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훈련!! 청년 사역!! 기타훈련!

[스크랩] 제자훈련 제2권 13 과 그리스도인의 성화(聖化) 2 (에베소서 4장 17-32절)

하나님아들 2014. 11. 1. 18:11

제 13 과 그리스도인의 성화(聖化) 2 (에베소서 4장 17-32절)


4. 예나 지금이나 예수를 믿어도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답게 살지 못하는 자들이 많다. 에베소 교인들이 예수를 믿으면서 버리지 못한 죄들을 한번 살펴보라.(에베소서 4장 25-29절)

- 지상 교회 안에는 완전한 자가 없다. 지상 교회의 성도의 거룩은 부분적이고 불완전하다. 

그러나 절망하거나 비난하지 말라. 거룩한 자로 거룩을 이루어 나갈 수 있다. 


에베소서 4장 25-29절 

4:25 그런즉 거짓을 버리고 각각 그 이웃과 더불어 참된 것을 말하라 이는 우리가 서로 지체가 됨이라

4:26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4:27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말라 

4:28 도둑질하는 자는 다시 도둑질 하지 말고 돌이켜 가난한 자에게 구제할 수 있도록 자기 손으로 수고하여 선한 일을 하라

4:29 무릇 더러운 말은 너희 입 밖에도 내지 말고 오직 덕을 세우는 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여 듣는 자들에게 은혜를 끼치게 하라


- 에베소 교인들 가운데 거룩하지 못한 모습들이 있었다.

❶ 거짓말을 하지 말라는 말로 보아 거짓말을 잘했다. 

❷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라고 했는데, 자기 통제가 안되었다. 

❸ 도적질 하지 말라고 했는데, 아마도 다른 사람의 것을 훔치거나 교묘히 빼앗는 죄가 있었다.

❹ 제 손으로 수고하여 선한 일을 하라고 말했는데, 아마도 자기 생활에 책임을 지지 않고 교회에 손을 벌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❺ 더러운 말은 입 밖에도 내지 말라고 했는데, 부정적이고 파괴적이며 거룩하지 못한 언어를 사용한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다. 


* 그런데 에베소서 1장 1절을 보면 바울은 에베소 교인들을 가리켜 거룩한 성도라고 부른다. 

이것이 나에게 주는 도전은 무엇인가? 

- 거룩은 특히 말과 관계가 많다. 거룩한 생활은 말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말은 인격의 표현이다. 말이 더러우면 그 사람도 더럽고, 인격도 더러울 수밖에 없다. 한 마디의 말을 잘 못하는 것을 사소하고 하찮은 것으로 생각하지 말라. 

5. 자신을 깨끗하게 하는 노력을 잘하지 못해 내가 신앙생활에서 피해를 보는 문제가 있다면 무엇인가? 

아직도 죄인 줄 알면서 끊지 못하는 무엇이 있는가? 

만일 남에게 밝힐 수 없는 일이면 주님 앞에서 다시 한 번 회개하고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자. 

1) 일터나 장사에서 ( 거짓을 말하거나 더러운 말을 한다. 등 ) 

2) 직장에서 ( 우상 숭배에 동참, 음주, 쾌락 등 )

3) 가정에서 ( 분을 내고, 채팅, 음란물 수시 접속 등 ) 

* 이런 문제들이 남아 있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가? 

- 하나님이 누구이신지 바르게 알지 못하기 때문은 아닌가? 

자기 신분의 존귀함 고귀함을 모르거나 자랑스럽게 여기지 못하고 있지는 아닌가? 

말씀의 기초도, 말씀을 너무 모르기 때문인 것은 아닌가? ( 이 백성이 지식이 없어 망한다고 하셨다.) 


6. 다시 한 번 알아두라. 우리는 거룩한 사람이 되기 위해, 죄를 멀리하고 의롭게 살려고 하는 사람이 아니다. 이미 거룩한 사람이 되었기 때문에 더럽고 악한 것을 멀리하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 나는 바르게 깨닫고 있는가? 

* 예수 믿는 사람은 거룩하게 사는 것을 무거운 짐이 아니라 하나의 긍지로 여겨야 한다. 

나는 거룩하게 사는 것을 긍지로 여기며 사는가? 


[ 성화는 하나님의 명령 ] 

7. 거룩한 생활은 하나님의 뜻이며 명령이다. 성경구절을 찾아 검토해 보자. 

* 데살로니가전서 4장3, 7절 

살전 4: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7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심은 부정케 하심이 아니요 거룩케 하심이니


- 거룩함은 하나님의 뜻이다. 이 당시 이방 신전의 성적인 부패를 따르지 말라는 것 

* 거룩하게 살라는 것은 명령인가? 권유인가? 

