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현대신학 개요

하나님아들 2021. 9. 14. 22:56

    현대신학 개요

 

 

 

1. 17세기

 

 1)개신교 정통주의(Protestant Scholastios), 또는 개신교 번쇠학파

    : John Gerhart(1582-1637)

 

 2)정통주의에 대한 반동:합리주의 신학과 경건주의

    : Spencer, Francke, Wesleys, Zinzendorf

 

 3)합리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 경건주의(보수주의)와 초자연주의

 

 

 

2. 18세기:계몽주의-이성과 도덕의 시대(자연신학과 도덕의 시대)

 

                  -영국의 경험론과 독일의 관념론

 

 1)Immanuel Kant(1724-1804): 신,자유,불멸이라는 종교적 관념이 이성적 논증에 의하여 확증될수 있다고 가정하는 철학(관념론)을 인식론적으로 비판, 종교개혁시대의 사상인 유한한 정신은 무한을 파악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종교의 영역은 실천이성의 영역, 즉 도덕적 명령의 무조건적 영역에 이르게됨. 이러한 칸트의 사상은 자연과 초자연의 분리를 가져왔고, 19세기의 도덕적 인격주의 신학(자유주의 신학)자인 Ritschl, Harnack, Walter Rausen Busch등으로 이어지는 신학의 기틀이 됨.

 

 2)계몽주의에 대한 고전주의적이고, 낭만주의적인 반동: Spinoza의 신비적 범신론(Pantheism)의 재발견과 반대의 일치, 또는 유한한 것과 무한한 것 사이의 완전한 동일성, 또는 연속성의 철학이 대두(Schelling)되어 칸트의 유한과 무한의 불연속성을 말하는 신학과 긴장을 초래하게 되고 양자의 대립은 19세기에 이르러 Hegel과 Schleiermacher에 의하여 위대한 종합이 이루어짐.

 

 

 

3. 19세기: 낭만주의

 

 1)신학적 종합: Friedrich Schleiermacher(1768-1834): 유한안의 무한의 원리, 상호내재의 원리, 동일성의 원리를 종교에 적용. 그는 종교는 절대의존의 감정(종교적 직관)이라고 말하였다. 이것은 주체와 객체를 초월한 우리 존재의 깊이에서 우리에게 미치는 우주적 충격을 의미한다.

 

 2)철학적 종합: G. W. Friedrich Hegel(1770-1831): 철학적 영역에서 절대정신에 의한 인간과 신의 종합, 종교와 문화의 종합, 국가와 교회의 종합을 말함

 

 3)보편적 종합의 붕괴: 역사비판에 의하여 역사적 예수의 문제가 제기됨: David Friedrich Strauss(1808-1874), Ferdinand Christian Baur(1792-1860), Ludwig Feuerbach(1804-1872)

 

 4)1830년대 종교 부흥운동: 경건주의 정신의 부흥과 함께 전도의 열정과 전통신학의 부흥으로 19세기말에는 성서적 관점과 근대정신의 관점을 결합한 조정신학(Theology of meditation)이 대두됨-Hegel과 Schleiernacher의 전통과 그리스도교의 전통을 결합시키려는 시도: 에르랑겐 학파: F. H. Frank(1827-1894), Martin Kahler. 이 전통은 20세기에 이르러 Paul Tillich가 계승하게 됨.

 

 5)Soren Kierkegaard(1813-1855)의 실존주의 신학의 대두로 19세기의 위대한 종합은 붕괴됨-그의 사상은 20세기에 이르러 신정통주의 신학자인 바르트와 실존주의 신학자인 볼트만으로 이어짐.

 

 6)정치적 급진주의와 진화론(Marx의 변증법적 유물론)

 

 7)주의주의(Voluntarism)과 (Life Philosophy): 쇼펜하우어, 니체, 베르그송, 하이데커, 샤르트르, 화이트헤드

 

 8)자유주의 신학, 또는 신개신교주의, 현대주의, 문화개신교등으로 불리우는 신학의 흐름이 신칸트주의(칸트로 돌아가자는 운동)와 함께 꽃피우게 됨

 

 *도덕적 인격주의 신학자 Albrecht Ritschl(1822-1889)

 

 *헬레니즘화된 교리의 속박으로 부터 복음의 해방을 주장하고 복음을 신약의 세가지 복음서로 환원하고 바울신학을 배제한 Adolf Von Harnack(1851-1930)

 

 9)성서에 대한 급진적인 역사비평: 역사적 예수에 대한 회의주의-Wellhausen(구약), Albert Schweitze(신약)

