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과 복음과 언약!!

언약에 대한 이해

하나님아들 2023. 9. 5. 00:22

언약에 대한 이해              

 

♥ 들어가며

성경은 구약(옛 언약, Old Testament)과 신약(새 언약, New Testament)으로 구성된 언약의 책입니다.
성경의 여러 언약들은 표면적으로는 시대와 인물에 따라 각각 다양하고 단편적인 것 같지만,
그 근본 목적과 본질은 예수의 십자가 희생 수난을 통한 인간 구속의 언약으로서
모두 다 동일한  통일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즉 성경의 여러 언약은 죄인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이 은혜의 약속이라는 동일한 본질이
부분적으로 반영된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드러난 것입니다.
여기에 이해를 돕고자 대표적인 언약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습니다.


1. 언약의 개념(槪念)1) 구약에서의 언약(베리트)은 동물을 둘로 쪼개어 마주 대하여 놓고(창15:10)
언약 두 당사자들이 그 사이를 통과함으로써(창15:17)
피와 고통의 죽음 앞에서 자신이 맺은 조약을 죽음을 각오하고서라도 지키겠다는 맹세의식을 가졌다(창15:8-18).2)
신약에서의 언약(디아데케)은 어원적으로‘자신을 위하여 무엇을 처리(disposition)하는 것’을 뜻한다.
죽은 다음에 효력을 발휘하는 유언. 즉, 목숨을 걸고 지켜야 하는 법적 약속을 의미한다
(갈3:15-17;히8:6,2:10,3:4,13:20,21).    따라서 성경에서 말하는 언약은 피로 맺은 약정이다.


2. 언약의 방법(方法)1) 쌍무언약(雙務言約, bilateral covenant)
양 당사자간의 의견 합일로 맺는 언약 - 선악과 언약, 할례언약, 시내산 언약
2) 편무언약(片務言約, unilateral covenant)
    일방 당사자의 호의로 성립되는 언약 - 선악과 언약, 할례언약, 시내산 언약 이외의 언약


3. 언약의 원형(原形)


1) 행위언약(行爲言約,  conduct covenant)
하나님께서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맺은 언약 즉 선악과를 금지한 것에 관련된 언약을 16세기 말에 이르러 행위언약 또는 생명의 언약,  창조 언약 등으로 부르게 되었다(갈3:12;창2:16,17).
“저희는 아담처럼 언약을 어기고 거기서 내게 패역을 행하였느니라”(호6;7)는 사실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행위언약이 맺어졌고, 아담이 이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인류의 죽음이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체결자 : 하나님과 아담, 하와* 보증인 : 하나님* 조건 :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 특징 :
①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할 때에는 축복과 영생이, 불순종할 때에는 죽음이 주어졌다(호6:7).        
② 첫 사람 아담은 이 언약에 실패하고, 둘째 아담인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고전15:45,48,49;행4:12).         
③ 오늘의 문제는 '먹지말라'(창2:17)에 있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으라'(요3:16)에 있다.         


2) 구속언약(救贖言約, salvation covenant)
인간이 범죄 하는 그 순간부터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영적 교류는 사실상 단절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언약을 맺음에
있어서 종전처럼 인간과의 직접적인 언약을 맺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은혜 언약을 맺기에 앞서서 구속의 언약을 맺을 필요가 생긴 것이다.
구속 언약은 은혜 언약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하나로 볼 수 있다.
다만 은혜 언약은 구속 언약의 토대 위에 세워진 언약이다.  * 체결자 : 성부, 성자, 성령(고전15:22). 
* 보증인 : 성자(히7:27). * 조건 : 성자의 십자가의 대속이다(갈4:4;요5;39). 
* 특징 :
① 언약의 당사자인 성부께서 언약의 또 다른 당사자인 성자를 세상에 보내시고(요3:16),          
② 성자로 하여금 언약의 조건에 따라 세속적인 고난과 죽음을 당하게 하셨고(롬3:26),          
③ 언약의 약속에 따라 부활케 하시고 승천(昇天)케 하여 성부 우편에 앉히시고(벧전3:22),          
④ 보혜사(保惠師) 성령을 보내어 교회를 교훈하시고, 지도하시고, 보호하시다가(요14:26)          
 ⑤ 성자의 재림과 심판을 통하여 성자와 택한 자를 영화롭게 함으로써(엡5:6,12) 구속 언약을 성취하신다.


