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禁食) (fast)
“이르기를 우리가 금식하되 주께서 보지 아니하심은 어찜이오며 우리가 마음을 괴롭게 하되 주께서 알아 주지 아니하심은 어찜이니이까 하느니라 보라 너희가 금식하는 날에 오락을 찾아 얻으며 온갖 일을 시키는도다“ (사58;3)
성도(聖徒)의 보다 깊이 있는 삶을 위한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더 많은 時間 금식하여 하지 않는가?” “금식은 신약의 교회에서 잊혀진 은혜인가?” “당신은 금식하는가?” “얼마나 자주하는가?” “왜 금식(禁食)하는가?” 등입니다.
이번 과에서는 이러한 질문(質問)들에 대하여 몇 가지로 답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모세 오경에서는 금식에 대해서 찾아 볼 수 없으나 歷史書에는 자주 언급 되어 있습니다. 천주교에서는 자주 금식(禁食)하지만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는 극단적으로 거의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않습니다.
“이는 너희에게 큰 안식일인즉 너희는 스스로 괴롭게 할지니 영원히 지킬 규례라” (레16;31) 금식은 “영혼에 고통(苦痛)을 주는 것” 시편(詩篇)에서 이렇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나는 저희가 병들었을 때에 굵은 베옷을 입으며 금식하여 내 靈魂을 괴롭게 하였더니 내 기도가 내 품으로 돌아왔도다” (시35;13)
하나님은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압제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사58;6)고 하셨습니다.
1. 구약(舊約)의 금식 규범 6가지
1) 음식을 엄격히 절제한다.
2) 하나님께 겸손히 죄를 자복한다.
3) 하나님의 모습을 열심히 찾아낸다.
“내가 금식하며 베옷을 입고 재를 무릅쓰고 주 하나님께 기도하며 간구하기를 결심하고” (단9;3)
4) 그들 자신과 다른 이를 위해서 진정으로 화해한다.
5) 가난한 이들에게 희사한다.
6) 기도하고 서약한 사람으로 산다.
2. 구약(舊約)의 금식의 이유 (理由)
1) 깊은 애통을 표현하기 위하여
“그 뼈를 가져다가 야베스 에셀나무 아래 장사하고 칠 일을 금식하였더라” (삼상31;13)
2) 하나님의 진노를 막기 위하여
“다윗이 그 아이를 위하여 하나님께 간구하되 금식하고 안에 들어가서 밤새도록 땅에 엎드렸으니” (삼하12;16)
3) 죄를 뉘우치고 애통함을 표현하기 위하여
“왕이 그 대신으로 더불어 조서를 내려 니느웨에 선포하여 가로되 사람이나 짐승이나 소 떼나 양 떼나 아무 것도 입에 대지 말지니 곧 먹지도 말 것이요 물도 마시지 말 것이며” (욘3;7)
3. 잘못 된 금식(禁食)
1) 하나님이 보시도록 전시한다.
“이르기를 우리가 금식하되 주께서 보지 아니하심은 어찜이오며” (사58;3)
2) 그들의 영혼을 단지 괴롭힐 뿐이다.
“우리가 마음을 괴롭게 하되 주께서 알아주지 아니하심은 어찜이니이까” (사58;3)
3) 개인적인 쾌락을 위한 것
“보라 너희가 금식하는 날에 오락을 찾아 얻으며” (사58;3)
4) 필요 이상으로 노동을 강요한다.
“온갖 일을 시키는 도다.” (사58;3)
5) 투쟁이나 논쟁을 위한 것이다.
“보라 너희가 금식하면서 다투며 싸우며” (사58;4)
6) 폭력으로 망하게 한다.
“악한 주먹으로 치는 도다” (사58;4)
7) 하나님으로 하여금 그들의 목소리를 듣게 하려는 것이다.
“너희의 오늘 금식하는 것은 너희 목소리로 상달케 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사58;4)
8) 갈대처럼 머리를 숙인다.
“그 머리를 갈대같이 숙이고 굵은 베와 재를 펴는 것을 어찌 금식이라 하겠으며 여호와께 열납 될 날이라 하겠느냐” (사58;5)
9) 슬픔으로 앉아 있다.
4. 올바른 금식(禁食)
1) 사악한 마음을 푸는 것이다.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주며” (사58;6)
2) 무거운 짐을 풀어 주는 것이다.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사58;6)
3) 모든 압제당하는 것을 자유케 하는 것
“압제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사58;6)
4)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는 것
“또 주린 자에게 네 식물을 나눠 주며” (사58;7)
5) 가난한 자들을 자기 집에 들이는 것
“유리하는 빈민을 네 집에 들이며” (사58;7)
6) 헐벗을 자들에게 옷을 입히는 것
“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사58;7)
7) 친척들에게 자신을 들어 내 보이는 것
“또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사58;7)
8) 약1;27절에 요약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아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이것이니라”
5. 예수님과 금식(禁食)
1) 예수님은 율법을 지켜 금식하지 않으셨으나 중요한 유대 금식을 지키셨다
“사십 일을 밤낮으로 금식하신 후에 주리신지라” (마4;2)
2) 금식을 악용하는 것에 대해서 경고하셨다.
“금식할 때에 너희는 외식하는 자들과 같이 슬픈 기색을 내지 말라 저희는 금식하는 것을 사람에게 보이려고 얼굴을 흉하게 하느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저희는 자기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마6;16)
3) 당신이 떠나가신 후에 제자들이 금식할 것을 말씀하셨다.
