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부 중세사
Ⅰ. 로마 교회 과도 시대
1. 중세의 특징
- 역사 중심이 동방에서 서방으로 이동되는 시기임, 회랍교회의 내적 생명 고갈, 마호메트교의 발흥, 로마 교회의 세력 확장. 오늘날 카톨릭을 지배하는 신학과 제도는 거의 중세기의 것임.
2. 중세의 시대 구분
과도 시대(590-800) 샤롤마뉴 대제 즉위
생장 시대(800-1073) 그레고리우스 7세 즉위
전성 시대(1073-1303) 보니파키우스 즉위
쇠퇴 시대(1303-1517) 종교 개혁
3. 그레고리우스 1세
- 540년 로마 부호의 집에서 출생, 부친 사망 후 재산을 수도원에 기증하고 수도사가 됨, 교황의 특사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되기도 하고, 교황 비서가 됨, 교회와 원로인이 모두 그가 교황 되기를 갈망했으나 거절하고 변복하고 도망하다가 잡혀서 590년 9월에 교황이 됨. 업적으로는 교회의 중요 직위에 수도사를 채용, 교직 매매를 금함, 교직자가 된 후 결혼을 금함, 교황권 강화, 영국 전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 파송, 연옥설, 성모, 성자 예배 주장.
4. 모하메드교의 발흥
- 사막이 많은 아라비아에서 시작 되었으며, 여러 우상을 숭배하는 메카에 모하메드가 나타나 근방의 부족들을 규합하여 신흥 종교로 만듦.
5. 모하메드
- 570년 아라비아 메카에서 출생, 고아로 가난하게 자람, 25세 때 부자 과부와 결혼, 사업차 외국에 가서 유대교, 기독교 세계와 접촉, 40세에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일신교를 창도함으로 메카에서 추방되어 메디나로 도망, 근방의 부족을 규합하여 630년에 메카를 점령하고 우상을 제거, 신흥 종교의 중심지로 삼음. 632년 63세로 사망.
6. 모하메드교의 교리
- 일신교로 일체의 우상을 배제, 참신의 이름은 알라, 인류 구원을 위해 천사, 모세, 예수를 보냈다 함, 모하메드는 천사로 모세와 예수보다 우월하다고 함, 신앙을 위해 노력하는 자 천국에 간다고 함, 절대 복종.
7. 모하메드교의 분열
- 교리 투쟁, 세력 다툼이 원인이 되었음.
8. 프랑스 전도
- 이레네우스가 처음으로 전도했으며, 마르틴이 군대식으로 강제 입교시킴, 전국 각지의 우상 전당을 헐고 우상을 제거하며 전도함.
9. 독일 전도에 공헌자
- 윌리브로오드는 황무지에 선교 활동 전개, 보니파키우스는 윌리브로오드의 제자로 그를 도와 선교 활동.
10. 영국 전도.
- 50년경 로마 군인 중 신자가 있어 교회가 건설됨, 400년경 펠라기우스가 전도, 파트리키우스는 첫 선교사이며 아일랜드로 가서 30년간 전도함.
11. 화상 예배.
- 동 제국 황제 레오가 762년 회당 안에 화상을 거는 것은 허락하나 입맞추지 못하도록 높은 곳에 걸라고 발표, 콘스탄티누스 5세가 화상, 십자가, 휘장을 교회당, 개인집, 수도원 등에 계시하는 것을 금함,
12. 이단 바울파
- 1891년 아르메니아남방 에드미아찐 도서관에서 발견된 <진리의 검>이라는 책에 의하면, 이원론 주장, 예수는 하나님의 양자, 신약은 베드로 서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선한 신의 말씀, 로마 교회 제도를 혹평, 생활은 순결, 개혁 정신이 강함.
Ⅱ. 로마 교회 생장 시대
1. 샤를마뉴 대제의 업적
- 영토확장과 교회옹호확장, 교육정책확장, 기독교발전, 궁정 학교를 개설하고 사방에서 고명한 학자를 초빙하여 강연
2. 신성로마 제국의 건설
- 옷토 1세는 동 프랑크 3대 왕으로 선출, 샤롤의 유업을 계승하여 기독교 옹호 사상을 왕국 건설에 결부시킴, 외적 침입을 격퇴하고 제후의 반란을 평정하고, 보헤미아, 폴란드를 항복시키고 이탈리아에 출병하여 교황을 원조, 교황 요한 12세는 그의 공적을 찬양하고 962년 2월 2일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라는 칭호와 관을 줌, 이후부터 동로마 국왕이 이탈리아 왕을 겸하는 자격을 얻었고 국세도 떨치게 되었음.
