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스크랩] 교회의 성장과 쇠퇴에 대한 이해

하나님아들 2018. 5. 31. 23:36
교회성장은 하나남께서 원하시는 뜻이다(고전3:6). 또한 예수님께서 명령하신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교회성장은 성령님의 부단한 사역(행1:5,2:47,4:)이기도 하다.
한국교회는 1907년 평양에서 일어난 대 부흥운동을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해 오다가 특히,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두드러진 대 성장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이 최근 들어서는 약한 소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미각국이 일인당 국민소득 10,000불을 넘어서면서 부터 교회는 마침내 쇠퇴 일로를 걸었다고 한다. 물론 거기에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한국교회가 구미각국이 걸어갔던 교회 쇠퇴의 길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성장과 쇠퇴에 대한 부단한 원인 분석과 연구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1.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기초원리
교회성장의 원리에 대한 최고의 권위는 성경이다. 교회성장은 성경적 원리를 존중 할때에 진정한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교회성장을 진단하고 분석 하는데 있어서 앞서 알아야 할 일반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기초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1)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교회성장을 연구 하려면 교회가 무었인가를 바로 알아야 한다. '교회'라는 용어의 어원풀이를 요약하면 첫째로, 파알( )은 종교적 모임을 나타내며, 둘째로, 큐리아코이(
)는 장소 또는 건물을 뜻하는 건물을 의미하고, 셋째로, 에다( )는 하나님의 나라를 연상하는 종말론적 공동체를 의미하며, 넷째로, 에클레시아( )는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몸된 유기체로서 구속받은 그리스도인들의 모임으로서 새로운 공동체를 의미한다.1)

John Calvin은 교회를 ‘선택된 무리’라고 하였고, Martin Luther는 ‘성도의 교제’라고 했다.2) 성경에서 교회라는 말을 예수님께서 직접 사용하신 것은 「마16:8,18:17」 두귀절 밖에 없다. 그외에는 신약에서 거의 100회 정도 쓰여지고 있다.3)
신약에서 그리스도의 몸에 대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설명하고 있는 곳은 고린도전서12:12-31절 아라 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통하여 교회는 몸은 하나이지만 지체는 여럿이며 또한 그 지체들은 서로 한 몸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이 묘사한 몸에 대한 견해는 일치와 성장, 은사의 다양성등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좋은 근거가 되며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유기체적이다.4)

(2)그리스도의 몸의 성장
우리 몸에서 중요하지 않은 신체기관이 없듯이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에 중요하지 않는 지체는 없다. 또한, 머리없는 몸이 없듯이 머리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순종없이 교회가 형성 되거나, 성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되어 져야한다. 몸의 비유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생동적이며, 영적이고, 인격적이다.5) 이것을 ‘몸의 성장은 집합적 진행 (collective process) 이다.'6)라고 표현했다. 몸의 목적은 머리가 지시하는 대로 작용하면서 그리스도의 형상에 따라 그와 비슷하게 자라가며 완전한 어른으로 성숙해 가는 것이다.7)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됨을 바로 인식하지 못했거나, 교회성장을 양적으로만 서두르는 인위적이고도 인본주의적인 과오 때문인 것이다. 몸된 교회는 생명체 이기에 성장하고 자라나는 것이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것이다. 교회 그 자체가 성장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성장을 생각지 않는 것은 교회관이 잘못 되었거나, 현실에 안주 하려는 고의성과 게으름 때문일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로 머리되지 못하게 함과 나 자신이 한 지체됨을 망각하는 생각과 행위 때문에 모든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며 나의 지체됨을 분명히 하면서 다른 사람의 지체됨도 함께 인정할 때에 교회가 바르게 성장 하는 것이다.8)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를 교회되게 하는 바른 성경적 교회관의 기초가 선행될때에 교회성장은 가능해 진다는 것을 알수 있다.

