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연구 방법 해석! 분해!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사상의 비교 고찰

하나님아들 2023. 7. 13. 11:04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사상의 비교 고찰              

 

서론

 

흔히 우리가 말하는 문예사조란, 문학 예술에 있어 사상적인 주조(主潮)로서 사상의 뚜렷한 흐름이나 주된 경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조는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문예상의 흐름이며 변천이다. 여러 사조 중에서 그리스-로마 사상(Hellenism-헬레니즘)과 크리스트교 사상(Hebr aism-헤브라이즘)은 서구 문화의 두 정신축이라 할 수 있다.

헬레니즘(Hellenism) 사상은 이성에 호소하는 것으로서, 합리적이어서 철학과 과학을 발달시켰고, 헤브라이즘(Hebraism) 사상은 유태교에서 출발한 종교적 세계관으로서, 감성에 호소하여 신앙심과 예술의 원천이 되었다. 이러한 두 사상은 서로 대립하기도 하고 화합하기도 하면서, 서양 문화와 사회를 지탱하고 발전시키는 데 원동력이 되었다.

이들 두 사상은 위에서 성격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서로 상반된 흐름을 가지고 있는데, 문예부흥의 정신과 상통하는 동시에 리얼리즘의 바탕이 되고 종교개혁의 정신과 상통하는 동시에 로맨티시즘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 같은 두 개의 이질적인 사조가 서로 충돌하고 투쟁하는 곳에 인생의 고민과 비극이 생기고, 여기에서 보다 역사적인 발전이 주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제부터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사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본론

 

1. 헬레니즘(Hellenism) 사상

 

1) 정의

헬레니즘은 '말하다', '그리스인처럼 행동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hellenIz ein」에서 유래했다. 그리스 고유의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하여 이루어진 세계주의적인 예술·사상·정신 등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로 헤브라이즘과 함께 유럽 문화의 근간을 이룬다. 그리스 정신, 고대 그리스의 이상(理想), 그리스 문화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며, 그리스인은 자기 나라를 “헬라스”라 부르기도 하였다.

헬레니즘은 19세기 초 역사가 J. G. 드로이젠(1808~1884)에 의해 정의되었다.(『헬레니즘사(史)』) 세계사 속에서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에서 연원된 독자성을 지닌 역사적 개념이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그리스 정신에서 '그리스화한' 문화까지 포함한다. 역사적으로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죽음에서 로마 제국에 의한 이집트 합병(BC 323~30)까지의 대략 3세기에 걸친 기간이며, 지역적으로는 주로 고대 그리스 본토와 알렉산드로스 3세의 뒤를 이은 여러 왕들에 의해 점령되고 지배되어 새로이 헬레니즘화한 땅에까지 이른다.

헬레니즘 문화는 한때 에게 해 주변의 전 지중해 세계를 지배하고, 카르타고 등의 다른 나라에까지 확산되었으며 그 영향력이 서쪽은 영국, 동쪽은 인도의 펀자브 지방까지 뻗어갔다.

 

2) 특징과 성격

세계주의, 자유주의, 개인주의적인 정신을 표방하면서 인간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것을 계발, 발전시키려는 삶의 방식 또는 이상이다. 헬레니즘은 인간중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육체적, 본능적인 면의 추구로 볼 수 있다. 또 객관적으로 우주의 원리와 인간 행위에 대한 탐구에 몰두 했고, 세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밝히며, 그것을 체계화 했다. 헬레니즘은 사회적으로 유익한 행동을 규범으로 삼고 그것을 함양하고 전수했다. 국가관에 있어서는 시민의 참여와 그들의 의견을 중요시 여겼다. 따라서 기술이 뛰어나고 능력 있는 사람이 사회의 지도자가 되었다.

헬레니즘 문화는 될 수 있는 한 민족의 특성이나 특수한 생활 태도를 무시하고, 그 대신 아름다운 교양을 지닌 민족적 차별이 없는 인류를 이상으로 하였다. 문헌에서도 보면, 사물을 정교하게 분석하며 조리있는 기술, 가공적일지라도 다양한 상상의 세계, 일상사나 남녀간의 아름다운 사랑의 이야기 등이 담긴 문학 작품을 만날 수 있다.

 

3) 철학적 사상

알렉산더 대왕은 이민족 통치의 수단으로서 그리스문화와 오리엔트 문화의 결합을 시도하였고, 이로써 그리스인이 이민족을 야만시한 관념이 희박해지고 세계시민주의가 역설되었지만, 폴리스의 강력한 지배가 사라져가고 있었기 때문에 개인의 안심입명(安心立命)을 꾀하는 개인주의적 철학 사상들이 많이 출현하였다. 그중에서도 헬레니즘을 대변할 수 있는 사상은 에피쿠로스(Epicuros) 학파와 스토아(Stoa) 학파이다. 이 두 사상 체계의 공통점은 영적인 것을 부정하는 물질주의 적이라는 점과 철저하게 개인적이고 보편주의적은 경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에피쿠로스 학파는 사후(死後)의 존재를 부정하며, 인간의 행복은 현세에서 지적 만족, 검소한 생활, 우정 등을 통해 얻어지는 마음의 형정이 최고의 쾌락이며 행복이라고 했고(행복이 쾌락에 있다), 반면에 스토아 학파는 인간의 행복은 이성에 의하여 감정과 욕망을 억제함으로써 완전한 덕을 이루게 된 마음의 상태라고 했다.(행복이 금욕에 있다). 또한 자신을 전 우주적인 질서와 목표에 일치시킴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였고, 후에 헬레니즘 사상뿐만 아니라 후에 고대 로마를 거쳐 평등주의, 인도주의 등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구분 스토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공통점 개인주의(안심입명, 내면의 행복), 세계 시민 윤리
이상적 삶 Apatheia Ataraxia
영향 만민법, 자연법, 범신론 경험론, 공리주의
특징 금욕주의 정신적