3. 교황정치의 부패
- 교황권을 둘러싸고 이탈리아당과 독일당이 계속 투쟁, 축첩정치시대, 로마의 부유한 과부 테오도라일가의 난잡한 생활에 교황 정치가 일종의 장난감이 되는 현상.
4. 스칸디니비아 전도
- 전도자 안스가르는 로마에 가서 교황에게서 덴마아크, 스웨덴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덴마아크만 담당, 국민들의 존경을 받으며 각처에 교회를 세우고 전도. 스웨덴은 1008년에 스코트코눙왕이 세례받고 기독교 국가가 됨, 덴마크는 하랄드 왕이 덴마크 감독구를 세웠으나 그 아들 Swegn이 박해하다가 스웨덴 왕에게 축출 당함, 다시 돌아와 회개한 표시로 교회를 보호, 노르웨이는 왕의 서자 하간이 영국서 교육을 받고 신자되어 형 에리크를 대신하여 왕이 됨.
5. 슬라브족 전도
- 모라비아전도는 863년 키릴로스와 메토디우스형제가 전도, 보헤미아 전도는 모라비아와 정치, 지리상 근접했으므로 무난히 전도함, 불가리아는 864년 추장 보리스칸이 미카엘 3세에게 감독 파견을 요청하고 자신이 세례받음. 러시아는 올가의 손자 블라디미르가 기독교를 믿고 국교로 정함.
6. 교리 논쟁
- 성찬식과 미신에 저항에 관한 논쟁. 다메섹의 요한이 성찬식에서 화체설을 주장.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가 <주님의 몸과 피의 예식>이라는 책을 써서 구체화 시킴. 1215년 라테란 회의에서 교리로 결정하고 오늘날까지 사용. 미신에 대한 저항으로는 쿨라우디우스와 아고바르, 이단 보고밀등이 주장.
7. 동서교회 분리의 원인과 결과
- 원인으로는 일반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이 있음. 일반적 원인은 정치적 원인으로서 동서 로마 제국의 분리이며, 문화적 원인으로는 언어의 차이 국민성의 차이를 들 수 있음. 직접적 원인은 교권 쟁탈 문제. 결과적으로 포티우스 사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취임시는 교황에게 신앙고백서를 봉정하고 중대사를 재가 받음.
Ⅲ. 로마 교회 전성 시대(1073 - 1303)
1. 그레고리우스 7세의 생애와 업적
- 생애
① 1015년 소아나(Soana)의 목수 아들로 태어남
② 성 마리아 수도원에서 수학
③ 그레고리우스가 축출 당할 때 독일로 동반하였다가 그가 죽자 남부 프랑스
클뤼니(Clugny) 수도원으로 가서 각지를 순회하며 교황권 확립에 힘씀.
④ 레오 9세가 교황이 되자 그는 부집사직에 임명되어 교황권을 실제적으로 행사함.
⑤ 1073년 58세에 교황이 됨 (그레고리우스 7세)
⑥ 1085년 70세로 죽음
-업적
① 교직 매매 금지
② 교직자의 독신 생활을 강조
③ 교직 임면권과 재산 감독권을 교황 산하에 둠
④ 교황은 국왕을 지배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함.
2. 그레고리우스 7세와 헨리 4세와의 충돌에
① 하인리히 4세가 교황을 반대
a. 독일 토지의 반이 감독과 교회의 소유이므로 재산 감독권이 교황에게로 돌아가면 독일
왕의 실권이 약화되기에
b. 이탈리아 교황 반대파와 결탁
c. 보름스(Worms) 종교회의(1076)에서 교황 폐위를 결의
② 교황은 하인리히 4세를 출교함
- 국민은 국왕의 명령에 복종할 의무가 없다고 선언
③ 카놋사(Canossa)의 굴욕
a. 제후들이 국왕을 반대하여 형세가 불리해지자 하인리히 4세는 사죄할 것을 결심함.
b. 1077년 교황이 카놋사를 방문하였을 때 왕은 알프스산을 넘어 카놋사에 가서 밤낮 3일
을 눈 위에서 사죄하여 출교를 철회받음
c. 결과 …표면상은 굴복이나 실제로는 하인리히 4세가 승리함
가. 교황은 출교 해제가 있자 독일에 반대한 제후들을보복함.
