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교회사
Ⅰ. 서론 중세의 세계
A. 중세는 이전의 역사가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창조적인 시기였다.
1. 중세는 단지 암흑기라 불리우고 대체로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2. 그러나 중세에는 이전에 역사가들이 생각하던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사건이 발생한 시대였다.
B. 근세에 일어난 사건의 대부분은 중세기에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1. 초대 교회 문헌을 연구하는 학문의 부흥도 중세에 시작되었다.
2. 오늘날까지 선진국으로 불리우는 민족국가들도 중세에 형성됨
3. 대학의 설립도 12c와 13c에 시작되었다.
4. 스콜라 철학도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5. 많은 새로운 기관과 사상 운동이 중세기에 형성되었다.
6. 신대륙의 발견(미국)도 중세기에 이룩된 사건이다.
C. 기독교는 중세사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중세의 종합"(Medieval Synthesis)라는 표현을 쓴다.
1. 중세는 사실상 삶의 모든 영역이 기독교신앙의 영향을 받았고, 기독교는 중세사회에 일치감(Unity)을 주었다. 특히 다음 네 가지 영역이 기독교신앙으로 일치되었다.
a.예술 b.경제 c.정치 d.건축
2. 중세기에 주의를 기울일 현상은 다음과 같다.
a. 기독교신앙은 삶의 여러 영역으로 계속 확장되었다.
b. 교회와 국가간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c.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간의 분열은 계속되었다. 십자군운동은 어떤 면에서 이 분열을 더 심화시켰다.
d. 13세기는 서방 R.C의 "고전적 시기"(Classical Age)라고 할 수 있다. R.C의 중요한 기관과 인물들은 모두 이 시기에 배출되었다. 동시에 13c에는 새로운 사상운동이 일어나고, 새로운 집단(종단)들이 형성되었다.
Ⅱ. 십자군운동(The Crusades)
A. 십자군운동의 정의 1095년부터 서방교회에 의해 시작된 일련의 "거룩한 전쟁(聖戰)"으로서 약 200년간 계속되었는데, 표면적인 목적은 성지를 회교도로부터 탈환한다는 것이었다.
B. 십자군운동을 일으킨 원인은 비종교적인 원인도 많이 있었으나, 종교적인 원인은 다음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1. 성지를 회교도로부터 탈환하여, 서방의 성지 순례자들이 성지 방문시 안전을 확보한다.
2. 동방로마제국을 회교 세력에 의한 더 이상의 침략을 저지한다.
3. 동. 서방이 하나의 신앙으로 다시 뭉침으로써 기독교의 일치를 꾀한다.
4. (넷째 이유는 명백히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분명히 드러난 이유이다)외부로 관심을 돌리게 함으로써 서방과 서방교회의 평화와 일치를 추구한다.
C. 십자군운동 개념의 출현
1. 동로마의 황제 Alexius Comnenus (콘스탄티노플거주)는 거듭해서 서방으로부터 도움을 요청했으나, 대부분 무시당했다.
2. 그러나 교황 Urban 2세는 이 요청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1095년에 남프랑스의 Clermont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하고, 십자군운동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성공적 설교를 했다. 그 설교의 세 가지 요점이 다음과 같다.
a. 그리스도인은 회교도에 대항하는 "성전"에 참여해야 한다.
b.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는 자에게는 "완전면죄부"(Full Indulgencd)가 약속된다. 즉 그들의 모든 죄가 용서받고, 전쟁에서 사망하면 즉시 천국으로 들어간다.
c. Urban 2세는 십자군운동은 분명한 "하나님의 뜻"이라고 역설했다.
3. 따라서 제1차 십자군운동은 교황 자신이 동기를 부여했고, 봉건영주들을 가담시키고자 했다.
a. Peter the Hermit 라는 대중 설교자도 십자군운동을 지지하여 많은 대중을 가담시켰다. 그들은 양식이나 무기도 없이 Constantinople을 향해 진격했다.
b. 봉건영주들도 다른 세력을 규합하여 회교도들을 향해 일련의 공격을 개시했다.
4. 결국 1099년에 예루살렘을 탈환했고, 많은 예루살렘 거주인을 학살했다.
a. 봉건영주 중 한사람인 Godfrey는 예루살렘의 통치자로 등장했고, 스스로를 "성묘의 보호자"라고 불렀다.
b. Godfrey의 아우가 계승했는데, 그는 겸손치 못한 자로서 "왕"이라는 칭호를 취했다.
c. 그들은 예루살렘을 정복하여, 봉건제도 형식으로 토지를 분배하고, 예루살렘의 대감독(Patriarch)으로 서방인을 세웠다.
5. 1144년에 회교 세력은 다시 이 지역을 회복키 위해 공격을 시작했다.
a. 회교 세력이 다시 탈환한 중요한 지역은 시리아지방의 중요도시인 Edessa였다.
b. Edessa를 다시 빼앗긴 것이 제2차 십자군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1) <제2차 십자군운동>의 동기를 부여한 사람은 Bernard of Clairvaux 였다.
a) Bernard는 이 시기에 가장 활동적인 수도승이었다.
b) Bernard는 12c에 남프랑스에 새로 생긴 Order 소속이었다.
2) 제2차 십자군운동의 성과는 매우 미미했고, 대부분 실패였다.
6. 회교도들도 자체내에 분열이 있었으나, Saladin의 지도하에 Egypt를 중심으로 해서 새로운 통일 세력을 형성했다.
a. 결국 예루살렘도 1187년에 Saladin의 지도하에 재 침공한 회교 세력에 의해 재정복당했다.
b. 이 사건이 <제3차 십자군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1) 제1차, 제2차 십자군운동은 주로 봉건영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2) 그러나 제3차 십자군은 주로 서방의 최고 통치자들이 관여했다.
a)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b) 프랑스와 영국의 왕들도 직접 십자군에 가담했다.
3) 황제는 도중에 익사했다.(70세 수영중) 프랑스와 영국의 왕들은 서로 견제하느라고 바쁜 나머지, 회교세력에 효율적인 공격을 하지 못했다.
4) 따라서 제3차 십자군도 별로 성과가 없었다.
7. 제4차 십자군은 중세기의 가장 강력한 교황인 Innocent 3세에 의해 주도되었다.
a. Innocent 3세는 1201년부터 4차 십자군운동을 주도했다.
b. 4차 십자군은 Venice 해운업자들이 운영하는 배를 이용하고자 했다.
c. Venice의 해운업자들은 십자군을 권고해서, 먼저 Constantinople로 가서 정치적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고 설득했다.
d. 따라서 십자군은 Constantinople을 침공해서, 약탈하고, 서방인을 황제 자리에 앉히고, 서방인을 Constantinople의 대감독으로 임명했다.
e. 동로마제국은 어쩔 수 없이 수도를 Bosporus 해협을 건너 Nicea로 옮겼다.1261년까지 Constantinople로 돌아오지 못했다.
f. 제4차 십자군이 중요한 십자군의 마지막이다.
8. 그 외에 <아동 십자군"(Children's Crusades)>을 포함한 몇 차례 작은 십자군이 있었다.
a. 남프랑스의 한 아동은 하나님께서 큰 군대를 통해 못 이루신 일을 아동들을 통해서 이루신다고 확신하고, 아동군대 모집을 시작했다. Constantinople을 지나 Jerusalem으로 가서 적을 무찌르고 승리를 쟁취하자고 했다.
b. 수천 명의 아동들이 집을 떠나 동방으로 향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노예로 팔렸거나, 굶주림으로 죽었다. 십자군정신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고, 1291년에는 성지의 최후의 보루마저 잃어버리고 말았다.
E. 따라서 십자군의 주요 목적들은 성취되지 않았다.
1. 성지는 여전히 회교 세력에 장악되었고.
2. 동로마제국은 강화되기는커녕 도리어 약화되었고.
3. 동방교회는 서방교회와 더 반목하고, 멀어지게 되었다.
F. 십자군운동은 서방인들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1. 서방인들은 동방의 높은 문화를 보았고, 이것이 문예부흥의 부분적 원인이 되었다.
2. 서방교회는 동방에도 조금 정착했다. 십자군이후로 동방에는 라틴어 예배를 드리는 교회들이 계속되었다.
3. 서방교회는 많은 유골이나 종교적 작품들을 탈취했는데, 이런 유물을 제공하는 자에게 면죄부를 주었다.
4. 회교를 대적하려는 십자군 정신은 방향을 바꾸어"이단"을 퇴치하는데 사용되었다.
5. 순례자들의 성지순례를 돕기 위해 일어난 수도원 종단들은 십자군운동이 끝난 후에도 계속되고, 확장되었다.
Ⅲ. 서방에 일어난 새로운 수도원 종단들(New Monastic Orders)
A. 수도원제도는 동방에서 일어나 동방기독교의 중요한 세력이 되었다. 그후 서방으로 이전되어 서방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1. 서방으로 이전된 후 서방기독교 확장의 중심세력이 되었다.
2. 이미 살펴본 바대로 아일랜드와 영국의 수도승들이 야만족 선교에 큰 공헌을 하였다.
B. 그러나 동시에 수도원운동은 타락되는 면도 있었으므로 끊임없는 개혁이 요구되었다.
1. 이미 살펴본대로 개혁 운동은 수도원 뿐만 아니라, 전교회를 개혁하려는 운동이 되었다.
2. 그러나 Cluny운동 그 자체도 타락의 길로 접어들었고, 부와 세속성이 또다시 수도승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C. 이러한 수도원의 타락은 12c와 특히 13c에 신앙의 엄격성과 단순성 및 청빈을 강조하는 새로운 수도원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
1. Cistercian Order는 12c남프랑스에서 일어났고, 그 대표자는 Bernard of Clairvaux 였다 (혹은 씨토단 Citeaux Order).
a. Bernard와 30명의 동료들은 1112년에 남프랑스의 수도원에 들어갔다.
b. 약 3년뒤에 Clairvaux에 다른 수도원을 창설했다.
1) Bernard 자신은 적극적인 봉사 생활과 수도승의 금욕 생활을 강조하는 Cistercian Order의 대변인이 되었다.
2) 음식에 관한 규율도 채택했고, 독특한 예배 방식도 개발했는데 종종 침묵 가운데 깊이 묵상하는 시간이 포함되었다.
c. Bernard는 교회 생활에 활동적이었다. 제2차 십자군운동을 주장했으며, 교회의 정통 교리를 옹호했다.
d. 그는 일종의 신비주의자로서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묵상을 강조했고, 찬송가도 작시했는데 일부는 지금까지 불리워진다.(145장,196장).
e. 따라서 Cistercian 종단은 12c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Bernard와 그의 동료들의 활약이 컸다.
2. 12c에 이와 같은 일부 개혁운동이 있었으나, 13c에 이르러 중요한 새로운 종단들이 형성되었다.
D. 13세기에 일어난 네개의 주요 종단들은 특히 청빈(Poverty), 탁발(Begging) 및 세상에 대한 봉사(Service to the World)를 강조했다.
1. 13c에 일어나서 계속된 종단은 다음과 같다.
a. The Franciscans (프란시스단) 회색 탁발승, 1210년
b. The Dominicans (도미닠 단) 검은색 탁발승 1215년
c. The Carmelites (갈멜 단) 흰색 탁발승 1229년
d. The Augustinians (어거스틴 단) 오스틴 탁발승 1256년
2. 이 종단들은 13c에 번창하기 시작한 도시들에서 확산되었다.
3. 이 종단들은 탁발 종단들(Mendicant Orders)이였다. 청빈 서원을 하고, 다른 사람들의 기부에 의존해서 생활했다.
4. 이 종단들은 다음 세 가지를 실천했다.
a. 청빈서원(Vow of Poverty)
b. 순결서원(Vow of Chastity)
c. 상급자에 복종서원(Obedience to Superiors)
E. 프란시스단(The Franciscan)은 Francis of Assisi (1182~1226)의 생애와 사상으로부터 시작된다.
1. Francis는 이태리 중부의 Assisi 지역에 살았던 한 부유한 옷장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2. Francis 는 평범한 소년이었으나, 깊은 종교적 체험을 한 뒤 그의 생애를 다른 사람을 섬기는 삶으로 헌신했다(질병중 환상을 봄).
3.낙후된 예배당들을 개축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그 목적을 위해 자기 아버지의 돈을 사용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결국 유산을 상속받지 못한다.
4. Francis 는 로마로 여행하면서 많은 빈궁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한 번은 거지의 생활이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거지와 옷을 바꿔입고 거지 생활을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5. 1209년경에 그는 순회 설교자가 되어"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를 선포하며 예수의 삶을 본받고자 했다.
6. 곧, 많은 사람들이 그를 따르게 되었고, 둘이 짝을지어 단순한 옷을 입고 설교하며, 약자를 돕고, 탁발 생활을 하였다.
7. 1210년에 교황은( Innocent III세)그들의 선교 사업을 가인준 해주었고, 곧 많은 사람들이 프란시스단에 가입하였다.
8. 얼마후에, 이와 비슷한 여성 종단이 일어났고, 또 단순한 생활을 하기는 하되, 프란시스단에 완전히 가입하지 않은 다른 종단도 일어났다.(세번째 종단)=평신도의 반 수도생활
9. 시간이 지나자 "세번째 종단"은 거대한 재산을 축적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세번째 종단"은 청빈 선서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0. Francis 자신은 언제나 단순한 생활을 고집했으므로, 권력, 학문연구, 부를 추구하는 경향을 저지했다.
11. Francis 의 생애 중에는 많은 신비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a. 자연을 지극히 사랑해서 건강으로 인해 일시 산중에 은거할 때 일월성신.금수초목,산천계곡,기화어류를 형제라 부르고, 태양의 노래를 부르고, 산새들에게 설교했다고 한다.
b. 그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깊이 묵상했다. 죽기2년중에, 그는 사실상"그리스도의 수난의 상처(Stigmata)"를 자기 몸에 받았다고 한다.(성혼)
12. Francis 는 자기 자신을 아무 이기심없이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한 인물임이 분명하다. 말기 2년간 안질로 실명, 찬송가33장(온 천하 만물 우러러)를 작시해서 제자들에게 불리우고 1226년 10월3일 49세로 운명. 운명할 떄 종달새떼가 그 집을 둘러 노래했다고 한다. 그의 사후 2년만에 R.C.은 그를 "보호성자" (Patron Saint)로 선언했는데, 전례없는 일이었다.
13. 그러나 Francis가 죽기전에 이미 Francis 단에는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a. 학문연구(Scholarship)가 강조되기 시작.
b. 집단적 재산이 형성되기 시작.
c. 모직과 규율이 형성되고, 종단이 커지자 여러 번 개정되었다.
14. Francis 의 이상을 실현코자 하는 사람들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사람들 사이에 분열이 있게 된다.
a. 그러나 점차 후자가 지배적이 된다.
b. 조만간에, 프란시스파는 교황의 상담자, 탁월한 학자들을 많이 배출하면서 Francis 의 초기 이상을 포기하게 된다.
15. 프란시스단은 아직까지도 R.C.의 주요 종단으로 지속되고 있다.
F. 도미닠단(The Dominican Monastic Order)은 Dominic (1170~1221)의 생애와 사상으로부터 시작된다.
1.처음부터 Dominic 과 그의 추종자들은 설교, 교육, 훈련 등을 강조했다. 프란시스단이 처음에 주로 하류층을 끌었다고 한다면 도미닠단은 처음부터 상류층 사람들을 끌었다.
2. Dominic 은 스페인 사람으로, 처음에는 스페인 자기 고향 교회에서 봉사했다. 남프랑스를 여행하던 중 R.C.으로부터 분리된"카다리파교(The Cathari = Pure ones)를 만났다.
a. 비록"카다리파"는 일반적으로 이단으로 간주되었지만, 그들의 생활 방식은 R.C.신도들보다 훨씬 본받을 점이 많다고 생각했다.
b. 이들을 바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설교와 삶의 모범을 보이는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했다.
3. 따라서 그는 남프랑스에 정착했고,1215년에 교황으로부터 그의 선교사역에 인준을 받게 된다.
4. 3연후(1218)그는 Francis를 만나서 감명을 받고, 그의 종단도 탁발 종단이 된다.
5. 도미닠은 마지막 몇 달을 로마에서 보내고 로마에서 사망한다. 이 당시에 도미닠단은 성장해서, 계속해서 제2종단, 제3종단을 형성했다(여성종단 및 청빈서원 하지 않는 평신도 종단).
6. 도미닠파는 교육을 강조했다. 그들의 수도원은 학교의 기능도 행했다. 도미닉파 수도승 중에 저명한 학자들이 배출되었다.(토마스아퀴나스)
G. 다른 두 종단
1. 갈멜단(The Carmelites) 이 종단은 그 기원을 선지자 엘리야에 두고 있다. 엘리야가 갈멜산에 종단을 형성했다고 주장한다.
a. 그러나 사실은 12c에 십자군운동중 몇 순례자들이 와서 갈멜산에 은둔자 마을을 형성 한데서 기원한다.
b. 그들은 주로 침묵과 묵상의 생활을 했다.
c. 일종의 탁발 종단이 되었다
d. 1229년이 교황의 인준을 받았다.
e. Palestine 이 회교도들에게 재점령 당했을 때, 갈멜단은 다른 지역으로 흩어져서 서방과 동방에 공동체를 형성했다.
2. 어거스틴단(The Augustinians) 이 종단은 그 기원을 Augustine of Hippo 의 생애와 사상에 두고 있다.
a. 이 종단은 Italy 에서 시작됨
b. Augustine of Hippo 의 규율을 따르기로 결정
c. 설교와 학문을 강조함
d. 1256년에 독립 종단으로 교황의 인준 받음
H. 따라서 12c에는 많은 종단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
1. 이 종단들은 중세 교회와 그 이후에도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게 된다.
2. 따라서 "수도원 종단"들이 번성하게 되었다.
3. 수도원 종단의 수도승들은 종종 "재속성직자"(Seculer Clergy)와 마찰을 빚게 된다.
a.원래 수도승들은 평신도였으나, 후에 대부분이 안수 받게 된다. 그들은 교구 성직자들이 행하던 사역을 행하게 된다
1) 설교 2) 성만찬시행 3) 고해성사
b. 따라서 "재속성직자"(Seculer Clergy)와 "정규성직자"(Regular Clergy)의 구별이 생기게 되었다.
1) 정규성직자란 수도원의 규칙을 따르며, 수도원장 아래 있는 성직자를 가리킨다.
2) 재속성지자란 교구에서 사역하는 사람들로, 감독 아래 있는 성직자를 가리킨다.
Ⅳ. 중세기의 이단들(R.C.에 의해 이단이라 불리운 집단들)
A. 중세기의 교회가 점점 부유해지고, 정치에 더욱 많이 관여하게 되면서 신자들은 두 가지 방향으로 나가게 되었다.
1. 일부는 수도승이 되어 수도원 종단에 가입했다.
2. 다른 일부는 교회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사상과 새로운 신학을 제창하며 분리된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a. 분리된 집단의 구성원들은 교회의 증가하는 부도덕성, 증대되는 세속성, 증대되는 세력, 증대되는 타락을 우려했다.
b. 이 가운데 두 집단이 두드러지게 확산되었다.
1) 카다리파(The Cathari=Pure ones)
2) 왈도파 (The Waldenses)
B. 카다리파와 왈도파는 북스페인, 남프랑스, 북이태리에서 업청나게 증가했다.
1. 카다리파(The Cathari)
a. 카다리파는 2원론자(dualist)들로서 십자군원정중 동방과의 접촉으로 인해 2원론을 도입했다.
b. 두 영원한 세력(선한 세력과 악한 세력)이 대립된다고 밀었다.
c. 영적인 질서는 선한 세력의 작용으로 보았고, 물질적인 질서는 악한 세력의 작용으로 보았다.
d. 많은 사람들이 구약을 거부했고, 신약중 특히 요한 복음을 중시했다.
e. 그들중 성직자를 안수할 때는 요한 복음을 머리위에 올려놓고, 안수자들의 손을 그 위에 올려놓았다. 이런 안수를 받은 후에는 "완전한 사람"으로 간주되었다.
1) 안수 받은 사람은 독신으로 살았다.
2) 전쟁에 참여치도 않고, 재산을 소유하지도 않았다.
3) 생식 죄의 산물인 우유, 고기 계란을 먹지 않았다.
f. 그들은 엄격한 삶을 살았다.
g. 그들중 다수는 죽을 때까지 이러한 서원을 지키려 하지는 않았다.
h. 카다리파는 사실상 이단적인 요소도 많았다. 카다리파의 반대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카다리파를 이단시했다.
1) 그리스도의 성육신(Incarnation)을 부정했다
2) 성모마리아가 그리스도의 모친이라는 사실을 부정했다.
3) 인간의 몸이 장차 부활할 것을 부정했다.
4) 그들은 R.C.교회에 강력히 반발했다.
