면 감성의 선험적 형식으로서의 공간과 시간)과 결합함으로써 수학이나 자연과학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확실한 학적 인식(學的認識)을 낳을 수 있지만, 일단 이 감성과 결부된 󰡐현상󰡑의 세계를 떠나서 물자체(物自體)의 세계로 향하게 되면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에 말려들어 혼란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초경험적인 세계에 관한 형이상학적 인식은 이론이성(理論理性)으로는 도달 불가능하며, 실천이성(實踐理性)에 의한 보완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 후에 저술한 《실천이성비판(實踐理性批判)》에서, 이 이론적으로는 해결불가능으로 여겨졌던 문제의 해결과 인간행위의 기준을 논하였다.

《순수이성비판(純粹理性批判)》에 나타난 I.칸트(Kant, Immanuel)의 비판주의 입장.

즉, 독단론이나 회의론에 빠지는 것을 피하고 이성(理性)의 자기인식을 규명하는 것이 비판주의의 입장으로, 그에 의하면 비판이란 책이나 체계의 비판이 아니라, 일체의 경험에서 독립하여 얻어지는 인식에 관한 이성 능력에 대한 비판이라고 하였다

 

학은 단순히 「그 본질에서 조직화된 지식 즉 그 자체들이 동일한 영역안에 밀접히 상호관계되어 동일한 사슬의 연환들을 구성하거나 혹은 공통한 관점에 의하여 한 조직적 통일체로 방법론적으로 상호 관련된 통찰의 섬광의 연쇄이다」

 

성경신학의 학문적 정당성

기존 모든 학문은 과정학문이다. 보통 학문의 성립은 논리적 통일성과 사실적 근거가 요구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논리적 통일성이란 사실적 근거가 되는 현실에서 충족 될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논리적 통일성을 중시하는 독일 등은 관념론을 발전시켰고, 사실적 근거를 중시하는 영국 등은 실증주의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학문의 조건을 서철원 교수는 범위, 성질, 법칙, 필요성, 대상, 지식체계로서의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법칙으로서 일관성의 법칙, 예증의 법칙, 상호 결합의 법칙, 하나의 원리 아래 모든 지식들을 통일해야 하는 통일성을 제시한다.(서철원, 기독교 문화관, 총신대학출판부, 1992.7, pp, 54-57.)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기존신학은 위의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앞에서도 문제제기 한바와 같이 일반학문은 과정학문으로서 일원론적 세계관의 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 체계 안에서 상호 모순되는 진술을 가지면 학문이라 할 수 없는데 기존신학은 여러 부분에서 상호 모순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의지의 문제가 그러하고, 하나님의 명령과 인간의 불순종에 대한 문제가 그러하다. 이외에도 이성과 신앙, 율법과 복음, 역사와 계시, 은혜언약과 행위언약 등 헤아릴 수 없는 문제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또 예증의 법칙에 의해 지식이 증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모든 신학은 일관성있는 증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수많은 신학의 이견들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보수를 말하는 자들은 그래도 성경적 예증으로 변증하려는 태도를 가지나 유감스럽게도 성경관의 구조적, 해석적 제반 문제로 인해 예증 자체가 또 다른 예증에 의해서 모순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상호결합의 법칙, 즉 명제들의 모순으로 하나의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하다. 이 또한 4대 신학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학문 체계가 그러하고, 구약학자와 신학학자간의 갈등이 그러하다.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수학한 학자와 국내에서 수학한 학자간의 갈등이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모든 명제들을 통일하여야 하는데 신학 자체도 통일을 못하고 있는 기존 신학이 어찌 전 피조물의 명제를 통일할 수 있단 말인가? 서교수는 성경의 창조와 구속의 원리를 위하여 여타 모든 학문들은 희생하여 한 학문에 종속하는 主義化밖에 다른 길이 없다고 하는데 너무나 작은 그릇에 많은 것을 담으려 하는 욕심일 뿐, 이러한 요구는 학문적 횡포이다. 이는 일박학문에서 요구하는 논리에 대해 무능한 대처를 할 뿐 대안이 없는 신학의 미숙이다.