나. 교황이또 출교하니 이번에는 국민들이 왕을 동정함
다. 하인리히 4세는 로마를 점령하고 교화 그레고리우스 7세는 남부 이탈리아 살레르노
(Salerno)로 도망했고 거리에서 객사함.
3. 캔터베리대주교와 헨리2세와의 관계
① 왕은 1164년에 감독과 귀족회의를 소집하고 클레런던법(Constitutions of clarendon)을
제정함
[ 내용 ]
a. 종교적 사건 외에는 교직자로도 국가 재판소 관할에 속한다.
b. 교직자는 국왕 허가 없이 국외 출입을 못한다.
c. 대감독, 감독, 사원장 선거는 국왕명에 준하고 국왕 회당에서 행할 것.
d. 상고는 국왕에게 하며 국왕에게 충성을 다 할 것.
② 킨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베키트(Thomas Backet)는 이를 거부하고 프랑스로 도망하
였다가 5년 후 화해가 성립되어 돌아옴.
③ 베키(Beeket)는 1170년 12월 29일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4명의 자객에게 피살당함.
④ 1172년 클랜런던법은 폐지되고 왕은 비켓 무덤 앞에 참회하고 성자 칭호를 수여함.
4. 인노켄트 3세의 정책
① 프랑스의 필립 2세 (1180-1223) 가 처와 이혼을 하고 다른 부인과 결혼 것을 인정치
않고 본처와 재결합케 하였다.
② 영국왕의 굴복
가. 영국 왕 요한은 교황이 명령한 캔터베리 대주교를 승인치 않음.
나. 교황은 영국왕을 출교하고 그 집행권을 프랑스 왕에게 줌.
다. 영국왕이 굴복하자 1213년 복권케 하고 매년 2차씩 공납을 보내게 약속함.
5. 십자군 전쟁에
1) 원인 - ① 회교도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1071) 성지순례자를 학대.
② 흉년으로 경제적 불황이 계속되자 반작용으로 신앙열이 발화되어 성지 순례
행사가 잦음
③ 성지 회복 결의 …교황 우르바누스(Urbanus)2세는 클레몽(Clermont) 종교
회의에서 십자군을 조직
④ 십자군의 특전 … 일체의 죄를 사면 받게 되었다.
2) 경과 - ① 제1회 (1096-1099)
a. 인솔자 - 고드프로와(Fodefroy), 레이몽(Raymond), 로베르(Robert),
위고(Hugo)
b. 종군자 - 30만명(독,불, 영)
c. 예루살렘 함락 - 1099년 7월 15일 고드프르와가 왕이 됨.
② 제2회 (1147-1149)
a. 원인 - 에뎃사가 회교 수중에 들어가고 예루살렘을 위협함.
b. 교황 유게니우스(Eugenius) 3세가 베르나르투스를 유세케 하고 독일, 프랑
스왕이 호응
c. 결과 - 실패했으나 모하메드 자파분쟁으로 40년간 평안함
③ 제3회 (1189-1192)
a. 원인 -1187년 10월 3일에 예루살렘이 함람되므로
b. 종군자 - 영, 불, 독 군이 합세
c. 경과 - 독군은 중도 귀국, 불군도 귀국. 영군만 단독
d. 휴전 - 성지 순례자를 괴롭히지 않기로 협정.
④ 제4회 (1202-1204)
a. 원인 - 인노켄트 3세의 주장
b. 결과 - 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
가. 교회는 유물을 서방 교회로 빼앗아 옴.
나. 라틴 제국을 세우고 발드윈(Baldwin)을 제왕으로 삼음.
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로마 교회 계통으로 세우고 로마 교회에
예속시킴.
라. 동서 교회간의 중오감 격심.