2. 왈도파(The Waldenses)
a. Peter Waldo 는 남프랑스 리용(Lions)이라는 도시의 부유한 상인이었다.
b. 마19 21절에서 예수께서 부자 청년에게 이르신 말씀을 읽게 되었다.
c. 1176년에 Waldo 는 이 말씀대로 자기 소유를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신약성서를 계속 공부해서, 모든 면에서 그리스도를 닮고자 했다.
d. 곧 다른 사람들도 Waldo를 따르기 시작했고, 여러 지방에 다니며 설교하고 복음을 전파했다(Poor in Spirit라 지칭).
e. 그들은 교황의 인준을 요청했으나, Waldo가 무식한 평신도라는 이유로 인준을 거절했다.
f. 그럼에도 불구하고 Waldo 는 사역을 계속했고, 왈도파는 증가했다.
g. Waldo 파는 설교를 강조했고,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르려 했으며, 하나님의 공급하시는 섭리를 의존했다.
h. 곧 그들은 R.C의 여러 가지 행습을 공격했다.
1) 죽은자를 위한 미사 2) 연옥 개념 3) 라틴어 예배
i. 그들은 여성과 평신도들도 설교하고, 고해를 듣고, 의식을 집행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j. 무엇보다도 왈도파는 성경과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고, 성경을 자국어(Vernacular)로 번역했다.
3. 카다리파와 왈도파는 그들이 정착한 지역에 많은 추종자를 얻게 되었고, 많은 지역에서는 R.C.신도 수를 앞질렀다.
4. R.C은 이들을 다시 교회를 끌어들이려 했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5. 그러자 R.C.은 강력한 조치를 시행했다.1179년에는 교황에 주도하는 십자군이 소위"이단자"들을 색출하기 시작했다.
a. 교황의 사신이 1208년 살해되자 교황 Innocent 3세는 십자군을 모집해서 "이단자"들을 발본색원했다.
b. 여러해동안 개인적 정치적 종교적인 이유로 피 흘리는 파괴적 전쟁이 계속되었다. 1229년에 가서는 대부분의 이단자들이 제거되었다.
c. 1229년에 남프랑스의 Toulouse 에서 종교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이 회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경을 자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금지한다.
2) 평신도가 성경 사본을 소유하는 것을 금한다.
3) 이단심문소(Inquisition)제도를 인준한다.(이단심문소란 무력을 사용해서 이단자들을 찾아내고, 박멸하는 방법이다.)
a) 이단으로 인정된 평신도는 모든 재산을 박탈당한다.
b) 이단으로 인정된 교역자는 모든 사례비를 교회에 반납한다.
c) 봉건영주 가운데 그의 영토내에서 이단자를 제거하지 않는 사람은 감독이 파문한다.1년내로 이단자를 제거치 않으면 교황에게 넘겨서, 모든 영토를 박탈하여 교회 재산으로 한다.
d) 특정 지역에서 이단 제거에 공헌한 사람에게는 면죄부가 발급된다.
e) 감독들은 봉건영주 및 영토들을 방문하여 이단자들의 고발 정신을 고취한다.
f) 이단심문소는 중세 기독교의 중요한 기관이 된다. 이상하게도 설교와 삶의 모범을 강조하며 일어난 도미닠단이 이단 심문자로 일한다.
6. 이런 과정을 통해서 카다리파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왈도파는 북이태리의 산간 지방으로 밀려났다.
7. 왈도파는 계속 존재하게 되었고, 종교개혁기에는 종교개혁 교리를 받아들였다. 왈도파는 오늘날도 그 지역에 존재한다.
C. 14C에 일어난 이단들
1. Lollards(롤라드파)는 영국에서 일었났고, 후스파(Hussites)는 보헤미아(현 체코)에서 일어났다.
2. John Wycliffe 와 롤라드 운동 (Lollard Movement)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Oxford 에서 가르치면서 인기있는 교수요 설교자가 되었다(1328-1384).
b. Wycliffe 는 Augustine을 연구해서, Augustine 의 신앙을 부흥시키고자 했다. 그래서 세 가지를 강조했다.
1)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주도권
2) 하나님의 주권(The Sovereignty of God)
3) 예정설 등
c. Wycliffe는 유럽으로 왕의 심부름을 하면서 왕자와 친구 되었다. 왕자는 여러 해동안 정치적으로 Wycliffe를 보호했다.
d. 마지막 10년동안에 R.C.이 보기에 급진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1) 1370년대 중반에 Wycliffe는 하나님의 지배권(On Divine Lordship)과 시민 지배권(On Civil Lordship )에 대해 쓰면서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강조했다.
a) 하나님이 모든것의 주인이시며, 인간은 청지기라는 점을 강조했다.
b) 청지기가 그 임무를 다하지 못하면, 직분을 빼앗긴다고 하였다.
c) 이 원리를 교회에 적용해서, 감독이나 직분자가 청지기 직분에 충실치못하면, 시민 정부 지도자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고 했다.
d) Wycliffe 는 또한 교황도 오류가 있다고 했다. 교황의 직분은 교회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했다. 따라서 무가치한 직분이면 제거될 수도 있다고 했다.
2) Wycliffe는 [교회에 대하여]](On the Church)라는 책을 써서, 교회를 "무형의 몸으로 예정된 자의 모임"이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가시적 교회와 그 직분 자들이 진정한 교회의 회원을 결정할 수 없다고 했다. 교회의 유일한 머리는 그리스도시며 교황도 선택받은 자가 아닐 수 있다고 했다.
3) 또 다른 저서인 [성경의 진리](Truth of Scripture)에서는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성경만이 신앙과 행습의 원리라고 했다. 성경의 권위에 대한 강조는 성경 번역 활동, 성경 연구, 성경의 자국의 이용등을 촉지했다.
e. Wycliffe 는 화체설 교리를 공격했고, 모든 신자의 제사장직분을 강조하면서 면죄부행습을 반대했다.
f. Wycliffe는 1374년에Oxford에서 은퇴해서, 작은마을 Lutterworth 라는 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왕자와의 친분이 없었더라면 이단으로 몰려 처형당했었을 것이다.
g. Lollard운동은 Wycliffe사후에도 계속되었고, Wycliffe 의 추종자들은 R.C.의 행습을 공격했다.
1)성직자 독신제도 2)화체설3)연옥설4)성지순례, 교황의 개념, 교회의 부
h. 초기에는 Lollard 운동은 대부분 학문적이거나 정치적이었으나, 후기에는 점차 대중들을 끌어들이는 대중운동이 되었다.
i. 롤라드파는 심한 핍박 중에도 영국에서 계속되었고, 종교개혁까지 지속되었다.
3. John Hus와 후스파운동 (The Hussite Movement)
a. 보헤미아의 프라하(Prague)근처에 유사한 운동이 일어났다. 많은 보헤미아 사람들이 영국에서 공부하고, Wycliffe의 가르침을 가지고 왔다.
b. John Hus는Wycliffe 의 사상을 받아들여 Prague근처에서 전파했다.
1) 후스는 프라하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에서 가르쳤다.
2) 프라하의 Bethlehem Chapel 에서 설교도 했다. 후스는 라틴어 뿐아니라 모국어로도 설교도 했고, 교회의 악을 비난하며 개혁을 요구했다.
3) 대부분 위클리프의 교회관을 받아들였고, 그 사상을 근거로 해서 개혁을 시도했다.
4) Hus는 또한 애국자로서 외국 세력의 침입을 거부했다.
c. 이 당시는 세명 내지 네명이 서로 교황이라고 주장하던 때였고, 유럽은 이문제로 분열상을 보였다.
d. 1415년에 신성로마제국 황제 (Sigismund)는 교황 분열 문제를 해결키위해 Constance(독일의 도시)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했다(Martin Ⅴ세가 교황이 됨).
1) Hus는 이 회의에 참석하여 견해를 제시하라는 요구를 받음 안전보장을 해주겠다는 약속도 함께 받았다.
2)그러나 Hus가 Constance에 나타나자 마자는 투옥되고 즉시 화형 당했다(변명은 이단자에게는 약속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것)- Wycliffe의 뼈도 파내라 명령했고, Wycliffe는 1428년에 무덤이 파헤쳐지고, 시신이 화형 당함
e. 후스의 죽음은 보헤미아에 폭동을 일으켰고, 후스파는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모든 외세는 배척되었다.
f. 후스파는 모든 외세를 대항하여 뭉쳤으나,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남
1) The Utraquists (이종 배찬파)
a) 성만찬에 포도주와 떡을 다 받는 사람들로서, 프라하를 중심으로 한 귀족들로 구성된 온건한 집단
b) 자유로운 설교와 복음 전도, 사도적 청빈, 엄격한 성직생활, 평신도에 성만찬 시 잔을 주는 행습 등을 요구했다.
c) 성서가 금지하는 의식만을 금지한다는 기본자세 유지.
2) The Taborites(다볼파)
a) 그들이 세력이 강했던 마을(Tabor)이름에서 유래
b)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교리나 행습은 모두 거부하는 기본자세 유지.(과격한 민주주의파)
c) 성경에서 가르치는 내용만을 받아들였다.
g. 이들 집단간에 알력이 있었는데, R.C.은 양보를 해서 The Utraquists를 다시 교회로 끌어들였다.
h.그러나 작은 집단은 교회밖에 계속 존재하면서, United Brethren이라는 평화적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중 일부가 독일로 이주해서 Moravian교도가 되었다.
Ⅴ. 캐도릭의 스콜라주의(Catholic Scholasticism)
A. Charlernagne(찰스대제)는 800년경에 학문과 교육을 장려. 모든 사원과 수도원에 학교를 세우도록 명령.
1. 학문과 교육은 계속 발전했고, 계속 영향력을 미쳤다.
2. 사원과 수도원의 학교들은 숫자와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3. 학문은 특히 12c-13c 대학의 설립과 더불어 더욱 발전했다.
B. 학자들은 이성과 논리를 이용하여 기독교 진리를 주의 깊게 체계화하기 시작했다 (학교와 대학을 중심으로 해서)
1. 이와 같은 노력을 스콜라주의(Scholasticism)이라 한다.
2. 스콜라주의는 이성, 논리, 철학 등을 이용하여 기독교 진리를 정확하게 정의해 보려는 R.C.내의 강한 세력이 되었다.
C. 스콜라주의자들이 밝히고자 시도한 주제중 하나는 믿음과 이성의 관계이다.
1. 이 관계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서로 모순되는 것이냐? 그렇다면 어느 것이 우선이냐? 이성으로 믿음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느냐? 믿음이 이성을 보조하느냐?
2. 스콜라주의자들은 주로 희랍철학을 이용하여 믿음과 이성의 관계를 설명하여 했다.
a. 스콜라주의자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철학은 Aristotle의 철학이다.
1) 3-4c에는 Plato가 위대한 기독교 철학가로 추앙되었으나,13-14c에는 Aristotle이 추앙되었다.
2) 스콜라주의자들은 이 연구를 위한 기초로서 Aristotle와 그의 작품들을 보기 시작했다.
b. 초기에는 희랍어를 이해하는 학자들이 드물었다. 그들은 주로 라틴어를 쓰는 서방 학자들이었다. Aristotle는 번역 작품에 의존해서 이해했다.
c. 번역된 Aristotle의 작품들은 주로 논리학에 관한 서적들이었다.
1) Aristotle은 주로 논리학자였고, 스콜라주의자들의 그의 3단논법을 빌려서 이용했다.
(1) 대전제(2) 소전제(3) 결론
2) 후에 스콜라주의자들은 더 많은 Aristotle의 번역 작품을 접하게 되었고, 희랍어에 대한 지식을 늘려 갔다. 스콜라주의자들은 또한 유대교와 회교도들의 Aristotle에 대한 주석을 획득함으로 연구 범위와 연구 수단이 넓어졌다.
d. Aristotle은 이렇게 해서 갑자기 기독교인, 유대인, 회교도들의 위대한 철학자가 되었다.
3. 이 모든 논쟁의 배후에는, "보편"(universal)의 존재에 대한 신학적, 철학적 전제에 대한 논쟁이 깔려있었다.
a. Plato는 물질계와 영계를 나누는 2원론자로서, 영계가 '실재'(real)의 세계라 했다.
b. Aristotle은 Plato처럼 영계와 물질계를 강하게 구분하지는 않았으나, 그래도 실체의 "실재"(real)를 주장했다.
c.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편'(universal)의 문제는 거듭 거듭 논의되었고, 교회 내에 분열을 조장하기에 이르렀다.
d. 기본적으로, "보편'에 관한 견해는 두 집단으로 나뉜다.
1) 실재론자(Realists) Plato의 사상과 연관된 집단
a) "보편"이 실제로 "실재"한다고 주장했다.
b) 따라서 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에게는 실재하는 "보편"의 존재가 중요했다.
2) 명목론자(Nominalists) "보편"이란 이름뿐이지 사실상"실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 집단
D. 스콜라주의자들은 Aristotle의 철학을 이용해서 "실체"(Substance) 와 우연성 (Accident 감각적 특성)을 구별했다. 이런 철학과 관련해서 첫 번째 논의된 문제가 "주의 만찬"에 대한 논쟁이었다.
1. 실재론적 신학자들의 "주의 만찬" 개념 "실체"와 "우연성"을 구별하여 주의 만찬시에 우연성은 불변하나 실체는 변한다고 주장.
a. 따라서 만찬 참여자는 떡과 포도주를 받을 때 맛, 색깔, 모양 등은 변함없는 떡과 포도주이지만, 떡의 실체와 포도주의 실체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이론이다.
b. 따라서 이 이론이 "화체설"(Transubstantiation)의 근거이다. 사제가 봉헌 기도하며 "이것이 내몸이고, 이것이 내 피다"라고 선언할 때 실제론 이런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c. 1215년 4차 라테란 회의(The Fourth Lateran Council)에서 화체설은 R.C.의 공식 교리로 채택되었다.
2. 이런 논쟁은 "주의 만찬"을 정확하게 정의해 보려는 시도에서 발생한 것이다.
E. 첫 스콜라신학자는 Anselrn이었다.
1. 1033년 북이태리 탄생. 1109년까지 살았다.
2. 그는 종종 "스콜라신학의 교조"(The Father of Scholasticism)이라고 불리운다.
3. Anselm은 신앙과 이성이 모순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리스도인들이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모두 이성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했다.
a. 그의 표어는 "나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는다"는 것이다.
b. 그는 그리스도인은 이미 계시를 통해 알거나, 믿게 된 것을 이성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Anselm은 그의 신학에서 강력한 "실재론자"였고, "보편'(universal)은 사실상 존재한다고 하였다.
5. Anselm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Roscelin(로셀린)이라는 사람은 명목론을 신봉했고, 명목론적 철학을 3위1체 교리에 적용했다. 로셀린은 "유명론의 교조"라 불리운다.
a. 여러 세기 동안 3위1체론은 실체의 일치 (unity of substance),다시 말해서 성부, 성자, 성령의 배후에는 실체의 일치가 존재한다는 사실로서 주장되어 왔다.
b.로셀린(Roscelin)은 그러나 "구체적, 개별적 존재"(Pasticulas/Individual)만이 실재하는 것이지,"실체의 일치"와 같은 것은 존재치 않는다고 했다. 따라서 로셀린은 주장하기를 성부, 성자, 성령은 세 가지 인격일 뿐이지. "실체의 일치"가 없다고 했다.
c. Anselm은 Roscelin의 이런 견해를 3신론이라고 공격했다. 1092년 Soissons(소이송)종교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했다.
1) Anselm은 모든 명목론자를 이단이라고 선언했다.
2) 이런 Anselm의 견해는 그후 2세기에 걸쳐서 지배적의견이 되었다.
6. 생애의 후반기에 Anselm은 영국 Canterbury의 대주교로 봉사했다. 종종 논쟁에 휘말리기는 했으나, 죽을 때까지 그 직위를 지켰다.(1093-1109AD)
7. 기독교 역사에 대한 Anslm의 공헌
a. 명목론을 정죄하고, 실재론을 옹호함으로써, 여러 세기동안 R.C.의 신학적 골격을 형성했다.
b.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proof)을 시도했다.
1) 이성과 논리로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시도이다.
2) 3단 논법으로 다음과 같이 증명된다.
a) 대전제 이성은 아무것도 부족이 없는 완전한 존재가 있을 것을 요구한다.
b) 소전제 그런 완전한 존재는 사상 속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존재해야 한다.
c) 결론 따라서 완전한 존재이신 하나님은 실제로 존재하신다.
3) Anselm은 하나님이 존재치 않는다는 (nonexistence of God)생각은 상상도 할 수 없다고 했다(inconceivable).
4)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존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될 수 있다면, 그것은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존재]가 아닐 것이다. 그것은 용어상 모순이 된다. 그러므로 분명히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한 존재]가 존재한다. 오! 우리 주 하나님이여, 당신이 바로 이 존재이십니다." ( Proslogian 3장)
5)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은 Anselm이 제시한 것으로 그 이후 신학자, 철학자, 및 논리학자들에 의해서 그 이후로 하나님 존재에 대한 고전적인 논증 방법이 되었다.
c. Anselm은 그리스도의 속죄에 대해서 "만족설"(Satisfaction view)을 주장했다.
1)그의 중요 작품은 1090년경에 쓰여진 Cur Deus Homo (왜 하나님은 인간이 되셨는가?)하는 책인데, 속죄에 대한 최초의 전반적인 연구서 이다.
2) Anselm은 주장하기를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욕을 끼쳤다. 하나님은 창조의 정점인 인간을 포기하지 않으셨다. 그러나 하나님의 속성은 인간이 그의 연약함과 죄성으로 갚을 능력이 없는, 죄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신다. 이 배상을 이행할 능력이 있으신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시다. 따라서 하나님이 인간이 되시었다.
3)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으심으로 죄에 대한 배상이 다 이루어지고, 죄에 대한 배상 요구가 만족되었다.
F. 스콜라신학을 약간 수정한 학자로서 Peter Abelard를 들 수 있다 (1079-1142)
1. 그의 표어는 "나는 믿기 위해서 이해한다"는 것이다.
2. Abelard는 파리의 유명한 교사였는데, 끊임없는 개인적 고통과 적대감을 겪었다.
3. 파리의 가장 전망 있는 지적 지도자로서 유명해 졌는데, 아름답고 재능 있는 Heloise와의 연애 사건이 그의 학문적 전망과 지적인 영향력을 철저히 깨뜨려 버렸다.
a. 1115년 36세의 나이로 Abelard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Notre Dame(노틀담)사원의 참사의원(canon)이었던 Fulbert(훌베르)의 십대 조카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b. 스승-제자간의 관계가 너무 가까워짐으로 Astrolabe라는 이름의 아들을 낳게 되었다.
1) 후에, 화난 삼촌의 노를 가라앉히기 위해, Abelard는 Heloise와 비밀리 결혼하기로 결정했다.
2) Abelard는 군소 수도원 소속이었으므로 결혼의 가능성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Abelard의 위치에서는 사람들의 환영을 받기 어려웠다.
c. 모든 경고에도 불구하고 좋지 못한 소문이 돌았다. Heloise는 자기 연인의 학문적 명성에 더 이상 치명타를 주지 않기 위해서 지방 수도원에 들어갔다.
1) Fulbert는 이 사건을 Abelard가 책임을 면하기 위한 회피라고 생각하고, 악당들을 고용하여 어느 날 밤 Abelard의 방에 침입하게 하여 Abelard를 거세해 버렸다.
2) 이런 모욕을 당한 후에 Abelard는 베네딕트 수도승이 되었다.
4. Abelard는 문제 제기를 잘하는 사람이었다. Sic et Non (Yes and No)라는 대단히 중요한 작품을 썼다.
a. 이 작품에서, 그는 교부들의 신앙을 검토하고 여러 가지 질문을 제기했다. 이 질문들에 대한 구들이 대답을 Yes 와 No로 표시했다.
b. 그러나 그는 교부들간의 차이를 조화시키려고 하지 않았다. 각 교부들의 대답에 다양성이 있음을 보여 주려 했다.
5. 이렇게 함으로써, Abelard는 종종 교회의 기독교 전통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고, 모순들을 조화시키려는 노력 없이 다양한 차이들을 제시했다.
6. 속죄의 문제에 대해서, Abelard는 만족설보다는 모범설에 기울었다.
a. 그는 그리스도는 우리 죄의 만족을 위한 분이라기 보다는, 모범이 되시는 분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죄에 대해서도 다른 견해를 취했다.Augustine이 주장했던 원죄의 개념을 약화시켰다. 사람이 아담의 죄로 인해 죄인되고, 아담의 죄로 인해 죄책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b. 그리스도는 우리의 모범이 되시므로, 사람은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를 능력이 있다고 했다. 왜냐하면 사람이 아담의 죄로 인해 죄성과 죄책을 이어받지 않았기 때문이라 했다.
c. Abelard는 죄를 "행위"라기 보다는 "의도'라고 정의했다.
7. Abelard를 기독교신앙의 큰 이단자로 보고 정죄하는데 앞장섰던 인물은 Bernard of Clairvaux였다.
G. Peter Lombard (1100-1160 AD) 피터 롬바르드
1. 피터 롬바르드는 북이태리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공부하고, 파리의 Nothe Dame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후에는 파리의 감독이 되셨다.