(3)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
참으로 성숙된 그리스도의 몸된 바른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항상 하나님께 영광된 산제사를 드리며,사랑과 봉사로 상호간에 덕을 세움으로서 하나님에의해 지으심을 받고 영적인 성숙으로 성장하는것 이라고 브루스 라이츠먼(B. Wrightsman)은 교회를 ‘성장하는 성전’으로 보았다.9)
좀더 자세히 말하면 교회란 첫째로, 모이는 과정과 흩어지는 과정이 병행 되어야 한다. 신앙은 모이는 데서 자라간다. 또한, 교회의 교회화는 그리스도를 진정 주로 고백하고 모이는 교회가 모든 세상에서 주를 증거 하기위해 흩어지는 교회가 되어질때 이루어진다.10)

그러므로 교회라는 공동체는 설교, 예배, 친교, 섬기는 공동체 자체내의 기능인 오는 기능과 가는 기능인 선교와 관련된 밖으로 퍼지는 활동인 전도, 치유, 구제등의 오고 가는 두가지의 기능이 있어야 한다.
둘째로, 세상으로부터 구별된 동시에 이 세상과 하나되는 공동체인 교회이다. 교회는 세상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존재이다. 동시에 교회는 이 세상이 추구하는 공동체가 아니다.이를 가리켜 보쉬는 '낯선 공동체'11) 그리스도는 교회와 세계 둘다의 주인이며 머리이다. 그러나,세계는 그리스도의 몸은 아니다.12)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하나님과의 관계, 세상과 이웃과의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해야할 뿐만 아니라 다양성 속에서 일치를 이루는 교회로 나아가야 한다.

2)교회성장 원리에 대한 바른이해
(1)질적 성숙에 대한 이해
피터스(Georgy Peters)는 퓰러의 교회 성장학이 수적 확장에 치중한다고 불만을 표시 하면서 교회가 교회 안에서 예배와 교제를 잘 가질 뿐만 아니라 문화에 적응 하면서도 사회에 기독교의 영향력을 끼치고 온 세계에까지 복음을 전하는 것이 성장13) 이라고 정의한다.
파디라(C. R. Padilla)는 "교회성장에 수에대한 지나친 강조는 우상(numerolatry)이 된다."14)고 했으며, 또한 '통계학적인 성공의 철학'15)을 반대했다. 그러나, 질적 성숙을 측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질적으로 성숙하는 교회를 반대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가 문제이다.완전한 측정기준은 될수 없겠지만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측정 한다면 대략적인 성숙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매년 등록된 교인에 비해 출석하고 있는 교인의 숫자나 세례교인의 숫자를 비교하는 방법.
둘째로,문화적 및 복음전파의 위임에 할당된 교회예산의 비율.
셋째로,주님을 위하여 자원하여 바치는 교인들의 시간비율.
넷째로,교인들의 개인적인 헌금비율.
다섯째,출석교인의 균형있는 연령분포.
이외에도 찬양과 성경공부 참석률, 각종집회 참석률, 소구룹 활동정도, 전도와 양육 정도 등을 측정함으로서 얼마나 성숙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16)

(2)양적 성장에 대한 이해
도날드 맥가브란(D. McGavran)은 교회는 셀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사람들을 헤아리지 않는 일이 특별히 영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 전혀 아니기에 숫적인 연구방법은 교회성장을 이해 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17)라고 한다. 또한, 하나님을 영화롭게하는 성장을 목적으로하는 객관적 수치사용은 필요한 것이다. 하나님 계시 전체는 구원받은 자의 수를 헤아리는 것을 전제한다. 하나님의 계시는 은혜가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확장될 때에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감사는 증가 한다는 것을 믿는다.18)고 주장함으로서 실제적으로 교회성장은 숫적인 성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숫적인 교회성장과 질적이며, 영적인 교회성장이 동반자적인 입장임을 주장한다.

