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구약성서는 무엇에 근거했는가?
구약성서 제문서, 신약성서 제 문서 및 외경 제 문서(구약성서 외경,위경)의 저작 연대는 별표와 같으며 신약, 구약을 불문하고 성서 각 문서의 원본은 존재하지 않는다.구약성서 원본(Text)은 <헤브라이어 원전>이라고 부르지만 엄밀하게는 정확하지 않다. 왜냐하면,90에서 말한 것처럼, 창세기,에즈라기,예레미야서,다니엘서의 일부분이 아람어로 기록되었고, 또 원본은 번역에 견준 말이기 때문이다. 옛부터 본래 기록한 그대로의 원본이 어떤 것이었는지, 또는 전해진 그대로의 원본이 어떤 것이었는정하는 작업이 계속되어 왔다.특히 유효한 근거는 남아있는 많은 사본들이다. 유대인은 없애버렸기 때문에 현존하는 구약성서의 사본은 대단히 적다. 1947년에 <사해사본>이 발견되기까지는 구약성서의 일부 저명한 기록은 파피루스 사본이었다. 이것은 기원전 2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헤브라이어로 기록되어 있으나 단편이 현존할 뿐이다. 19세기에 발견된 다른 헤브라이어의 사본은 훨씬 후대의 것이다. 유대교의 전통에 의하면, 회당에서 사용되는 율법의 사본은 헤브라이어로 된 것이라갸 한다. 또한 그것은 정통파 유대인에 의하여 깨끗하다고 생각되는 동물의 가죽(레위기 11장 3절)에 손으로 쓴 것이라야 한다. 그리고 회당용 두루마리의 경우는 모음 기호를 달지 않고, 말과 말, 구절과 구절 사이를 떼지 않고, 계속해 쓰도록 돼 있다. 헤브라이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 그리고 헤브라이어 알파벳에는 모든 기호가 없고, 한 단어의 표기는 기본적으로는 3자음을 묶어서 한다. 그러므로 기록한 단어는 어떻게 발음하느냐에 따라서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헤브라이어는 오랜 역사를 가진 언어이면서 동시에 일상어로서는 죽은 말이 돼 있었떤 오랜 시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다른 독법이 생겼다. 그래서 전승에 근거해서 바른 독법을 정하여 헤브라이어의 각 자음 기호의 위나 아래에 점이나 선 등의 기호를 달아서 모음을 나타내는 방법이 고안되어 오늘과 같은 본문이 확정되었다. 이것이 마조르(masore<전통>라고 불리는 것이며,이것은 2세기경부터 고정되기 시작하여 6-8세기 사이에 확입되었다고 한다.즉, 우리는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완전한 구약성서 사본으로 인정되어 있는 1009년에 된 레닌 그라드 도서관 소장 레닌그라드 사본을 포함해서 중세의 구약성서 제 사본에 보존된 구약성서 원본을 오늘날<마조르 원본>이라고 부르고 있으나,이것은 중세의 구약성서 필사본 전달에 직접 종사한 유대교의 성서학자(발레,마조렛)에 의하여 불려진 것이다. 헤브라이어 성서를 필사하는 일은 상당한 숙련과 정확성이 필요하며, 현재 전해지고 있는 여러 사본은 많은 성서 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에 본 뜻을 알 수 없게 된 말이나 필사하면서 생기는 오필이나 사본의 파손 등 원인으로 본 뜻을 알 수 없게 된 부분이 있다. 구약성서의 배열 헤브라이어 원전(24서) 한글번역(39서) 1.