2. 롬바르드는 [네권의 命題集](Four Books of Sentences)이라는 조직신학 책을 저술했다.
a. 이책은 창조적인 서적은 아니지만, 교부들의 의견을 모아 조직적으로 제시한 책이다. Lombard은 이성과 논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통들을 조화시키고자 했다.
b. 이 책에서 "성례전"이라는 부분에서 현재 R.C.의 성례전 체계와 똑같은 일곱 가지 성례전을 제시하고 있다.
c. 이 작품은 근대부터 (1150) 종교개혁까지 중요한 조직신학 교재가 되었다.
3. 이렇게 해서 새사람의 스콜라신학자 Anselm, Abelard,와 Lombard에 대한 개관을 하였다.
H. 13C에 들어오면서, 스콜라신학은 다양하게 발전했다.
1. Aristotle의 작품이 더 많이 번역되었다.
2. 대학들이 설립되었다.
a. 1200년경부터 학생들이 모여 학문적 협회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학생들과 선생들이 함께 모이면서, 학습 과정이 발달했다.
b. 첫 번째 발전한 대학이 파리 대학이었다.
c. 파리 대학을 model로해서 다른 대학들이 곧 설립 되었다.(영국Oxford대학, Cambridge대학 등)
3. 탁발 수도원 종단과 스콜라신학의 관계
a.대부분의 후기 스콜라신학은 수도원 종단과 연관되어 있다.
b.학자들간의 논쟁은 종종 수도원 종단간의 논쟁으로 발전했다.
I. 스콜라신학 운동은 Thomas Aquinas (1225-1274)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게 된다.
1. Aquinas는 이태리의 작은 마을 Aquino에서 탄생했다. Aquino는 로마와 나폴리(Naples)사이에 있었다
2. 그의 부모는 꽤 부유한 귀족들로서, Thomas Aquinas가 수도승으로 도미닠단에 가담했을 때 기뻐하지 않았다.
3. 이태리, 프랑스, 독일 등 여러 도시에서 공부했고, 또한 여러 도시에서 가르쳤다.
4. Aquinas는 약 60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그중 두 작품을 대전 (Summa)이라고 한다.
a. 대전의 제1권은 진정한 카도릭신앙의 요약 (The Summasy of the True Catholic Faith)이라는 제목이 붙어있다.(1권. Summa againt Gentiles. 1259-64)
b. 그후에 나온 작품이 신학대전 (2권. Summa Theologica. 1265-73)라는 제목이 붙었는데 여러권으로 구성된 대규모 組織神學書이다.
1) 이 작품은 그가 죽을 때까지도 완성되지 않았다.
2) 근본 구조상 세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님, 인간, 그리스도)
3) 1879년에 교황 Leo13세는 대전을 R.C.의 모든 신학 교육의 지침서로 선언했다.
4) Aquinas는 이 작품에서 이성과 계시 두 가지를 근거로한 2층 신학을 제시했다.
a) 이성과 신학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포괄되는 하나의 진리가 있다.
① 자연신학(Natural Theology)은 이성에 근거한다.
② 계시신학(Revealed Theology)은 계시에 근거한다.
b) 계시 신학은 자연신학을 보충해 주며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다른말로 하면, 이성으로도 신학을 어느 정도 알 수 있으나, 계시에 의해 보충되어야 한다.
5) Aquinas는 교부들의 작품과 매우 친숙했고, 여러 면에서 Auqustine을 의존했다.
6) 그는 거의 모든 신학적 문제를 Aristotle의 철학 작품을 이용해서 설명했다.
5. 교리에 대한 Aquinas의 견해
a. Auqustine을 근거로 해서 인간론에 있어서 원죄의 사실을 강조했다.
b. 속죄론에 있어서는 Anselm과 Abelard의 견해를 혼합했다.
1) 그리스도는 우리 스스로 할 수 없는 일을 우리를 위해 해주셨다.
2) Aquinas는 주장하기를, 구속받은 사람은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것 이상의 선행을 행할 수 있고, 이러한 선행이 "업적의 보고"(Treasusy of Merit)에 쌓인다고 했다.
속죄설
1. The Socinian Theory The Atonement as Example(모범설)
2. The Moral Influence Theory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예시 (도덕감화설)
3. The Governmental Theory 하나님의 공의에 대한 (통치설) 처벌로 retribution(보복)아니라 deterrence of further commission of sins (Hugo Grotiuo) 하나님은 통치자로서 죄징계의 모범, 도덕 정부 수립.
4.The Ransom Theory 죄와 악에 대한 승리 (대속설)Origen/ Gregory of Nyssa 사탄에게 인간의 죄값을 치루셨다.
비판. 그리스도의 줌이 하나님을 합한 것이 아니라 사탄 합한 것
5. The Satisfaction Theory 아버지에 대한 보상(만족설)
Anselm
속죄와 하나님을 향한
(중세)상황 -- 죄-봉건영주에 대한 약속 파기.
R.C.-Penitential system 발전 (보상제)
죄 하나님께 몫을 드리지 않고 honor돌리지 않은 것.
처벌받거나/ 다른 배상 받아들이거나
6. Penal-Substitution
J. 스콜라신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7가지 성례전 체계
1. 서론
a. 스콜라신학자들은 7가지 성례전을 인정하고 다소 정확하게 정의했다.
b.성례전은 하나님의 은혜의 통로라고 했다. 각 성례전은 모두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
(1) 물질적인 것 (2) 특정한 양식(언어형식) (3) 집행자
c. 집행자가 교회의 가르침대로 성례전을 실시하고,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코자 하면, 자동적으로 은혜의 효과가 나타난다(이 원리를 사효성 ex opere operato이라고 한다).
d. 성례전(sacrament)이란? "성례전이란 거룩한 것의 상징(sign)이다. 그러나 성례전은 또한 '신성의 신비(sacrament of Deity)'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거룩한 신비(mystery)를 가리키기도 한다. 따라서 성례전은 거룩한 것에 대한 상징일 뿐아니라, 상징으로 표현되는 거룩한 것 자체이기도 하다"
2. 일곱 가지 성례전 개관
a. R.C은 일곱 성례전을 집행한다 영세(Baptism), 견진(Confiomation), 성체미사(Mass or Eucharist), 고해(Penance), 종부성사(Extreme Unction), 신품(Ordination), 및 결혼(Matrimony).
b. 이 일곱 가지는 "신법"이라고 하는데, "구법"과는 차이가 있다. 구법에서는 성례전 자체가 은혜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의 수난을 통해서 온다고 했다.
c. "신법"에 따르면 일곱 성례전은 은혜를 내포하고 있으며, 성례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은혜를 수여한다.
d. 앞의 5가지 성례는 신자 개개인의 영적인 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뒤의 2가지는 교회의 치리와 교인의 증가를 위한 것이다.
1) 영세를 받으면 성령으로 거듭난다(죄사함).
2) 견진을 받으면 은혜에서 자라가고 신앙이 강화된다(성령 받음).
3) 영세로 거듭나고 견진으로 신앙이 강화된 후 미사의 영적 음식(신령체)을 먹음으로 양육된다.
4) 그러나 죄로 인해 영혼에 병이 들면 고해성사로 치유된다.
5) 종부성사를 통해 영혼과 육신이 치유되고, 영혼으로 하여금 사망을 준비하게 한다(죽기 바로 직전).
6) 신품을 통해서 교회는 수적으로 증가된다.(안수)
7) 결혼을 통해서 교회는 수적으로 증가된다.
e. 성례전을 유효하게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가 필요하다.
⑴ 재료 ⑵ 언어형식 ⑶ 집행자-이 세 가지 중에 어느 하나라도 결여되면 성례전은 완성된 것이 아니다.
f. 세 가지 성례전 - 영세, 견진 및 신품 -은 다른 성례와는 달리 받는 영혼 속에 지울 수 없는 영적 징표를 남기므로 같은 사람이 두번 받을 수 없다.
g. 나머지 네 가지 성례는 반복될 수 있다.
3. 영세
a. 영세는 모든 성례전 중의 으뜸이니 영적 생활의 관문이다. 영세에 의해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가 된다.
b. 영세의 재료는 진짜 천연수(Water)이다.
c. 영세의 형식은" 내가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그대에게 영세를 베푸노라," 3위 1체 형식이라고 알려져있다.
d. 집행자는 원칙적으로 "사제"(Priest)이나 예외적으로 부제(Diacon),평신도, 여자 및 심지어는 이단자들도 교회의 가르침과 교회의 형식에 따르기만 하면 유표한 영세를 집행할 수 있다.
e. 영세는 자범죄, 원죄를 포함한 모든 죄와 죄에 따른 죄책을 용서하는 은혜를 준다. 따라서 영세 받기 전의 조에 대해서는 보속(Satisfaction)을 요구치 않는다. 영세는 영세받기 까지의 죄만 사한다.
f. 유아 영세는 R.C.이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관행이기는 하지만, 초기부터 환영을 받은 것은 아니다.
1) 초기에 많은 사람들이 유아 영세를 미룬 이유는, 영세 이후 지은 죄에 대해 사함 받는 제도적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g. 영세의 형식
1) 서방에서는 중세기에 이르러 세례식이나 관수례가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아직도 지역적으로는 침수례를 사용하기도 했다.
2) 개혁기에 이르러서는 침수례가 거의 사라졌다.
3) 동방교회에서는 전적으로 침수례를 사용한다
4 견진.
a. 견진의 재료는 양심의 순결을 상징하는 기름으로 만든 성유(기름+향유+연고)이다.
b. 서방에서는 "감독만"이 집행할 수 있으나, 동방에서는 "교구사제"도 집행할 수 있다.
c. 양식은 다음과 같다."나는 십자가 성상으로 그대를 표시하며,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구원의 성유로 그대를 견진 하노라.
d. 오순절날 사도들에게 성령이 임하여 담대히 예수의 이름을 증거한 것처럼, 견진으로 성령이 임하여 신앙이 강화된다.
e. 원래 영세와 견진은 함께 시행되었으나, 여러 세기가 흐르면서 두 가지 성례로 구별되었다.
f. 견진은 영세의 효력을 확인하며,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을 강화하는 능력을 준다.
5. 성체미사(Holy Eucharist="Thanksgiving"=주의 만찬)
a. 재료는 밀빵과 물 섞인 포도주이다.
1) 교부들은 이 재료가 그리스도의 최후 만찬시 재료라고 생각했다.
2) 주님의 수난을 생각나게 한다.
b. 미사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을 상징한다.
c. 형식은 그리스도께서 사용하신 언어 그대로 이다. "이 것은 내몸이니")
d.집행자는 "사제"이다.
e. "화체설"(Transubstantiation)을 신봉한다.- 은혜증가, 경죄사함
f. 미사는 희생제사 (Sacrifice)와 교제(Communion)의 두 가지 측면이 있다.
1) 사제가 축성을 할 때 그리스도 자신이 새로이 십자가에 못 박히시는 피없는 희생이 일어난다고 한다.
2) 미사에 참여자는 그리스도와 교제속에 들어간다고 한다.
g. 중세 말기에 이르러 평신도는 빵만 받았고, 사제는 포도주를 마셨다.
1) 이런 형식은 평신도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빵은 별로 두려움 없이 대했으나, 포도주는 흘릴까 두려워했다.
2) 따라서 이런 조절책이 일반적 관습이 되었다.
h. 빵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포함한다는 것이 신학적인 설명이다.
6. 고해성사(Penance=Confession)
a. 영세 이후의 죄를 사해 주는 성례이다.
b. 영세의 재료는 세부분으로 나뉘는 고해 행위이다.
1) 마음의 통회 (Contrition) 지은 죄를 슬퍼하며, 더 이상 죄를 짓지 안으려는 결단이다.
2) 고백(Confession) 마음속에 생각하는 죄를 사제에게 모두 입술로 고해야 한다.
3) 사면(Absolution)
a) 사제가 고백자에게 "내가 그대를 사면하노라"고 선언할 때 발생한다.
b) 그때 범한 죄의 사함을 받지만, 그래도 죄의 흔적(Stain of sin)이 지게 될 필요성은 남게 된다.
① 이 흔적으로 인해 지옥 가지는 않는다.
② 그러나 이 흔적을 처리하지 않으면 영속에서 일정 시간을 보내야 한다.
c) 흔적을 제거하기 위해서 보속(Satisfaction)의 필요가 생겼다.
① 죄의 경중에 따라서 따른 보속 행위가 할당된다.
② 죄는 두 종류로 크게 나누인다.
ⓐ 사망에 이르는 죄(Mortal sins)는 고해 하지 않으면 영원한 형벌을 받고 지옥간다.
ⓑ 사소한 죄 (Venial sins)는 일시적 형벌을 초래하고, 이생에서 완전히 보속하지 않으면 연옥 간다
③ 죄의 보속은 둘중 한가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 고해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 면죄부 (indulgences)를 받음으로 면죄부라 일시적인 죄의 형벌을 다루는 비 성례전적 방법이다. 면죄부의 사용은 이 시기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여러 가지 보속 행위를 함으로써, 면죄부를 받을 수 있었다. 면죄부 개념의 배후에는 그리스도 의의 및 성도들의의가 축적된"업적의 보고"라는 사상이 있다. 면죄부는 업적의 보고로 부터 공덕을 끌어내는 것이다.
7. 종부성사
a. 사망 바로 직전에 영혼이 사망을 준비하도록 실시하는 성례이다.
b. 재료는 감독의 축복을 받은 올리브유이다.
c. 원래는 사망을 두려워하는 병자들에게 시행되었다.
d. 병자들은 눈, 코, 입, 및 신체의 모든 출구에 도유되었다.
e. 종부성사의 양식은 다음과 같다."이 거룩한 기름과 온유하신 긍휼에 의하여 주께서는 그대가 범한 무슨 죄든지 용서하시노라"
f. 마음의 치료와 아울러 때로는 육신의 치료 효과도 있다.
g.최근에는 종부성사에 변화가 일어났다. 더 이상 종부성사 (extreme unction)이라고 불리우지 않고, "병자성사"라고 불리운다(The anointing of the sick).
1) 병자의 건강 회복을 위한 성례가 되었다.
2) 도유도 모든 출구에 바르는 것이 아니라 손과 이마에 바른다.
3) 이 변화는 교황 Paul VI가 실시했다.
4) 시신의 도유는 거의 시행치 않는다. 참여자가 성례전의 은혜에 대한 적극적인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5) 올리브유가 아닌 다를 식물성 기름도 사용될 수 있다.
8. 신품(혹은 안수)
a. 직급제 마다 신품이 있다(부제, 사제, 감독).
b. 사제부터 사도계승권을 가지므로 성례전을 집행할 권세를 갖는다.
9. 거룩한 결혼(Holy Matrimony)
a. 교회의 양적 성장의 효력이 있다.
b. 이 성례로 인해 개인은 결혼의 기능들을 수행할 권리를 갖는다.
c. "현장에서 구두로 표현된 상호간의 동의가 결혼의 효과를 준다.
d. 결혼에는 다음 같은 특권이 수여된다.
1) 자녀 출산과 주를 경외하는 가운데 양육함
2) 남편과 아내가 상회 정절을 지킴
3) 결혼의 해체 불가성 왜냐하면 교회와 그리스도의 해체 할 수 없는 결합을 상징하므로
4) 간음으로 인해 이혼이 허락되기는 하지만, 다른 사유로는 불가하다.
Ⅵ. 교황권의 타락
A. Innocent Ⅲ는 1198-1216년까지 교황으로, 중세기의 가장 강력한 교황이었다.
1. Innocent Ⅲ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30세전에 추기경이 되었고,40세전에 교황이 되었다.
2. 두 가지 열렬한 소원을 가졌는데, 교회를 개혁하는 것이고, 성지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3. 4차 십자군을 일으킨 사람이 Innocent Ⅲ였다. 4차십자군은 일시 성공적이었으나 결국 실패했다.
4. 정치에도 활발하게 간여했고, 교황 선출에도 영향력을 미쳤다.
5. Innocent Ⅲ는 프랑스와 영국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6. 프란시스칸 종단과 도미니칸 종단을 인준해서, 교황의 자문기관과 지지자 역할을 하도록 했다.
7. 1215년에 4차 라테란회의를 소집해서, 화체설을 공식 교리로 채택
8. Innocent Ⅲ는 [달과 해](The Moon and the Sun)라는 작품에서 교황권을 강조했다.
a. 우주의 창조자는 창공에 두 광명을 두었다 큰광명은 낮을 주관햐고, 작은 광명은 밤을 주관한다.
b. 따라서 우주적교회 즉 천국(heaven)이라고 표현된 궁창에도 두 공명을 제정하셨는데, 큰 공명은 영혼을 다스리고, 작은 신체를 다스린다.
c. 이 두 광명이란 교황권과 왕권을 가리킨다. 따라서 교황은 태양이요, 로마 황제들은 달이라 했다.
d. 달이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들이고, 태양보다는 크기나 질이나 위지나 효과면에서 열등하다.
e. 마찬가지로 왕권은 교황권으로부터 권위를 부여받는다. 교회는 지상에서 최상의 권세이며 왕들은 교황으로부터 권세를 받는다는 명백한 선언이다.
9. 그러나 Innocent Ⅲ 사후부터 교황권은 기울기 시작했다.
a. 민족국가들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b. 상업과 무역에 종사하는 강력한 중간 계층이 출현했다.
c. 도시들의 성장은 교황권의 약화를 초래했다.
d. 교황의 세속적인 목표가 교회의 관심과 일치되지 않는 일반적인 느낌이 있었다.
10. 제국은 점차 약화되고, 프랑스는 점차 강화되었다.
B. Bonifance Ⅷ는 1294-1303 까지 교황이었다.
1. Boniface는 Innocent Ⅲ와 똑같은 주장을 했다.
a.세속권은 영적권세에 복종해야 한다. 영적권세의 심판자는 교황이고, 교황은 아무에게도 판단받지 않는다.
b.누구든지 구원받기 위해서는 로마교황에게 복종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2. 곧 그는 영국왕 및 프랑스왕과 문제에 부딪쳤다.
3. 결국 프랑스왕은 (Philip Ⅳ) 이태리를 침공하고, Boniface를 투옥시켰다. Boniface는 곧 사망했다.
4. Martin Luther는 Boniface에 대해서 "그는 여우처럼와서, 사자처럼 통치하다가, 개처럼 죽었다"라고 말했다.
C. 점차 교회는 프랑스의 지배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1. 1305년에 Clement V (프랑스인)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a. 프랑스 리용(Lyons)에서 선출되고 서품 되었다.
b. 그의 첫 행동은 12명의 프랑스인 추기경들을 임명한 것이었다.
2. 프랑스왕이 프랑스로부터 이태리로 자금 유입을 불허하므로, Clement V는 1309년에 교황 본부를 로마로 부터 프랑스 아비뇽(Avignon)으로 옮겼다.
a. 교황본부는 1309-1377까지 Avignon에 있게 되었다.
b. Martin Luther와 다른 작가들은 이 시기를 "교회의 바벨론 유수기"(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라고 불렀다.
3. 이 시기에 선출된 모든 교황은 프랑스인 이었다. 프랑스 Avignon에는 정교한 궁전이 건축되었다.
4. 종교개혁의 원인이 된 대부분의 교화행정 비리는 이 시기에 발생되었다.
a. 모금을 하기 위해서 온갖 방법을 다 동원했다.(예 면죄부를 파는 일 등)
b. 이 돈의 대부분은 이태리에서 교황 영지를 보호하고, 영지를 확대하려는 사소한 전쟁을 위해 쓰여졌다.
5. 이 시기에는 교회에 대해서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Dante는 [신곡](Divine Comedy)에서 교황 중 몇 명은 연옥에 있고, 최소 한 명은 지옥에 있다고 했다.
6. 로마의 감독이 로마에 있지 않고 아비뇽에 있으며, 영적인 문제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재정적 문제에만 관심을 보였다.
7. 결국 로마로 돌아오라는 압력으로 인해 GregoryXI세는 로마로 돌아왔다.
a. 1377년에 교황 본부를 로마로 옮김으로, 소위 "교회의 바벨론 유수지"는 끝이 나게 되었다.
b. Gregory 11세는 1378년 사망
c. 추기경들이 새 교황을 뽑고자 로마로 왔다.
1) 이태리인을 선출하라는 압력에 의해,
2) 결국 이태리인 Urban VI을 새 교황으로 선출했다.
8. Urban 6세는 교회에 대한 프랑스 지배를 종식시키고, 온갖 수단을 다 썼는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분개했다.
a. 추기경들은 로마를 처나 다른 모임을 갖고, Urban 6세를 폐위하고, Clement VII세를 교황으로 선출했다.
b. 이 사건으로 대분열기(Great Schism)로 들어가는데, 1377부터 1415까지 지속되었다.
c. 항상 가짜 교황은 있어 왔지만, 이제는 똑같은 추기경들이 선출한 두 진짜 교황이 하나는 로마에 하나는 아비뇽에 있게 되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졌다.
