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신학

성경신학의 요청

하나님아들 2024. 4. 25. 20:20

성경신학의 요청:

 

성경신학은,

성경의 역사적 기원과 상황을 강조함으로써

통일성(성경의 영감/권위)을 부인하고

성경을 파편화시킨 역사비평(historical criticism)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신학방법

(경건주의 & 구원(속)사적 신학과 30c 성경신학 운동)으로서

성경계시 [혹은 신앙적 전승‘의 역사적 본질과 신·구약 성경의 통일성(unity)을 강조하고 있다. ->

서술적(descriptive: 성경적+역사적)방법(?).

성경신학자(biblical theologian)로서 연구

 

*오스카 쿨만(Oscar Cullmann)의 구원사적 방법

 

구원사(salvation history)에 대한 이해는 ‘성경신학 운동’의 중심 되는 주제들 중의 하나로 쿨만에 따르면 이것은 신약신학에 대한 해석학적 열쇠로 이해되어진다. 특별히 쿨만의 구원사적 방법은 계시(revelation)와 신앙(faith)의 역할을 강조하는데 즉 신앙을 통해 우리는 사건들을 하나님의 계시로 경험하며 또한 계시가 우리로 하여금 역사적 사건들 가운데 하나님의 계획을 보게 해 준다. 즉 이 해석적 방법에는 3가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ㄷ.

 

①사건 그 자체(사건);

②사건 가운데서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계시(신앙적 경험);

③선례의 구원사적 계시들과의 관련(전통과 해석);

오스카 쿨만의 구원사적 방법론은 다시 래드(Ladd)에 의해 계승되었다.

 

*레드(Ladd)의 구속사적 이해:

 

래드는 쿨만의 구원사적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했지만 쿨만과는 달리 구원사를 전승사와 관련하여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유독한 자아계시의 사건들도 구성된 계시역사의 한 줄기로서 이해된 구속사(redemptive history)로서 정의하였다. 이 개념에서는 계시와 구속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일반역사(general history)와 구속역사(refemptive history)를 구분/차별하여 이해한다.

 

*고펠트의 신약신학:

 

약속과 성취의 상화관계 가운데서 이해된 일종의 수정된 구원사적 방법으로서 고펠트에 따르면 신약과 구약과의 관계가 전체로서 신학을 위한 중심된 이슈로서 다루어 졌다. 특별히 그는 신약신학을 공관 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사역(역사적 사역+신학적 의미/해석 -> “그리스도의 사건”)으로 시작하여 신약전체를 기독론적으로 이해하였다. 고펠트의 해석학적 방법론은 역사-비평적 방법을 무조건 배격하지 않고 신약 자체의 이해와 역사-비평적 방법에 따른 원리들(상관관계; 유비; 비평)과의 비판적 대화를 통해서 형성되어 졌다.

 

그러나 위의 논란들은 (신약)성경신학이 과연 ‘수술적 신학’을 완전히 건설할 수 있는가? 성경신학을 하는데 있어서 “이성/전제”를 완전히 우회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을 남겼다. -대답은 없다(No). 여기에 신약신학의 중심된 주제가 있는가? 라는 주제와 함께 신약신학의 다양성과 통일성에 대한 이슈가 논의되어 진다. 이 점에 불트만의 “전제가 없는 해석을 불가능하다”는 선언은 우리들의 해석활동에 쇄기를 박았다.

 

1. 5 성경신학과 문학비평 그리고 사회과학적 방법과의 대화의 필요성: 다차원적인 해석

 

(성경)주석 ------------------> 해석학 ------> 신학

본문 자체의 구조와 작품 세계 -> (선)이해 -> 신약신학의 (재)구성

본문이 나온 사회-문학적 정황

 

-> 여기서의 근본 문제는 “성경/저자의 의도[의미의 문제]를 어떻게 파악하고(주석적[해석학적] 과제) 체계화할(신학적 과제) 것인가?”이다. 결국 신약신학의 기술/건설에는 주석적[=역사적-문학적]/해석학적/신학적 과제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이것은 필자의 학위 논문 중 제 2장의 방법론에 대한 논의(‘이중전망구조 안에서의 다차원적 해석’의 필요성)을 참조하라. 필자의 학위논문에 대한 소개는 <목회와 신학> 1996년 9월호: 180-185를 참조하라.

 

<해석의 과제>

 

해석이란 본문(사건)의 의미전달의 전 과정을 고려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의미전달과정 가운데 있는 의미결정의 모든 요소들은 해석과정에서 반드시 적절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세계; 저자; 본문/미시지; 독자

-본문의 해석과정에서 세 종류의 세계가 고려되고 만난다.: 과거의 역사적 세계; 작품(내)의 세계; 독자의 현실 세계

 

1.6 결론적으로 신약신학을 하는 방법론적 절차는:

 

①올바른 해석학적 기초 위에 성경비평의 적절한 사용: 성경언어; 역사적 이해;

-문학적 질문들 -> 다차원적 해석 방법의 필요성

 

②신약성경 각권의 연구: 신약 권별의 신약신학을 추구

-마가[복음]의 신학; 마태[복음]의 신학; 등등

-주석에서 체계화된 각권의 신학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점은 최근 캠브리지 신약신학 시리즈를 통해 잘 제시되어졌다.

 

③총체적 신약신학의 추구: a single NT theology

 

④성경신학: bibilical theology

 

⑤조직신학(역사신학)

 

⑥윤리

 

⑦실천신학(목회학과 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