“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막2;20)
4) 어떤 악마도 기도로 추방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이르시되 기도 외에 다른 것으로는 이런 유가 나갈 수 없느니라 하시니라” (막9;29)
6. 신약(新約) 교회(敎會)에서의 금식
1) 사도 바울은 금식을 했다 (음식이 없어서 금식했음)
“또 수고하며 애쓰고 여러 번 자지 못하고 주리며 목마르고 여러 번 굶고 춥고 헐벗었노라” (고후11;27)
2) 선교사를 파송하기 위해서 안디옥 교회는 금식했다.
“주를 섬겨 금식할 때에 성령이 가라사대 내가 불러 시키는 일을 위하여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세우라 하시니 이에 금식하며 기도하고 두 사람에게 안수하여 보내니라” (행13;2-3)
3) 장로를 임명하기 전에 교회가 금식했다.
“각 교회에서 장로들을 택하여 금식 기도하며 저희를 그 믿은 바 주께 부탁하고” (행14;23)
4) 금식은 음식 절제뿐 아니라 합의상 부부생활도 포함된다.
“서로 분방하지 말라 다만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하여 합의상 얼마 동안은 하되 다시 합하라 이는 너희의 절제 못함을 인하여 사단으로 너희를 시험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 (고전7;5)
7. 유대인들의 금식에 대한 성경적인 근거(根據)
1) 금식의 성경적 배경(背景)
“금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께 십계명을 받을 때 (출34:28)
2) 일 년에 한 번인 경우
① 유대 월력으로 7월 10일 대 속죄일에 금식 (레16:29-34;민29;7;
② 초기 신약시대에는 사순절 기간에 하루 중 한 끼만 금식을 하였다
3) 일 년에 네 번인 경우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있는 동안에 다시는 그러한 비극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 년에 4번(4,5,7,10월) 금식을 하였다(슥8:19).
① 4월 9일(성전 함락일) : 시드기야왕 11년에 바벨론에 의해서 (렘52:6;왕하25:3-4).
② 5월 7일(성전이 불탄 날) : 바벨론 왕의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딘에 의하여 성전과 왕궁이 소화되고 모든 귀인의 집에 불을, 성벽을 헐었고 모든 백성들을 바벨론으로 사로잡아 간 날 (왕하25:8~12;렘52:12,13)
③ 7월 2일(그달리야 피살일) : 바벨론왕이 유다에 남아있는 이스라엘을 관할하는 책임자로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달리야'를 세웠다. 그러나 예레미야 선지자를 도와준 것에 대해 반발하여 10여명의 사람들이 그를 죽였다. (왕하25:25;렘40:5,6,41:1-7)..
④ 10월10일(성전 포위 개시일) : 예루살렘 성이 포위된 날. 2년 넘는 포위로 말미암아 상대방의 자녀를 잡아서 먹을 정도로 극심한 기근과 고통이 시작된 날(왕하25:1;렘41:1-).
4) 일주일에 두 번인 경우
① 유대인들은 월요일(모세가 시내산에서 내려 온 날)과 목요일(모세가 시내산에 올라 간 날)을 금식일을 지켰다(눅18:12).
②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주 2회로 수요일(유대인의 음모의 날)과 금요일(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날)에 금식했다.
정리
오늘날 금식(禁食)의 가치(價値)는 의학적 물리적 관점에서 신체(身體)에 좋습니다. 너무 많이 먹어서 소화기관이 쉬지 못하고 일을 하여 피곤(疲困)하게 만들고 비만을 재공하고 있습니다. 금식의 根本的인 뜻은 영적인 목적을 위해서 음식을 절제하는 것입니다.
직접적(直接的)인 축복을 얻기 위해서 하는 금식을 잘못입니다. 또한 금식은 기계적(機械的)이거나 의례적(儀禮的)이어서는 안 됩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금식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삶에 필요합니다. 그러나 금식(禁食) 대신 말씀을 양식을 사모하십시오.
많은 교인 (그리스도인)들이 '금식'이란 하나님의 뜻과 상관없이 오로지 자신의 소원(所願)을 이루기 위한 方法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식'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도깨비 방망이인양 성도들을 기만하는 거짓 선지자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그들은 나아가 건강과 미용(美容)에도 좋다고 선전하여 '단식(斷食) 또는 절식(絶食)을 금식(禁食)과 혼용하는 무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런 연유로 '굶식'이란 신조어(新造語)가 생긴 것입니다.
문제는 단식(斷食)과 절식(絶食)을 하고도 '금식'을 했다고 드러내는 그리스도인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금식”의 本質을 잘 모르거나 왜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경에서 요구하는 “금식”에 대하여 잘 알아야 하겠습니다. 금식에 대해서는 이사야 58장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기도!! 기도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 구약 성경 안에 기록된 기도 사례 (0) | 2016.07.10 |
---|---|
[스크랩] 성경에 나타난 기도의 종류 (0) | 2016.06.09 |
[스크랩] 1. 영적 전쟁의 승리는 중보 기도에 달려 있다. (0) | 2016.05.18 |
[스크랩] 성화와 기도 (0) | 2016.05.18 |
[스크랩] 회개의 6대 필수요소, (0) | 2016.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