율법(5서) 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1.역사서 (17서) 창세기,출애굽기 레위기,민수기,신명기(이상 모 세5경)여호수아기,판관기,룻기 사무엘상,하.열왕기상.하,역대 기상하.에즈라,느헤미야,에스델 2.예언서(8서)전기예언서 2.성문학(5서) 여호수아,판관기,사무엘기,열왕기 욥기,시편,잠언,전도서,아가. (후기예언서)이사야,예레미야,에제키엘. 3.예언서(17서) 소예언서(호세아서,요엘서,아모스서,오 이사야서,예레미야서,애가 바디아서,요나서,미가서,나훔서,하박국서 에제키엘서,다니엘서,(이상4 스바니아서,하께서,즈가리야서,말라기서). 대예언서),호세아서,요엘서,아 3.제문서(11서) 모스서,오바디야서,요나서,미 (진실)시편,욥기,잠언, 가서,나흠서,하박국서,스바니 (두루마리)아가,룻기,애가,전도서, 야서,하깨서,즈가리야서,말라 에스델서. 라기서(이상 12소예언서) 다니엘서,에즈라서,느헤미야서,역대기 4.구약성서 제 문서 일람표 헤브라이 문서명 사료의 종류,저작연대,저작지 원전구분 (연대는 모두 BC,단독 수자는 세기) 율법 1.창세기 야훼이스트(J)사료...BC 10-9 유다 2.출애굽기 에로히스트(E)사료...BC9-8 이스라엘 3.레위기 신명기적(D)사료...BC 7-5 유다 4.민수기 제사적(P)사료....BC6-5바빌로니아,유다 예 전기 1.여호수아기 사료는<율법>과 대개 같으나 보수가 많다. 예언 최초의 편집은 BC 6세기 중기 자 2.판관기 J.E.D를 포함하나 P는 없다. BC 10이전의 사료도 일부있다. 주요 부분은 BC 7.6에 개정 언 3.사무엘상.하 전기사료...BC 10,후기사료...BC 7말-6. BC4-3에 보수. 4.열왕기상.하 이스라엘왕 및 유다왕의 연대기 등을 사료로 하고 BC 600년 전후에 편집. 자 대 1.이사야 제1이사야(1-39장)...BC 8 후반...유다.제2이사야 예 (40-55장).제3이사야(56-66장)...BC 6-4... 언 바빌로니아.유다 자 2.예레미야 BC후반-6후반...유다.가필..BC 5-3 3.에제키엘 BC 6-5,가필....BC 3 소 1.호세아 BC8후반....이스라엘 예 2.요엘 BC 4 언 3.아모스 BC 8중기....이스라엘 자 4.오바디아 BC 5-4 ^ 5.요나 BC 4-3 12 6.미가 BC 8후반...유다,가필....BC 6 예 7.나훔 BC 7말기...유다.BC300년경 편집 언 8.하박국 BC 7말기...유다,일부는 BC 6-5 자 9.스바니아 BC 7말기...유다,후대의 가필 포함 10.하깨 BC 6후반 11.즈가리야 1-8장...BC6후반,9-14장...BC 3 12.말라기 BC 5 1.시편 주로 BC 4이후,그보다 오랜것이 있으나 BC 7이전 의 것은 적다,마지막 편찬은 BC 100년경 2.욥기 BC 7말-6(더 소급하는 설도 있다).일부는 BC 4, 완성은 BC 200년경 3.잠언 주로 BC4-3,오래된 것도 BC 600년 이전 것은 없다. 다 4(1)룻기 BC 400년경(왕국시대 말라기라는 설도 있다) 섯 5(2)아가서 BC3(최근 솔로몬 시대라는 설도 있다) 두 6(3)전도서 BC3중기-2중기 루 7(4)애가 BC6,일부는 BC 4-3 마 8(5)에스델기 BC3-2 리 9 다니엘서 BC2 10 에즈라 BC 5-3의 사료로<역대기>저자가 편집 느헤미야 BC 5-3의 사료로<역대기> 저자가 편집 11역대기상.하 BC 4-3 비고 1.