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과 복음과 언약!! 475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1. 율법의 어의(語義) ‘율법’(律法, law)이라 번역된 히브리어는 ‘토라’(Torah)이다. ‘토라’의 뜻은 ‘가르침’, ‘교훈’, ‘지시’를 의미하는 말이며, 내용은 종교적 법규, 도덕적 규범 및 사회적· 정치적 윤리 전부를 포괄하고 있다. 토라’는 이야기체나, 율법(계명, 법률, 규정) 형식이나, 혹은 시(詩)의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2. 율법(律法)의 의미(意味) 하나님이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인에게 준 생활과 행위의 규범. 모세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가리킨다(출24:12;신27:26;히10:1). 예수님 당시 사람들은 구약 성경을 가리켜 ‘율법과 선지자'(마5:17,7:12,11:13)라고 했다. 그렇지만 ‘율법'이란 개념은 또..

성경 안에서의 하나님의 약속

성경 안에서의 하나님의 약속 1. 성경 안에서의 하나님의 약속 이복음은하나님이선지자들로말미암아그의아들에관하여성경에미리약속하신것이라 ㅡ 로마서 1장 2절 성경: 로마서 1:1-5 진리 스타디 ‘선지자’( προφήτης, prophetes, prophet)의 헬라어 원문은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전치사인 ‘미리’(προ,pro, before)이고, 다른 하나는 명사인 ‘빛’(φως, phos, light)이다. 이는 ‘선지자’는 먼저 하나의 빛을 보고 나서 그 본 빛을 근거 삼아 말하는 사람인 것을 말하고 있다. ‘성경’의 헬라어 원문은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거룩함’ (άγιος,hagios, holy)이고, 다른 하나는 ‘경전,經典’(γραφή, graphe, scri..

율법과 복음의 본질의 비교

율법과 복음의 본질의 비교 율법과 복음의 본질의 비교 1 모세를 통해 주어짐(요 1:17) 예수께서 주심(요 1:17) 2 옛 언약임(히 8:7,13) 새 언약임(히 8:7,13) 3 죄를 깨닫게 함(롬 3:20) 의롭게 함(롬 1:16,17) 4 속박함(갈 4:22,24) 자유케 함(갈 4:23) 5 기록된 글로 전달됨(고후 3:6) 영으로 전달됨(고후 3:6) 6 복음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함(갈 3:24) 모든 율법의 완성으로 주어짐(마 5:17) 7 행위를 요구함(갈 3:12) 믿음을 요구함(갈 3:8) 8 돌에 새김(고후 3:3) 육의 마음판에 씀(고후 3:3) 9 그림자(히 10:1) 실제(히 10:1) 10 한계가 있음(히 8:7) 영원함(히 13:20) 율법과 복음의 비교 율법 폐지론자들(A..

율법은 무엇인가?

율법은 무엇인가 ? 율법은 무엇인가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한다. ​ “토라 towrah”8451 율법은 히브리어로“토라 towrah”이다. “토라 towrah ”는 “야라 yarah”에서 유래 한 말로 교훈, 교리, 계명, 법, 율법을 말한다. “야라 yarah” ① 던지다’투표하다, 제비를 뽑다, 운명에 막기다, 사수, 궁사, 쏘다 ② 기초를 놓다, 토대를 놓다, 건설하다, 창설하다. ③ 뿌리다, 끼얹다, 물을 주다. ​ “노모스 nomos”3551 율법은 헬라어로“노모스 nomos”이다. 분배(할당)하다에서 유래한 말로“율법, 법, 규칙, 법규, 원리, 규범, 지시, 교훈, 법령, 계명,..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1. 율법의 어의(語義) ‘율법’(律法, law)이라 번역된 히브리어는 ‘토라’(Torah)이다. ‘토라’의 뜻은 ‘가르침’, ‘교훈’, ‘지시’를 의미하는 말이며, 내용은 종교적 법규, 도덕적 규범 및 사회적· 정치적 윤리 전부를 포괄하고 있다. 토라’는 이야기체나, 율법(계명, 법률, 규정) 형식이나, 혹은 시(詩)의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2. 율법(律法)의 의미(意味) 하나님이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인에게 준 생활과 행위의 규범. 모세 오경(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을 가리킨다(출24:12;신27:26;히10:1). 예수님 당시 사람들은 구약 성경을 가리켜 ‘율법과 선지자'(마5:17,7:12,11:13)라고 했다. 그렇지만 ‘율법'이란 개념은 또..