- 거룩하게 살라는 것은 권유가 아니라, 명령이다. 명령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선택권이 없고, 순종의 의무만 있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그 말씀을 따르지 않는 것은 죄라는 것을 보여 준다. 


* 거룩하게 살라는 것은 실행 불가능한 명령인가? 실행 가능한 명령인가? 

- 거룩하게 살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것만도 아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요구하실 때에는 우리가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거룩하게 살기를 명령하셨다면 거룩하게 살 수 있는 지혜도, 능력도, 힘도 주실 것을 믿어야 한다. 


* 베드로전서 1장 15,16절 

1:15 오직 너희를 부르신 거룩한 자처럼 너희도 모든 행실에 거룩한 자가 되라

1:16 기록하였으되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 하셨느니라 

- 거룩은 하나님이 성도들에게 요구하시는 명령이다. 


* 15절에서 베드로가 말하는 거룩의 표준은 무엇인가? 

- 하나님이시다. 거룩한 생활은 하나님의 명령이다. 

** 우리는 하나님의 이 명령을 진지하게 받고서도 계속해서 반복되는 죄를 회개해야 한다. (부정, 음란, )

나는 죄짓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것은 아닌가?


[ 성화의 근거(2)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소망 ] 

8. 요한일서3장 2,3절을 가지고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답하라. 

3:2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내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계신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

3:3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


1) 재림 시 성도가 가지게 되는 최종적인 모습은 어떤 것인가? 

- 주님이 재림 하실 때에 우리 하나님의 자녀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같게 된다. 거룩하신 예수님을 직접 대면해야 됨으로 예수님처럼 흠과 티가 없는 거룩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영화) 


2) 거룩한 생활의 동기가 무엇인가? 

-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한다. 

= 거룩한 생활의 동기 가운데 하나가 바로 긍지임을 알았다. 그런데 요한 일서에서 말하는 거룩한 생활의 또 한 가지 동기는 바로 소망이다. - 주님과 같이 된다는 소망 

* 어떻게 이러한 소망이 거룩한 생활의 동기가 될 수 있는가? 

- 한국과 이태리 축구 1 : 0 으로 전후반 내내 지고 있다. 요즈음 이 경기를 재방송하는데 보노라면 결코 낙심하거나 안타까워하지 않으며 경기를 본다. 왜? 이미 결과를 알고 있기 때문 소망이 그리스도인에게 거룩한 생활의 동기가 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살다 보면 거룩한 생활에 실패할 때도 있지만, 우리는 궁극적으로는 예수님처럼 될 것임을 우리가 알고 있다면 다시 힘을 내어 거룩한 생활에 분투할 수 있다. 


9. 오늘 공부 가운데 우리는 죄를 멀리하고, 거룩한 생활을 기쁘게 해야 할 긍정적인 동기 두 가지를 말하였다. 이 점에 대해 내가 깨달은 것과 결심을 한번 정리해 보자. 

1) 긍지 

나는 이미 거룩한 사람이다. 

그러므로 긍지를 가지고 거룩하게 살아야 한다. 


2) 소망 

나도 예수님처럼 될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망을 가지고 거룩하게 살아야 한다. 

- 성결 생활은 억지로 하지 않는다. 

구별된 하나님의 자녀라는 긍지와 그리스도를 직접 만나는 것을 소망함으로 거룩한 생활에 힘쓴다. 

* 그리스도인이 성화에 대한 긍지 대신 갖기 쉬운 것은 무엇인가? 

- 성화에 대한 부담이다. “난 이미 거룩한 사람이다.” 라는 의식보다 “나는 거룩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데...” 라는 부담감을 더 갖기가 쉽다. 그러나 “ 난 이미 거룩한 사람이다.”라는 의식이 없는 부담감은 율법주의에 불과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 그리스도인들이 성화에 대한 소망 대신 갖기 쉬운 것은 무엇인가? 

- 성화에 대한 패배의식이다. 즉 “ 나는 예수님처럼 될 사람이다.” 라는 의식보다 “나는 절대로 거룩해 질 수 없어.”라는 패배의식을 더 갖기 쉽다. 이러한 패배의식이 겸손을 가져다 줄 수는 있지만 소망 없는 패배의식은 성화에 대해 게으른 사람으로 나를 바꾸어 버릴 수도 있다. 


* 거룩은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점진적으로 나아지는 것인가? 

- 성화는 점진적으로 나아지는 것임을 잊지 말자. 점진적으로 나아진다는 것은 우리의 거룩한 생활이라고 하는 것이 항상 불완전하고 부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훈련생들이 서로를 볼 때 “너는 이것도 못하니!” 라고 비판적인 관점으로 보지 않고, “당신은 거룩하게 될 사람이야.” “당신은 아직 건축 중이야!” 라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보도록 하자. 

 


출처 : 모포제일교회MP
글쓴이 : 손정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