 

 10)종교사학파: 리츨에 대한 반동

 

 *Herman Gunkel(1862-1932)

 

 *Ernst Troeltsch(1865-1923): 비교종교학과 종교심리학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종교다원주의를 주장함

 

 

 

4. 20세기: 신학적 다원주의

 

 1)신정통주의 신학, 또는 변증법적 신학, 위기의 신학, 또는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이며 도덕적 인격주의 신학에(인간중심적) 대하여 하나님 중심적 신학으로 관심을 돌림

 

 *Karl Barth(1886-1968)

 

 *Emil Brunner(1889-1966)

 

 *Friedrich Gegarten(1887-  )

 

 *Reinhold Niebuhr(1892-  )

 

 *Richard Niebuhr(1894-1963)

 

 2)실존주의 신학: 실존주의 철학자 Heidegger와 철저한 역사적 양식비평(Johannes Weiss)과 Martin Buber(1878-1965)의 인격적 관계의 신학의 영향

 

 *Rudolf Bultmann(1884-1976)-신약성서 해석학으로서 비신화화의 방법을 주장

 

 *불트만 이후의 신학(Post-Bultmann): 불트만의 제자들로서 역사적 예수의 재발견을 주장함-Ernst Kasemann, Gunter Bornkamm, Gerhard Ebeling, Ernst Fuchs, Hans Comzelmann, Herbert Braun

 

 3)종교사회주의-복음을 사회적 현실에 적용하려고 함. 교회와 사회의 새로운 관계수립을 모색: Johann C. Blumhart(1805-1880), Christoph Blumhart(1842-1917), Hermann Kutter(1869-1931), Leonhard Ragaz(1868-1945):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정의와 평화를 위해 싸움-신정통주의 신학과 Tillich에 영향을 줌

 

 4)새로운 실존주의적 조정의 신학자: Paul Tillich(1886-1965): 상관관계의 방법: 자유주의 신학의 전통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내용의 중재

 

 5)구속사 진학: Oscar Cullman(1902-), 후에 Pannenberg의 보편사 신학으로 발전

 

 6)세속신학: 신의 내재를 강조하고 실용주의적 사고와 펠라기안주의

 

 *Harvey Cox, Dietrich Bonhoeffer(1906-1945)

 

 7)신의 죽음의 신학: 세속신학이 발전하여 신의 초월설이 배격되어 하나님은 지적으로 불필요하고, 하나님은 감정적으로 없어도 되며, 도덕적으로도 용인할 수 없다고 봄. 합리주의, 민주주의, 진보, 미국적 생활 양식과 그리스도교가 동일시 됨. 예수는 영웅일 뿐, 비신성화 되며, 기도와 예배를 제거함. Gabriel Vahanian, Thomas J. J. Altizer, William Hamilton, Paul Van Buren, J. A. T Robinson

 

 8)Jurgen Moltmann(1926-  ): 종말론적 신학, 희망의 신학, 정치신학

 

 9)Wolfhart Pannenberg(1928-  ): 이성의 신학, 보편신학, 역사로서의 계시

 

 10)해방신학: 남미 해방신학(Gutierrez, Boff), 흑인해방신학(James Cone), 여성해방신학, 민중신학, 제3세계신학

 

 11)진화신학: Pierre Teihard de Chardin(1881-1955)과 과정신학

 

 12)창조신학(생태신학)

 

 13)종교다원주의 신학

 

 14)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17c 개신교 정통주의]

 

 - 카톨릭의 성직자, 교회, 성서의 사상에서 성서 유일사상을 원칙으로 하여 종교개혁을 이룸.

 

 ☆ orthodoxy ≠ 근본주의(fundamentalism)

 

                  └ 평신도 성서주의 (lay biblicism:성서를 문자그대로 해석)

 

                  └ 복음주의(evangelicalism:신정통주의에 입각하여 근본주의와 중각적인 입장)

 

 →현재 우리나라는 복음주의를 근본주의로 잘못 사용되어지고 있다.