 

2. 헤브라이즘 사상

 

1) 정의 :

헤브라이즘은 헤브라이 정신, 헤브라이인적인 습관, 문화 사상을 지칭한 것이다.「헤브라이」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말로「방황하는 자」란 뜻으로 游牧民을 일컫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유대민족이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던 시대의 종교사상, 유일한 전능 신과 중개자인 모세, 그리스도교의 모태(母胎)인 구약성서를 바탕으로 하며, 헤브라이즘 정신은 신 중심적, 윤리적 인생관, 세계관을 그 특징으로 하여 헬레니즘과 서로 대립하는 유럽문화의 2대 원류이다. 넓은 뜻의 헤브라이즘은 품행, 복종(服從), 윤리(倫理)의 이상(理想)을 지상목표로 하는 인생태도로서, 인간이 아닌 신(神), 즉 여호와 의지에 절대 복종하는 것을 생의 근본이념으로 삼았다.

 

2) 특징과 성격

히브리인들의 유일신에 대한 그들의 신앙과 그 실천으로서의 십계명을 중심으로 하며, 그리스도교의 근간이 되는 구약성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는 자유로운 인간중심의 삶과 인생관인 헬레니즘적인 사고방식과는 달리 하나님을 경배하고, 예배하고, 그에게 영광을 돌리며, 원죄사상, 현세와 내세에 대한 소망과 영적인, 금욕적인 사고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신과 인간에 대한 사랑과 영적인 만족을 추구하며, 다신적인 무신론적인 신앙을 배격하며 세속적인 인간중심의 현실 집착의 사고를 경원시 한다. 그래서 인간이 하느님의 형상대로 순수하고 정결한 모습을 유지하게 되기를 원했으며,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계시를 받은 자를 존경하며, 종교적인, 사회적인 지도자로 섬겼다. 그리고 주관적이며, 이상적인 평화의 세계를 갈망하였고, 예술적인 것에 치중하지 않았다. 문헌에도 살펴보면, 꾸밈없는 진실이나 신비스러운 세계, 때로는 역경과 고난의 한숨, 소박함 등을 찾아볼 수 있다.

 

3) 철학 사상

교부 철학 스콜라 철학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은 신학의 시녀’ 이성과 신앙의 조화

 

3.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사상의 비교

헬레니즘(Hellenism) 헤브라이즘(Hebraism)
그리스
인간중심주의
지상낙원주의(현세지향, 현실적)
자유와 화해추구
그리스의 인본주의 정신
이교도적(다신교)
디오니소스적(뜨거운 감성)
불의 이미지(상승작용)
원심력 지향(발산) -> 세계로 향함.
감성과 지성을 매개
현실지향의식(객관성)
발달 : 철학, 과학
합리주의
유태
신중심주의
천상낙원주의(내세지향, 이상적)
엄격과 경건 추구
이스라엘의 신본주의 정신
청교도적(유일신)
아폴론적(차가운 이성)
물의 이미지(하강작용)
구심력 지향(침잠)
이성과 덕성을 매개
이상지향의식(주관성)
발달 : 신앙, 예술
신비주의

 

결론

 

이제까지 서양에서 큰 정신 축이라 할 수 있는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사상을 비교를 해 봄으로써 두 사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사상을 간단히 비교해 정리해 보자면,

그리스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헬레니즘을 인간중심적ㆍ육체적 본능이라고 한다면, 기독교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헤브라이즘은 신 중심적ㆍ영혼적ㆍ금욕적으로 지적할 수 있다. 전자가 현실세계에 바탕을 두고 객관적 사고에 의해서 과학의 세계에 진력하는데 비해, 후자는 이상 세계에 바탕을 두고 주관적 사고에 의해서 신앙의 세계에 진력하는 상반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헬레니즘은 그리스의 인본주의에서 출발하여 로마의 향락주의, 근대의 르네상스와 인본주의, 계몽주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로 그 맥을 이어갔고, 헤브라이즘은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정신과 또 그리스도교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로마의 기독교와 중세, 종교개혁 등으로 그 맥을 이어갔다. M.아놀드(Arnold Matthew, 1822~1888)는 “헬레니즘의 최고 이념은 사물을 존재하는 그대로 보는 일이며, 헤브라이즘의 최고이념은 행동과 복종이다. 이 차이는 도저히 말살될 수 없다”라고 하여 이 말에서도 충분히 두 사상의 특징을 엿볼 수가 있다.

 

이번에 조사를 하면서 두 사상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고, 이 두 사상이 현재 인류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알게 되었다. 그리스인들과 유대인들이 그들의 사상을 널리 세계에 알렸던 것처럼 현재 우리나라도 한류라고 불려지고 있는데, 그러한 연예분야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분야도 널리 알려서 많은 영향을 끼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참고 문헌 ★

엄창섭, 문예사조론, 홍익출판사, 2001

고익환외, 서양문화의 뿌리와 흐름, 도서출판 대명, 2001

코플스톤,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 현실사, 1998

김병걸, 문예사조 그리고 세계의 작가들, 두레, 1999

김용직, 문예사조, 문학과 지성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