⑤ 제5회 (1218-1221) - 소년십자군
a. 원인 - 성지 회복을 죄없는 청결한 소년 소녀에게 맡기로
b. 종군 - 프랑스 목동 스테파노와 독일 소년 니콜라이 등 소년 소녀 3만명
이 진격
c. 결과 - 실패(도중 파선, 기아로많이 죽고 종으로 팔림)
⑥ 제6회 (1228-1229)
a.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인솔로 대군이 성지로 진격(왕은 불신자였으
나 교황이 협조를 얻기 위해 종군)
b. 성지에 도착했으나 10년간 휴전키로 협정
⑦ 제7회 (1248-1254)
a. 원인 - 프랑스 왕 루이9세가 종교적 열심히 일으킴.
b. 경과 - 영국왕 에드워드 1세가 진격하여 나사렛을 점령하고 10년간 평화
조약을 맺음.
c. 결과 - 1291년 예루살렘은 완전히 회교도 고유가 되어 버렸다.
3) 실패의 원인
a. 십자군의 핵심인 교황에게 군사 통솔권이 없었다.
b. 출전한 귀족, 기사들간의 전쟁 목적이 다르고 이해가 상반됨.
c. 최고 목적인 종교열이 식어지고, 제물을 약탈하기 위한 불순 동기가 적용
d. 십자군의 오합지졸과 회교 군대의 능한 지리.
4) 십자군의 유익
a. 회교도의 서방 침입을 저지 시킴.
b. 유럽 제국의 단결 촉구, 기독교 국가의 의식을 환기시킴.
c. 귀족의 쇠퇴, 봉건 제도 붕괴하고 상공업이 흥왕함.
d. 해운업의 발달로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 도시의 번영
e. 모하메드 국가의 새 지식을 흡수하고 동방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짐
f. 로마 교회의 수입 재산 증가로 교황권을 강화
6. 스콜라 철학
1) 시대구분
- 제1기 9-12C 발생기
제2기 13C 전성기
제3기 14-15C 쇠퇴기
2) 성격
① Scholar란 말은 샤롤 대제의 궁정학교 명칭에서 유래된 듯.
② 신앙과 지성, 종교와 철학의 유기적인 조화 강조.
③ 기독교와 회랍 철학의 혼합, 교회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
3) 가치
① 놀랄만한 지능적 광대 구조, 신학 방법의 대전보
② 기독교 진리를 합리적 또는 철학적으로 논증하려는 의도
③ 진리 해설상 오류 방지에 큰 도움
4) 약점
① 역사적 평론을 경시하고 터무니 없는 철학 위에 수립
② 성경해석에 전설적인 해설 시도
③ 형식 논리를 과도하게 구사
④ 성경이나 교회 역사에 근거가 없는 이론을 도입
⑤ 이단을 뒤집어 놓은 것이 정통이라는독단이 생김
7.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학자의 학설
① 스코투스에리게나 (Soctus Erigena)
a. 아일랜드 출신, 845년 궁정 학교에서 일하면서 높은 대우를 받음.
b. 저서 - <가짜 디오니시우스(Dionysius)> (국왕의 명령으로 프랑스어로 번역),
<자연의 구분>
c. 사상 - 범신론적이며, 신과 만유를 동일시 함.
② 안셀무스(Anselmus, 1033-1109)
a. 생애 - 북 이탈리아 아오스타(Aosta)출신
프랑스 베크(Bec) 수도원에서 수도
1078년 수도원장이 됨
1093년 켄터베리 대감독에 선임
국왕 윌리암 2세와 충돌하여 국외로 추방
헨리 1세때 소환되어 1109년 영국에서 사망
b. 저서 - 독백 (Monologion)
대화 (Proslogion)
속죄론 (Cur Deus Home)
③ 아벨라르(Abelard , 1079-1142)
a. 생애 - 가. 1079년 프랑스 출생
나. 22세때 파리에 학교 세우고 철학을 강의
다. 1115년 노트르담에 있을 때 명성이 높음. 그는 실수로 엘로이즈
(Heloise)와 비밀 결혼 생활을 하다가 그녀의 숙부에게 거세당함.
라. 수도원장이 되었을 때 문화생이 수천명이 됨.
