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 청년 사역!! 기타훈련!

[스크랩] 제자훈련 제3권 1 과 순종의 생활

하나님아들 2014. 11. 1. 15:02

제 1 과 순종의 생활 349장 219장 요한복음10:1-6절

 

1. 서론 p 12

요약 1) 믿는 사람은 당연히 순종하게 되어 있다.

2) 현실적으로 순종을 잘 하지 못하는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있다.

3) 예수님의 제자는 주님처럼 철저하게 순종하는 자를 말한다.

 

본문

[ 순종의 당연성 ]

1. 하나님의 자녀 된 우리는 범사에 주님께 순종하게 되어 있다. 왜 그런가?

* 요한복음 10장 27절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저희를 알며 저희는 나를 따르느니라

- 예수 그리스도의 양이기 때문이다.

* 이 말씀은 “음성을 듣고 따라야 한다.”는 “해야 한다”는 식의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양은 내 음성을 듣고 따른다.”는 “한다”식 표현을 쓰고 있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 예수님께 순종하는 것은 순종해야 하는 의무 정도가 아니라, 양이 목자를 따르듯이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너무나 당연해서 “따른다”는 직설적인 표현을 쓴 것이다.

 

2. 양이 목자를 얼마나 잘 알며 철저히 따르는가에 대해 아는 이야기가 있으면 해 보라. (요10:3-5)

10:3 문지기는 그를 위하여 문을 열고 양은 그의 음성을 듣나니 그가 자기 양의 이름을 각각 불러 인도하여 내느니라

10:4 자기 양을 다 내어놓은 후에 앞서 가면 양들이 그의 음성을 아는 고로 따라오되

10:5 타인의 음성은 알지 못하는 고로 타인을 따르지 아니하고 도리어 도망하느니라

 

- 양은 목자만을 철저히 따른다. 팔레스타인에서는 한 우리 안에 주인이 다른 양 떼를 함께 넣어 둠 아침이 되면 목자는 자기 양의 이름을 하나씩 불러 다른 목자의 양들과 구별해 냄.

아무리 목자의 소리를 흉내내 양들의 이름을 부른다 해도, 양들은 주인의 음성을 분별하고 주인만 따름. 우리로 돌아오는 저녁까지 양은 목자가 인도하는 대로 따라다닌다.

 

* 양이 하루 종일 모든 일에 있어서 목자를 잘 따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 양은 목자를 신뢰한다. 목자가 자신에게 물을 주고, 꼴을 먹여 주고, 보호해 주는 사람임을 철저히 신뢰한다.

* 예수님이 순종을 설명하실 때 다른 비유를 드실 수도 있었는데, 왜 하필이면 “목자와 양”에 빗대어 말씀하셨을까 생각해 보라.

- 양만큼 목자를 철저히 따르는 짐승이 없기 때문이다.

* 나는 양들처럼 목자이신 예수님의 인도를 따라가면 그 분이 우리의 모든 필요를 공급하시고 우리를 보호하신다는 분임을 확신하는가?

 

3. 나는 양이 목자를 따르는 것처럼 주님의 음성을 듣고 따를 수 있는가?

- ‘정확히’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분별하고 따를 수 있는가’에 있다.

 

[ 순종의 모범 : 예수님]

4. 예수님의 음성을 듣고 따른다는 것은 그의 말씀을 순종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예수님이 하는 대로 본받는다는 의미도 있다. 주님이 우리에게 본을 보이신 것이 무엇인가?

* 요한복음 4장 34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이것이니라

- 주님께서는 자신의 양식은 순종이라 하셨다. 이처럼 순종을 영혼의 양식이라 표현하실 정도로 예수님은 순종을 중요하게 여기심.

* 요한복음 8장 29절

나를 보내신 이가 나와 함께 하시도다 내가 항상 그의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므로 나를 혼자 두지 아니하셨느니라

- 예수님은 항상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을 행한다고 말씀.

예수님께서는 늘 하나님이 무엇을 기뻐하실까를 생각하셨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이라면 기꺼이 순종하셨다.

5. 내가 예수님의 본을 따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본 사례를 한번 들어보자.

* 나는 그러한 순종을 통해서 무엇을 배웠는가?

순종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이 있다면...

1) 순종은 희생이고 손해인 것 같지만 사실은 유익이다.

2) 내가 순종하고자 할 때 하나님께서는 순종할 수 있는 힘과 지혜를 주신다.

3) 순종을 통해서 믿음이 자란다.