성경신학은 일반학문적 모든 조건에 경쾌한 대안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모든 일반 학문을 포함한 하나의 통일된 유일한 학문체계를 갖고 있음을 증거 하고자 한다. 첫째, 일관성의 법칙을 범함 없이 지식들이 정리되어야 한다는 조건에 대해서는 목적, 대상(실재), 방법(지식), 결과(가치) 등 신학 원리의 일관성으로 증거한다. 성경신학적 지식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영원하신 하나님께서 당신의 영광의 선포의 도구인 온 피조세계의 실재를 통해 증거하신다. 실재란 영원하신 하나님의 실재요, 그 안에 있는 영원한 나라의 실재요, 영원한 실재를 시·공·형화한 계시적인 실재이다. 성경신학의 방법을 신적계시에 의한 방법으로 제시하여 지식 즉 인식의 주관자가 성령임과 특별계시인 성경이 인식의 도구임을 밝혔다. 여기에 일반계시인 모든 일반학문이 포함되어 간접적으로 계시의 도구로 사용된다.(박용기, 성경신학개론, 진리의말씀사, 1997.7, pp, 46-98.)

둘째, 예증의 법칙에 의해 지식이 증명되어야 하는 점에 대해서는 성경의 자증성이 모든 법칙과 존재를 증명해 주고 있다. 그 동안 성경관의 오해로 교회가 분파 되고 사상이 분리되고 하였으나 영원하신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시기 위해 주신 특별계시가 모든 일반 계시까지 밝혀 주는 빛이 될 것이다. 정경형성과 정경구성을 거쳐 새로운 의미분석적인 성경해석을 통해 증명된 성경의 자증성이야말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능력과 신성의 영광을 드러내시는 특별하신 역사섭리이다.(롬 1:20)

셋째, 상호 결합의 법칙을 따라 결합되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성경신학에는 분명한 대안을 제시한다. 영원한 언약성취, 실체적 언약성취, 육적 언약성취, 영적 언약성취 등으로 구약이면 구약, 신약이면 신약의 명제들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성경신학은 성경 한 구절이라도 66권의 성경의 조망아래 설명되어 진다. 이러한 해석 방법은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부분적인 것으로 파할 수 없게 되고 이는 문자주의자들의 공격에도 난공불락의 견고한 요새가 된다.

넷째, 하나의 근본 사상 혹은 원리 아래 모든 지식들을 통일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성경신학의 신학은 언약성취사라는 원리 아래 모든 지식이 통일된다. 모든 지식의 통일은 같은 가치관, 즉 성경관, 신관, 인생관, 역사관, 세계관의 통일을 말함이다. 더 나아가 기존 신학에서 탐구의 대상으로 삼는 온 피조의 세계를 해석함으로 일반종교, 일반 학문까지 포용함으로 명실상부 유일한 일원론적 학문체계임을 증거 한다. 이러한 성경신학의 학문적 체계 아래 기독교노인학의 체계를 유기적으로 설명하여 기독교노인학의 학문체계의 정당성이 확보되었다.

 

박용기, 성경적기독교, 진리의말씀사, 1998.10, pp, 14-25.

철학적 종교

분 류

기 초

목 적

무속종교

경험위주

행운추구

이치종교

사색위주

이치추구

기독교

분 류

기 초

평 가

목 적

이성적 기독교

이성

유사기독교

인간의 행복

성경적 기독교

계시

정통기독교

하나님 영광

종 교

분 류

기 초

기 원

동 기

대 상

목 적

이방교

이성

역사과정

인간

우상

인간의 행복

기독교

계시

역사초기

하나님

하나님

하나님 영광

주관적 진리

분 류

근 거

성 격

결과

경험론

경험위주

소국적

독선

관념론

사색위주

대국적

궤변

객관적 진리

분 류

근 거

성 격

결과

관념론

과학적 주관

가변

철학적 진리

계시론

신학적 주관

불변

종교적 진리

 

 

박용기, 성경신학개론, 진리의말씀사, 1997.7, pp, 30-39.

교의신학(Dogmatic Theology)은 교회의 신조(信條)들에 표현된 대로의 교리들을 체계화하고, 이에 대한 성경적인 근거들을 밝힘과 동시에 합리적인 증명을 하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경신학(Exegetical Theology)은 성경을 풀이하는 신학으로서, 일명 성경을 해석하는 신학이라는 뜻으로 석의신학(釋義神學)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은 기독교와 관련된 제반 역사를 연구하는 신학이다. 실천신학(Pratical Theology)은 기독교 진리를 실천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신학이다.

 

존․칼빈, 김문제역, 기독교강요, 혜문사, 1982.4, pp, 222-235.

율법의 첫째 용도는 우리 자신의 절망을 절감케 해 준다.

율법의 둘째 용도는 불신자들도 두렵게 한다.

율법의 셋째 용도는 신자들에게 복종할 규범을 제시해 준다.

출처 : 메타-성경신학연구회
글쓴이 : 펄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