마. 1140년 이단으로 선고받고 2년후에 사망함.
b. 사상 - 신학 연구의 자유를 주장
신의 계시는 신앙과 희망과 사랑과 성례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선지자와 사도도 잘못될 수 있다.
원죄를 부인 …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다.
속죄설 … 도덕 감화설 (십자가는 죄인이 회개할 생각이 나게 한다.)
8. 베르나르두스의 생애와 사상
① 생애
a. 프랑스 귀족의 가문에서 출생, 부친은 제 1회 십자군 전쟁에서 전사. 어머니는 독실
한 신자로 7남매 중 3남으로 출생
b. 23세때 30명의 귀족들과 함께 시토(Citeaux) 수도원에 들어감.
c. 2년후 12명의 동지들과 클래르보(Clairvaux) 수도원 원장으로 평생을 보냄. 제2회 십
자군 유세로 활동함
d. 허약한 신체와 극단적인 금식 생활로 바로 서서 다닐 수 없을 정도였다.
② 사상
a. 보수적 입장에서 아벨라르의 자유 사상을 배격하였다.
b. 고난당하신 그리스도를 사모하였다.
c.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분류
- 사람은 자아를 위해 자아를 사랑하고
- 자아를 위해 신을 사랑하고
- 자아를 위해 신의 도움을 구하고
- 신의 사랑을 체험하면 신을 위해 신을 사랑하고
- 신을 위해 자아를 사랑하는 자리에 이른다.
9. 탁발 교단
1) 발달원인
① 교황과 감독등이 부와 권세를 얻고 사원에서 안일하게 지냄
② 예배 의식만 중히 여기고 설교를 가볍게 여겼고 백성들을 멀리함
③ 수도사들은 청백한 일만 힘쓰고 전도와 구령 사업을 등한시했다.
2) 의의와 유래
① 320년 이집트 남방에서 허미트(Hermit) 수도원을 창설
② 528년 베네딕투스(Benedict) 수도원을 설립(유자녀 교육)
③ 1115년 베르나르두스(Berard)가 틀래르보 수도원을 창설
④ 1209년 프란체스코(Francesco)교단 설립
⑤ 1215년 도미니코(Dominicou) 교단 설립
3) 교단
① 시도 교단(1098년 감독에게 복종하는 것을 조건부로 시도가 창설)
② 가르멜산(Order of Carmelitis) 교단
(십자군때 이탈리아 잔류병들이 모여서 이룩된 교단)
③ 부라몬 교단 (1121년 설립, 엄격한 금용주의 교단)
④ 아우구스티누스 교단(13세기, 이탈리아 은둔사들로 조직)
⑤ 프란체스코 교단 및 도미니코 교단 (교황이 탁발 교단으로 인정)
4) 중심인물
프란체스코(Francesco, 1182-1226)
- 이탈리아 앗시시(Assisi) 출생
3인조 전도대(소형제단)를 조직하여 각처에 파송함.
교단 운영(교황인노캔트 3세의 인가 받음. 교단원은 1221년에 3천명이었으며 귀족,
학자, 부호들이 많이 입단함)
5) 영향
① 민중의 벗이 됨 - 당시 보통 수도사들은 일반이 모르는 언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민중들을 도와주고 그들의 고백을 듣고 설교함.
② 대학 세력을 확장 - 많은 대학 교수들이 참가함.
③ 학자 배출 - 13세기의 학자들은 거의 이 교단에서 배출됨.
10. 외국 전도
1) 라이몬드 룰리(Raymond Luooy, 1234-1315)
① 스페인 출신의 귀족으로 예수의 십자가 환상을 봄. 프란체스코 교단원
② 아라비아어를 배워 회교도에 전도
③ 저서로 <기독교 변증론> 이 있음.
④ 기독교 대학에 동양어과 설치운동을 함
⑤ 79세 사망.
2) 코르비노의 요한(John de Monte Corbino)
① 13세기경 이탈리아 출신
② 중국에 가서 선교함
③ 북경에서 신약, 시편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6천명에게 세례를 베품.
