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해석! 배경! 성경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나안의 자연지리 (0) | 2018.10.29 |
---|---|
[스크랩] 가나안의 생활 지리 (0) | 2018.10.29 |
[스크랩] 성경해석의 대원리--이승미교수(고신대 (0) | 2018.09.09 |
[스크랩] 성경해석의 4가지 유형 (0) | 2018.09.02 |
[스크랩] 성경이해 자료 (0) | 2018.08.30 |
[스크랩] 가나안의 자연지리 (0) | 2018.10.29 |
---|---|
[스크랩] 가나안의 생활 지리 (0) | 2018.10.29 |
[스크랩] 성경해석의 대원리--이승미교수(고신대 (0) | 2018.09.09 |
[스크랩] 성경해석의 4가지 유형 (0) | 2018.09.02 |
[스크랩] 성경이해 자료 (0) | 2018.08.30 |
2005. 11. 4. 11:25
강의주제 : 성경을 어떻게 실용적으로 해석할 것인가 ?
장소 : 마닐라 새생명교회
시간 : 2002년 2월 22일
도 입
1. 이 강의의 목적 : 해석학에 대한 원리적인 차원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목회현장에 실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방향을 찾는 것이다.
2. 이 강의의 방법 : 본문을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실용적 해석원리를 찾으려고 한다.
3. 해석의 신학적 기초 :
(1) 문법적 해석,
(2) 역사적 해석,
(3) 문학적 해석,
(4) 신학적 해석
예 신학과 문학의 상관관계 : 여호수아의 주제(언약)와 도구(신실함과 거짓됨)
본 론
A. 일반적 원리
1. 먼저 히브리인들의 사고구조와 표현방식을 알아야 한다.
Mirror mentality (거울인격체)
2. 신약과 구약의 상관관계를 잘 알아야 한다.
신약은 헬라적 상황 속에서 적용된 구약에서 오랫동안 삶으로 체험된 내용들을 적용한 것이다.
3. 성경신학의 핵심적 사항을 알아야 한다 : 언약신학적 접근의 유용성
3.1. 경륜 ------ 하나님의 나라 ----- 언약 ----- 언약법 ----- 성경
제 1경륜 소극적/수동적 창 1-11
제 2경륜 능동적/적극적 족장/시내산/모압 창 12-말
제 3경륜 폭발적/혁명적 새언약/평화의 언약 신약
제 4경륜 우주적
3.2. 제 4계명을 예로 들어서 볼 수 있다.
제 2경륜 : 공간의 제한된 거룩성 / 시간의 제한된 거룩성
제 3경륜 : 공간의 포괄적 거룩성 / 시간의 포괄적 거룩성 (요 4:22-24)
3.3. 하나님의 언약의 대상으로서의 공동체의 우선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
4. 구약에서 출발하지만 구약을 신약적 차원에서 재해석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예 : 시편 98편의 신약적 의미 :
5. 다시 21세기의 현대적 상황가운데로 지혜롭게 나가야 한다.
6. 구체적인 표현법의 고대근동적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라
예 1 :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날 내가 너를 낳았다.
(시 2, 막 1:9-11)
고대왕국의 신왕의 신(神)의 아들로 입적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 2 : 숫불을 머리에 쌓아 놓으리라 (롬 12:20)
애굽의 습관으로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회개할 때에 그 집에 숫불을 이고 가서 사죄하는 버릇을 말하는 것이다.
7. 한 문맥 속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 파악하라.
예 1 : 마태 8:1-8 (제목 : 이중복음)
예 2 : 마가복음 1:42-45 (제목 : 믿음의 두 단계)
예 3 : 고전 15:1-11 (제목 : 네 단위의 신앙의 요소)
8. 작은 주석적 단위를 찾아라 (short exegetical unit).
예 1 : 마가복음 14:1-11 (제목 : 어두움 속에서의 빛의 봉사)
예 2 : 사 40:27-41:16 (제목 : 하나님의 네가지 부르심)
10. 이중사건이 중복된 경우도 알아야 한다 :
예 1 : 마가복음 5:21-43의 멧세지 (두 믿음의 비교)
11. 같은 주제로 서로 연관된 사건들이 같이 배열된 것이 있다. 이것을 서로 연관해서 설명하고 강의해야 한다 :
예 1 : 마가복음 2-3:6
이 본문에서 전체적인 주제는 안식일 논쟁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 일련의 사건들이 서로 연관되어서 하나의 주제를 향해서 달려가고 그것이 결국 예수님을 죽음으로 결정하게 된 계기가 된다 (3:6).
예 2 : 네가지 사건이 서로 관련된 경우가 있다 (마가복음 4:35-5:43)
(a) 알려진 자 : 예수님의 제자들 (4:35-41)
(b) 알려지지 않은 자 : 군대귀신들린 자 (5:1-20)
(b') 알려지지 않은 자 : 옷가를 만진 여인
(a') 알려진 자 : 야이로의 딸
예 3 : 수 2-7장의 사건
한 이스라엘 사람(가족)의 심판 / 한 이방여인(가족)의 구원
이스라엘의 구원 / 이방의 심판
예 4 : 창 4장의 족보와 5장의 족보를 통한 철저한 대조법
가인의 후손 / 셋의 후손
12. 한 책 전체의 구조와 멧세지 속에서의 작은 본문의 위치를 찾아야 한다.
예 1 : 창 6, 11장의 의미 : 제 1경륜 속에서의 하나님의 포기
13. 전체 책들 속에서 한 책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B. 장르별 원리
1. Narrative
1.1. 하나의 narrative의 시작과 끝을 다 포괄하여서 하나로 보아야 한다.