D. 대분열기(The Great Schism)1377-1415
1. Urban 6세를 폐위하고, Clement 7세를 교황으로 선출한 추기경들의 행동 결과 사람들도 2분되었다. 일부는 로마를 진짜 교황이라 하고, 일부는 아비뇽 측을 진짜 교황이라 했다.
2. 각 측은 서로 추기경단을 선출했고, 교황 사후에 각각 후임자를 선출했다.
3. 분열을 치유하려는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1409년에는 북이태리 Pisa에 모인 사람들은 양측 교황을 모두 폐위시키고, 또 새로운 교황을 선출했다.
4. 결국 로마제국 황제 Sigismund는 주도권을 잡고 이 사건을 해결코자 1414년부터 시작된 독일 Constance종교회의를 소집했다.
a. 이 회의는 Martin V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고, 난립된 세교황들을 모두 폐위시켰다.
b. 나머지 세교황들은 모두 강제로 폐위되었다.
5. 따라서 대분열은 Martin V의 선출로 끝을 맺었고, 이제 교회는 하나의 우두머리를 갖게 되었다.
Ⅶ. 종교개혁 운동의 배경이 된 새로운 사상들
A. 서론
1. 이제 종교개혁의 배경으로, 종교개혁의 문을 열어 놓은 새로운 지적 사상들에 관심을 돌리고자 한다.
2. 교황권의 행정 비리와 사분 오열은 교황의 영향력을 감퇴시켰다.
3. 아울러 종교개혁으로 이끄는 새로운 지적 사상들이 출현했는데, 신비주의 (Mysticism), 명목주의(Nominalism)와 인문주의 (Humanism)이다.
B. 어떤 의미에서 모든 종교인들은 신비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1. 신비주의는 긴 역사를 통해 그 체계를 발전시켰다.
2. 교회의 주장(R.C.)은 하나님의 은혜가 교회의 성례전을 통해서 온다는 것이었다.
a. 신비주의자들이 이런 교회의 가르침에 크게 도전한 것은 아니었다.
b. 그러나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강조하면 할수록, 교회의 권위와 성례전의 필요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3. 이전에는 개별적으로 신비주의자들이 존재했으나, 이제는 여러 신비주의적 집단이 강력한 대변인들을 두고 자기들의 견해를 제시했다.
a. 이들 지도자들과 집단들은 평신도 뿐아니라 성직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b. 설교와 교육 뿐아니라 별개의 신비적 체험도 강조했다.
c. 이들 중 많은 집단들은 그리스도의 가르치심과 삶을 그리스도인 삶의 모범으로 삼았다.
4. 14C 초에 많은 영향을 끼친 신비가는 Meister Eckhart(1260-1327)이었다.
a. Eckhart는 독일에서 태어나 도미니칸 수도원에 들어갔다.
b. Paris에서 광범위하게 연구했고, 결국 독일로 돌아가 처음에는 Strassburg, 후에는 Cologne(콜로냐)에 정착했다.
c. Eckhart는 대단히 인기 있는 설교자요 논쟁을 많이 일으켰다.
d. 자기 견해를 피력하는 작품을 여러권 저술했다.
1) Cologne의 대주교는 28개조항으로 Eckhart를 이단시했다.
2) 아비뇽의 교황은 Eckhart를 정죄하고 대주교를 옹호했다.
3) 그러나 이 정죄가 Eckhart의 인기를 감소시키지 못했다.
e. Eckhart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도미니칸 종단과 스콜라신학의 영향을 받음과 아울러,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제시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f. 그의 저작을 보면 왜 Eckhart가 교회와 불화 했는지 알 수 있다.
1) 교회의 역할을 절하시켰다.
2) 그의 저작 중에는 "범신론"적인 귀절들이 있었다(예 나에게는 모든 사물이 다름 아닌 하나님이다...).
3) Eckhart는 종교의 외부적인 면보다는 개인적으로 하나님과 내적인 관계를 맺을 것을 강조했다.
5. 이 시기의 다른 신비주의 지도자는 John Tauler(1300-1361)이다.
a. Tauler는 도미니칸으로 Strassburg에서 봉사하던 중 Eckhart와 만나게 되었다.
b. 매우 인기있는 설교자로서 Strassburg에 있는 수도원을 지도했다.
c. 1348년경 도시에 페스트가 유행할 때, Tauler는 도시에 남아서 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했다.
d. Tauler는 신앙의 내적인 면, 다시 말해서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관계, 겸손, 하나님의 뜻에 복종함 등을 강조했다.
e. Tauler는 일반 대중들의 영적인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일반 대중의 언어로 가르쳤다.
f. 그의 설교는 Martin Luther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
1) 그의 설교중 하나는 막7 32을 본문으로 하는 "영적인 귀먹음"이었다.
2) 그 설교는 영혼 깊은 곳에 하나님을 바라는 "내면성"을 강조했다.
6. 신비주의 집단으로 유명했던 두집단 중 먼저 생긴 집단이 "하나님의 친구들"(The Friends of God)이었다.
a. 이 신비 집단은 독일에서 발생해서, 성서 연구와 아울러 하나님과 개인적 교제를 강조했다.
b. [독일 신학](German Theology)이라는 작품은 이 집단에서 나온 책이다.
1) 이 서적이 Martin Luther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이 서적은 영적인 완성을 목표로 하고, 그것을 달성하는 구체적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3) 전형적이고 신비적인 방법으로 영적 완성을 달성하는 3단계를 가르쳤다.
a) 정화단계(Purification)는 시작 단계로서 세 가지 방법으로 구성된다.
① 통회와 죄에 대한 슬픔
② 완전하고 자유스러운 고백
③ 완전한 고해
b) 조명(Illumination)단계는 성장 단계로서 역시 세 가지 방법으로 구성된다.
① 죄의 거부
② 덕과 선행의 실천
③ 역경과 환란에 대한 자발적인 인내
c) 결합단계(Union)은 완전으로 도약하는 단계로서 세 가지 방법으로 구성된다.
① 마음의 순수성과 단일성
② 경건한 사랑
③ 모든것의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묵상
7. 이 시기에 발생한 신비주의 집단 중 두 번째 집단은 "공동생활 형제회"(The Brethren of the Common Life)였다.
a. 이 집단은 14세기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어 학습을 강조하고, 여러 학교를 세웠다.
b. 최대의 인문주의자 Erasmus는 이 학교중 하나에서 공부했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c. 이 집단에서 유명한 신비주의 서적 "그리스도를 본받아"(The Imitation of Christ)가 나왔다.
1) Thomas a'Kempis가 보통 이 작품의 저자로 간주된다.
2) 신자가 그리스도를 본받고, 하나님과 일치를 달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8. 요점은 이러한 신비주의 운동이 개신교 종교개혁에 꽤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C. 개신교 종교개혁으로 이끄는 두 번째 사상운동은 "명목론"(Nominalism)이다.
1. Anselm은 이미 11세기에 명목론을 이단으로 선포했다. 그러나 14세기에 명목론은 다시 대두되기 시작했고, 이 견해의 대변인은 영국인 William of Occam이었다.
2. William of Occam (1300-1349)
a. 프랜시스칸으로서 Oxfard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에서 가르쳤다.
1) 프랜시스칸 종단은 Francis의 사망직후 내분의 의기를 맞았다.
2) Occam은 Francis의 사상을 추종하는 무리의 편을 들었는데, 이들은 좀더 엄격한 삶을 살고자 했다.
b. Occam은 교황을 다소 과격하게 공격했고, 이로 인해 교황과 갈등을 겪었다.
1) 1328년에 파문 당했고, 무기징역 선고를 받고 종단에서도 추방되었다.
2) 그러나 Occam은 Bulvaria로 피신했고, 죽을 때까지 보호받았다.
c. William of Occam은 14세기 명목론의 중요한 대변인이었다.
1) 그는 개체만이 실재하는 것이지 보편(universal)이란 인간의 사고속에만 있는 것이고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2) 스콜라신학을 공격하여 사람은 이성으로 하나님의 존재나 하나님의 속성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했다. 단지 믿음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고 했다.
3) Occam은 하나님의 신적의지 (divine will)가 모든것이 구원이며 하나님의 의지는 선하다고 했다.
4) 신앙과 이성을 분리했다 궁극적인 존재를 다룰 때는 오로지 믿음과 계시에 의해서만 알 수 있다고 했다.
5) William of Occam은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다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면서 Occam은 교황의 권위를 하강시켰다.
3. 이렇게해서 명목론은 실재론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스콜라신학의 권위를 떨어뜨리는데 기여했다.
D. 종교개혁으로 이끄는 세번째 사상운동은 인문주의(Humanism)이었다.
1. 서론
a. 라틴 고전과 희랍 고전을 연구하여, 그들의 인생관을 제시하는 지적, 문화적 운동이었다.
b. 로마의 고대 작품들을 되돌아보는 시각과 자연 세계를 내다보는 시각이 포함되었다. backward + outward look)
c. 이 운동은 이태리에서 시작되어, 종교 자체에 회의적이며 비판적이었다.
d. 그러나 이 운동이 독일로 전파되었을 때는 종교적인 운동이 되었고, 성경과 초대교부 연구를 자극시켰다.
2. 인문주의 운동은 인생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지했다.
a. 개인주의(individualism)가 출현하여 삶의 모든 영역에 침투했고, 중세 종합기의 모든 종교적 연관성을 파괴하기 시작했다.
b. 이생(여기 그리고 지금)에 대한 새로운 강조.
c. 삶의 환희로 표현되는 새로운 태도
d. 인간의 위대함과 고귀함에 대한 새로운 강조
3.동시에 고전 작품들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고조되었다.
a. 따라서 스콜라 신학자들이 인용한 내용에 의존할 필요가 없었다.
b. 원본 자체를 읽고 그들의 관점대로 평가했다
c. 인문주의 학자들은 고대 문서들도 스스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1) 예를 들면 Lorenzo Valla라는 인문주의자는 콘스탄틴이 직접 썼다고 하는 [콘스탄틴의 증여] (The Donation of Constantine)라는 문서를 검토했다.
a) 이 문서는 교황의 권위가 왕의 권위보다 우월하다는 내용이다.
b) Valla는 비판적 연구를 통해서 이 문서는 콘스탄틴이 쓴 것이 아니라 날조된 것이라고 의심없이 밝혔다.
2) [사도 신경](The Apostles'k Creed)도 같은 방법으로 검토했다.
a) 전통에 따르면 사도신경은 12줄로 되었고, 12사도가 한 문장씩 기여했다는 것이다.
b) 그러나 인문주의자들은 사도신경이 사도들에 의해 쓰인것이 아니라, 훨씬 후기에 나온 것임을 밝혔다.
3) 인문주의자들은 Jerome의 Latin Vulgate를 검토했는데, 중세의 신학은 대부분 Vulgate를 근거로 했다. → Vulgate는 같은 단어를 다른 표현으로 번역한 사례가 많다고 주장했다.
4) 교부들의 저작도 연구해서, 교부들의 의견이 여러 가지 영역에서 똑같이 않고 다양했다는 사실을 밝혀 놓았다.
4. 독일에서는 Johann Reuchlin(로이힐린)이라는 학자가 언어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a. Reuchlin은 독일 인문주의자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다.
b. 희랍어, 히브리어 연구에 헌신했다, 당시에는 극소수만 희랍어를 알았고, 히브리어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c. Reuchlin은 유명한 히브리어 학자가 되었고, 히브리어 사전, 문법서 등을 편찬했다.
d. 그 때에 한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이 그 당시 이단의 대부분은 히브리어 서적으로 부터 왔으므로, 구약을 제외한 모든 히브리어 작품들은 파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그는 이 견해를 이단심문소에 제출했고, 이단심문소는 그 유대인의 견해에 동조했다.
2) 그러나 유명한 히브리어 학자인 Reuchlin은 이 문제에 반대하고, 히브리어 작품 파괴에 강력 반대했다.
3) Reuchlin은 이단심문소에 끌려왔고, 당시 교황 Leo 10세는 결정을 연기했다.
4) 독일의 인문주의 학자들은 Reuchlin을 변호했다.
a) 그들은 Reuchlin의 품성과 학식을 변호했는데, 그 내용이 [저명인사들로부터의 편지](Letters from Eminent Men)라는 책으로 출간되었다.
b) 이 작품에서 인문주의 학자들은 이 문제로 인해 Reuchlin을 핍박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5) 곧 Reuchlin에 반대하는 [무명 인사들로부터의 편지](Letters from Obscure Men)이라는 책이 나왔다.
a) 이 작품은 매우 조잡하고 비논리적이며, 무식한 사람들이 쓴 것이 분명하였다.
b) 이 작품은 한때 Reuchlin의 반대자들이 애용했으나, 후에는 이 사태를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쓴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e. 이 사건은 독일 인문주의자들을 단결시켰고, 단결된 인문주의자들은 교회의 미신, 무지, 세속성 등을 공격했다.
5. 인문주의 학자 중 선봉장은 로털담의 에라스무스(Erasmus of Rotterdam)이었다.
a. Erasmus는 1466년경 Rotterdam에서 출생
b. 그의 부친은 사제였으므로, 그는 서자 출신임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c. "공동생활 형제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 다녔고, 부모 사후에는 수도원에 들어감.
1) Erasmus는 수도원 생활에 적합치 않았다.
2) 그러나 수도원에서 Latin어를 공부했고, 결국 유명한 라틴어 학자가 됨
d. 때가되어, 수도원을 떠나 감독의 비서가 되었고, 그후 파리에서 잠시 공부함
e. Erasmus는 스콜라신학과 Aristotle의 철학을 매우 싫어했지만 학업은 계속했다.
f. 영국에서 1499년경 시간을 보내고, 영국 인문주의 학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다. 이 학자들은 주로 성서 연구에 몰두했다.
g. 헬라어를 배우기로 굳게 결심하고, 헬라어 능력 개발에 주력했다.
h. 영국을 떠날 무렵, 그는 성서 연구와 교부 문헌 연구에 몰두하기로 결심
i. Erasmus의 문헌적인 업적
1) Erasmus는 교부들의 작품들을 새로이 편집함
2) 신약성경 헬라어 판을 연구하고, 최초로 출판함.
a) 이후 성경번역본은 Erasmus의 헬라어판 성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
b) 예를들어, 루터가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할 때, 루터가 번역의 원본으로 사용한 것은 Erasmus의 신약성서 헬라어판이었다.
3) 성경 각권에 대해서 주석서와 해설서 등을 발간함.
4) 다른 유명한 작품 중에는 [우신예찬](The Praise of Folly),[기독교 군사들의 입문서](The Handbook of a Christian Soldier)등이 있다.
j. Erasmus는 가장 유명한 인문주의 학자로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중요한 종교개혁가들과 서신왕래를 하였다.
k. Erasmus의 기본적 교리들
1) 전형적인 인문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스콜라신학자들이 제시한 기독교가 아니라, 신약성서와 초대 교부들이 제시하는 기독교로 돌아가자는 '원시 기독교의 회복'을 강조했다.
2) 그는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강조했다.
3) 그는 스콜라신학과 교회교의(church dogma)를 확인하고 정의하려는 시도를 멸시했다.
a) 사실상, 그의 가장 좋아하는 성서상의 인물은 십자가 우편 강도였는데, 왜냐하면 신학 수업이 전혀 없이도 구원받았기 때문이다.
b) 따라서 그는 스콜라신학자들처럼 기술적인 신학(technical theology)에는 관심이 없었다.
4) 그는 그리스도인의 내적인 신앙을 강조했다 의문보다 영의 우의성
5) 그는 다른 견해를 관용할 것과, 여러 견해들을 검토할 것을 강조
6) 그는 개혁이란 주로 학문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확신했다.
l. 종교 개혁에 대한 Erasmus의 태도
1) 처음에 Erasmus는 Martin Luther를 지지했고, 루터의 견해 연구를 장려했다.
2) 에라스무스는 교회(R.C.)의 타락을 인식하고, 개혁을 원했으나, 교회와 매우 밀접한 상태에 있었다.
a) 교회의 타락과 무지와 미신을 강력히 비판했지만, 교회로부터 분리되려는 의도는 추호도 없었다.
b) 에라스무스는 단순히 교육, 학습 및 문서 연구를 통해서 교회개혁을 원했을 뿐이다.
3) 에라스무스가 루터와 결별했을 때, 그 이유는 인문주의자와 종교 개혁가들의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 '인간론'에 대한 주제였다.
a)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기본적인 선함과 고귀함을 강조했다.
→ 종교개혁가들은 인간의 죄성과 유한성을 강조했다.
b) 인간의 의지에 대해서
→ 인문주의자들은 "의지의 자유"를 강조했고,
→ 종교개혁가들은 "의지의 속박"을 강조했다.
M. Erasmus의 작품들은 종교개혁가들의 연구에 좋은 바탕을 제공했다.
Ⅷ. 유럽에서 민족주의(Nationalism)의 발흥
A. 이 당시 정치계의 중요 세력은 민족주의 세력이었다.
B. 5국가가 이 당시 유럽의 대부분을 점유했다. 스페인, 프랑스, 독일, 이태리, 영국
1. 이중 세국가,(스페인, 프랑스, 영국)에는 상당한 정도의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졌다.
2. 이중 두국가 (독일과 이태리)는 작은 주들이 뭉쳐서 큰 국가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3. 국가의 중앙집권화 정도에 따라서, 종교개혁운동을 대하는 면에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독일은 중앙집권화가 약하고, 각주끼리 연결이 느슨함으로 인해 Martin Luther의 개혁을 다루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4. 이 국가들은 민족주의적인 면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C. 영국의 민족주의의 상황
1. "장미전쟁"은 중세 봉건귀족들의 세력을 약화시켰고, 따라서 왕Henry7세는 중앙집권적 국가의 강력한 지도자로 등극했다.
a. Henry7세는 1485 - 1509통치
b. 대외 정책에서 두 가지 목표를 수립했다.
1) Scotland를 평화적 방법으로 확보하는 것
2) Spain 과 동맹 관계를 맺는것
2. Scotland를 평화적 방법으로 확보키 위해, 외교적 수단을 사용(주로 결혼관계를 통해서)
a. Henry7세는 그의 딸을 Scotland 왕과 혼인
b. 결과가 즉시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결국 Scotland 의 James 6세는 영국왕 James I 세가 되었다(1603).
3. Spain과의 동맹을 확보하기 위해,Henry7세는 다음과 같은 행동과정을 취했다.
a. 그의 아들 Arthur를 Spain 공주 Katherine(왕 Ferdinand와 왕후 Isabella의 딸)과 결혼시켰다. 그러나Arthur는 곧사망.
b. 따라서 차자인 Henry를 Katherine 과 다시 결혼시켰다(교회의 특별한 허락에 의해).
c. 1509년에, Henry와 Katherine은 영국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영국 종교개혁기의 왕이었던 Henry 8세가 이 사람이다.
4. 따라서 영국은 Spain공주 Katherine과 결혼한 Henry8세 치하에서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가 되었다.
D.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황
1. 프랑스에서는 중앙집권적 국가가 출현하고 있었다.
2. 영국과의 잦은 전쟁으로 인해 국가의 군대모집, 세금부과, 중세봉건 영주 세력의 약화가 초래되었다.
3. 따라서 Francis1세(1515-1557)는 강력한 나라의 왕이었다.
4. 국가 뿐아니라 교회도 민족주의 영향을 받아서, 교황청의 강력한 통제로부터 분리하여, 개혁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a. 로마로 흘러가는 많은 돈이 차단되었다.
b. 결국 1516년에 Francis와 교황Leo 10세는 타협을 해서, 프랑스왕은 교직자 임명권을 갖고, 교황은 프랑스로부터 상당한 돈을 받도록 하였다.
1) 이 타협으로 인해 Francis1세와 교황 Leo10세는 가까워짐
2) 그러나 Francis 1세는 언제든지 교황이 자기를 조종하려 하면, 프랑스 단독 교회를 세우겠다고 위협했다
5. 이 타협의 결과, 프랑스 국가는 대부분 종교개혁 운동 중에 로마 캐도릭과 결탁되었다.
E. 스페인 민족주의의 상황
1. 여러 세기 동안 Spain은 여러 지방으로 분할되었고, 국가는 통합되지 않았다. 남스페인 Granada는 아직도 화교 세력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2. 1469년에 강력한 지방의 두 지도자인 Ferdinand와 Isabella가 결혼했고, 그 결과 Spain통합이 시작되었다.
a. 그들은 세력을 합하여, 다른 귀족이나 영주들을 정복했다.
b. 1492년에 그들은 Granada에 남은 회교 세력을 격퇴했다. 이렇게 해서 Spain 최후 회교 세력의 거점이 파괴되었다.
c. Spain의 감독하에 1492년에는 신대륙이 발견되었고, 따라서 Spain의 세력과 국제적 위치가 크게 강화되었다.
d. 교회를 정치적 목적에 활용했다. 따라서 군주가 임명하는 "이단심문소"(inquisition)가 설치되었다.
e. 그와 동시에 그들은 교회도 개혁코자 했다.
1) 교역자들에게 좀더 낳은 훈련을 제공했다.
2)교역자와 교회에 좀더 엄격한 감독을 했다.