3) 중국선교
① 징기스칸의 손자 쿠빌라이가 원나라를 다스릴 때 이태리의 영행가 마르코폴로가 교황
청에 100만명의 선교사의 파송을 청원
② 1272년 도미니코 교단에서 선교사 2명을 파송했으나 가다가 돌아옴
③ 20년후 프란체스코 교단에 속한 코르비노에 요한을 보냄. 떠난지 수년만에 도착하여
쿠빌라이의 환영을 받고 전도함
11. 중세의 예배와 생활
1) 예배
- 예배 용어는 라틴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반교인은 설교를 듣고 감동을 받는 것이 아니
라 예배를 <보는>것으로 만족해야함.
2) 예전(禮典. Sacraments)
[한국 카톨릭 용어로는 「성사(聖事)」라고 함]
- 1439년 피렌체(Florence)회의에서 7대 성예전을 공인함.
① 성세 - 몸에 물을 뿌리거나 침례로 입교를 증거하는 의식
② 견진(Confirmation) - 세례자에게 신앙 견고를 위한 성령을 얻게 하는 기름 붓는 의
식.
③ 성체 - 12세기경 롬바르두스(1110 - 1161년)에 의한 형식. 화체설을 토대로 한 의식
④ 고해 - 죄를 신부께 참회 고백, 신부로부터 면죄받는 예식
⑤ 혼배 - 교회법이 합법으로 인정하는 결혼을 예전으로 신성시함.
⑥ 종부(終傅, Extreme Unction) - 임종시 병사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의식,
신교에는 없음
⑦ 신품 (Ordination) - 영혼에 인호를 쳐서 임직을 임명하는 예전
3) 생활
① 숭배 - 하나님께는 예배, 그리스도께는 숭배, 성모마리아께는 최고 숭배
② 공덕 - 선행으로 죄사함을 받는다고 믿었다.
③ 미사(Mass) - 세상 사람과 연옥의 사람을 위해 하나님께 제사드리는 의식.
a. 대미사 - 향 피우고 음악 연주, 주일과 축제일에 거행
b. 소미사 - 음악없이 사죄의 미사로 신부가 거행
c. 장례미사 - 죽은 자 위해 제사드리는 의식.
④ 찬송가 - 중세의 장엄한 찬송은 그들의 생활화가 됨.
12. 대학의 설립
① 기원 - 수도원이 발전되고 많은 학생이 모인다.
② 설립된 대학
볼로냐(Bologna) 이탈리아 1158년(신학)
파리(Paris) 프랑스 1186년(신학)
옥스퍼드(Oxfod) 영국 1200년(의학)
살레르노(Salerno) 이탈리아 1200년(의학)
③ 조직과 내용
a. 예과 - 음악, 논리학, 수학등
b. 본과 - 신과, 법과, 의과
c. 라틴어를 사용, 강의와 변론함.
④ 특권
a. 국가나 교회가 간섭하지 않음.
b. 교수나 학생의 자치 단체로 발전.
13.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과 공헌
- 삼위 일체를 믿음. 계시에 의하여. 예정을 믿음.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오고, 은혜는 교회 성례를 통해서 온다.
- 카톨릭 신앙의 표준이 되는 조직 신학서를 저서
- 근대 사상 부흥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
14. 독일 신비주의의 특색과 그 대표자들
1) 특색
① 신통주의(神通主義) - 하나님과 완전한 교통이 있게 하려고 노력
② 하나님의 절대성 강조(상대적으로 인간의 공허성 주장)
③ 약점 - 영감으로 오는 체험을 성경보다 중히 여김
④ 범신론적 경향이 있음
2) 대표자
① 에크하르트(Eckhart, 1260-1327)
a. 도미니코 단원, 파리에서 수학
b. 퀼른(Kohn)에서 교수와 설교, 이단으로 몰림
c. 신관 - 표현된 신과 은폐된 신으로 분간. 삼위일체를 설명하기를 신지식은 자아의지
식이며 우주에 편만한 하나님으로 의식, 주관(성부), 객관(성자), 사랑(성령).
d. 영혼 - 하나님의 불꽃, 사람 속에 온우주가 있다.
② 타울러(John Thauler, 1300-1360)
a. 도미니코 단원, 에크하르트의 제자
b. 파리 유학, 스트라스부르에서 설교
c. 복음주의 신비가로 실천력이 강함.
d. 장례에 헌신적으로 참예
e. 신의 내재, 죄 회개하고 믿음으로 구원 받음을 강조.