<율법>중의 시가의 편수는 BC 12이전및 BC 12-11로 소급된다고 한다. 2.J및 E사료 등으로 사용된 원사료에는 BC 12-11로 소급되는 것도 있다. 3.BC 7에는 J와 E가 혼합된 설화가 이루어졌다. 4.BC 중기에 <율법>과 <전기 예언자>가 신명기 저자에 의하여 개정되었다. 5.<율법>이 최종적으로 결집된 것은 BC 400년경으로 본다. 6.<전기예언자>는 BC3에 가필되었다. 7.<예언자>전체는 BC 200년경에 완성되었다. 8.고대 유대교에서는 제 서를 24종으로 나누었다. 이것은 <소예언자> 를 일괄해서 1종으로 보고,<에즈라>와 <느헤미야>를 1종으로 보았 기 때문이다. 구약성서 외경 일람표 구분 서명(각종파가 다르다) 각문서의 용어 성립연대와 지방 1 에즈라제1서(울가타에서 H(G설도 있다) BC2,팔레스타인 는 제3서) 2 에즈라제2서(울가타에서 H(또는 A) AD 1말기.팔레스타인 는 제4,5서) 3 토비트(토비아)서 A? BC 2전후,팔레스타인 (바빌론설,이집트설) 4 유딧서 H.또는 A BC 2전후,팔레스타인 5 에스델의 추가기사 G(일부는 H 또는 BC 2말-1전반 팔레스타인 A에서 번역?) 6 솔로몬의지혜(지혜서) G BC 2후반-AD1전반,알렉 산드리아 7 예수.벤.실라의 지혜 H BC 2전반,팔레스타인 (집회서) 8 바룩서 H,일부는 G BC 1-AD 1,팔레스타인 9 예레미야의 편지 H설,A설,G설 포로시대 이후,불명 10 다니엘의 추가기사 H 또는 A 불명(BC2전반?). 아자리아의 기도 불명 세아이의 노래 11 다니엘의 추가기사 H(G설도 있다) 불명(BC 1전반?) (스산나) 불명 12 다니엘의 추가기사 H(?) 불명(팔레스타인?) (벨롸 용) 13 므낫세의 기도 H설과 G설 BC 2-AD 2.불명 14 마카베오 제1서 H BC 1전반,팔레스타인 15 마카베오 제2서 G(H설,A설) BC1경,알렉산드리아(?) 1 마카베오 제3서 G BC 1경,알렉산드리아 2 마카베오 제4서 (BC 2후반)-AD 1 (알렉산드리아,안티옥설) 3 아리스타아스의 편지 G BC100년경,알렉산드리아 4.요벨서 H또는 A BC100년경,팔레스타인 5 이사야의 순교와 승천 이사야의 순교...H(또는 A)....BC 1초기 이사야의 순교 ... G.........AD100년경 불명 이사야의 승천 6 솔로몬의 시편 H 또는 A BC 1팔레스타인 7 시비르(시비라)의 신탁집 BC2-AD3,최종 편집은 AD6,여러지방 8 에녹 제1서(이디오피아 H 또는 A BC2-1,팔레스타인 어역이 현존) 9 에녹 제2서(슬라브 G,일부는 H BC1전반,팔레스타인 어역이 현존) 또는 이집트 10 모세의 승천 H(또는 A) BC1,팔레스타인 11 바룩바룩(시리아 H(또는 A) AD 1말-2초기, 어역이 현존) 팔레스타인 12 바룩바룩(그리스 H(또는 A) AD2,팔레스타인 어역이 현존) 13 12족장의 유언 H(또는 A) BC2-1,팔레스타인, (후에 그리스도교에 의한 개정도 있다) 비고 H.....헤브라이어, G.....그리스어, A....아람어 |
'성경 상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 기록된 기적의 현황 (0) | 2022.09.15 |
---|---|
성경에서 사용한 상징적 수(숫자)와 666 (0) | 2022.09.14 |
성경속에 숨겨진 숫자에 대한 수비학 해석 (0) | 2022.09.13 |
성경이란 말의 기원과 의미 (0) | 2022.09.12 |
구약 성경의 언어별 제목 (0)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