3)이 개혁운동을 추진키 위해 유명한 스페인사람 Ximenes를 임명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했다.
a)대학설립 b)학문장려 c)1515년에 희랍어 신약성서 출간
4) 어떤 학자들은 다른 지역에서도 Spain과 같은 개혁이 추진되었으면, 종교개혁이 필요치 않을 수도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분명 과장이다. 왜냐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내부적 타락은 지속되었다.
3. 1516년에 Ferdinand의 사후에 Spain의 권좌는 그의 손자인 Charles에게 넘어갔고, Charles는 이미 네델란드와 오스트리아로 계승받은 상태였다.
a. 따라서 Charles는 스페인 왕인 동시에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b. 그러므로 Charles 5세는 개혁기에 유럽의 가장 강력한 정치적 人物이 되었다.
F. 이태리와 독일 민족주의의 상황
1. 이상 세나라와 이태리 및 독일의 두나라는 상황이 달랐다. 이태리, 독일에는 중앙집권적인 세력이 없었다.
2.이태리의 상황
a.지방과 제후에 따른 분열은 계속되었다. 또한 이 지방들간의 갈등도 계속되었다.
b.교황도 영지의 제후로서, 자기 영토를 넓히려는 다른 봉건제후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1) Julius 2세는 1503-1513까지 교황이었다.
a) 자기 사병을 일으켜 전투에 참여했다.
b) 그 결과 교황 영지를 약간 확대했다.
2) 그의 후임자 Leo10세 (1513-1521)은 교회의 일보다는 농업, 예술, 건축, 도박등에 더 관심이 많았다.
a) 그는 종종 "하나님이 내게 교황직을 주셨으니, 즐기자"라고 했다.
b) Leo10세 재임시 종교개혁이 시작되었고, 그 영향이 시작되었다.
c. 요점은 이태리는 권력의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3. 독일의 상황
a. 제국은 아직도 신성로마제국이라 불리웠고, 봉건영주들이 선출하는 황제가 통치했다.
1) 여러해동안, 황제는 Hapsburg家 출신이었는데, 이들은 자기 가문 영토 확장에만 주력했다.
2) 사실상 독일은 몇몇 귀족들이 지배하는 봉건영지로 분열되었는데, 그 영주들은 상당한 독립성이 있었다.
a) 그들은 나름대로 군대를 모집했다.
b) 따라서 황제 자신도 그들에게 큰 지배력을 행사치 못했다.
b. Maximilian 1세는 1493-1519까지 황제였다.
1) 그는 네델란드와 다른 영토를 유업으로 받은 공주와 결혼했다.
2) 그들의 아들이 스페인 군주인 Ferdinand와Isabella의 딸과 결혼했다.
a) 여기서 태어난 Charles 5세가 성장하면서, 스페인 ,네델란드, 오스트리아를 유업으로 받게 된 것이다.
b) 1519년에 Charles 5세는 황제로 선출되었고, 유럽의 가장 강력한 통치자가 되었다.
G. 1453년에 Constantinople은 결국 오토만터어키에 멸망당했고, 이로써 동로마제국도 멸망했다.
1. 점차 오토만 터어키국(Ottoman Turks)들은 영토를 확장하려 했고, 따라서 서방을 위협했다.
2. Charles 5세는 오토만터어키 침략을 방어하고, 다른 제후들 세력을 모아 방어에 협력토록 하는데, 많은 신경을 썼기 때문에, 사실상 종교개혁은 별로 주의를 기우릴 수 없었다.
제 6 부 종교개혁기(1500-1650)
서론 종교개혁과 그 해석자
A. Luther를 위시해서 개혁가들이 제도화된 질서에 반기를 든 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일반적으로, 16세기 Luther와 개혁가들의 운동은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이라고 불리운다.
a. "개혁"이라는 용어는 훨씬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1) 이 용어 배후의 역사
a) 12세기 13세기경에 몇 저자들은 신세대 즉 "성령의 세대"(The Age of the Holy Spirit)가 교회 내에 발전된다고 했다.
b) 다른 저자들이 이 사상을 "개혁"이라고 표현했다.
2) 이 용어의 내포된 개념
a) 일반적으로 개혁이라는 용어는 제도화된 질서에 문제가 있으니, 특별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b) 이런식으로,R.C.교회는 타락되었으니 개혁이 필요하다는 사상이 내포되어 있다.
b.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라는 용어는 이 운동에서 직접 나온 용어이다.
1) 1520년대, 개혁운동은 루터 지휘하에 독일 전역에 확산됨.
a) 일부 봉건영주들은 루터를 지지했고, 결국 1526년에는 루터교회에 대한 일종의 인준을 받게 되었다.
b) 그러나 3년뒤에 독일 정부는 증대되는 R.C.세력의 반발에 의해 이 인준을 철회했다. 따라서 그 봉건영주들은 "항의서"(Protest)를 작성했고, 그 결과 "프로테스탄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2) 루터교 제후들을 가리키는 이 용어가 전개혁운동에 확산되었다.
2. 많은 R.C.저자들은 "프로테스탄트 반동 (Protestant Revolt"라는 용어를 즐겨 쓴다. 이 용어는 진정한 기관을 대항해서 일부 집단이 반항했다는 의미가 포함되었다.
3. 또 다른 용어로는 "프로테스탄트 혁명(Protestant Revolution)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용어는 세속적인 저자들이 산업혁명등 다른 혁명과 같은 분석 방법으로 개혁운동을 분석할 때 쓰는 세속적 용어이다.
4. 이 세용어들이 다양하게 쓰이지만, 가장 일반적인 용어가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이다.
B. 여러해 동안 개신교 저자들과 R.C.저자들은 종교개혁을 다양하게 해석해 왔다.
1. R.C.의 해석자들은 이 운동의 지도자 Martin Luther를 "무식한자" "장가가고 싶어 환장한자" "세력을 잡고자 현혹된 자" 등으로 표현했다.
2. 개신교 해석자들은 제도적교회 내부의 타락과 부패를 다소 강한 어조로 표현했다.
3. 1940년부터 특히 Vatican 2차공회 부터 일부 R.C.해석자들은 종교개혁의 적극적인 면을 보기 시작했다.
a. 이런 경향은 오늘날까지 계속된다.
b. 개혁가들의 작품도 인용되고 있다.
c. R.C.이나 개신교도들이나 최근에는 이 운동의 장점. 강점을 보기 시작했다.
I. 루터와 루터교회
A. 루터의 생애
1. Martin Luther는 1483년 11월 10일 독일 Saxony출생
2. 부모는 농부였고, 여러 마을 전전하다가 구리광에 손을대서 꽤 부유케 됨
a. 그들은 아들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
b. 아들이 법관이 되어, 부유한 여자와 결혼해서, 노년기에 잘 봉양할 것을 기대했다.
c. 그들은 매우 보수적, 종교적이었고, 그 당시 미신을 많이 시행했다. Luther는 이런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3. 루터의 초기교육
a. 루터는 좋은 학생이었다.
b. 1501년 Erfurt대학에 입학. 1502년에 학사 학위 받고, 3년뒤 석사 학위를 받았다.
c. 루터는 학급에서 2등으로 졸업. (일부 저자들은 루터가 아주 둔한 학생이라고 악평하나 사실과 다르다)
4. 루터의 종교성 발전
a. 이런 교육을 받은 직후, 루터는 분명히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법률가가 되려는 소원을 거부하고, Erfurt에 있는 어거스틴 수도원에 들어감.
1) 여러 가지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데
a) 어떤 사람은 가까운 친구의 죽음에 쇼크를 받았다고 하고,
b) 또 어떤 사람은 번개치는 폭풍우속에서 너무 겁에 질려서 "성 안나(Anne)여 나를 도우소서, 내가 승려가 되겠나이다."고 서원 했다고 한다.
2)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의 부모들이 이것을 기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 1505년 어거스틴 수도원에서 루터는 수도원 원장이자, 그 지역 어거스틴 수도원 여럿을 지도하는 John Staupitz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 Staupitz는 세심하게 돌볼 줄 아는 사람이었다.
2) 그는 Luther에게서 많은 잠재성을 보았고, 루터가 수도원 생활을 통해서 사제가 되도록 격려했다.
c. 루터는 1507년에 안수를 받았다. 그는 첫 번째 미사 인도 경험이 그에게는 매우 겁나는 일이었다고 했다.
1) 피의 희생 제사를 시행한다고 생각할 때 공포감에 질렸다.
2) 그의 아버지와 친구들이 동참했다는 사실이 공포감을 덜어 주는데 아무 도움이 되지 못했다.
d. 루터는 이런 두려움에 대한 자구책으로 최선을 다해서 수도원생활에 임했다.
1) 그는 엄격한 금욕주의 생활을 했다. "영혼을 구원하기 위해서 육체를 처벌하는"의도를 가지고 금욕생활에 임했다.
2) 그는 규정 이상의 철야와 금식을 하였다. 4순절이 부활절보다 더 위안이 되었다. 덮는 담요를 치워버리고 철야하다 얼어죽을 뻔도 했다
3) 때로 그는 자랑스럽게 "나는 오늘 아무런 나쁜것도 안했다"고 말하다가도 "너는 충분한 금식을 했느냐?" "너는 얼마나 청빈한 생활을 하느냐?"하고 자문했다.
4) 이런 금욕 생활이 Luther의 소화기관에 영구적인 손해를 입혔다.
5) 루터는 이시기를 후에 회상하면서 "나는 좋은 수도승이었다. 규칙을 너무 엄격하게 지켰기 때문에, 수도원에서 천국갈 사람이 있다면 바로 나였다"고 했다.
e. 1508년 루터는 잠시 Wittenberg에서 가르쳤다. 다시 Erfurt로 되돌아와서 Staupitz의 도움으로 계속 공부했다.
f. 1510년에 루터는 어거스틴 수도원의 공무로 로마 여행을 했다.
1) 로마로의 이 여행은 루터의 괴로운 심정에 평화를 주지 못했다.
2) 도시에 간 시골사람처럼 루터는 그가 로마에서 본 많은 불경건으로 인해 몹시 고민에 빠졌다.
3) "빌라도의 계단"과 같은 유적지들을 많이 방문했다.
a) 이 계단을 무릎으로 기어오르면 조상의 영혼이 연옥에서 해방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b) 루터는 자기 부모가 아직 살아 계시는 것을 유감으로 생각하면서, 할아버지 Hiny의 영혼을 해방시키기로 했다.
5. 1511년 루터는 Wittenberg로 되돌아왔다.
a. Saxony지방의 제후인 Frederick the Wise는 Wittenberg에 대학을 설립했다. Luther는 이 대학에서 가르치기 위해 Wittenberg에 왔다.
b. 1512년에 Luther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로 인해 루터는 신학을 가르칠 자격을 부여받았으나, 성경을 가르치기로 결심했다. 시편, 로마서, 갈라디아서를 가르쳤다.
c. 그는 정기적으로 설교했는데, 점차 Wittenberg대학과 어거스틴 수도원에서 영향력있는 人物이 되었다.
6. 점차 루터는 Augustine을 연구해서, Augustine신학이 영향을 받게 되었다.
a. 점차 루터는 그가 심하게 두려워했던 심판주, 정죄하는 하나님과는 다른 하나님 모습을 성경속에서 보기 시작했다.
b. 점차 그는 교회의 가르침, 특히 구원론을 생각하며, 회의에 빠지기 시작했다.
B. 개혁운동의 탄생
1. 1516년 루터는 면죄부에 반대하는 세가지 설교를 했다. 그를 옹호하는 제후 Frederick the Wise와 루터가 설교하던 "성곽교회"(Castle Church)에서도 면죄부를 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루터는 그것을 비판하는 설교를 했다.
2. 1517년 개혁은 루터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수로 일어나게 되었다.
a. Albert of Brandenburg라는 사람은 청년의 나이에 이미 두개의 감독직분을 가지고 있었다.
1) 그는 세번째 감독직분을 얻고자 했는데, 독일에서 가장 수지맞는 Mainz의 대주교 자리를 원했다.
2) Albert는 자기 사신을 로마교황 Leo10세에게 보냈다. Leo는 그 자리를 12.000듀셋에 약속했다(12사도에 1,000ducets씩 쳐서 계산한 액수였다).
a) Albert의 사신은 7.000듀셋을 제공하겠다고 했으니 7가지 사망에 이르는 죄에 1.000듀셋에 합의를 보았는데, 아마도 10계명에 1.000듀셋씩 곱한 것이었을 것이다.
b) 그러나 문제는 Albert가 그만한 돈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교황은 Albert의 영토에서 팔 수 있는 특수 면죄부를 주는데, 반은 로마에 성 베드로 성당 건축기금으로 가고(Julius 2세때 시작해서 Leo10세때 까지 계속됨)
-그 나머지 반은 10.000듀셋의 빚을 갚는데 사용하기로 했다.
-이 합의는 비밀리 이루어진 것이므로, 일체 공개되지 않았다.
b. Albert는 이 면죄부를 팔기위해 도미닠 수도승인 Tetzel을 고용했다.
1) Tetzel은 대단히 성공적이고, 다혈질적인 판매원이었다.
2) 그는 매우 호소력있는 설교를 했다. "연옥에 있는 친척 친구의 호소를 들으라. 너는 우리들을 불꽃 속에 남겨 두려느냐?" 여러분의 동전이 이 통속에 떨어지는 순간, 그들의 영혼은 천국으로 올라간다.
3) Tetzel은 면죄부를 오직 Albert의 영토에서만 팔도록 허락되었고, Saxony에서는 팔 수 없었다.
a) Tetzel이 Saxony에서 팔지 못한 이유는, Saxony사람들이 면죄부를 믿지 아니했기 때문에 아니라, Saxony에서는 Frederick the Wise가 면죄부를 팔고 있었기 때문이다.
b) Tetzel의 면죄부가 효력이 우수하다는 소문이 남으로, Saxony사람들도 Tetzel의 것을 사서 돌아왔다.
c. "모든 성자의 날" 이브인 1517년 10월 31일, 루터는 Wittenberg의 성곽교회(Castle Church)정문에 소위 "95개 조항"을 붙였다.
1) 95개 조항은 Latin어로 기록되었고, 토론을 위해 주제가 기록되었다.
2) 이 서류는 세 가지 요절을 포함했다.
a) 독일돈이 로마로 가서 성 베드로 성당 짓는데 소요되는 것 반대, 그러나 루터는 이 돈이 Albert의 주교직을 위한 외상빚 갚는데 소요되는 것을 몰랐다.
b) 교황이 연옥에 대해 권세를 쥐고 있다는 것 반대
-아무도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것 이상의 선행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업적의 보고"개념에 반대
-교황이 연옥 관할권 가졌다는 주장에 반대
-"그렇다면 왜 교황은 자비롭게 연옥에 있는 영혼들을 다 풀어 주지 않는가?"고 반문.
c) 면죄부에 반대. 면죄부는 죄인들에게 잘못된 확신을 준다고 지적했다.
3) 루터가 토론을 위해 붙인 95개 조항은 속히 사람들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기업적인 인쇄공들이 이 문서를 온 나라에 퍼뜨렸다.
a) 단순한 토론을 위해 붙인 주제가 온 국가를 떠들썩하게 만드는 토의주제가 되었다.
b) 이 활동으로 인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
C. 루터에 대한 R.C.의 경멸
1. 이때부터 면죄부 공격으로 인해 루터는 많은 사람들의 비난대상이 됨.
a. 그러나 점점, 교황의 권위와 교회의 권위가 공격대상이 되었다.
b. 루터는 성서의 권위를 옹호했다. 그 근거로 교황과 교회회의는 오류가 있고 때로는 서로 상충되기도 한다고 했다.
2. 루터가 그의 대적들과 몇 차례 회합을 가졌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519년에 Leipzig에서 John Eck를 만난 사건이었다.
a. 1519년에 황제가 사망했다. 황제 선출을 앞두고 정계는 혼란했으면 Frederick the Wise도 황제의 대상이 되었다.
1) 황제는 제후들이 선출했다.
2) 결국 Charles 5세가 새로운 황제로 선출되었다.
b. 1519년에 Luther는 Leipzig에서 John Eck를 만났는데, Eck는 루터를 "색소니의 허스'(The saxon Hus)라고 불렀다.
1) 이상하게도 이 모임 이후에 루터는 국제적인 개혁가로 유명해졌다.
2) 이 논쟁 후 루터의 작품들은 프랑스, 스페인, 영국 및 독일 이외의 지역에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루터의 작품들은 인문주의자들로부터 많은 후원을 받았다.
D. 1520년 루터는 개혁운동의 핵심을 다루는 몇 가지 "주요 저작들"을 저술하였다.
1. 이중 하나가 [독일 귀족에게 고함] An Address to the German Nobility였다.
a. 이 작품에서 루터는 R.C이 세 가지 벽을 건설했다고 주장했다.
1) 교황의 세력을 높여서 시민 정부의 관할로부터 제외한 점.
2) 교황만이 성서의 올바른 해석자라는 주장.
3) 교황만이 교회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는 주장
b. 이 작품에서 루터는 전 교회회의 소집을 요구했고, 교회회의에서 논의할 제목들도 제시했다.
2. 루터의 둘째 작품은 [교회의 바벨론 유수]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였다.
a. 로마 감독이 아비뇽으로 옮긴 1309-1377까지 기간을 다루었다.
b. 이 작품에서 루터는 R.C.의 성례전 체계를 논했다
c. 이 작품은 라틴어로 쓰였으나, 곧 독일어로 번역되어 인쇄를 통해 해외로 퍼져 나갔다. 인쇄술의 발전 (15c중순)은 문헌 유포에 크게 기여했다.
d. Erasmus는 이 작품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 작품 발간 이후 교회에 일어난 분열은 치유될 수 없는 것이 되었다"고 했다.
e. 이 작품에서 루터는 성례전을 7->2로 축소했다. 침례와 주의 만찬만 성례전으로 보았고, 견진도 받아들였으나 성례전이라고 보지는 않았다.
1) 루터는 성례전에 새로운 정의를 내렸다.
2) Baptism
a) 루터는 유아 세례를 계속 옹호했다.
b) 그는 침수례가 가장 성서적 침례 양식이라고 했다.
3) 주의 만찬
a) 주의 만찬에서는 빵과 포도주가 모두 평신도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b) 그는 화체설은 아니지만, 주의 만찬에 그리스도의 "실재임재"(Real Presence)교리를 옹호했다.
-그의 견해는 비록 그가 사용한 용어는 아닐지라도, 공재설(Consubstantiation)이라고 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주의 만찬 참여자는 빵, 포도주와 함께 (with)그리스도의 진짜 살과 진짜 피를 받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빵, 포도주의 실체에 마술적인 변화는 없다고 한다.
3. 세번째 주요 작품으로 교황에게 헌납된 작품은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관하여](Concerning Christian Liberty)라는 것이었다.
a. 이 작품에서 루터는 이신칭의 교리와, 모든 신자의 제사장 직분을 강조했다.
b. "그리스도인은 모든 사람의 자유로운 주인이자, 아무의 종도 아니다. 동시에 그리스도인은 모든 사람의 종이자, 모든 사람을 섬기는 자이다"라고 말했다.
c. 이 작품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직업 소명을 말하고,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은자들이라고 했다.
E. 루터에 대한 핍박
1. 1520년에 루터는 교황으로부터 정죄 칙서를 받았다. 이 칙서의 제목은 Exsurge Domine로서 "일어나십시오, 오 주여"라는 의미다.
a. 이 칙서에 따르면, 루터는 60일 동안 견해를 취소하도록 요구됨.
b. 루터는 교황칙서, 교회법, 스콜라신학자들 서적등을 불태움으로 응답했다.
2. 1521년 루터는 황제 Charles 5세가 주도하는 독일 보룸스 종교회의 Diet of Worms에 소환되었다.
a. 거기서 Luther는 자기 저작물을 취소하지 않는다고 선언. 따라서 제국은 루터에게 추방령을 내림.
b. 루터의 책들은 소각, 루터의 교리는 탄압, 잠시 후에는 누구든지 루터를 살해할 수 있다는 내용의 추방령이었다.
F. 다른 개혁 지도자들
1. Frederick the Wise는 바르트부르크성곽 (Wartburg Castle)에 루터의 피신처를 마련해 줌.
a. 루터는 Wartburg성곽에 있는 동안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
b. 이 번역판이 개혁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일반 신도들이 성경을 읽을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독일어도 크게 발전했다.
2. 루터가 Wartburg성곽에 피신한 동안 개혁은 Wittenberg에서 Melanchton(멜랑크톤)과 Carlestadt(칼슈타트)에 의해 진척되었다.
a. Melanchton은 젊은 인문주의 학자로 헬라어에 정통했고, 성서 및 교부 문헌을 연구했다.
1) 그는 1521년에 [중요 요점들](The Cardinal Points)라는 루터교의 조직신학 서를 펴냈다.
a) Luther는 이 작품을 좋게 평가했다.
b) 사실 Luther는 "이 작품이 성경 속에 포함되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였다.
2) Melanchton은 개혁기 동안 중요한 저술가요 지도자로 활약
b. Carlestadt는 좀더 나이가 많고, 좀더 급진적인 개혁가였다.