3) 은혜언약(恩惠言約, blessing covenant)
구원에 관하여 인간의 희생을 요구하지 않는 언약이며, 구원의 계획과 성취와 적용에 있어서 삼위 하나님이 모두 동원된 언약이다.(엡1:3-5;요19:30,16:7,8) 또한 시간이 흘러도 효력이 사라지지 않는 영원한 언약이며(창17:9;삼하23:5),
세상사람 모두가 아니라 택함을 받은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언약이다.
그리고 신앙과 순종을 조건으로 하지만, 인간의 공로가 필수적이 아니라는 점에서 무조건적이며(엡2:8), 계약 당사자
가운데서 하나님의 일방적인 호의(好意)로 성립된 편무(片務)계약이다(히6:17).  
* 체결자 : 하나님과 인간 * 보증인 : 성자가 중보자이다. * 조건 : 믿음과 순종이다(엡2:8,9) 
* 특징 :
① 하나님의 일방적인 베풂이다(히6;17)         
② 인간에게 믿음만 요구한다.         
③ 오직 택자에게만 유효하다.


4. 언약의 종류(種類)


① 선악과 언약(창2;16,17) -
유일한 행위언약. 쌍무언약 * 체결자 : 하나님과 아담, 하와
* 내용 :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이를 어기면 반드시 죽게 될 것이다.
* 의미 : 하나님의 법의 첫 표현으롯서 인간이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할 때에는 축복과 영생이,불순종할 때에는
   죽음이  주어짐을 의미한다(호6:7).
* 특징 : 첫 사람 아담은 이 언약에 실패하고, 둘째 아담인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고전15:45,48,49;행4:12).         오늘의 문제는 "먹지말라"(창2:17)에 있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으라(요3:16)는 것에 있다.        
행위 언약의 요구가 그리스도 안에서 충족한 것이다(행4:12,16:31)