언약에 대한 이해

언약에 대한 이해 ♥ 들어가며 성경은 구약(옛 언약, Old Testament)과 신약(새 언약, New Testament)으로 구성된 언약의 책입니다. 성경의 여러 언약들은 표면적으로는 시대와 인물에 따라 각각 다양하고 단편적인 것 같지만, 그 근본 목적과 본질은 예수의 십자가 희생 수난을 통한 인간 구속의 언약으로서 모두 다 동일한 통일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즉 성경의 여러 언약은 죄인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이 은혜의 약속이라는 동일한 본질이 부분적으로 반영된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드러난 것입니다. 여기에 이해를 돕고자 대표적인 언약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습니다. 1. 언약의 개념(槪念)1) 구약에서의 언약(베리트)은 동물을 둘로 쪼개어 마주 대하여 놓고(창15:10) 언약 두 당사자들이 그 사이..

은혜계약(恩惠契約)

은혜계약(恩惠契約) 계약사상(契約思想)은 성경에서 일관되게 보여주는 하나님과 사람과의 계약관계(契約關係)를 말씀하는 것입니다 계약(契約,contract)이란 "어떤 일에 대하여 지켜야 할 의무를 미리 정해 놓고 서로 어기지 않을 것을 다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계약은 기준과 그 기준을 준수해야 할 당사자들이 존재합니다 계약의 성립은 상호간에 공정하고 공평한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이것을 상호간에 준수하기로 약속하고 이행함으로서 성립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와 맺은 계약은 공정과 공평함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우리와 맺은 언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과 사람사이에 맺은 계약을 은혜계약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스가랴 6장13절에는 "평화의 의논"이라는 단어..

하나님의 법, 율법. 십계명.

하나님의 법,율법.십계명. 율법은 도덕법과 의식법(儀式法)과 재판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덕법(moral laws) 도덕법은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도덕적 속성에서 나온 것으로서 사람들을 위한 하나님의 뜻이다. 도덕법은 인간의 양심에 기록되어 있으며 모세의 율법으로 성문화(成文化)되었다. 그것은 십계명에 요약되어 있는데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기록되어 있다. 사람은 도덕법을 통해 죄를 깨닫는다. 십계명의 구분에 대하여, 역사상 몇 가지 의견들이 있었다. 유대인들은 출애굽기 20:2을 제1계명으로, 우리의 제1, 2계명을 제2계명으로 보았다. 천주교회와 루터교회는 우리의 제1, 2계명을 제1계명으로, 그리고 우리의 제10계명..

언약에 대한 이해

언약에 대한 이해 ♥ 들어가며 성경은 구약(옛 언약, Old Testament)과 신약(새 언약, New Testament)으로 구성된 언약의 책입니다. 성경의 여러 언약들은 표면적으로는 시대와 인물에 따라 각각 다양하고 단편적인 것 같지만, 그 근본 목적과 본질은 예수의 십자가 희생 수난을 통한 인간 구속의 언약으로서 모두 다 동일한 통일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즉 성경의 여러 언약은 죄인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이 은혜의 약속이라는 동일한 본질이 부분적으로 반영된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드러난 것입니다. 여기에 이해를 돕고자 대표적인 언약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습니다. 1. 언약의 개념(槪念) 1) 구약에서의 언약(베리트)은 동물을 둘로 쪼개어 마주 대하여 놓고(창15:10) 언약 두 당사자들이 그 사..

율법과 복음의 관계

율법과 복음의 관계 I. 여러 견해들 율법과 복음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고대 교회의 말시온은 율법과 복음을 날카롭게 대립적으로 이해하여 구약 성경을 비롯하여 율법적인 것은 성경에서 다 삭제하고 말았다. 종교개혁시대에 루터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율법과 복음을 대립적인 것으로 보았다. 율법은 우리로 하여금 죄를 깨닫게 하며 절망하게 만들며, 율법은 우리를 정죄하며 죽이는 것이다. 따라서 율법은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몽학선생의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어떤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말미암아 율법은 폐지되었으며, 신약 시대에는 오직 그리스도의 법 곧 사랑만이 있을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이들에 의하면 신약 시대의 성도들은 더 이상 율법을 의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