1) 그는 이론에서 실천으로 옮기자고 했다. R.C.의 예배서와 행습을 제거코자 했다.
2) 많은 우상, 형상, 등이 파괴되었고, 예배 의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3. 몇몇 다른 급진적인 지도자들이 나타나서,.그리스도의 재림 및 유아세례 거부등을 포함한 신비주의 사상을 선포했다.
4. Luther는 곧 Wittenberg로 돌아와, Carlestadt를 몰아냈다. Carlestadt는 좀더 급진적인 재침례고도들과 연합해서 계속 개혁가로 활동했다.
G. Luther와 루터교에 대한 일부 집단의 단절
1. 루터는 어느 의미에서 보수적인 개혁가였다.
a. 개혁을 서서히 이루고, 너무 멀리 가지 말자고 했다.
b. 따라서 루터는 제후들의 도움을 얻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일부 집단은 루터에 대한 지원을 단절했다.
2. 인문주의자들이 먼저 루터와 단절했다.
a. 인문주의자들은 교육으로 교회를 개선코자 했지, 교회 분열을 옹호하지는 않았다.
b. Erasmus는 1524년 루터의 인간론에 반대하는 글을 썼다. Erasmus는 인간의 선함, 고귀함, 인간 의지의 자유등을 강조했다.
3. 재침례교도를 포함한 급진적 개혁가들은 루터가 개혁을 충분히 시도하지 않는다고 하며 루터와 단절했다.
4. 그러나 가장 심각한 것은 농민들로부터 지지를 상실한 것이었다.
a. 루터 자신도 농부 출신으로 봉건제도와 R.C.에게 눌린 농부들의 기본권을 찾고자 했다.
b. 일부 농민들은 이런 기본권을 행사코자 했다. 행정당국이 저지하자 "농민전쟁"이 발발했다.
c. 농민전쟁(Peasant's Revolt)은 1525년 발발
1) 루터는 농민들의 과격 행동을 심하게 비난함
2) 따라서 루터는 농민들의 지지를 잃고, 점차 개혁을 위해 제후들을 의지함
H. 1525년 루터는 Katherine Von Bora와 결혼
I. 루터 종교개혁의 결과
1. 1526년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루터교회는 법적 인준을 받게 됨.
a. 그러나 3년뒤에 이 인준이 철회될 때 루터교 제후들은 항거하게 됨
b. 1529년 루터는 Marburg(마북)에서 즈윙글리를 만남.
1) 즈윙글리는 개혁가들이 연합하여, 연합군 사력을 구축하자 했으나, 루터가 반대함.
2) 그들은 주의 만찬에 대한 이론과, 무력 사용에 대한 주제에 일치되지 못함.
2. 1530년에 Augsburg에서 황제가 회의 소집 (교회연합위해)
a. 이 모임을 위해 Melanchton은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작성하여 루터교 견해를 제시함.
1) 이 작품은 루터교의 기본 신앙고백서가 됨 (1530)
2) 1531년에 Melanchton은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 변증서"를 작성하여 R.C.교리와 루터교 교리 차이를 제시
3) 그러나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은 R.C.교리와 루터교 교리의 공통점을 강조한 것.
4)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 변증서"는 둘 사이의 차이를 강조.(1535)
3. 1546년 루터는 죽었어도, 종교개혁과 루터교, R.C.교간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4. 1555년 "아우구스부르크 강화조약"(The Reace of Augsburg)이 작성되어, 각 지역 제후는 자기 지역의 종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a. 제후가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합법적 종교는 R.C.과 루터교였다
b. 일정 지역 내의 신민은 그 지역 제후의 종교를 받아들이거나 그 지역을 떠나거나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5. 다음 세기에는 1618-1648까지 30년전쟁이 끝난 후 한가지 교파가 더 추가되었다. 독일 개혁교.
Ⅱ. 개혁교의 전통(The Reformed Tradition)
A. 서론
1. 개혁교는 스위스에서 시작되고, 급속히 프랑스, 영국, 화란, 및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2. 스위스에서 큰 영향을 미친 두 지도자
a. 즈윙글리(Ulrich Zwingli) 북스위스 독일어권
b. 캘빈(John Calvin) 제네바 (Geneva)불어권
3. 스위스는 이 당시 13개 지방 혹은 "캔톤"(Cantons)으로 분리되었다.
4. 스위스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북쪽에서는 독일어, 남쪽에서는 불어, 일부 지역에서는 이태리어를 쓰고 있었다.
B. 즈윙글리의 생애와 사상
1. 1484년 출생 1531년 사망
2. 스위스의 독일어권인 Zurich로부터 40마일 떨어진 지역에서 출생.
3. 즈윙글리의 초기 교육
a. 그의 초기 교육은 3촌의 감독 아래 이루어졌다.
b. 어린 시절 및 청년기에 인문주의적 연구에 가담. 음악에 대한 강한 정렬을 보였다.
c. 몇 개 대학에서 즈윙글리는 고전 연구에 몰두하고,Erasmus의 전통을 따라 인문주의적인 개혁운동에 가담했다.
4. 즈윙글리의 종교성 발전
a. 1506년에 즈윙글리는 Glarus라는 마을의 교구 사제가 되었고,10년간 봉사했다 (1506-1516)
1) 이 교구는 크고 바쁜 교구였다.
2) 즈윙글리는 10년간 성장을 경험했다.
3) 스위스는 이 당시 용병제 도로 유명했는데,Glarus에 있는 동안 용병 제도를 비판했다.
4) Glarus에 있는 동안, Zwingli는 서적을 계속 수집하여 개인 도서관을 만들고, 이후 개혁을 위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사용했다.
b. 10년 Glarus 사제 생활 이후 즈윙글리는 Einsiedeln으로 옮겨 3년간 사제로 근무했다 (1516-1518)
1) 그 마을은 많은 순례자들이 찾아오는 유명한 성묘가 있었다.
2) 즈윙글리는 이러한 순례 행습과, 순례자들에게 면죄부를 수여하는 행습을 비판했다.
c. 1519년에 즈윙글리는 Zurich의 교구 사제가 되었고, 1531년 그의 사망시까지 봉사했다.
5. Zurich에서 즈윙글리의 개혁을 위한 노력
a. 즈윙글리가 Zurich에 도착했을 때, 그는 교회의 형식적인 예배서 사용을 따르지 않기로 결심하고, 대신 Erasmus의 희랍어 신약 성경을 사용하여 마태복음부터 설교하기로 선택을 했다
b. 즈윙글리는 부분적으로 인문주의자들의 노선을 따라 개혁을 시도했으나, 아울러 루터의 저작을 많이 읽고, 그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즈윙글리는 후에 그가 루터의 작품들을 별로 의존하지 않았다고 말하곤 했다.)
c. 즈윙글리는 다른 어떤 권위보다 성경의 권리를 높이고자 했다.
d. 1522년에 Zurich의 즈윙글리 교구에 속한 일부 집단이 4순절 금식을 준수하지 않았다.
1) 즈윙글리는 성경을 권위로 사용하여 그들을 옹호했다
2) 같은 해에, 즈윙글리는 사제의 결혼을 허락해 달라는 청원에 참여한다.
e. 다른 개혁도 추진되었는데, 즈윙글리는 67개 조항의 고백서를 작성했는데,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화체설 부인 및 성경의 권위를 높이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즈윙글리는 이 신앙고백서를 쥬리히의 시의회(Town Council)에 제출했다.
f. 즈윙글리는 개혁 초기부터 시의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활동했고, 개혁활동에 대하여 시의회의 인준을 받고자 했다.
1) 점차 미사, 성상, 유골 등을 배척하기 시작했다
2) 심지어는 교회의 아름다운 오르간도 제거했다
3) 개혁교와 루터교의 차이를 볼 수 있는데, 개혁교는 모든 종교행습에 있어서 좀더 엄격하다는 것이다.
g. 많은 사제들이 결혼하기 시작했고, 즈윙글리 자신도 1524년에 결혼했다
h. 이러한 개혁은 계속되었고, 즈윙글리는 성경 연구를 주도했으며, 신앙고백서 작성과, 개혁의 견해를 제시하는 작품들을 많이 저술했다
6. 개혁교 전통에 대한 반대
a. 자연적으로 이러한 개혁시도는 주변 "캔톤"의 R.C.에 의해 반발을 사게 되었고, 1529년에는 프로테스탄트와 R.C.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1) 프로테스탄트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둠으로, 위협은 일시 중단되었다.
2) 그러나 이것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안 즈윙글리는 1529년에 루터와 회합을 가졌는데 이것이 소위 "마북대화"(Marburg Conversation)이다.
a) 이 모임에서 즈윙글리는 다가오는 R.C.과의 전투에 대비하여 루터 및 독일 군대의 도움을 얻고자 했다.
b) 그러나 루터는 무력의 사용에 동조치 않았고, 주의 만찬에 대한 즈윙글리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았다.
-루터는 만찬에서 그리스도의 진정한 임재(real Presence)를 강조했다(공체설)
-그러나 즈윙글리는 상징설을 취했다. 만찬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상징이요 기념이라는 견해이다.
b. 1525년에 즈윙글리는 침례 문제로 소위 "재침례교도"들의 반대를 받았다.
1) 즈윙글리는 침례 의식이 중생을 주지않는다는 점에서 재침례교도와 의견을 같이 했다.
2) 그러나 즈윙글리는 "유아침례"의 문제에 있어서 재침례교도와 견해차이를 보였다.
a) 즈윙글리는 다른 개혁가들과 마찬가지로, "유아침례"를 그 중요 요소로 하는 "국가교회"(State church)를 옹호했다.
b) 그러나 재침례교도들은 침례는 신앙고백한 신자들을 위한 것이요, 교회는 중생한 자들로 구성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결국 쥬리히의회는 교구내 모든 유아들이 침례를 받아야 한다는 조례를 발표했다(1525년 1월)
7. 즈윙글리는 쥬리히로 돌아왔고, 그가 예상한대로 전쟁은 일어났다.
a. 1531년 즈윙글리는 전투에서 사망했다(Kappel 전투)
b. 이럼으로써, 개혁교의 첫 지도자는 일찍 사망했고, 2대 개혁가 John Calvin이 개혁교 전통의 가장 유명한 지도자가 되었다.
C. 스위스에서 종교개혁의 확산
1. 쥬리히가 북스위스에서 가장 강한 지역이라면, 베른(Bern)은 남스위스에서 가장 강한 지역이었다
2. 종교개혁은 독일어권인 북스위스 뿐아니라, 불어권인 남스위스에도 전파되었다.
3. 처음에는 열심있는 프랑스인 Farel(화렐)에 의해 추진되었다.
a. Farel은 프랑스에서 탄생하고 성장했다
b. 그는 초기에는 인문주의적 개혁 노선을 따르다가, 곧 마틴 루터의 개혁 노선을 따라 좀더 철저한 개혁가가 되고자 했다
c. Farel은 그의 개혁 견해를 남프랑스로 전파했고, 많은 동조자를 얻었다.
d. 곧 이 지역들은 미사, 성상, 면죄부 등을 제거하기 시작했고, Farel은 Bern시 당국의 보호를 받았다.
e. 1533년에 Farel은 Geneva(제네바)에 정착했는데, Geneva는 남프랑스 종교개혁의 본거지가 된다
1) 곧 Geneva에도 개혁이 시작되었다.
2) Farel은 다혈질적인 지도자를 일단 Geneva지역에 개혁의 불을 지르는데는 성공했으나, 자기의 능력의 한계도 알고 있었다. 이 지역 저지역으로 순회하며 개심자를 얻고자 했다.
3) Farel은 Geneva를 잠시 여행중이던 한 젊은이를 만나게 되는데, 그가 John Calvin이었다. Farel은 Calvin을 권고해서, Geneva에 남아 개혁을 도우라고 요청했다.
D. John Calvin의 생애와 사상
1. Calvin은 프랑스인으로 1509탄생, 1564 사망했다
2. Calvin의 가족 배경과 초기 성자과정
a. Calvin은 파리에서 60마일쯤 떨어진 노용(Noyon)이라는 프랑스 도시에서 탄생
b. 그의 아버지는 Noyon시의 유력자로써 성당의 법률가요, 감독의 비서였다
c. 캘빈이 어렸을 때 그의 아버지는 캘빈의 교육에 필요한 자금을 교회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방책을 확보했다.
d. 처음에 캘빈의 아버지는 캘빈이 신학 공부하기를 원했으나, 감독과 다툼으로 인해서 캘빈이 법률학 공부하기를 원했다
e. 이로써 캘빈은 법률학 공부를 했고, 부친 사후에 고전 연구로 방향 전환했다
1) 1532년에 캘빈은 고전적 인물인 Seneca를 다루는 첫작품을 라틴어로 출간했다.
2) 그후 캘빈은 스스로 "갑작스런 회심"(Sudden Conversion)이라고 묘사한 경험을 했는데, 아마도 인문주의 연구로부터 신학 연구로 이때부터 방향 전환한 것 같다.
3) 이때부터 캘빈은 개혁운동에 헌신하게 되었다.
3. 캘빈의 개혁운동
a. 캘빈은 이때 파리에 머무르면서 Cop씨 가족과 친하게 지냈다
1) 1533년에 Nicholas Cop은 파리 대학의 학장으로 취임하는 연설을 했다.
2) 이 연설은 강력한 프로테스탄트 논조였으므로, 곧 그의 고별 연설이 되었다.
3) 학자들에 따라서는 이 연설문을 캘빈이 썼다고 하나 확실치는 않았다. 어쨌든 Nicholas와 캘빈은 이 연설의 결과로 인해 파리에서 추방당했다.
b. 캘빈은 집에 잠시 돌아와, 교회 직분을 사임하고, 잠시 감옥에도 갇혔다가, 고향을 떠나 북쪽으로 여행을 했다. Geneva를 경과하다가 Farel을 만났다.
c. Farel과 만나기 바로 직전인 1536년에 캘빈은 [기독교 강요](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1) 이 책은 개혁운동의 기본 조직신학서로서 역할을 했다.
2) 이 책은 여러판을 거듭하고, 증보되다가 약 1559년경 최종판이 출간되었다.
3) 이 책은 프랑스왕 Francis I세에게 봉헌되었는데, 프로테스탄트 개혁운동의 개혁사상과 교리를 소개한 것이다.
4) 이 작품에서 캘빈의 기본사상은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a) 인간의 전적타락(The Total Depravity of Man) 인간은 원죄로 인해 스스로 선을 행할 수 없다 인간 의지도 타락된 본성의 노예 되었다.
b) 무조건적 선택 혹은 예정 (Unconditional Election or Predestination) 인류는 모두 똑같은 운명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영생을 얻기로 작정되었고, 일부는 유기 되기로 작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정은 인간의 행위가 원인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뜻에 의한 것이다(무조건적).
c) 제한속죄설(Limited Atonement 혹은 Particular Atonement) 그리스도는 "예외 없이 모든 사람"(all Without exception)을 위해 죽으신 것이 아니라, 인종, 신분, 남녀 구별 없이 성부께서 "선택하신 모든 사람"(all without distinction)을 위해 죽으셨다.
d) 저항할 수 없는 은혜(Irresistible Grace) 불택자는 은혜를 거부하는 듯해도, 택자는 성령의 역사로 거듭나게 하는 은혜를 저항할 수 없다.
e) 성도의 견인(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한번 구원받은 사람은 영원히 그 구원을 잃을 수 없다.
5) 캘빈의 신학의 핵심은 R.C.의 업적 체계에 대항하는 "하나님의 주권"(The Sovereignty of God)개념이다.
6) 캘빈은 강조하기를, 인간을 구원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시지, 인간의 행위가 구원을 주는 것이 아니라 했다. 오로지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구원을 강조하므로 "은혜의 교리"(The Doctrine of Grace)라고도 한다.
7) 캘빈은 성경의 최종 권위를 강조했다. 전신학체계를 성경연구에 근거를 두고 건설했으며, 성경해석에 있어서 성령의 역사를 지극히 강조했다.
d. 이 작품은 즉시 사람들의 주의를 끌었고, Farel은 이 젊은 작가에게서 프로테스탄트 견해를 제시, 정의 및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았다.
1) Farel은 캘빈이 Geneva를 지날 때, Geneva에 남아 개혁운동에 참여하라고 권면 했다. 처음에 Calvin은 주저했다
2) 1536년에 Calvin은 Geneva에 정착해서 2년간 Geneva의 개혁을 추진하고, Geneva시민의 신앙생활을 엄격히 감독했다.
e. 1538년에 정치적 변혁이 일어나 Calvin은 Geneva에서 쫓겨나서 Strassburg에 3년간 머물게 되었다. Stassburty의 프랑스인 교회의 목사로 봉사하게 된다. 이때 캘빈은 결혼했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4. 두 번째 Geneva에 온 Calvin
a. 1541년 다시 Calvin에게 유리한 정치적 변혁이 일어났고, Calvin은 자발적으로 Geneva에 돌아와 남은 생애를 보내게 된다
b. Calvin은 Geneva를 교회와 국가가 일치된 이상적인 기독교사회로 만들고자 했다
c. 1536년에 캘빈은 Geneva신앙고백서를 작성했는데, 1541년부터 이것을 Geneva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1) 이 고백서는 신앙의 규율과 행습으로 성경의 권위를 지극히 강조했다.
2) 캘빈은 주의 만찬에 대해서 루터와 즈윙글리의 중간견해를 취했다. 소위 "영적임재설"(Spiritual Presence)이다.
3) Baptism은 설교가 있는 날은 언제든지 시행했다
4) 캘빈은 여러 가지 요리문답집을 작성해서, 아이들과 어른들의 신앙교육을 위해 사용했다
5. 캘빈에 대한 반대
a. Servetus는 3위 1체론을 반대하고, 3위 1체를 부인하는 많은 저작을 냈다. Servetus의 견해에 반대하는 캘빈과 서신 왕래를 했다.
b. 결국,Servetus는 Geneva에 와서 체포되었고,1533년에 Servetus는 캘빈의 동의와 함께 Geneva에서 화형 당했다.
6. 캘빈은 1559년에 학자들을 훈련하는 학교를 시작했다. 이 학교는 Geneva대학으로 발전했다.
a. 캘빈의 영향력은 곧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b. 그래서 캘빈만이 "국제적 개혁가"로 불리운다.
c. 최근에 나온 캘빈에 대한 훌륭한 전기로서 T.H.L Parker가 저술한 John Calvin 이라는 책이 있다.
E. 프랑스에서 개혁교 전통의 확산
1. 개혁교 교리를 위한 프랑스인들을 위그노(Huguenots)라고 부른다.
2. 인문주의 운동은 프랑스에서 강한 영향을 미쳤고, 개혁을 위한 강한 소원을 불러 일으켰다.
3. 루터와 즈윙글리의 저작들이 프랑스에서 많이 회람되었다.
4. 왕 Francis 1세의 정책은 이 당시에 가변적이었다.
a. 비록 R.C 및 교황과 연결되어 있지만, 프로테스탄트 운동을 장려했고, 프랑스 캐도릭 교회를 위협했다.
b.그의 사망시에 실질적으로 프랑스 전지역에 개신교도들이 있었다.
5. John Calvin은 프랑스에 개신교를 확산시킨 주요인들 이었다.
a.그의 저작물이 광범위하게 회람되었다.
b.많은 설교자들이 Geneva에서 프랑스로 파송 되었다.
6.1555년에 파리에 첫 개혁 교회가 조직되었고, 4년뒤에는 72교회들이 조직되었다. 그들은 전국적 모임을 갖고 신앙고백서와 교회훈현서를 채택했다.
a. 이 고백서는 1559년에 갤리칸 신앙고백서(Gallican Confession)로 출간되었다.
b. 이 고백서는 주로 캘빈의 저작으로서 개혁 교회 교리를 제시하는 신앙고백서로 왕에게 제출되었고, 종교적 관용을 요구했다.
c. 1559년에 개신교 운동은 이처럼 신앙고백서를 공포할 정도로 강력했다.
7. 프랑스 개혁교회 황산의 배후 역사
a. 갤리칸 고백서가 나올 무렵 프랑스의 중요한 지도자들이 개혁교 신앙을 고백했다.
b. Gasper de Coligny(콜리니)는 프랑스의 장군으로서 개신교 신앙을 고백했고, 위그노의 주요 대변인이 되었다.
1) 콜리니는 새 젊은 왕 Charles 9서(1560년 등극)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쳤다.
2) 왕의 모친인 Katherine은 매우 강력한 캐도릭 신도였으므로 콜리니가 어린 왕에게 개신교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싫어했다.
3) 그러나 프랑스는 나라의 분열을 원치 아니했으므로, 1572년에는 프랑스교회의 일치를 가져오고자 하는 의식적 노력이 있었다.
c. 왕의 누이도 강력한 개신교 지도자인 Henry of Navarre(나바르의 헨리)와 결혼하고자 했다. 이 결혼식이 파리궁전에서 개최되기로 했으므로, 많은 R.C.지도자와 개신교 지도자들이 결혼식에 초청되었다.
d. 왕의 모친인 Katherine은 콜리니의 생명을 취하고자 음모를 꾸몄으나, 그 시도는 실패했다.
