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의 명칭
1.Episkopos(감독)-영어는 Over seer위에서 내려다보다는 뜻이다 - 이들의 역할은 기독교 메시지를 왜곡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학을 하였고, 기독교 공동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 2c말 장로가운데 한명을 감독으로 뽑았다.(행정담당), 각 교회마다 감독이 있었다.
2.Presbuteros(장로)-집사 가운데 나이도 있고, 사람을 가르치는 일을 잘하는 자로 선출했다.
-딤.전3:1-5 감독은 이러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딛1:5-9 감독은 지식, 인격, 덕망을 갖춘 사람을 선출, 가르치는일, 심방하는일, 시간을 내어 봉사하는 일들을 맡아보았다.
-원래 개교회 모든 사람이 감독이었다.
3.Diakonos(집사) -희랍어 Diakonia - 라틴어 ministeriudm - 영어Minister : “봉사”의 의미, 목회자는 봉사하는 자이다. 집사는 목회자다 (지금의 개념과는 조금 다르?
-어원 Dia + Konis = 먼지를 통하여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서 봉사는 먼지를 일(Through Dust)으키는 사람이다.
4.Poimainen-poimaino(목자)-동사>포이마이노 : “양치기”라는 뜻으로 신약의 목회는 목동이
양치는 개념으로 나온다.
라틴어>Pasteros 목동, 목자-Pastor
5.Huperetus(일꾼) - 목회자는 하나님나라를 위한 일꾼이다.
- Doulos(종)
6.Leitourgos(제자, 사제)
7.Didaskalos(교육자) - 가르치는 자가 목회자이다.
목회자는 성도들에게 7가지 다양한 기대를 받고 있다.
◎현대 교회에서의 목회자의 명칭
-목사, 성직자, 교역자, 집례자, 목자등(교목, 병목, 형목)
☞목회자 모델의 변화
-한 사람에게 여러 가지를 기대했다.(상황과 배경에 따라)
1. 초대교회(1c)-봉사자(디아코니아:집사)
1)하나님의 종(둘로스), 그리스도의 일꾼, 새언약의 일꾼(고,후3:6, 11:23, 골1:7,25)
2)말씀선포와 회중들의 영적문제, 생활의 문제까지 돌봄의 역할을 감당했다.
3)행6:1-4(봉사자와 교역자가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사도는 기도하는 일과 말씀전하는 일에 전무하게 되었고, 그 외의 일을 감당하기 위하여 집사를 임명하게 되었고, 그들은 봉사하는일과 구제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
4)장로-유대 교회당에 장로들이 있는 것을 본 떠 집사들 중 장로를 선택하였다.
2. 2c - 감독(Bishop)
1)2c - 세가지 기능 분화
①카리스마적인 기능(사도, 속사도)
②의식의 수행과 훈육의 기능(장로가 맡음)
③행정의 기능(장로중에서 행정을 맡은 감독이 함)
①,② 이 점점 ③으로 집중됨.
2)“속사도”도 세상을 떠나게 됨, 예수님과 교제를 나누어보지도 않은 관계가 없는 한 사람을 세우게 됨 그리고 그에게 권리를 부여함 그러다보니 이론화되는 경향이 생겨나게 됨
(성만찬 제도화)
3. 3c - 성직자(Clergy)-Cleros-Clerk:서기,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
1)성직을 수행하는 사람
2)성만찬, 교회의 제도가 어느정도 공고화됨, 목회자에게 권력이 집중하게 됨
3)박해로 권력 집중-목회자 계급화 경향이 나타남
4. 4-5c -우두머리(Head):기독교가 국교화된 다음, Head ship
1)교회- 국가의 보호를 받음, 재판권을 가짐(행사할 수 있음), 형무소를 설치함
2)시리아 교회의 헌법-목회자는 우두머리, 인도자
3)어거스틴-목회자는 목자가 되어야 한다. 비판의 편지를 씀
5. 중세 - 지배자(Ruler)
1)플라톤의 이원론의 영향을 많이 받음, 이원론적인 사고를 가짐, 聖과 俗, 일반민중과 사제, 교회와 세상을 엄격하게 분리
2)이민족의 침입 - 교회 헌납, 보호를 받음
3)곡식, 털실, 식초를 만들어서 팜 - 생활을 지배함 : 사람들을 완전히 꼼짝못하게 해 버림
4)고해제도 - 도덕적인 지배
6.종교개혁기 - 설교자(Preacher)
1)지배자가 성서적이냐? 아니다..... 목회자는 ‘종“, ”봉사자“이다. 말씀에서 찾음
2)오직말씀, 선포에 초점을 맞춤
3)萬人司祭를 주장, 모든 사람은 복음의 일꾼이 되어야 한다.
7.청교도시대 - 목자(Pastor) : 양을 치는 사람
1)목회자는 하나님의 말씀만 전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 속에 직접 찾아가서 양육시켜야 한다.
2)심방- 여기서부터 처음으로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목회는 교회안에서만 이루어지다 청교도시대에 와서 교회밖에서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R.Baxter The Reformed Church 심방의 중요성을 이야기함.
3)1700년대에 대각성 운동이 일어남. 회심을 중요시함
8.19-20c 부흥사(Revivakist)
1)강력한 선교운동, 전 세계에 복음을 전파하려는 노력이 일어남
2)이 당시 목회자의 사명은 : 영혼을 회개시켜서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것이었다.
3)쇼맨쉽 발휘- 희화화(희극적인 모습)됨 ; 경건한 예배가 요청됨
9. 현재
1)부흥회 잘 안 모인다.
2)대형집회의 불가능성
획일성 - 다양성
보편성 - 특수성
집단성 - 개체성
◎현대사회가 목회자에게 거는 기대
1)En -abler :잠재능력을 실현시켜주는 사람으로
* H.Otto는 인간이 발휘하고 있는 능력은 자기에게 주어진 능력에 10%밖에 안된다.
2)Pastorol Director : 목회지휘자
다양한 사람들의 모임 : 각 개성을 존중하면서 하나로 조화시키는 것
3)Pro-special(전문가) : 영적인 전문가
목회자에게 기대하는 것은 세상적지식이나 처세술이 아니다.
4)상담자 : 상한감정을 치유, 심령치유자(the cure of soul)
5)변화의 촉매자 : 모든 이들은 지금의 상태보다 낫게 변화되기를 기대한다.
Real ego - Ideal ego사이에서 방황
*Mc.Brown는 모든 목회의 초점은 회심에 주어져야 한다. 변화는 하나님과의 만남에서부터 시작된다. 하나님을 만날 수 있게 해주는 촉매자가 목회자이다
6)Facilitator(사역촉진자):일을 잘할 수 있도록 촉진시켜주는 자로, 능력 가진자를 쉽고, 잘 할 수 있도록 촉진시켜 주는 사람으로 기대하고, 요구하고 있다.
7)목회행정가
8)교육자
'목사! 선교사! 목회자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목사의 성공적 가정 교육 (0) | 2018.01.18 |
---|---|
[스크랩] 교회 개척시 목회자가 지불해야 할 대가들 (0) | 2018.01.18 |
[스크랩] 전도자의 삶과 체크리스트.시간관리 (0) | 2018.01.17 |
[스크랩] 2017 목회자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0) | 2018.01.15 |
[스크랩] 목사 5명중 3명, 월사례비 약 160만 원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