 

[ 순종의 동기 : 사랑 ]

6. 주님은 순종이 마음의 사랑에서 나오는 행동임을 분명히 하셨다. 사랑하면 순종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 주님은 어떻게 말씀하셨는가?

* 요한복음 14장 15절 너희가 나를 사랑하면 나의 계명을 지키리라

- 계명을 지키는 것은 사랑에서 나온다. 사랑과 순종의 관계는 나무와 열매의 관계와 같다.

* 예를 들어 내가 배우자의 뜻대로 행동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는 언제인가?

- 배우자가 나를 사랑해 줄 때 - 배우자의 뜻이 옳다고 이해가 될 때

- 배우자를 사랑할 때

* 내가 순종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식었거나 없기 때문이다.

* 주님을 사랑하여 순종하는 사람이라면, 순종할 때 부담이나 눌림이 있을 수 있는가?

 

7. 주님을 사랑하여 순종하는 자에게 약속하신 은혜가 무엇인가?

* 요한복음 14장 21절 나의 계명을 가지고 지키는 자라야 나를 사랑하는 자니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요 나도 그를 사랑하여 그에게 나를 나타내리라

-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다. / 예수님도 그 사람을 사랑하여 그에게 자신을 나타내신다.

* 나를 나타내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나를 나타내리라는 말은 ‘축복하겠다’, ‘더 깊은 인격적 관계를 나누겠다’등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떤 특별한 계시를 주시겠다.’는 말로 오해해서는 안된다.

* 어떤 자녀에게 특별히 정이 더 가는가?

- 1) 약한 아이 2) 막내 3) 살갑게 구는 아이 4) 순종하는 아이

* 순종은 손해가 아니라, 축복이라는 것을 믿는가?

* 순종하는 자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축복에는 또 어떤 것이 있을까?

 

[ 순종에 대한 반성 ]

8. 순종이 없이 입으로만 주님을 사랑한다고 고백한 가증한 행동을 회개하는 기도문을 써 보자.

- 사랑에 대한 실천 ( 감정적 / 보복적 / 성실함 / 게으름 )

 

[ 순종의 중요성 ]

9. 예수님은 순종의 중요성을 어떻게 교훈하고 계시는가? 마태복음 7장 24-27절

1) 비가 내리고 창수가 나고 바람이 분다는 것은 무엇을 비유하는 말인가?

- 삶에서 갑자기 찾아오는 위기 상황을 말한다. 주석으로 보면 비나 창수, 바람은 인생의 위기로 해석될 수도 있고, 종말론적인 위기로 해석할 수 있다. 문맥상으로는 종말론적인 위기로 해석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하지만 삶의 위기로도 볼 수 있다.

2) 순종하지 않는 믿음은 결정적인 위기에서 지탱할 수 없다.

나는 이 사실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가?

- 부정적인 의미의 공포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의 긴장을 느껴야 한다.

3) 나의 믿음은 순종이라는 반석 위에 세워져 있는가?

* 예수님께서 두 가지 기초를 가진 집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 청중들에게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신 것이다. 지금도 예수님께서는 나에게 그러한 선택을 요구하시는 것이다.

* 비가 내리고, 창수가 나고, 바람이 불기 전까지는 집이 반석 위에 있는지 모래 위에 있는지 알 수 있는가?

- 알기 어렵다. 따라서 불순종 위에 신앙생활을 하고 살아가는 사람도 그 불순종을 알아 챌 수 없다. 하지만 위기 상황이 되면 그 기초는 드러나게 되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 불순종과 순종 중 어느 것이 더 희생이 적은가?

- 불순종이 순종보다 희생이 적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나중에 창수가 나서 집이 무너지고 나면 불순종이 순종보다 더 희생이 크다.

예(例): 이번 태풍에 울산시 공무원의 지시에 순종한 어촌은 150척의 배 가운데 한척도 잃치 않았다. 비록 배를 옮기는데 비용이 들었지만 순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잘 보여준다.

 

[ 믿음과 순종의 관계 ]

10. 믿음으로 구원받는데 순종하고 안하고가 대단한 문제가 아니라고 여기며, 순종을 강조하는 것은

믿음의 중요성을 깍아내리는 것이라고 비난한다. 여기에 대한 나의 생각은?

* 믿음과 순종의 관계를 정리하자.

1) 믿음은 순종보다 선행한다.

2) 순종은 믿음의 당연한 결과이다.

3) 순종의 정도나 여부를 가지고 신앙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4) 순종을 가지고 신앙을 판단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 한 분 뿐이시다.

 

출처 : 모포제일교회MP
글쓴이 : 손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