③ 루이스부뢰크(John Ruysbroeck, 1294-1381)
a. 그륀탈(Grunthal) 수도원에 은둔하여 신비적 논문을 저술
b. 순수한 정서의 사람, 명상과 하나님과 일치를 원함.
④ 수소(Heinrich Suso, 1295-1366)
a. 도미니코 단원, 에크하르트의 제자
b. 콘스탄쯔(Constanz) 수도원장, 기도 생활과 잠언에 대한 지혜묵상
15. 신비주의 단체
① 베게니(Beguini)
a. 11세기부터 있은 여자 독신 단체
b. 공동생활, 자급 자족하며 봉사를 목적으로 함.
② 베가르드(Beghards)
a. 1220년에 조직된 남자, 평민 직업자들의 단체
b. 공동생활, 기도, 자선사업
c. 교회탄압, 화형자 생김.
d. 1311년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해산 명령을 내림.
③ 신우단(Gottesfreunde. 신비자의 연명)
a. 공동 생활을 하지 않으나 각가 기도와 봉사로 협조함.
b. 병자 위문, 1348년 흑사병 유행시에 시체 처리에 참여.
④ 공동 운명의 형제(Brethren of the Common Lot)
a. 게르하르트 그로오트(Gerhard Groot) 가 조직
b. 교육, 서적 보급, 학교 설립
c. 대표자
가.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Kempis, 1381-1471)
- 켐펜(Kempen) 출생
- 성 아그네스 (St. Agnes) 수도원 수도사
- 저서 : <그리스도를 본받아>, <장미의 동산>
나. 요한 벳셀(Johann Wessel, 1420-1489)
- 공동 운명의 형제단에서 설립한 학교에서 수학
-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서를 읽고 크게 감동받음.
- 파리, 로마, 퀼른 등지의 대학 교수로 명망이 있음.
-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주장.
Ⅳ. 로마 교회의 쇠퇴 시대(1303-1517)
1. 문예 부흥의 원인과 그 영향
1) 원인
① 9세기 초 샤를마뉴 대제가 문예를 장려
② 기독교 사원 부속 학교의 발달
③ 십자군 전쟁으로 각지 문화 수입
④ 1453년 동로마 멸망으로 학자들이 모여 와서 고전 문학 연구열이 생김.
⑤ 인쇄수의 발명
2) 영향
① 현대 문화 발전에 크게 공헌
② 성경 원어 출판, 성경 주해
③ 제도와 권위에 반항, 개인주의 부흥
2. 왈도
① 프랑스 리용 출신의 부자 상인
② 성경 및 기독교 문서 번역 사업에 투자
③ 1177년 재산을 팔아 구제하고 전도 운동 시작(마 19장에 감화받음)
④ 1184년 이단으로 몰려 파문 당했으나 스페인, 남부 독일, 이탈리아에 널리 퍼짐.
⑤ 1197년 보헤미아에서 사망
3. 위클리프
1) 생애
① 옥스퍼드 대학 졸업 후 교수, 궁정 목사가 됨
② 국왕 사절로 프랑스에 가서 교활 사절과 협상
③ 1382년 성경을 영어로 번역
④ 교황이 영국에 과중한 세금 부과와 고위승려들의 타락을 공격하자 교황이 체포령을 내
렸으나, 왕실의 보호로 무사했음.
⑤ 41년후 콘스탄쯔 회의(141-1418)에서 그의 주장알 죄하고 뼈를 불사름.
2) 신학
① 성경만이 신앙의 유일한 표준
② 속죄권을 부인
③ 화체설을 배격
④ 교황 정치의 불필요 역설
⑤ 승려의 독신주의 비난
4. 장 후스
① 보헤미아 수도 프라그 대학교수로서 총장까지 지냄.
② 위클리프의 개혁 정신에 감화받음.
③ 교황 정치의 부패를 공격하고 속죄권 판매를 반대함
④ 신변의 위함으로 도피하여 <교회론>을 저술
⑤ 콘스탄쯔 회의에 소화되어 황제로부터 신변 안전보호 약속을 받고 출두함.