② 여자 후손 언약(창3:15) -
원시복음, 시작의 언약* 체결자 : 하나님과 아담, 하와
* 내용 : 한 완전한 자가 여자의 후손으로 나타나 뱀의 머리를 깨뜨리고 뱀은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다
* 의미 : 그리스도께서 여자의 후손으로 태어나 십자가에서 죽으시나 부활하사 뱀으로 상징된 사단을 멸하실 것이다(
마1:16-21;갈4:4;계12:9).* 특징 : 타락한 인간에게 주신 첫 언약이다.
③ 무지개 언약(창9:8-17) -
은총언약, 보전의 계약* 체결자 : 하나님과 노아
* 내용 : 다시는 땅 위의 생물들을 홍수로 멸하지 않겠다.
* 의미 : 인간의 연약함을 아시는 하나님께서 다시는 홍수(물)로 인간과 생물들을 심판치 않겠다고 하셨다.
* 특징 : 하나님의 영광을 상징하는 무지개로 언약의 증거를 삼으셨다.
④ 횃불 언약(창15:9-21) -
분깃 언약, 약속의 계약
* 체결자 : 하나님과 아브라함
* 내용 : 가나안 땅을 기업으로 주겠다
.* 의미 : 하나님께서 믿음으로 의롭게 된 성도들에게 하늘의 썩지 않을 기업,
   즉 그리스도 안의 축복을 주실 것을 암시하셨다(갈3:9;엡1:3;벧전1:4)
* 특징 : 하나님께서 횃불 모양의 가시적 형태로 나타나 언약하셨다.
⑤ 할례 언약(창17:10-14) -
‘세례’의 예표. 쌍무언약* 체결자 : 하나님과 아브라함
* 내용 : 태어난 지 팔 일되는 남자아이는 양피를 베면 하나님의 백성이 되게 하겠다.
 * 의미 : 하나님의 언약을 영원히 기억하게 하는 표이다.
* 특징 : 내적 믿음에 대한 외적 증거의 요구이다(롬4:11).
   할례를 받았을지라도 언약에 대한 믿음과 믿음의 삶이 없다면 그는 구원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다
   (행2:38,3:19;롬8:2;엡1:13). 
⑥ 시내산 언약(출19-24장) -
율법의 계약. 쌍무언약* 체결자 : 하나님과 모세, 이스라엘 백성
* 내용 : 율법을 지키면 복을 주겠다(출20장 이하).
* 의미 : 하나님과 그 백성 이스라엘의 상호관계가 사랑과 공의 가운데 맺어짐을 나타낸다.
* 특징 : 이스라엘 백성은 이 언약을 지키지 못하였다(출32:1-20).
⑦ 소금 언약(민18:19) - 불변의 언약
* 체결자 : 하나님과 아론* 내용 : 하나님께 드려진 거제로서 성물을 제사장들에게 섬김의 대가로 응식으로 주셨다.
* 의미 : 부활 승천하신 그리스도께서 왕같은 제사장으로서의 성도(벧전2:9)에게 생명의 양식(요6:32-51)이 되심을
  암시한다.
* 특징 : 소금은 부패, 변질을 방지함 따라서 이 언약은 변치 않는 영원한 언약임을 암시한다(왕하2:19-22).
⑧ 제사장 언약(민25:10-31) - 평화언약
* 체결자 : 하나님과 비느하스* 내용 : 비느하스와 그의 후손에게 영원히 제사장 직분을 수행케 하겠다.
* 의미 : 하나님을 열심으로 섬기는 자에게 더 큰 상급을 주겠다
.* 특징 : 신앙의 열심을 촉구하는 언약이다.
⑨ 다윗 언약(삼하7:5-16) - 왕국의 언약
* 체결자 : 하나님과 다윗
* 내용 : 다윗 왕의 위(位)를 영원히 그의 후손에게 잇게 하겠다.
* 의미 : 그리스도께서 다윗의 육신적인 후손으로서 영원히 왕 노릇 하실 것임을 암시한다(눅1:32,33;계19:16).
* 특징 : 메시야(그리스도)의 통치 암시한다.
⑩ 새 언약(렘31:31-34) - 신약, 완성의 계약
* 체결자 : 하나님과 이스라엘* 내용 : 이스라엘의 죄악을 사하고 다시는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겠다.
* 의미 : 성도의 허물을 씻기시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으로서 장차 그리스도가 와서 맺을 보혈 언약을 예표한다
  (마26:28).
* 특징 : 새언약, 곧 신약(新約)이란 말이 성경 최초로 나타났다.
⑪ 보혈 언약(마26:26-29)
* 체결자 : 하나님과 성도
* 내용 : 그리스도의 피로 성도들의 죄는 모두 씻음 받는다(히8:10-13).
* 의미 : 성도들이 그리스도의피로 죄 씻음 받고, 그와 함께 죽고 사는 '그리스도의 할례'(골2:11)로 하나님의 백성이
  되며, 성령내주로써 영적으로 하나님을 알게 된다(요16:13).
* 특징 : 그리스도께서 보증과 중보가 되시고(히7:22,8:6), 그리스도의 피로 맺어진다(마26:28).
⑫ 성만찬 언약(고전11:25;막14:24;마26:28;눅22:10;히8:7-13) - 주의 만찬
* 체결자 : 하나님과 성도* 내용 : 떡과 포도주로,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기념 의식을 가리킨다(고전11:25). * 의미 : 예수를 주와 구주로 믿는 믿음을 나타내는 의식으로, 그분의 몸과 피의 상징에 참여하는 것이다.
* 특징 : 성만찬은 옛 언약 시대의 유월절 축제를 대체했다.
⑬ 보혜사 언약(요14:16) * 체결자 : : 하나님과 성도
* 내용 : 보혜사 성령을 보내겠다.* 의미 : 성도에게 보혜사 성령님을 보내시사 심령 가운데 내재케 하시고(요14:16,17),          나아가 그들 위에(on) 임재케 하심으로 성도들이 진리 가운데로 인도 받는다.
* 특징 : 그리스도께서 부활 승천하신 후 성령께서 오순절에 임하셨다(행2:1-4,33).
⑭ 재림 언약(요14:2,3;행1:11) * 체결자 : : 하나님과 성도
* 내용 : 승천하셨던 그리스도 예수께서 다시 오신다.
* 의미 :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정하신 때에 재림하시어 사단을 멸하시고 성도들을 온전히 구원하시고 다스리신다는 의미한다(마25:41;계19:11-16).* 특징 : 그리스도 재림 때 성도들은 선행, 충성에 따라 상을 받는다(고후5:10).




♥ 나가며

성경의 모든 언약은 사실 인간이 행함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언약을 하신 당사자인 여호와 하나님이 스스로 이루어 내실 언약이었습니다.
언약을 통하여 당신만을 의지하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의도는
결국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완전하게 그리고 영원히 성취되었습니다.
하나님에 의해서 택정되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속함을 받고
성령으로부터 믿음을 얻은 자는
모두 영원토록 구원을 받습니다.        

'율법과 복음과 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법은 무엇인가?  (0) 2023.09.15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0) 2023.09.14
은혜계약(恩惠契約)  (0) 2023.09.02
하나님의 법, 율법. 십계명.  (0) 2023.08.27
언약에 대한 이해  (0)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