 

 〈정통주의의 대표자〉

 

 - John Gerhard (1582-1627)

 

   특징: ① 체계적이고 발달적 신앙임

 

         ② 종교개혁 시대에 주관적보다 객관적 신앙이였다

 

         ③ 정통주의 주원리가 실질원리와 형식원리를 이야기 함

 

         ④ 이중적 학문의 구조 - 계시신학과 자연신학으로 이루어짐

 

            -계시신학(신앙), 자연신학(이성, 카톨릭 신학강조)

 

         "인간 이성은 하나님을 파악할수 있다." - (유한은 무한을 파악할수 있다는 개념으로 카톨릭적인 사상, 인간의 이성을 강조한 이시대의 특징)

 

         의 반박으로 "유한은 무한을 파악할수 없다" - (종교개혁사상. Kant의 순수이성비판, 인간의이성은 초자연을 파악할수 없다) →중재 : 슐라이에르마허 (느낄수 있다)

 

        

 

관념론-희랍의 플라톤 철학에서 옴 (유한은 무한을 파악할 수 있다)

 

17c 의 반박으로 나온 것이 경건주의 신학, 합리주의 신학이다

 

A. 경건주의

 

 - 경건주의 신앙의 특징

 

 ① 정통의 신앙을 받았으나 신앙의 내용을 단순화(원시화)로서 신학적 깊이가 배제되었다. 성서중심의 원시적인 신앙이다. (이것은 모든 세대의 경건주의가 같다)

 

 ② 중생의 경험을 강조했다. 중생을 강조한 교단은 감리교, 중생이라는 실존적 요소를 강조함.

 

 ③ 성령의 임재를 강조했다. 부흥운동을 강조함. 여기에 나타난 역반응으로 수많은 교파가 발생함-성령을 강조하는 데서 나옴, 성령의 완성은 사랑

 

 ④ 신비주의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남. 신비주의적 요소가 강조된다. 입신, 방언을 강조하게 됨.

 

→ 이 경건주의 요소는 17c 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까지 이르게되고 한국교회가 여기에 포함됨.

 

 

 

B. 합리주의

 

 - 종교교육의 성패는 교육에 달려있었다. 개신교의 무리가 폭도로 변해 카톨릭에 지나친 행동을 하자 민심이 돌아서게 되어 루터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새로이 정비, 민중에게 잘 이해시키기 위해 내용의 단순화와 합리화.

 

 - 합리주의의 특징

 

 ① 신의 존재 증명을 통하여 하나님의 존재 증명을 시도해 봄 (신학의 내용을 이성으로 설명)

 

 ② 계시와 이성이 불균형. 계시와 이성을 마찰하게 됨. 이성을 강조.

 

 ③ 18c의 계몽주의 시대와 더불어 합리주의 신학이 강조, 발전 → 18c를 철학적으로 계몽주의 라고 부름

 

 

 

 [18c 계몽주의 시대]

 

 특징 : 인간의 미성숙 상태를 극복하는 것

 

  - 한마디로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남(자유시민의 봉기), 인간 이성의 대화와 함께 천재지변이 일어나고 이시기에 주일학교 운동이 영국에서 일어남.

 

 본질 : ① 자율을 강조-인간의 이성을 강조. 이성의 법칙아래 사는 것이다 (신의 의지:우리안에 신이 만들어진다) 나중에 도덕법과 일맥상통하게 된다.

 

        ② 이성을 강조

 

        ③ 조화의 개념이다. (신이 태초에 모든 만물이 조화롭게 만들었다) "만물은 인간이 어떻게 하지 않아도 신이 태초에 조화롭게 함 → 기독교에 있어서 신의 섭리 개념으로 보았다. 철학화한사람-라이프니찌의 단자론

 

 

 

☆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관 - 브루주아적 특징을 가졌다. 계산적이고 합리적이다.

 

☆ 계몽주의 시대의 종교관 - 합리주의적 종교:인간 이성에 의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것만 받아들임.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부활, 재림, 심판을 배제하였다.

 

  ① 죽음에 관한 설교를 하지 않는다

 

  ② 최후 심판에 대한 위협

 

  ③ 원죄 사상을 거부함

 

  ④ 지옥의 두려움을 없앰

 

  ⑤ 기도의 필요성을 배제

 

 → 은총, 유한성, 절망을 말하지 않은 낙관적 세계관.

 

 ☆ 세계에 관섭하지 않는 하나님의 초월적 신앙이 부상하게 됨 - Deism

 

     └ Deism 이 신학화하여 자연신학이 탄생 (natual theology)

 

     └ 인간 이성을 강조→계시론에 있어서 존재의 유비(존재하는 것을 보아서 하나님을 알수 있다)

 

 ○ 도덕적 인간을 강조 (믿음보다 강조됨)

 

  -죽은 뒤에도 인간의 영혼은 진보할 수 있다. (카톨릭의 연옥설에 대한 부분적 수용)

 

  -상식적 도덕성 강조. 특별히 관용을 강조.

