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3:1-5, 이스라엘의 5대 제사(3) 화목제
3:1 사람이 만일 화목제의 제물을 예물로 드리되 소로 드리려면 수컷이나 암컷이나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 앞에 드릴지니
3:2 그 예물의 머리에 안수하고 회막 문에서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3:3 그는 또 그 화목제의 제물 중에서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지니 곧 내장에 덮인 기름과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과
3:4 두 콩팥과 그 위의 기름 곧 허리 쪽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꺼풀을 콩팥과 함께 떼어낼 것이요
3:5 아론의 자손은 그것을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의 번제물 위에서 사를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지난 이틀 동안 번제와 소제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오늘은 세 번째 제사인 “화목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화목제”의 의미와 사용되는 제물과 제사를 드리는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화목제”(Peace offering)라는 말의 히브리어는 “평화”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제사는 하나님과 제물을 바치는 사람과의 평화로운 관계의 회복을 가져다주는 제사입니다.
화목제의 제물은 번제의 제물처럼 흠 없는 “소와 양과 염소”가 사용되었습니다. 다만, 번제의 경우는 수컷만 제물이 될 수 있었지만, 화목제의 경우는 암컷과 수컷 모두가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화목제를 드리는 절차는 먼저 제물을 바치는 사람이 제물의 머리에 안수를 합니다. 그리고 회막문에서 그 제물을 도살합니다. 그러면 제사장이 그 피를 가져다 제단의 사면에 뿌립니다. 여기까지는 번제와 동일합니다.
그러나 이후부터 번제와 다르게 진행됩니다. 번제의 경우에는 제물의 전부를 불살라 바쳤습니다. 그러나 화목제는 내장을 덮고 있는 기름과 콩팥, 그리고 콩팥을 덮고 있는 기름과 간 주위에 있는 기름만을 태워 바쳤습니다.
그리고 레위기 7장 11절 이하를 보면, 화목제물 중에서 가슴과 오른쪽 뒷다리는 제사장에게 주어졌습니다. 그런데 신명기 12장 12절과 18절에 보면, 화목제가 다른 제사들과 다른 차이점은 제사를 드린 후에, 제물을 바친 사람과 그 가족들이 제물의 나머지 고기를 함께 먹으며 여호와 앞에서 식탁교제를 나눈다는 것입니다.
레위기 7장에 보면, 화목제는 드리는 성격에 따라 감사제와 서원제와 자원제,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드렸습니다.
그럼 두 번째로 화목제를 드리는 목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동물의 피를 흘리는 모든 희생제사에는 속죄의 성격이 기본적으로 내포되어 있습니다. 화목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속죄의 성격이 강한 제사는 기본적으로 내일과 모레에 살펴보게 될 속죄제와 속건제입니다.
화목제를 드리는 주목적은 이 제사의 명칭과 세 가지 종류의 화목제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화목제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평화를 경험하고 그것에 대해 자원하는 마음으로 감사하며 드리는 제사입니다.
예를 들어, 원수나 질병, 또는 환난의 상황에서 하나님께서 구해주시길 간구하고 그것이 이루어졌을 때 감사제를 드립니다. 또한, 자신의 절박한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며 하나님 앞에 서원한 것이 성취되면 서원제를 드립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할 때 자원하는 마음으로 자원제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화목제가 신약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주는 영적이고 실제적인 교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말씀을 맺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구약의 화목제는 인간들의 죄로 인하여 하나님과 단절된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화목제물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보여주는 예표입니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3장 25절에서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제물로 세우셨으니”라고 말합니다.
또한 사도 요한은 요한일서 2장 2절과 4장 10절에서 화목제물이신 예수님에 대해서 이렇게 증언합니다.
요일 2:2 “그는 우리 죄를 위한 화목 제물이니 우리만 위할 뿐 아니요 온 세상의 죄를 위하심이라”
요일 4:10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속하기 위하여 화목 제물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화목제물로 삼으신 목적이 무엇입니까?
사도 바울은 로마서 5장 10절과 11절에서 하나님과 원수였던 우리가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고 구원을 받아 하나님 안에서 즐거워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바울의 고백을 직접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롬 5:10 “곧 우리가 원수 되었을 때에 그의 아들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었은즉 화목하게 된 자로서는 더욱 그의 살아나심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을 것이니라
롬 5:11 그뿐 아니라 이제 우리로 화목하게 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안에서 또한 즐거워하느니라“
이 사실을 확실히 믿으십니까? 그러면 구원받아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가 된 저와 여러분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요?
화목제가 오늘 우리에게 두 번째 주는 교훈은, 성도들은 아직도 하나님과 관계가 단절된 사람들에게 화평의 복음을 전하며 피스메이커(Peacemaker)의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산상수훈의 팔복에서 “화평케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도 바울도 고린도후서 5장 18절과 19절에서 성도들은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받은 자들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고후 5:18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서 났으며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또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고후 5:19 곧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며 그들의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아니하시고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우리에게 부탁하셨느니라“
바울이 말한 “화목하게 하는 말씀”을 베드로 사도는 사도행전 10장 36절에서 “화평의 복음”이라고 불렀습니다.
성도 여러분, 그런데 우리가 피스메이커로서 화평의 복음을 전하며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능력있게 잘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줄 아십니까?
그것은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사람들과 화목한 삶을 나누며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화목제를 드릴 때, 제물을 바친 사람이 가족들과 화목제물을 함께 먹고 나누었듯이 성도는 삶에서 가족과 이웃들과 화목을 도모하며 사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마태복음 5장 23절과 24절에서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기 전에 먼저 형제와의 화목이 전제되어야 함을 말씀하셨습니다.
“예물을 제단에 드리려다가 거기서 네 형제에게 원망들을 만한 일이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예물을 드리라”
사도 바울은 로마서 12장 18절에서 “할 수 있거든 너희로서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목하라”고 권면하고 있습니다.
이제 말씀을 맺겠습니다.
사탄의 주특기는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를 깨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도 끊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은 피스메이커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은 다리를 놓는 사람들입니다.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단절된 관계에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라는 다리를 연결해주고, 단절된 인간 관계에 화목의 다리를 연결해주는 여러분 되시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성막!! 성전!! 하나님의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레5:14-19, 이스라엘의 5대 제사(5) 속건제 (0) | 2014.04.09 |
---|---|
[스크랩] 레4:1-12, 이스라엘의 5대 제사(4) 속죄제 (0) | 2014.04.09 |
[스크랩] 레2:1-3, 이스라엘의 5대 제사(2) 소제 (0) | 2014.04.09 |
[스크랩] 레1:1-9, 이스라엘의 5대 제사(1) 번제 (0) | 2014.04.09 |
[스크랩] 성막론 (0) | 201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