1) 그후 그녀는 다른 R.C.귀족들과 함께 콜리니를 포함한 5,000 내지 10,000명의 개신교도들을 학살코자 하는 계획을 세워 실현하고자 했다. 이 대학살은 1572년 8월 24일에 일어났는데, 성바돌로뮤일의 대학살(St,Bartholomew's Day Massacre)라고 한다.
2) 젊은 왕 Charles 9세는 그 사건을 인준치 않았으나, 곧 죽고 말았다.
e. Charles 9세 사후 왕위쟁탈전이 벌어졌다.
1) 개신교 지도자인 Henry of Navarre가 왕위 계승 순위의 다음 차례였다.
2) 그러나 R.C. 지도자들은 Henry를 제거코자 했다. 그래서 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결국 1589년에 Henry는 왕위를 차지했고 Henry 4세가 되었다.
a) 개신교도가 프랑스를 성공적으로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했다. 이상하게도 Henry 4세는 캐도릭 신도가 되었다.
b) 그러나 1598년에 Henry 4세는 낭트칙령(the Edict of Nante)을 발표하여 위그노들에게 종교적 관용을 베풀었다.
-1685년까지 100년간 이 칙령은 위그노들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1685년에 이 칙령은 철폐되고 위그노들은 프랑스를 떠났다. 이로써 프랑스의 개신교는 고갈되었다. 대부분의 위그노 지도자들은 신대륙으로 떠났다.
F. 스콧트랜드에 개혁교 전통의 전파
1. 스콧트랜드에서는 프로테스탄트 개혁운동의 배후에 스콧트랜드교회가 있었다.
2. 여러해 동안 개신교의 저작물들이 유포되었다.
3. 스콧트랜드 개신교 개혁의 두 지도자들
a. 가장 유명한 지도자였던 Wishart는 1546년에 R.C.추기경의 명령에 의해 화형 당했다.
1) 그후 즉시 그 추기경은 개신교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2) 추기경 살해에 가담했던 사람들은 성 앤드류성에 피신했고, 젊은 학교 선생이었던 John Knox가 이 무리에 가담했다.
b. John Knox
1) Knox는 추기경이 살해되던 무렵 개신교 지도자 중 한사람이었다.
2) 곧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었다.
3) Knox는 Glasgow에서 잘 교육받은 사람이었고, 사제가 될 수도 있는 사람이었는데 왜 사제가 되지 않았는지는 잘 모른다.
4) 그는 강력한 프로테스탄트의 견해를 지녔다.
5) 성 앤드류성은 프랑스 군대에 포위되었고, Knox는 약19달 가랑, 프랑스 선박의 노예로 일했다.
6) 그러나 영국의 영향으로 해방되었고, 영국의 개신교 국왕 Edward 6세가 치리 하던 시절에 영국으로 건너갔다.
a) 영국에서 1553년까지 여러개를 지냈는데, 1553년은 R.C.여왕이던 Mary(피의 메리)가 국왕의 보좌에 오른 해였다.
b) 그래서 Knox는 대륙으로 건너갔다. Frankfurt에서 얼마간 지내다가, Geneva로 건너가 John Calvin의 영향을 받았다.
4. 스콧트랜드 국교회 발전의 역사
a. 스콧트랜드는 한편으로는 프랑스의 지배 위협과 다른 한편으로는 영국의 지배 위협을 받았으나, 둘다 원치 않는 상태에서 생존을 위해 투쟁했다.
b. 스콧트랜드 여왕이던 Mary가 프랑스왕과 약혼하고 1548년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1) Mary가 프랑스로 감으로 부재시에 모친이 섭정을 했다.
2) Mary가 프랑스왕과 결혼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Scotland가 결국 프랑스에게 완전히 지배당할까 봐 두려워했다.
c. Knox는 1555년 스콧트랜드에서 잠시 시간을 보냈는데, 스콧트랜드의 민족주의 독립운동 및 개신교 사상을 전파하는데 주력했다. 이 당시에 그는 여자의 지도자적 위치를 정죄 하는 강력한 서신을 썼는데, 이 서신은 영국의 "피의 Mary"와 스콧트랜드 여왕 "Mary"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그는 그후 즉시 스콧트랜드를 떠났다.
d. Knox는 1559년에 다시 스콧트랜드로 돌아왔는데, 이때 그는 스콧트랜드를 개신교 신앙으로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다.
e. 결국 1560년에 스콧트랜드는 개신교 신앙을 채택하여 스콧트랜드 국교회를 형성했다.
1) 스콧트랜드 국교회는 캘빈주의적 신앙고백과 위에서부터 아래로 조직되는 캘빈주의적 교회관을 채택했다. 국가적 차원에서 총회(A General Assembly)가 조직되고, 국가는 교구별(Pariah)로 나뉘고, 교구는 교회별(Church)로 나뉘었다.
2) 스콧트랜드 국교회는 스콧트랜드 여왕 Mary의 부재 사에 형성되었다.
5. 스콧트랜드 국교회의 생존을 보존하려는 투쟁
a. 프랑스왕인 Philip 2세가 죽자,Mary는 스콧트랜드로 되돌아 왔다.
이점으로써, 그녀의 부재시에 개신교 국가가 된 스콧트랜드에 R.C.여왕이 돌아온 것이다.
b. Mary여왕은 사생활의 난잡함으로 인해 스콧트랜드 국교회가 생존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1) Mary는 John Knox를 설득하여 개신교 신앙을 취소코자 했으나, 실패했다.
2) Mary는 곧 영국귀족 Lord Darnley와 결혼함으로, 이제는 스콧트랜드와 영국이 가까워지게 되었다.
a) 보좌 계승에 관해서, Mary가 영국 보좌를 계승할 순서였고, 그 다음 순위가 Lord Darnley였다.
b) 따라서 스콧트랜드의 문제는 프랑스에 의한 지배로부터, 영국에 의한 지배 위협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c) Mary와 Darnley는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그가 스콧트랜드의 James 6세로서, 나중에 영국의 James 1세를 겸하게 된다.
3) Mary의 난잡한 결혼 생활
a) Mary는 곧 연애 사건에 휘말리고, 결국 그녀의 애인은 살해당한다.
b) 또 다른 연애 사건에 연루되는데 이번에는 Lord Darnley가 살해되었다.
c) Mary는 그녀의 애인과 결혼했으나, 스콧트랜드인들은 이 결혼을 받아 들이지 않음으로, 그녀는 1567년 보좌에서 쫓겨났다. Mary의 아들이 James 6세로 취임했다. John Knox가 대관식 설교를 했다. 이로써 스콧트랜드 국교회는 공고하게 설립되었다. 1603년에 스콧트랜드의 James 6세는 영국의 James 1세를 겸임하게 된다.
4) Mary는 영국으로 피신하여 사실상 여왕이된 Elizabeth에 대항하여, 자신이 영국 국왕으로서 합법적인 계승자라고 계속 주장했다.
a) 결국 Mary는 투옥되었다.
b) 일부 R.C.교도들에 의해서 Elizabeth를 살해하고 Mary를 등극시키려는 음모가 발각되었다.
c) 결국 스콧트랜드 여왕이던 Mary는 1587년 사형 집행되었다.
6. 이로써, 스콧트랜드에는 John Knox를 지도자로 하는 캘빈주의적이며 장로 정책을 취하는 개혁교회가 국교회로 되었다.
G. 화란(Netherlands)에서의 개혁교 전통의 전파
1. 개혁교회는 네덜란드에서 화란 개혁교회(Dutch Reformed Church)로 국교화 되었다.
2. 화란에서도 정치적, 종교적 분쟁이 작용했다.
a. 스페인의 Charles 5세는 네덜란드를 유업으로 받았고, 네덜란드에서 인기 있는 통치자였다. 그러니 1555년에 계승한 그의 아들은 인기가 없었다.
b. 곧 스페인의 군대가 네덜란드에 파송되었고, 네덜란드에서는 스페인의 파병에 대해 강력한 반대가 일어났다.
c. William of Orange는 스페인 군대에 저항하는 세력의 지도자가 되었는데, William은 개신교 신앙을 지닌 지도자로 강력한 군대를 지도했다.
d.영국도 이 당시에는 개신교를 취했으므로, William에게 약간의 도움을 주었다.
3. 네덜란드는 결국 양분되어 북쪽은 개신교를 취했고, 남쪽은 R.C.을 취했다.(북쪽을 Holland, 남쪽을 Belgium이라 부른다). 이런 분리는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4. 결국 Holland에서는 화란 개혁교회가 국교화되었고, 강력한 개신교 국가가 되었다.
a. Leyden대학(the University of Leyden)이 1575년 설립되었다.
b.화란은 캘빈주의적 신앙고백서를 채택했다.
5. Jacob Arminius와 알미니안 논쟁의 시작
a. 알미니안 논쟁이 일어난 곳은 Leyden대학이었다.
b. 이 논쟁은 Jacob Arminius의 생애와 사상에 그 기원이 있다.
6. Arminius의 생애와 사상
a. Arminius는 Leyden대학에서 교육받고 Geneva에서 Beza밑에서 잠시 동안 공부했다.
b. 그후 Amsterdam으로 돌아와 목회를 하다가, 1603년에는 Leyden대학의 신학교수가 되었다.
c. 그 당시에 캘빈주의 사상, 특별히 전택설(Supralapsarianism)에 회의를 품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전택설이란 하나님께서 창세전에 계획을 세우실 때 선택과 유기를 논리적으로 먼저 예정하신 후에 타락을 예정하셨다는 이론이다.
1) Arminius는 전택설을 이론적으로 옹호하는 사명을 맡았다.
2) 그는 이 문제를 연구하다가 전택설 뿐만 아니라, 캘빈주의의 다른 이론도 의심하게 되었다.
3) Arminius는 캘빈의 5대 교리 중에서 전적타락을 제거하고는 다른 부분은 수정하거나 거부했다. 성도의 견인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입장을 취하였다.
a) 무조건적 예정설을 수정하여 예기 예정설을 주장했다.
b) 제한속죄설을 부인하고, 일반속죄설을 옹호했다. 따라서 Arminius는 그리스도는 택자뿐 아니라, 온 인류를 위하여 죽으셨다고 주장했다.
c) Arminius는 저항할 수 없는 은혜를 부인했다.
d) Arminius의 추종자들은 후에 성도의 견인을 부인했다.
d. Arminius는 1609년에 죽었다. 그러나 그의 추종자들은 그의 견해를 계속 발전시켰고, 결국 '항론서'(Remonstrance)라는 서류를 제출했다.
e. 알미니안 주의는 많은 추종자를 얻었다. 1618년에는 화란의 도시 Dort에서 종교회의가 개최되었다. 모든 캘빈주의교회대표들이 이 회의에 참석했다.
1) Dort 회의는 알미니안주의를 이단으로 정죄 했다.(1618)
2) Dort 칙령(Canons of Dort)을 발표했는데, 철저한 캘빈주의 신앙고백서이다.
f. 알미니안 주의는 종종 핍박받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견해는 지속되었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H. 독일에서의 개혁교 전통의 확산
1. 독일에서도 개혁교 신앙은 확산되었고, 독일 개혁교회가 탄생했다.
2. 독일은 1618-1648 동안 30년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결국 Westphalia조약(1648)으로 끝나게 되었고, 1555년 Augsburg 종교회의로 인정된 종교외에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3. 결국 독일에는 세개의 합법적 종교가 인정되었다.
a. R.C.b. 루터교c. 독일개혁교
Ⅲ. 영국 국교회 영국의 종교개혁
A. 서론
1. 영국 종교개혁의 핵심은 국왕의 우위권 확립을 위한 투쟁이다.
a. 국왕의 권한이 다른 어느 세력보다 우월하다는 사상이다.
b. 따라서 영국의 종교개혁은 다른 지역에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은 정치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2. 영국의 종교개혁은 실제로 안정권에 들어갈 때까지 150년의 세월이 걸리게 되었다.
a. 이점이 독일의 종교개혁과 대조적인 점이다. 독일은 루터가 95개 조항을 게시한 후 불과 10여년만에 안정권에 들어갔다.
b. 다른 개혁신앙을 취한 국가들도 독일과 비슷한 양상이었다.
B. 영국 종교개혁 운동의 배경에는 이미 선행적인 운동들이 있었다. John Wycliffe로 부터 시작된 Lollard운동, 인문주의의 영향, Henry7세로 부터 시작되어 그의 아들 Henry 8세로 이어지는 민족주의 (nationalism)운동 등이 그것이다.
1. Henry 7세는 Spain및 Scotland와 혼인으로 인한 연합을 시도했다.
2. Henry 7세 이후로 영국은 상당히 중앙집권화된 국가가 되었다.
C. Henry 8세는 1509년에 왕이 되어 1547년 사망시까지 통치했다.
1. Henry 8세는 충실한 R.C.교도로서 처음에는 개신교를 반대했다.
2. 1521년에 Henry 8세는 루터의 "교회의 바벨론유수"에 대항하여 일곱 가지 성례전을 옹호하는 책을 썼다. 이 책으로 인해 Henry 8세는 교황으로부터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3. 스페인 공주인 Katherine은 Henry 8세에게 아들을 낳아 주지 못했다.
a. 많은 아이들이 出産時나 영아기에 죽었다.
b. 딸 하나만(Mary) 생존하였다.
c. Henry 8세는 딸이 영국을 통치할 수 없다고 믿었다. 아울러서 그는 형의 아내와 결혼함으로 인해 하나님의 심판이 내렸다고 주장했다.
4. 그럼으로 Henry 8세는 Katherine과 이혼하고, 아들을 낳을 수 있는 왕비와 재혼코자 했다.
a. Henry 8세는 Katherine과 결혼할 때도 교황의 특별한 재가를 얻었다.
b. 따라서 이 결혼을 무효 선언하는 것도 교회의 권한이었다.
c. 그러나 Katherine은 결혼 무효 선언을 원치 아니 했으므로, 그의 조카이자 강력한 황제이던 Charles 5세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d. 따라서 교황은 결혼 무효 선언을 거절했다.
5. 젊은 학자이던 Thomas Cramner는 이 문제는 신학적인 문제이므로, 유수 대학의 학자들의 의견을 들어 형의 부인과 결혼 문제의 유효성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 Henry 8세는 이 의견을 좋게 생각했다. 또한 Cramner는 학자들로부터 형수와의 혼인은 비성서적이라는 답을 얻어냈다.
b.이 사건으로 인해 Cramner는 즉시 저명인사가 되었다.
c. 추기경이었던 Wolsey는 교황으로부터 혼인 무효 선언을 얻어 내지 못한 결과 Henry 8세로 부터 배역죄의 죄목을 쓰게 되었다. Wolsey는 자살했거나 아니면 사형 당했을 것이다.
6. Henry 8세는 1533년에 Anne Boleyn과 결혼했다.
a. 이 결혼은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b. Cramner는 Canterbury의 대주교가 되었고(1533), 그는 Henry 8세의 첫 결혼은 "무효"라고 선언했다.
c. 얼마 후, Anne Boleyn에서 딸 Elizabeth가 탄생했다.
d. 그러나 Boleyn은 간음죄로 정죄되어 목베임 당했다.
7. 일반적으로 영국 종교개혁은 1534년에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해 교황은 Henry 8세의 행동을 반대했고, 그를 파문했다.
a. Henry 8세는 곧 자신이 영국 교회의 머리라고 주장했다. (수장령)
b. 그의 의도는 교황이 더 이상 교회의 머리가 아니고, 왕이 머리라는 뜻이다.
8.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Henry 8세는 재상 Thomas Cromwell을 시켜서 수도원들을 차압했고,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대륙의 개신교도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
9. Anne Boleyn이 1536년 목베임 당한 후, Henry 8세는 Jane Seymour와 결혼했다.
a. 이 결합으로부터 Henry 8세의 아들 Edward가 탄생했다.
b. Seumour는 그러나 출산하다가 사망했다.
10. 1530년대 후반부에 정치 정세는 급변하였다. Henry 8세는 독일 여자와 결혼함으로써 대륙의 개신교도들과 결합을 시도했다.
a. Henry 8세는 그 독일 여자를 그림으로만 보았다.
b. 독일 여자가 도착했을 때 Henry 8세는 실물을 보고 실망했다. 그는 그녀를 "독일 암소"라고 불렀다.
c. 이 결합도 곧 끝나버리고, 그후 몇번 더 결혼이 있었으나, 별로 중요한 관계는 없었다.
11. 이러는 동안에 영국에는 개신교 저작물들이 유포되었다.
a. 성경이 영어로 번역되어 공부에 이용되었다.
b. Cramner는 개신교를 확산시켰고, 영국은 개신교 신앙이 강조되었다.
D. Henry 8세의 아들 Edward는 1547년 왕이 되었고, 1553년까지 6년동안 Edward 6세로서 치리 했다.
1. Edward가 즉위할 때는 소년이었고, 섭정자는 대부분 개신교도들이었다.
2. 영국은 Edward 6세 치하에서 개신교 국가로 변모되었다.
3. Cramner는 1549년에 "공동 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를 발간했는데 1552년에 개정되었다. 개정안은 좀 더 개신 교회 되었다.
4. 신앙고백서인 "42개조항"이 채택되었다. Cramner가 썼는데 캘빈주의적인 고백서였다.
5. 따라서 영국은 전반적으로 개혁교 신앙을 따랐다.
6. 이 때는 John Knox가 영국에 머물던 시기였다.
E. 1553년에 Edward 6세가 죽고나자 개신교도 계승자가 임명되었으나, 그 대신 Katherine의 딸인 Mary가 영국 여왕의 보좌에 올랐다.
1. Mary는 5년간 치리 했는데, 강력한 R.C.교도였다. 왜냐하면 R.C.교회는 Mary의 모친 Katherine을 옹호했고, 만일 그 결혼이 무효라면, 자신의 왕위 계승도 불법이 되기 때문이었다.
2. 그러므로 Mary는 영국을 R.C.교회로 돌리려고 하였다.
a. 그녀는 추기경단의 대표 앞에 무릎을 꿇고, 영국이 저지른 잘못을 고백함으로써 영국을 R.C.신앙으로 되돌리려 했다.
b. 그녀는 개신교도들을 핍박했고, Cramner를 포함한 개신교 지도자들을 사형시켰다.
1) 약 200명의 개신교 지도자들을 처형했다.
2) 이런 행동의 결과, 그녀는 "피의 메리"(Bloody Mary)라는 별명이 붙었다.
3. 수천 명의 개신교도들이 이 때 영국을 떠나, 개신교가 확립된 유럽으로 망명했다.
a. 이 사람들은 Mary시대의 추방자들(Marian Exiles)라고 불리었다.
b. "Marian Exiles"들은 Mary가 죽고나자 다시 귀국했는데, 만명전보다 더욱 강력한 개신교도들이 되었다.
4. Mary는 1558년 사망하고 Elizabeth가 계승했다.
F. 보좌에 올라서 1558-1603까지 통치했다.
1. Elizabeth여왕 치하에서 영국 국교회는 더 견고히 확립되었다.
2. Elizabeth치하의 개혁
a. 그녀는 "중용정책"(Via Media)을 취했다. 모든 영국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포괄적인 교회를 세우고자 했다.
b. 그녀는 "교회의 최고 여통치자"(The Supreme Governess of the Church)라는 칭호를 얻었다.
c. 그녀는 "통일령(Act of Uniformity)을 발표하여, 모든 영국의 기독교인들이 영국 국교회의 신앙과 행습을 따르도록 했다. 통일령은 세 가지 내용을 포함한다.
1) "공동 기도서"(The Book of Common Prayer)는 모든 영국 교회가 예배시 사용하는 표준 예배 서식으로 삼는다.
a) 이 책은 Edward 6세가 펴낸 "공동 기도서" 두 번째 판이었다.
b) 이 책을 통해 여왕은 그 시민들에게 예배에서 행동 지침을 주려는 것이었다.
2) "39개 조항"(The Thirty Nine Articles)은 신앙고백서로 사용되었다.
a) 39개조항은 기본적으로 Cramner가 만든 42개조항을 약간 개정한 것이었다. Cramner의 "42개조항"은 캘빈주의를 따랐다.
b) Elizabeth의 '39개조항'은 Cramner의 '42개조항'에 나타난 캘빈주의를 좀 완화시켰다.
c) '39개조항'에 의해 영국 여왕은 그 시민들의 신앙 내용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3) 감독정체(Episcopacy)는 영국 국교회의 정체로 채택되었다.
a) 감독 정체란 감독에 의한 교회의 치리를 말한다.
b) 이 정체를 통해 영국 여왕은 그 시민들이 여왕이 원하는 신앙과 행습을 따르고 있는지 감독하려는 것이었다.
3. Elizabeth는 교회 문제 뿐아니라 정치 문제에서도 강력한 지도자였다.
a. 1588년에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퇴한 후, 영국은 유럽의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b. 교회와 국가가 Elizabeth치하에서 안정되었다.