 

  17c 에 30년 전쟁은 카톨릭과 개신교와의 전쟁. 이때 독일 인구의 절반이 죽음. 그래서 18c에는 종교적 전통에 대한 관용함. - 관용과 인간성에 훈련을 강조, 칼빈의 영향.(금욕주의, 자기절제)

 

 

 

[중세시대의 대표적 철학자]

 

  Immanuel Kant (1724-1804)

 

 - 관념론(전능한 인식의 가능성)과 경험론(인간이 경험한 것만 알수 있다)을 조화 - 인간은 경험하는 것을 알수 있고 이성속에 있는 것을 알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초자연적인 것을 알수는 없다고 인간이성의 한계성을 주장. (순수이성비판=인간은 이성으로 하나님을 알수 없다)

 

 - 순수이성비판 ① 신, 자유, 불멸-이성적 논증에 의하여 설명될 수 없다.

 

② 유한의 정신은 무한에 도전할 수 없다. (Deism 비판)

 

③ 신을 통해서만 신에 이른다. (믿음을 통해서만 하나님을 알수 있다)

 

④ 은총만이 인간의 죄, 하나님의 소외를 극복할 수 있다.

 

⑤ 인간의 유한성을 초월하는 것은 도덕적 명령. 무조건적 명령에 의하여 신의존재는 요청이 있다. - 신의 존재의 타당성은 도덕적 요청에 의하여 나옴. 신의 존재의 타당성이 약화.

 

→ 이러한 사상이 리츨과 하르낙에 의하여 계승외었고, 합리주의 종교가 나오고 칸트의 합리주의적 종교에 대한 반동으로 초자연주의, 초월주의가 등장.

 

 - 칸트는 역사는 근본악과 선의 싸움이라고 생각. 교회의 사제 우월주의와 교권주의와 신비주의를 비판하고 도덕적 명령만 남음.

 

    하나님의 나라는 지상에서 도덕국가와 일치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하나님의 나라는 초월적인 것이 아닌 이 세상에 도덕으로 세워진 나라라고 말함.

 

Spinoza의 재발견 : 범신론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신적인 것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신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칸트의 사상이나 종교개혁 정신과 반대. 인간의 존엄성이 부각되는 말이다.

 

 - 유한은 무한을 파악할 수 있다 ≠ 칸트

 

 

 

[19c 낭만주의 특징]

 

① 유한은 무한을 반영한다 (반대의 일치), 소우주는 인간성, 대우주는 무한자

 

② 심지적 요소 - 예술과 종교를 종일시

 

③ 과거의 재발견- 유한은 무한을 반영한다. 과거의 역사에도 신의 의지가 작용하므로 과거를 중요시하였다

 

④ 권위이 재발견- 시민혁명에 대한 반동으로 국가야 말로 신의 뜻을 대변하는 기관이다. 헤겔의 역사철학의 절대정신은 '강력한 국가관' 이다.

 

⑤ 인간론 - 마성적 차원의 재발견 (죄의 깊이의 차원,원죄의 깊이)

 

   신학적 종합 - 쉴라이에르 마허,  철학적 종합 - 헤겔

 

   판넨베르그 신학- 인간의 역사를 통하여 하나님의 계시가 나타난다. 하나님의 계시란 소수의 사람만 아는 것이 아니라 이성을 가진 인간은 모두가 알수 있다. (이성의 신학으로 헤겔과 같다)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

 

① 신앙과 이성간의 밀접하고도 생생한 관계 (부활, 동정녀 탄생에 회의적, 비강조)

 

② 성육신 하나님을 강조 - 예수의 인간성에 초점, 인간성 강조

 

③ 우리의 신앙과 구원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인격의 확실성

 

④ 기독교 생활 양식에 있어서 윤리적인 것을 강조

 

⑤ 인간 본성에 대한 낙관론적 견해

 

⑥ 기독교의 진리를 현대문명 (ex 심리학,과학)에 적응시키려 함

 

⑦ 자연 신학에 대한 강조 즉, 기독교와 타종교, 타문화와의 교량을 시도

 

⑧ 학문에 있어서 귀납적 방법의 선호

 

⑨ 인간의 죄성에 대한 무관심 -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 (도덕과 윤리의 실천에 의하여 하나님나라가 이땅에 실현될수 있다. : 니버 "십자가 없는 그리스도")

 

⑩ 가현설의 거부 - 예수의 인간성을 강조

 

⑪ 신약성서의 강조 - 특히 공관복음을 강조하고 바울서신에 회의를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