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족장 시대의 예배
최초 예배- 가인과 아벨
두번째 예배-노아
세번째 예배-아브라함
2)모세의예배
-시내산에서 계명- 한분 하나님을 믿고 계명과 언약을 따르는 백성들로서 지켜야 할 법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자손들에게도 가르치고 교육하였다.
-광야에서 성막과 제사-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시는 장소로 성막을 설치하게 하였고, 하나님으 그 장소를 통해 이스라엘과 만남, 속죄, 화목하였다.
3)왕국시대
-전성기를 누렸다. - 요소: 속죄, 하나님께 영광, 감사. 소원 -유월절, 초막절, 오순절
4)회당예배
북 이스라엘이(721) 앗수르에 의해서 멸망하고, 남 유다가(586) 바벨론에 의해서 멸방당한 후 예배 형식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성전예배(피, 제물) 회당(토라, 기도)
✙ 신약시대의 예배
2)예수님의 예배관
예수님은 신앙과 종교의 전통을 따랐다.
회당예배; 율법과, 토라를 읽고 전파하시고
성전예배: 유월절에 예루살렘을 찾아가심
예수님은 유대 종교의 관습에 논쟁하지 않으셨다.
3)예수님의 예배 이해 시도
-예수님은 구제, 새벽기도, 식사공동체
-예배 형태는 1-2명이 모인곳에, 내 이름으로 모인곳에, 함께 하심
-예배요소 -주기도문, 세례, 성만찬
초대 교회의 사도들의 의한 예배는...
1. 예수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사명
2.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 사건
3. 오순절 성령강림임.
예배의 기본적인 요소로서 성경을 낭독하고. 복음을 선포하며, 성만찬을 하였다.
(신. 구약 증거) (케리그마) (그리스도의 현재적
임재)
세례- 죄 씻음
기도- 감사, 찬양. 중보기도
신앙고백-그리스도의 대한 신앙고백
찬송- 시, 찬미, 신령한 노래
헌금- 준비된 헌금을 드리도록
예배장소: 가정-성전-회당-건축
예비시간:부활절 아침에 일찍 몽 부활 사건을 기억함
평신도 신학의 신학적 기초
1. 평신도 신학의 기초
1)만인제사장-모든 사람은 하나님 앞에 제사장이 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즉 하나님이 성도에게 직접 교통하시면서, 하나님만이 중재자이시며, 그러므로 모든 성도들인 하나님 앞에 직접 나아간다.
2)성령의 은사론- 하나님께서 성도들에게 각자의 은사를 나누어 주심으로 사역을 감당케 하신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하여 성령을 통해 역사하신다.
만인 제사장
만인 제사장은 종교개혁이후에 ‘이신득구’와 함께 기독교에 중요한 교리로서 ‘모든 신자들은 제사장’이라는 강조하는 성경적인 교훈이다.(벧전 2:5,9 계1:6). 성도들읜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
✙ 실제적적으로 주요한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께 직접 나아간다
둘째:하나님만이 중재자가 되신다
셋째: 영적 제사를 드리는 것이다.
넷째: 복음을 선포하고하는 것이다.
다섯째: 자신의 복락이 아니라 이웃을 위해 기도하고 축복하는 일꾼이다.
✙평신도를 위한 교역자의 역할
교회의 사역을 살아계신 그리스도의 사역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한다.
목회자의 사역
목회자는 내적인 소명과 외적인 위탁을 받은 사람이다. ‘구비자’로 부르면서 토기장이, 부모, 설계자, 의사, 어부에 의미가 있다. 그리스도의 사역을 하기 위해 교훈하고 돌보며 준비시키는 사역이다.
평신도 사역
최근에는 핑신도 사역의 중요성을 강조되면서 교회 성장과 세계복음화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역할이 분명해 지고 있다.
한스킹은 :목회자가 교회에 파송된 성직자라면 평신도는 세상을 행해 파송된 성직자이다. 라고 했다.
14. 교회 성장학의 학문적 전제와 교회 성장의 원리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1)교회 성장학의 학문적 문제
성경적 문제-교회 성장학에서는 성경을 정확무오한 말씀으로 믿는다.
신학적 문제- 1.보수신학-복음신학 전통신학으로 받아드림
2.결과 관심
3.수용성 있는 사람에게 복음전함
4.구원-개인결단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5.제자-야육은 구분되어야 한다.
6.전도를 최우선으로 한다.
인류학적 문제-1)기독교와 문화가 서로 모순이 없다.
2)교회가 발전하는 것은 신학적 이유보다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크다.
3)인간변화는 복음수용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4)동질성에 단위로 보며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5)사회과학적이어야 한다.
실용주의적 문제-교회 성장에 있어서 그 방법론은 실용주의적이다.
2)교회 성장의 원리
1. 동질성의 원리-내부 동질성 단위, 복음이 가장 잘 전달됨
2. 대중운동의 원리-개인결단으로만이 아니라 동질 집단 연쇄반응이다.
3. 수용성의 원리-동일집단 잘 받아드림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잘 받아드리지 않는다.
4. 피라밋 원리- 교인의 수가 증가하면 밑맏침이 되는 조직과 사역을 넓혀간다.
5. 지도력 원리 - 목회자의 지도력이다. 어떤 비전을 가지고 있는가가 핵심적인 요소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교회란! 예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약시대의 음악 (0) | 2019.01.11 |
---|---|
[스크랩] 예배학의 실제 (0) | 2019.01.09 |
[스크랩] 성경의 절기들 (0) | 2018.12.12 |
[스크랩] 구약제사의 종류 (0) | 2018.12.12 |
[스크랩] 찬송의 의미와 찬송의 실질 ...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