(3)종합적 성장에 대한 이해
티펫(Alan Tippett)은 ‘교회가 실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방법은 질적이며 양적이며, 또한 유기체적 성장사이에 어떤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제시 하였다.19) 유기체적인 성장이란 교회내에 있는 조직이나 각종모임의 성장과 관계가있다. 유기체적인 성장이라는 말은 올란드 코스타스(Orland Costas)도 주장 하였다. 그는 가장 중심적인 인물은 교회가 은총적으로 성장 하여야 하기에 숫자적인 성장에 대한 강조에 첨가하여 교인들 간에 내적관계인 유기적 확장, 교회의 성격과 이 세계에 대하여 선교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관념적 확장, 그리고 교회가 주변의 사회 참여도를 의미하는 성육적 성장을 일으키자20)고 주장한다.
유기체적 성장을 주장하는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보면 몸으로서의 교회가 바람직하게 성장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하난의 이론으로 스쳐가기 쉽다. 그러므로 균형있는 종합적인 성장을 가져와야 한다. 여기에서도 어느것이 먼저 성장해야 하며 어떠한 성장에 교회가 관심을 쏟아야 하는지가 문제이다. 여기에는 정답이 있을수 없다. 그것은 환경과 시대적 흐름, 그 교회를 이끌고 가는 지도자의 능력과 달란트, 사회적 요구등 많은 변수가 있을수 있기 때문이다.

3)성장과 쇠퇴에 대한 이해
(1)성장의 원리
교회성장이 지역이나 문화, 사회적 조건들의 영향을 받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보아서 같은 문화, 같은 지역, 비슷한 구성원을 가진 교회들 가운데서도 어떤 교회는 성장하고 또 다른 교회는 성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리를 배우기 위해서는 성경에 나타난 원리나 교회 성장학에 대한 서적을 통해서 배울뿐 아니라 실질ㄹ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교회가 어디며 교인수가 늘어나고 새신자가 생기는 곳이 어디며 사람들이 그 공동체에 들어가면 변화되어 교회와 사회에 책임있는 그리스도인이 되는 곳이 어디인지21) 를 살펴보면 된다.
성장의 일반 원리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목사와 교인들이 반드시 교회가 성장되기를 원해야 한다.22)
성장하는 교회는 지도자들의 성품과도 대단히 밀접하며,23)(그는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들의 성품 5가지 특색을 주장 하기를; 첫째,일편단심의 순종, 예수그리스도의 주권을 강하게 인식하며 제자로서의 값을 지불하고 있는사람. 둘째,확고 부동한 목적과 확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세계복음화가 하나님의 뜻임을 믿고, 결심자의 수를 헤아리기보다 진정한 제자에 관심이 있다 셋째,통찰력 있는 인구조사, 현실을직시하고 분석하며 행동하는 지도자. 넷째,냉정한 평가. 다섯째,신앙적 낙관주의를 소유한자이다.) 그들의 역량에 따라서 성장한다.24) 성공적인 목사는 사업을 정하고 , 목표를 세우고, 댓가를 지불함으로써 진정한 지도력을 갖는다.25)

둘째, 교회는 성경적 원리를 존중할 때 성장한다.26) 그는 일곱가지 원리를 제시한다. (1)성경을 최종권위로 받아들인다. (2)그리스도 밖에 사람들을 잃어버린 영혼으로 보게된다. (3)하나님의 사랑과 관심이 모든 사람을 위한 것임을 긍정한다. (4)그리스도가 유일한 길임을 믿는다. (5)성령의 인도하심에 순종한다. (6)교회성장을 위해 이해심을 갖고 특별히 기도한다. (7)이러한 원리를 성경적 관점으로 보았다.

셋째, 교회성장이 하나님의 뜻이며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날로 확장될수 있도록 힘을 주신다고 확신한다. 그리고 복음 전도의 목표가 제자삼는 것임을 교회가 동의해야 한다.27)

넷째, 전도대상의 민족성에 맞고 문화적으로 토착적인 전도방법을 개발할때 교회는 성장한다.28) 다른 교회의 프로그램을 자기교회에 그대로 도입하려는 태도는 지양하며 무작정 교회사업만 많이 하려고 하지 않는다.29)

다섯째,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과 지역사회를 옳게 분별할 때 성장한다.30) 분석을 위해서 과거의 기록들과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회성장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통계와 도표를 신중하게 도입하며 사회학과 문화 인류학등을 도구로 사용한다. 기독교 운동을 확장하려는 계획에 필요한 사실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제적인 조사연구를 강조한다.31)

여섯째, 새로운 사람들을 위한 그룹과 가입 창구를 통해 인원을 확보해 나갈때, 즉 다양한 종류의 단위기관(구역, 성가대, 선교회, 각종집회등)을 증가 시킬때 교회는 성장한다.32)

일곱째,교회는 치명적인 병을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한다.33) 이병은 내부적일 수도 있고 외부적일수도 있다.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해 나가야 할것이다.