⑥ 토굴에 감금하고 심문하다 이단자로 규정하고 1415년 7월 6일에 화형을 당함.
⑦ 그가 죽은후 보헤미아인들이 분개하여 장 찌시카(JanZizke<체코> JeanZiska<프랑스>
가 중심되어 개혁당이 결정되었다.
5. 바벨론 포로의 원인과 결과.
1) 원인
① 교황 보니파키우스(Boniface)8세와 프랑스왕 필립과의 투쟁에서 프랑스가 강함
(교회와 교직자들에게 과세함)
② 1309년 프랑스인 클레멘스 5세가 교황이 되어 아비뇽에 전도하고 전왕(前王)이 프랑스
왕에 대해 내린 책벌을 취소하였다.(70년간)
2) 결과
① 교황과 국왕간의 대립
② 로마 교황과 프랑스 교황의 대립
③ 대립된 교황들은 재정 결핍을 막기 위하여 교직 매매를 함.
④ 파리 대학장의 제자 제르손(Jean de Gerson, 1363-1429)은 교회의 타락을 개탄하고
1409년에 이탈리아피사(Pisa)에서 대회를 열고 두 교황을 퇴위시키고, 알렉산도르 5세를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3명의 교황이 싸우는 형편이 되었다.
⑤ 제르손은 1414년에 새 교황을 모두 퇴위 시키고 마르틴 5세를 세움으로 교회의 싸움은
종식되었다.
6. 바젤 회의 (1431-1433)
① 목적 - 교회 전체 개혁, 이단 박멸, 기독교단의 평화 도모를 위해.
② 교황의 반대 - 개회 13개월 후에 정지 명령을 내림.
③ 회의 강행 - 초고 주권이 대회에 있다고 주장하고 교황 없이 강행함.
④ 결의
a. 대회의는 교황 위에 있다.
b. 교황의 전제와 강제 징세를 제한 할 것.
c. 보헤미아의 후스당과 협정 체결(15명 출석)
가. 성찬 때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신자들에게 떡과 포도주를 줄 것.
나. 죄 있는 자는 처형한다.
다. 장로, 집사 등이 하나님의 말씀을 자유로 설명할 권한이 있음.
라. 교직자는 재산을 소유하지 말 것.
7. 피렌체 회의(1438-1439)
① 회원 - 바젤 회의를 반대한 교황, 이탈리아 교직자. 그리이스 황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등
② 안건 - 로마 교회와 그리이스 교회의 합동 문제.
③ 결의
a. 성령의 출처 문제 - <아들로 부터>라는 문구를 서방측이 삽입할 수 있다.
b. 연옥의 불의 성질이 정신적인 것인가, 아니면 물질적인 것인가에 대해 양편 모두생
각 할 수 있다.
c. 성찬식의 떡은 누룩이 있든지 없든지 모두 가하다.
d. 교황은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목자요, 교사요, 통치자이다.
8. 동 로마 제국의 멸망과 동방 교회
① 동로마제국의 멸망
a. 1453년 터어키 왕 모하메드 2세가 콘스탄티누스 2세를 공격함
b. 동 로마제국은 선전하였으나 50여일 만에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당함
c. 황제의 전사
② 동방교회
a. 모하메드 교도들이 성 소피아 회당을 점령함.
b. 기독교인은 전도는 할 수 없으나 신앙 유지는 가능케 함.
c. 교리, 조직, 예배는 변함이 업으나 점점 쇠퇴해 갔다.
d. 교회 재산은 몰수당하고 학교는 붕괴됨.
e. 교직자의 권위가 추락되고 황제의 종속에 불과하게 됨.
f. 모하메드교는 우대하며 기독교는 학대
g. 크리스챤 소년 중 건장한 자를 징집하여 모하메드식 훈련과 교욱으로 군대를 편성함
'세계 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 교회사 연구 (0) | 2018.03.14 |
---|---|
[스크랩] 중세교회사 (0) | 2018.03.14 |
[스크랩] 최근 50년의 변화… 이젠 ‘서구’ 아닌 ‘세계’ 기독교 (0) | 2018.02.26 |
[스크랩] 근세교회사 노트 (교수용) (0) | 2018.01.11 |
[스크랩] 로마시대 10대 박해 (0) | 2017.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