예 1 : 창세기의 목적과 그 속에서의 각 족장의 삶의 의미
아브라함 : 하나님 나라의 위대한 시작
이삭 : 인간적인 수동성으로 진행된 역사
야곱 : 인간적인 능동성으로 진행된 역사
요셉 : 고난을 통하여 완성에 이르는 역사
1.2. 한 책의 구조 속에서의 한 본문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다른 장르에서도 그러하지만 특히 narrative본문에서는 이것이 중요하다.
1.3. 소위 구속사적 설교(salvation historical preaching) 논쟁에 대해서
(1) 객관주의적 전통 : 정통주의나 자유주의나
(2) 주관주의적 공격 : 신정통의 흐름의 화란석권
(3) 객관주의의 반작용 : 구속사적 설교논쟁으로 표현됨
(4) 균형있는 평가는 무엇인가 ?
1.4. 역사서술 책들의 상관관계를 살펴야 한다.
예 1 : 여호수아-사사기의 관계
예 2 : 수-삿 // 룻기 // 삼상하,왕상하
1.5. 역사적 상황 속에서의 멧세지 읽는 것이 중요하다
예 1 : 대상하 해석의 원리
왜 여기서 다윗의 밧세바 사건과 솔로몬이 수많은 여자를 취한 사건을 기록하지 않았나 ?
예 2 : 왕상 8장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
2. Poetry
2.1. 한 시편은 큰 단위의 작품의 작은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예 1 : 세 단위가 하나로 완전함을 이루는 전형을 본다 :
시편 1 / 23 / 98 편
시편 42-43편
예 2 : 두 단위가 하나를 이루는 모습을 본다 :
시편 73편 : 악인의 형통 / 의인의 고난 // 악인의 결국 / 의인의 결국
2.2. 그러므로 한 시편의 구조파악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예 1 : 시편 50편
2.3. 하나님이 인칭변화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그 예배적 상황을 재구성해 보아야 한다.
예 1 : 시편 126편
예 2 : 시편 131편
2.4. 히브리인의 평행법 원리의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 (parallelism).
2.5. 연관된 시편들을 같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 1 : 시편 120--121--122
2.6. 시편계시의 신약적 적용에 대해서 포괄적인 기초를 가져야 한다.
예 1 : 시편 2편 --> 시편 133편 --> 막 1:9-11 --> 요한 20:19-23
3. Law
3.1. 언약과 언약법의 상관관계에 대한 성경신학적 결론을 내려야 한다.
예 : 율법과 복음의 문제
3.2. 구약의 법을 신약적 상황에서 재해석해야 한다.
예 1 : 신 15의 해석
예 2 : 소위 성경적 토지법의 현대적 적용에 대해서 (핸리죠지협회)
4. Wisdom Books
4.1. 지혜의 계시적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일종의 특별계시와 일반계시의 중간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4.2. 각 단계의 지혜를 적절히 파악해야 한다.
잠언 : 청년기 지혜
욥기 : 장년기 지혜
전도서 : 노년기 지혜
4.3. 각 단계의 지혜의 한계와 그 극복방안은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Iryat YHWH :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것.
4.4. 구약의 지혜를 신약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
예 1 : 지혜서의 축복인 장수와 재물은 신약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
예 2 : 다산의 축복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시편 127,8편
5. Prophetic books
5.1. 예언서의 신학적 기초를 파악해야 한다.
정죄 -- 언약법어김에 대한 언약적 선고
심판 -- 언약적 저주를 시행함
소망 -- 언약적 (갑자기 나타나는) 소망을 이행함.
5.2. 예언자는 종교의 시작점이 아니라 종교의 개혀가임을 전제로 해야 한다.
갑자기 퍼부어지는 꾸짖음은 언약법을 이스라엘이 이미 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5.3. 각 역사적 상황과 예언자들의 선포의 내용이 서로 상응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호세아 : 722 B.C.
예레미야 : 586 B.C.
에스겔 : 540 B.C.
5.4. 묵시록들 (다니엘서/요한계시록) : 너무 지나치게 여자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
(1) 계시록이 왜 필요한가 ? :
하나님의 나라가 극단적을 위축된 상황에 이르렀을 때에 하나님이 주신 계시의 또 다른 차원을 소개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나라는 죽지 아니하였으며, 하나님의 인도는 계속된다는 것을 보인다.
(2) 경륜이 바뀌는 것을 전세대가 보는 것으로 후 세대의 언어가 아닌 전세대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6. Letters (서신서)
6.1. 역사적 상황을 될 수 있는 한 재구성해 본다.
6.2. 문학적/심리적 변화를 신학적 멧세지의 변화와 함께 이해해야 한다.
예 1 : 롬 6:1-11 (로이드 죤스와 롬지(Romsey)의 해석의 차이)
예 2 :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보이는 율법에 대한 소극적, 부정적 인식에 대하여
이것은 논증적인 서신이다. 그러므로 극단적인 과장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여기서의 율법은 구약 자체가 말하는 언약법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위선과 거짓의 껍질을 쓰거나, 하나님의 의를 받아들이고 난 뒤에 감사의 표현으로 하는 행동을 올려드리지 않는 가운데 하는 모든 법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이해하는 율법인 것이다.
6.3. 전체 신학적 문학적 구조 속에서의 한 본문의 위치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문안 --> 중요사안 다룸 --> 권면
[출처] 실용적 성경해석학 (필리핀한인선교사위한 해석학 강의) [송제근 교수]|작성자 단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