여덟째, 교회는 평신도들이 제자화 될때에 성장한다.34)

아홉째, 성장체제를 갖추고 성장을 위한 모험을 할때에 성장을 한다.35) 믿음이 증진되지 아니하면 성장을 위한 계획에 진지한 노력이 수반되지 아니한다. 대부분의 교회에는 현재의 성취수준 보다 훨씬 더 큰 효과를 낼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36) 그러므로 목사와 평신도 지도자들이 교회 성장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비젼을 가지고 행동 해야한다.

열째, 교회는 우선순위를 지킬때에 성장한다. 교회는 그 머리가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께 완전 헌신하는 것을 우선해야 된다. 교회는 효과적인 복음전도에 최우선권을 부여할때 성장하지만 이를 바꾸어 사회봉사를 우선순위로 채택할 때에 교회는 감소 정체한다.37)
이외에도 교회가 교회를 개척하며 선교할 때,38) 교회론이 확고할 때,39), 교회의 지도자들이 참다운 회개를 경험하며 교인들이 성령충만한 삶을 갈구할 때40) 성장한다.

이상과 같은 원리들은 복합적인 관계성을 맺고 성장하기도 하며 교회의 속성에대한 종합적 이면서도 균형있는 발전이 성장을 가속화 시켜 나간다. 어떤교회는 한 가지의 특성만을 가지고 급성장을 이루기도 한다.그러나, 이것은 지극히 불안정하며 계속적인 성장을 이루기가 어렵다고 볼수 있다.

(2)쇠퇴의 원리
교회가 치명적인 병에 걸리는 것에서 잘 예방하려면 병에 걸리기전 초기 징후를 발견할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공통적인 이유를 알 필요가 있다

첫째, 교회를 현상태 유지에만 관심을 가지면 성장하지 않는다.41) 교회성장이 단지 우연히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근시안적인 지도력을 가진교회는 성장하지 못한다.42)

둘째, 교회가 고도의 생산적인 선교 방법에 관심을 가지지않고 효율성이 저조한 선교방식에 관심을 기울인다.43) 그들은 토착화 되지 못하였고 교회에 호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만 교제를 나누려 하였다.44)

셋째, 교회의 분위기가 너무 단조롭고 지루하며 건축물도 우중충하고 어떤 감흥을 일으키는 분위기가 없다.45) 목회자의 언어가 세상과 분리된 신학적, 학문적이며 과도하게 전통적이다.46) 믿음, 소망, 사랑 그리고 기쁨 대신에 공포, 미움, 그리고 분노를 강조하는 부정적인 감정이 지배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한다.47)Ibid.,pp.318-319.

넷째, 그들은 대부분 교회가 큰것은 나쁘다고 믿는다. 교회가 이미 너무 크다 라는 말을 하지만 그들은 무었을 위해서 너무 큰가는 말하지 않는다. 또한 영적인 무관심 때문에 그들은 비젼과 선교에 대한 의식도 잃어 버렸다.

다섯째, 새신자에 대한 강한 집착이 없고 전이 성장에 의해 성공하고자 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않는다.48) 샬러(Lyle E.Schaller)는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가 주와 구세주라는 복음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하면서 새교인들이 비 활동성에 빠지지 않도록 할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우리는 누구를 배제하고 있는가?”를 진단해 보아야 한다.49)고 하였다.