4. 결국 영국은 개신교 국가가 되었고, 다른 지방의 개신교 운동을 지원했다. 그러나 모두가 Elizabeth의 중용 정책에 만족한 것이 아니었다. Elizabeth의 "중용정책"을 반대하고 나온 두 집단을 주목할 만하다.
a. 청교도들(The Puritans) 영국 국교회 내에서 (within) "중용정책"이 반대하는 의도를 나타낸 사람들
1) 청교도들은 영국 국교회를 좀더 순수한 교회(Purify)로 만들고자 했던 사람들로서, "공동 기도서"에 잔재한 로마식 요소들을 제거코자 했다.
2) 청교도들은 설교자들이 입는 특별한 가운 착용에 반대했다.
3) 청교도들에게 핍박이 오자, 그들은 감독 정체와 영국 국왕의 교회 머리라는 개념까지 반대했다.
4) 청교도들 중 일부는 장로 정체를 취하고자 했고, 일부는 회중 정체를 취하고자 했고, 또 일부는 좀 완화된 감독 정체를 취하고자 했다.
a) 장로 정체는 교회의 최종 권위가 교회네 소수 집단에 있는 정체
b) 회중 정체는 교회의 최종 권위가 전 회중에게 있는 정체
c) 감독 정체는 교회의 최종 권위가 한사람에게 있는 정체
5) Thomas Cartwright는 가장 유명한 청교도 지도자였다.
a) 그는 캠브리지 대학의 학자요 교수였다.
b) 모든 신자의 제사장직분, 감독정체의 폐지 및 장로정체 실시들을 주장하는 도발적인 발언으로 인해 그는 교수직을 박탈당하고 추방당했다.
6) 캠브리지 대학은 청교도의 본산지가 되었고, 졸업생들은 청교도 교구 설교자나 강의자 및 채플인으로 진출해서 청교도 사상을 확산했다.
7) 감독들의 청교도 운동에 대한 태도
a) 처음에는 대주교와 주교들이 청교도 사상에 동정적이었다. 왜냐하면 그들도 추방자의 시절을 겪었기 때문이다.
b) 그러나 여왕의 압력으로 인해 청교도 활동을 저지하기 시작했다.
8) 청교도들은 많은 청원서를 화람했고, 특별한 모임도 많이 개최했으나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b. 분리주의자들(The Separatists) 영국 국교회로부터 점차 분리되어, 국교회와는 별도의 분리된 순수교회를 세우려 했던 사람들
1) 아주 작은 무리였다.
2) 그들은 영국 국교회로부터 분리되어 "순수교회"를 세움으로써, 영국내에 개혁을 이루고자 하는 운동이었다.
3) Robert Brown은 가장 유명한 분리주의 운동 지도자였다.
a) 그는 Norwich로 가서 1580년경에 분리주의 교회를 세웠다.
b) '더 이상 지체치 못할 개혁'(Reformation Without Tarrying for Any)라는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여왕을 기다렸다. 우리는 감독들을 기다렸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도 기다렸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기다리지 말자. 분리된 교회를 세우자. 순수한 교회를 세우자"
c. John Greenwood나 Henry Barrow등을 지도자로 하는 다른 분리주의 교회들이 런던에 형성되었다.
1) 따라서 분리주의 운동도 다소 확산되었다.
2) 물론 이 집단들은 불법적이었다.
3) 런던 분리주의 지도자들 (Greenwood와 Barrow포함)이 사형 당했다.
4) 따라서 외부로부터 개혁을 시도한 분리주의 운동은 별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G. Elizabeth여왕은 1603년 사망했고, 스콧트랜드의 James 6세가 영국왕 James 1세로 승계 했다.(1603-1625)
1. James 6세는 스콧트랜드 여왕 Mary의 이들로서 스콧트랜드 왕위에 있었다.
a. 스콧트랜드는 James 6세 당시 이미 캘빈주의적, 장로정체 취하는 개신교 국가였다.
b. James 6세는 영국 국왕의 위치도 차지하게 되었다.
c. 그 결과 영국과 스콧트랜드는 같은 왕 치하에 두 종교를 가진 한나라로 합병되었다.
1) Scotland 장로정체 스콧트랜드 국교회
2) England 성공회 감독정체 영국 국교회
2. James 1세가 즉위했을 때 청교도들은 그가 모종의 개혁을 이루리라 믿었다.
a. James 1세가 Scotland에서 영국으로 가는 길에 청교도들은 James 1세를 만나 소위
'일천인의 청원서'(The Millenary Petition)를 제출했는데, 그들이 원하는 개혁 내용을 담은 청원서였다.
1) 이 청원서는 일천명의 청교도들이 서명했다.
2) 그들은 여러 가지 개혁을 요구했다.
a) 예배 의식의 변화(예배와 '공동기도서'의 변경 요구)
ㄱ) 십자가 표시의 중지 및 유아세례시 문답
ㄴ) 여성의 세례식 주례 중지
ㄷ) 성직자 가운 사용중지
ㄹ) 설교가 시행됨과 아울러 세례식 시행할 것을 요청
ㅁ) 결혼식에서 반지 사용금지(로마의식의 잔재로 보았다)
ㅂ) 지나치게 긴 예배의식의 단축화
b) 성직자들의 지위변화
ㄱ) 성직자들의 합법적인 결혼허용
ㄴ) 비주재 성직 제도의 금지
c) 성직자들의 월급제도의 변화
d) 교회 징계방식의 변화
b. James 1세는 답변을 연기하면서, Hampton Court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하였다.
1) 이 종교회의에서 (청교도들은 거의 참석치 않음) James 1세는 사실상 모든 요구를 거절했다.
2) 39개조항, 공중기도서 및 감독정체를 강화, 실시할 것이라 했다.
3) 그러나 James 1세는 성경 새번역을 출간했다.
a) 각 대학에서 선발된 50여명의 유능한 학자들이 이 번역에 참여했다.
b) 이 번역판이 공인된 성경으로서 King James Version이 되었다.
c) KJV은 1611년에 출판되었다.
d) 처음에는 이 번역판이 대환영을 받지 못했지만, 점차 영어권의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애용되는 번역본이 되었다.
5. James 1세에게 청원을 거부당한 청교도들은 영국을 떠나거나, 다른 지역에서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거나 했다.
a. 많은 청교도들은 신대륙으로 건너왔고, 신대륙 최초의 영국 식민지인 Jamestown식민지를 건설했다.
1) 이 식민지는 1607년에 건설되었다.
2) 청교도들은 청교도적인 요소가 섞인 영국 국교회를 Jamestown에 이식했다.
3) Jamestown 식민지의 지도자들은 사실상 청교도적 신앙관을 지녔다.
b. 청교도 중 두 번째 그룹은 영국국교회와 분리되어, John Smith의 지도아래 Gainsborough에서 Amsterdam으로 이주했다.
1) 이 집단은 영국 분리주의자들 중 가장 주요한 집단이었다.
2) 이 집단은 영국내의 증가되는 핍박으로 인해 화란 Amsterdam으로 이주했다.
3) Amsterdam에서 그들의 회중으로부터 일반 침례교회가 발생했다.
c. 청교도 중 세번째 그룹은 William Brewster와 John Robinson의 지도아래 Scrooby에서 조직된 집단이었다.
1) 원래 이 집단은 Gainsborough그룹과 한 집단이었으나, 집단이 커지고 핍박이 증가하면서 분리되어 Scrooby로 갔다.
2) 이들은 영국 (즉 Scrooby)에서 화란 Leyden으로 이주했다.
3) 1620년에 이 Scrooby 집단은 신대륙에 와서 Plymouth에 정착하면서 미국땅에 최초의 회중교회를 형성했다.
a) 이들이 Mayflower호를 타고 화란 Leuden에서 신대륙으로 건너왔다.
b) 이들이 Pilgrim fathers로서 pilgrim church를 구성했다.
d. 요점은 청교도들과 분리주의자들은 순수한 교회에서 신앙의 자유를 행사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순수한 교회란 로마적요소가 없는 교회를 말한다.
4. 1620년 후반부 James 1세를 계승한 Charles 1세 치하에서 문자 그대로 수천명의 청교도들이 신대륙을 향해 떠나갔다.
a. 많은 청교도들은 뉴잉글랜드지방에 정착해서 회중교회를 세웠다.
b. 이 현상을 "청교도들의 군집"이라고 부른다.
5. 1616년에 영국에서 Henry Jacob은 London에 반분리주의교회(Semi-Separatist of Independent)를 세웠는데, 이로부터 특수 침례교회와 회중교회들이 탄생했다.
H. James 1세의 후계자인 Charles 1세 치하의 영국(1625-1649)
1. Charles 1세는 R.C.을 옹호했다. 그러나 그는 영국국교회를 인정하면서 청교도들과 분리주의자들을 강력하게 저지했다.
2. 교회 문제에 대해서 Charles 1세의 고문은 William Laud였다.
a. Laud는 Oxford의 St. John대학 졸업생으로, 여러해 동안 St. John 대학의 학장이었다.
b. 그는 곧 Oxford 대학 총장이 되었다.
c. 그는 결국 London 감독을 거쳐, 1633년에 Canterbury대주교가 되었다.
d. Laud는 청교도들을 무시하고, 1620년 후반부터 1630년대에 핍박정책을 시작했다. 약20,000명의 청교도들이 신대륙으로 떠났다.
3. Charles1세는 국회도 해산하고, 홀로 11년간 통치했다.
a. 그는 스콧트랜드를 영국국교회를 따르도록하는 정책을 썼다.
1) 스콧트랜드는 캘빈주의적 장로교회를 국교회로 하고 있었다.
2) Laud의 고문을 받은 Charles 1세는 스콧트랜드를 영국과 완전히 합병된 한나라로 만들고자 하면서, 영국국교회를 강요했다.
3) 스콧트랜드 사람들이 반발하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b. Charles 1세는 필요한 전쟁자금을 동원하기 위해, 의회를 재소집했다.
4. 이때 재 소집된 의회는 성공회보다는 청교도적이었다.
a. 따라서 이때 의회 지도자들은 '엄숙한 동맹과 협약'(Solemn League and Covenant)라는 조약을 스콧트랜드와 체결했는데, 성공회를 폐지하고, 영국을 장로교회화 한다는 내용이었다.
b. 내란은 Charles 1세의 군대와 스콧트랜드 및 의회의 연합군간에 벌어졌다.
1) Laud는 1645년 투옥되어 사형집행 당했다.
2) 결국 왕당파가 패하여 왕 자신도 1649년 목베임 당했다.
3) 내란중에, 영국 Westminster에서 화합을 가진 교회 지도자들은 장로교적, 캘빈주의적 신학을 가진 정부를 세우고자 했다.
I. Obiver Cromwell의 군사통치기 (1649-1659)
1. Charles 1세 처형 후 영국 지도자는 Obiver Cromwell이었다.
a. 영국 공화정치 (English Commonwealth)기간에 영국을 통지했다.
b. Cromwell은 "왕국의 섭정자(Lord Protector)"라는 칭호가 붙었다.
2. 많은 청교도들은 장로교회를 영국국교회로 삼고자 했고, 스콧트랜드 사람들도 이에 동조했다.
3. 군대가 싸우고 있는 동안에, 한 무리의 성직자들이 이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 Westminster에서 회합을 가졌다.
a. 그들은 교회 규율, 교회 예배에서 및 가장 중요한 신앙고백서인 'Westminster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1) 이 고백서는 "언약 신학"을 포함한 캘빈주의적 고백서이다.
2) 이 고백서는 장로교회와 회중교회의 신앙고백서가 되었고, 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특수 침례교회의 신앙고백서가 되었다.
b. Cromwell군대의 대부분은 침례교도의 회중 교도였다. 그들이 자유를 위해 투쟁할 때, 장로교인들은 국가교회를 세우고자 했다.
4. Cromwell은 국가교회가 아니라, 광범위한 관용정책을 원했다.
a. 따라서 의회에서는 장로교회를 국가교회로 원하는 사람들이 제거되었다.
b. R.C.성공회 및 일부 과격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교파에 대해서는 관용하는 관용정책이 결국 채택되었다.
1) 그 결과 많은 종교집단들이 형성되었다.(퀘이커, 레벨러, 디거 등)
2) 이 관용정책에 의해 일반 침례교회와 특수 침례교회는 이 시기에 번창하였다.
5. Cromwell의 말기
a. 그러나 크롬웰은 효과적인 국가 정책이나 교회 정책을 수립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훌륭한 계승자도 갖지 못했다.
b. 그는 1659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이 1년간 통치했으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왕정복고를 원하게 되었다.
J. 영국왕 Charles 2세의 통치 (1660-1685)
1. Charles 2세는 광범위한 관용정책을 약속했으니, 곧 국가교회를 회복하라는 압력을 받게 되었다. 영국국교회의 회복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극심한 핍박을 받게 되었다.
2. 1662년에 2,000명의 성직자들이 해임되었는데, 이 사건을 "대축출"(The Great Ejection)이라고 한다.
a. 이 성직자들은 장로교회와 회중교회를 구성하였는데, 따라서 장로교회와 회중교회는 국교회와 별도로 존속케 되었다.
b. 이들은 대부분 청교도들로서 국교회내에 존속하면서 개혁을 원했던 사람들이었다.
c. 그러나, 대축출 이후, 성공회를 국교회로 한 영국은 성공회 외에도 세 중요한 교파가 존재하게 되었다.(장로교, 회중교, 침례교)
3. Charles 2세는 국교 반대자들에 대해 몇 가지 법령을 제정하고, 다수를 투옥했다. 이 핍박이 국교 반대자들을 더욱 가깝게 해 주었고, 그들은 대부분 약간 수정된 Westminster신앙고백서를 채택했다.
4. 잠깐동안, 관용기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Charles2세가 R.C.을 관용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a. 사실상 Charles2세는 은밀한 R.C.교도였다.
b. 임종시에 그는 R.C.신앙을 고백했다.
c. 그러므로 잠깐동안의 관용정책에 대해 아무도 감사하지 않았는데, Charles2세의 숨은 동기를 알았기 때문이다.
5. Charles 2세는 1685년 사망하고, James 2세가 계승했다.
K. James 2세의 치리기 (1685-1688)
1. James 2세는 공개적인 R.C.교도로서, R.C.국가와 공모하여 (프랑스, 아일랜드, 스페인 등)영국을 R.C.으로 돌리려고 하였다.
2. 이로 인해 그는 "명예혁명"으로 축출되고, 그 딸 Mary와 사위 William of Orange가 영국의 공동 왕이 되었다.
3. James 2세는 Ireland로 피신했다.
L. Orange공 William과 Mary의 치리(1689부터) 1689년에 William과 Mary는 신교 자유령을 반포하고, R.C.제외한 모든 집단을 관용했다.
1. 신교 자유령은 완전한 종교 자유가 아니라 관용을 보장했다.
2. 관용에는 많은 제한이 따랐다.(선거권 금지, 공무원 임용금지, 군대 입대금지, 대학 입학금지). 이 정책은 1830년까지 지속되었다.
제 9 강 반동 종교개혁( The Catholic / Counter Reformation)
1. R.C.은 개신교 종교개혁에 대하여 많은 우려를 하였다.
특히 Paul III(1534 - 1549)는 사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다.
a. Paul III는 측근 인물 가운데 개신교와 화합을 촉구하는 인물들도 소수 있었으나, 대부분은 강한 탄압정책을 권고하였다.
b. Paul III는 탄압정책을 취하고자 결단하고 1542년에 이단심문소(Inquisition)를 우주적인 규모로 재조직하였다. 이단심문소는 이미 Spain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이단심문소의 목적은 R.C.신앙에서 이탈했거나, 이탈할 우려가 있는 사람들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단으로 정죄된 사람은 투옥되거나, 사형 당했고, 재산은 몰수되어 대중에게 경매되었다.
2. 반동 종교개혁의 두 번째 측면은 Jesuits(The Society of Jesus 예수회)의 조직이었다.
a. Jesuits는 반동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기관이 되었다.
b. Ignatius Loyola는 스페인 귀족 출신으로 Jesuit의 중심 사제가 되었다.
Loyola는 군인이었으나, 1521년 부상을 입었다. 회복기에 그리스도의 삶. 성자들의 생애. 기독교 문헌 등을 읽으면서 그리스도와 교회를 위하여 자기의 삶을 헌신하기로 결심하였다.
c. 1520년대 후반부에 Loyola는 파리대학에 입학하여 추종자들을 모아 군대식으로 조직하였다. 이로써 Loyola는 Jesuit의 창시자가 된 것이다. 이 모임은 The Society of Jesus라고, 교황 Paul III에 의해서 1540년에 인준되었다.
d. Jesuit는 절대 순종, 선교, 교육을 강조하면서 급속히 확산되었다. Jesuit는 또한 설교, 고해, 조직의 결성, 전 세계에 선교사 파송을 강조하였다.
Francis Xavier는 Jesuit초기 멤버로서 선교사로 파송되어 인도, 일본 등지에서 수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중국에 들어가려는 계획을 실현치 못하고 사망하였다. (목적이 정당하면 수단은 아무래도 좋다 ?? )
e. Loyola는 영적 훈련(Spiritual Exercises)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모든 회원들에게 적용하였다. 예수회 가입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영적 훈련 과정을 겪어야 했다. 이 프로그램은 4주 동안에 4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자신의 죄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삶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에 대한 묵상이 그것이다.
f. 이 프로그램 안에는 교회라는 범주 안에서 사고하는 훈련도 포함되었다. 교회의 판단에는 절대 순종하며, 사적인 판단은 엄금되었다. 교회가 진리라고 선언한 것은 무조건 진리로 받아들이도록 강요되었다. "모든 면에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직급적인 교회(R.C.)가 검정색을 흰색이라고 정의를 내리면, 그것을 흰색으로 받아들일 만반의 태세를 항상 갖추고 있어야 한다."
g Jesuits는 즉시 교황과 교회의 오른팔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3. 반동 종교개혁의 세 번째 측면은 Trent종교회의의 소집이었다.
a. Trent라는 이름은 이 종교회의가 개최된 Italy의 마을 이름이었다. 교회의 대분열기(1378-1415) 기간에 정기적으로 종교회의를 개최하자는 의견들이 제시된바 있었으나, 종교회의가 개최된 적은 없었다. 종교회의의 권위와 교황의 권위(Conciliarism vs. Curialism)간에 갈등이 있었기 때문에 교황은 종교회의 개최를 주저했던 것이다.
b. Paul III는 마지못해 Trent에서 종교회의(general council)를 개최하였고, 1545년에 시작되어 간헐적인 모임을 가지면서 1563년에 종결되었다. (교황 Pius4세).
c. 투표권은 주교들이나, 수도원 종단의 대표들만이 가지고 있었고, 이태리인들이 회의들을 주도하였다. 이태리인들은 교리적인 문제를 논의하기 원했고, 스페인 사람들은 행정적인 개혁을 논의하기 원했다. 타협적인 방법으로 교리적인 문제와 행정적인 개혁을 번갈아 논의하기로 결정하였다.
d. 모든 회의 결과들은 교황의 인준을 받도록 되어 있었고, Jesuit들은 종교회의마다 활동적으로 참여하였다.
e. Trent종교회의의 최종 결정은 다음과 같다.
1) 교리적인 면
a) Trent는 전반적으로 중세 신학을 재확인하였다. (半 펠라기우스주의)
b) 성경과 전통은 진리의 원천으로서 동등한 권위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다.(외경 포함)
c) 이신득의를 정의하되 선행이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
d) 7성례전은 고수하였다. (비록 더 상세히 정의되기는 하였어도...)
e) 결론적으로 개신교가 제기한 문제들에 대하여는 전혀 실질적인 고려가 되지 못하였다.
2) 행정적인 개혁의 면
a) 교역자들의 훈련이 강화되는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b) 성직 겸임제도가 제한되었다.
c) 성직자 독신 제도는 더욱 강화되었고, 교역자에 대한 도덕적 감독이 강화되었다.
4. 반동 종교개혁의 4번째 측면은 금서목록(Index)을 작성하여 신도들의 독서를 지도하고자 한 것이다. Trent종교회의 때부터 제시되어 1571년에 확정되었고, 같은 해 禁書省(금서성, Congregation of the Index)이 조직되었다.
a. 禁書省은 신도들이 읽거나, 출판할 수 있는 책들을 승인하는 교황청 산하 기관이었다. 승인된 책들은 주교의 축복을 받았으며, 교회를 비판하거나, R.C.교리와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 책들은 금지되었다.
b. 이 모든 과정은 개인의 독서를 통제하려는 시도였다.
5. 이단심문소, Jesuits, Trent종교회의, 금서목록 등을 통하여 R.C.는 자신들의 교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 행정적인 문제를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토 확장을 꾀하기도 하였다.
'한국! 세계교회사!! 성경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표로 본 교회사(1~30) (0) | 2018.08.31 |
---|---|
[스크랩] 도표로 본 교회사(31~52) (0) | 2018.08.31 |
[스크랩] 최근 50년의 변화… 이젠 ‘서구’ 아닌 ‘세계’ 기독교 (0) | 2018.02.26 |
[스크랩] 성경연대표 (0) | 2018.01.22 |
[스크랩] 성경시대 연대표 (0) | 2017.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