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다원주의 시대의 기독교 영성 유해룡 교수 I. 서론 도시문명과 물질문명 그리고 무기력힌 서구의 기독교 문화로부터 사람들은 점점 내적인 궁핍과 굶주림을 호소하고 있다. 그래서 이미 서구에서는 그들의 문화와 가치관에 근본적인 틀을 제공하고 있는 기독교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으로서 무신론 주의가 등장했고, 내면세계의 풍요와 성숙을 꾀하는 인본주의적인 내면운동(혹은 뉴에이지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II. 종교다원주의의 뿌리 화이트 헤드(A.N. Whitehead)는 1930년대에 쓰여진 그의 길에서 밝히기를 “제도권 교회 안에서의 하나님은 ’제일의 원인‘이라는 얼어붙은 이미지 아래에 있는 종교 안에 갇혀 있다’라고 지적했다.1) 여기 얼음의 이미지는 하나님에 대한 상실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따스함과 생명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