여섯째, 빚에 대한 지나친 공포 때문에 교회가 역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포기하는 교회는 성장 할수 없다. 물론 순자산액을 감소시킬 정도로의 차용도 하여서는 안될 뿐더러 20년 안에 갚을 수 없는 돈을 빌리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으나 재정적 부채는 종종 교회성장에 박차를 가한다.50)

일곱째, 하나님의 실재와 성경의 권위에 대한 확신이 결여된 교회는 성장하지 못한다.51)

1)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New York:Abingdon Press,1962),pp.607-617
2)은준관,「교회,선교,교육」,(서울:소망사,1982), p.183
3)이성호,「성구 대사전」,(서울:혜문사,1978)pp.130-131
4)박근원,「교회와 선교」,(서울:종로서적,1988), pp.35-36
5)이종윤,전호진,나일선 공저,「교회 성장론」(서울:도서출판 엠마오,1986),p.177
6)Ibid., p.185
7)B. Wrightsman, The Church its meaning and mission ,김득중 역, 교회의 의미와 사명, 서울:컨콜디아사,1986), p.56
8)곽선희,“교회성장과 선교”,「복음선교 제1권」,(서울:도서출판 엠마오,1985),pp.35-36
9)B. Wrightsman, op.cit., p.53
10)은준관, op.cit., p.183
11)D.J. Bosch, Witness to the world ,전재옥 역,「선교신학」(서울:두란노서원,1985),p.264
12)Ibid., P.185
13)이종윤,전호진,나일선 공저, op.cit., p.251
14)C.Peter Wagner,Church Growth and the whole Gospel ,서운정 역,「성서적 교회성장」,(서울:대한 기독교 출판사,1984), p.98
15)Ibid., p.99
16)Ibid., p.103
17)서정운,“선교와 교회성장”,「복된 말씀 8-9월호」,(서울:복된 말씀사,1978), p.100
18)Donald A. McGavran,Understanding Church Growth ,전재옥,이요한,김종일 공역,「교회성장이해」,(서울: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출판국,1987), p.75
19)C.P.Wagner,ed,Church Growh:State of the Art ,이재범 역,「교회성장학 개론」,(서울:솔로몬 출판사,1987)제10장‘교회의 유기체적 성장’,by C.Singletary,pp.125-132
20)d.J.Bosch,op.cit., p.254
21)D.A.McGavran and W.C.Am,Ten Step for Church Growth ,오태용 역,「교회성장 열단계」(서울:신망애 출판사,1987), pp.25-26
22)이재범 역,op.cit., p.338
23)C.P.Wagner,Your Church Can Grow,권달천 역,「교회성장의 원리」(서울:생명의 말씀사,1987),pp.30-33.
24)Ibid.
25)Win Arn, ed,The Pastoral's Church Growth Handbook,임방환 역,「교회성장 핸드북」,(서울:요단 출판사,1988),pp.63-65
26)오태용 역,op.cit.,pp.34-36.
27)이재범 역,op.cit.,p.338
28)G.G.Hunter,To Spread the power chruch growth in the Wesleyan spirt,김선도 역,(서울:도서출판 광림,1987),p.51
29)Waldo J.Werning,Vision and Stratagy for Church Growth,정사무엘 역,「현대교회 성장의 새로운 전략」, pp.91-92.
30)오태용 역, op.cit., pp.76-89.
31)박은규 역,loc.cit.,p.24
32)김선도 역,op.cit.,p.50.
33)이재범 역,op.cit.,p.338.
34)권달천 역,op.cit.,p.99.
35)오태용 역,op.cit.,pp.122-149.
36)Ibid., p.141.
37)Ibid.,pp.65-75.
38)박은규 역,op.cit.,p.24.
39)Ibid.,p.25.
40)이요한외2인 공역,op.cit.,pp.248-249.
41)Ibid.,p.250.
42)R.H.Schuller,Your church has afantastic future!,권명달 역,「성공적인 교회성장」,(서울:보이스사,1988),p .326.
43)Ibid.,pp.185-205.
44)이요한 외2인 공역,op.cit.,p.249.
45)권명달 역,op.cit.,p.318.
46)Ibid.,p.325.
48)권명달 역,op.cit.,pp.319-320.
49)L.E.Schaller,Assimilating New Member,고명수 역,「새교인 교육론」,(서울:대한 기독교출판사,1983),pp.13-61.
50)권명달 역,op.cit.,pp.320-323.
51)Ibid.,p.323.
출처 : 교회와 목회와 목사
글쓴이 : 맑은소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