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창조의 신비 101

과학자들은 종교를 어떻게 생각할까 (현우식

과학자들은 종교를 어떻게 생각할까 (현우식 지음, 동연 펴냄) 1. ‘과학과 종교’를 학제적으로 연구하는 인지과학자이자 목회자로 현재 호서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저자는 이 책에서 지동설을 주창했던 코페르니쿠스에서 인간 게놈 프로잭트의 책임자였던 프랜시스 콜린스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역사에 위대한 족적을 남겼거나 과학과 종교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던 15명의 과학자들을 선정하여 그들이 종교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들에게 종교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그들은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작은 판형으로 200여 페이지 남짓한 얇은 분량에 일반인도 읽을 수 있도록 비교적 쉽게 쓰여진 책이지만,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과학과 ..

신학자의 과학 산책 (김기석 지음

신학자의 과학 산책 (김기석 지음, 새물결플러스 펴냄) 『신학자의 과학 산책』은 영국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지금은 성공회대학교에서 가르치는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과학과 종교”라는 강의로 학생들과 나누었던 이야기들을 묶어 펴낸 책이다. 저자는 근대 이후 눈부시게 발전한 현대 과학이 기독교의 독점물이던 ‘진리의 왕좌’, '진리의 교도권'을 를 차지하게 되면서, 기독교인들은 과학과 기독교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 신앙과 과학의 본질이 무엇인지 깊이 성찰하고, 과학과 신앙의 다양한 관계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넒히며, 우주와 생명 그리고 정신에 대한 현대과학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소개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밝힌다. 종교와 과학에 ..

창조의 주체

창조의 주체 1) 창조의 주체 창조는 특히 성부의 사역(고전8:6)이나 다른 두 위, 즉 성자(요1:3;고전8:6;골1:15,16)와 성령(욥26:13;시104:30)도 이 일에 동참하셨다(창1:2;요1:3). 이와 같이 하나님만이 창조의 주체가 되신것, 즉 창조가 하나님의 자유로우신 행위란 사실은 창조의 주체와 객체를 혼동하는 범신론과 엄연한 차이를 지닌다. 2) 창조의 시기와 방법 시간의 시작인 태초(창1:1)에 하나님께서는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셨다(시33:6;요1:3;히11:3). 그러나 그 직후 이미 있던 재료, 즉 흙이나 갈빗대로 아담과 하와를 만드신 것(창2:7,22)도 창조의 영역에 속한다. 3) 창조의 목적 혹자는 창조의 목적을 인간의 행복에서 찾으려 하나 궁극적인 목적은 오히려 하..

현대 과학적 접근으로 창세기 1장 해석, 너무나 위험한 시도

현대 과학적 접근으로 창세기 1장 해석, 너무나 위험한 시도 [2020.04.22 06:23] 신학 역사는 창세기 1장 해석에 어떤 틀을 제공해 왔나(1) 오리겐 ▲The Church Fathers, 11세기에 그려진 교부 사진. ⓒ정현욱 목사 블로그 과학 수준이나 발전에 따라 창세기 1장 해석 수정해 왔다면, 창세기는 ‘누더기 책’ 됐을 것 오리겐, 삼위일체 틀 안에서 창조 설명 노력 기독교 신학자들은 창세기 1장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 왔을까? 역사 속에 나타난 많은 신학자들 중 창세기 1장 해석에 있어 중요한 두 신학자를 살펴보려 한다. 바로 오리겐과 칼빈이다. 한 사람은 그리스도교 신학의 초기 형성기에 있어 미숙한 가운데 창조 신앙 해석의 틀을 놓은 사람이고, 또 한 사람은 성경과 역사 속 신학자들..

노아 방주의 신비

Q1. 노아 방주가 실제로 존재하였음이 왜 그렇게 중요합니까? 노아의 방주가 실제로 존재하여 수많은 동물들을 홍수로부터 구해 냈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먼저 성경 창세기에 무려 6, 7, 8, 9장에 걸쳐 기록된 노아의 홍수사건과 방주로 동물들을 구해낸 사건이 한낮 설화나 후세의 사람들이 지어낸 이야기라면, 성경 말씀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권위를 지니지 못한다. 노아의 홍수와 방주사건은 성경 도처에서 인용되고 있고, 마지막 때에 예수님 재림시의 심판과 구원을 상징하는 사건인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거부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성경을 비판할 때 노아의 홍수와 방주사건을 제일 먼저 들고 나와 비판해 왔으며, 무신론자, 이성주의자, 인본주의자, 과학주의자, 진화론자들이 성경을 비지성적이며, 비과학적인 책..

노아의 홍수 -- 발표자 오복주 집사님

노아의 홍수 -- 발표자 오복주 집사님 노아의 홍수는 심판을 의미하는 홍수이다. 홍수사건을 역사적 사실로 믿지 않고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무 논리도 전개 정리가 안 되고 오늘날 날마다 사용하고 있는 석유, 석탄의 기원과 화석 연료의 근원을 제시 하지 못 한다. 홍수사건은 역사적 사실에 기초해서 기록된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 신화 속에는 수십 가지 홍수 설화가 남아 있다. 홍수에 대한 이야기는 전달 됐는데 전해지면서 여러 변형이 되었다. 홍수라는 사건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가장 변형되지 않고 성실하게 제대로 전달된 것이 성경에 기록된 홍수 이야기다. 성경을 믿는 길 밖에 없다. *노아의 홍수 사건을 증거 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 2가지 1. 석유, 석탄 (화석화 된 것) 돌로 된 여러 가지 화석자료 2..

TIME지가 강력히 비판한 진화론의 문제점들고건 : 서울대학교 전산과학과 교수

TIME지가 강력히 비판한 진화론의 문제점들 고건 : 서울대학교 전산과학과 교수 Time지는 최근 세 차례 진화론을 특집으로 다루었다. 한번은 생의 기원에 대해서, 또 한번은 진화에 대해, 그리고 한번은 인류의 조상에 대해 각각 표지를 장식하는 특집기사를 보도했다. Time지는 세계 누구나 그 권위를 인정하는 시사주간지이다. 이러한 Time지가 다윈의 진화론은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고 이제 폐기될 수밖에 없는 이론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 세 기사를 중심으로 세계 유명 시사주간지에 조명된 진화론의 현주소를 소개하고자 한다. 1993년 10월 11일자 Time지의 표지기사는 "생의 기원"이다. 1871년 다윈은 첫 생명이 물 속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1953년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