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교회사!!

[스크랩] 중세교회/대표적인 스콜라 신학자

하나님아들 2013. 8. 21. 12:01

대표적인 스콜라 신학자                                                         

이름
연대
목회지
주요 저서
신앙과 이성에
 대한 견해
우주의 본성에
대한 견해
주요 사실

안셀무스

1033
-1109
이탈리아
프랑스
켄터베리
  • 독백론
  • 대화론
  • 왜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나?
"신앙은 지식에 선행(先行)한다."
실재론자-보편은 개별적 물체에 앞서 실재한다.
이탈리아 태생으로 프랑스 수도원에 입문하여 1093년 켄터베리의 대주교가 되었다. 평신도 서임을 반대하였으며 신(神)존재논쟁에서 존재론적인 주장을 창안해내었으며 그리스도 속죄의 핵심적인 견해를 선언하였다.

피터 아벨라르

1079
-1142
프랑스
  • 긍정과 부정
  • 기독교 신학
  • 불행의 이야기
"이해될 때까지 아무것도 믿을 수 없다."
보편실재론자-보편은 개별적물체 속에 있다.
어린 시절부터 지도교사들과 논쟁하였으며 이후 파리 성당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엘로이즈와의 결혼생활로 아버지가 되었으나 엘로이즈의 삼촌에 의해 거세되었다.
수도원에 은거하였으나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를 선동한 죄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1090년경
-1153년
프랑스
  • 겸손과 교만의 단계들
  • 하나님 사랑
"하나님은 사랑이신 분으로 알려진다."
신비론자
귀족 계층 출신으로 시토수도원에 1113년 입문하여 이후 클레르보에 수도원을 세웠다. 제2차 십자군운동에 앞장섰으며 아벨라르의 격렬한 반대자로 찬송시도 많이 작사하였다.

피터 롬바르드

1095년
-1159년경
이탈리아
파리
  • 명제집(전 4권)
신앙의 갈등은 이성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보편실재론자
북이탈리아 태생으로 아벨라르의 제자로 파리의 주교가 되었다. 그의 명제집은 중세 조직신학의 교과서가 되었으며 7성사를 강조하였다.

성(聖) 빅토르
위고

1096년경
1142년
삭소니
파리
  • 대명제집
신앙은 확실히 "경험보다 위이고 학문보다는 아래이다."
신비론자
삭소니 태생으로 파리의 성(聖) 빅토르 학교에 입학하여 후에 교장이 되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1200년경
-1280년
바바리아
파두아
파리
꼴로뉴
  • 본성체계론
  • 마리아 찬가
"신학은 참된 의미에서의 학문이다."
보편실재론자
바바리아에서 태어나 도미니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아퀴나스의 스승으로 레겐스부르크의 주교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깊은 식견을 지녔고 마리아 숭배를 찬양하였다.

존 보나벤투라

1217년경
-1274년
이탈리아
  • 그리스도의 빈곤
  • 성프란시스의 생애
  • 연설록(문집)
  • 신(神)의 마음에 이르는 길
참된 지식은 신(神)과의 명상에서만 얻을 수 있다.
신비론자
투스카니 태생으로 17세에 프란시스코 수도회의 책임자가 되었으며 마리아 숭배의 예찬론자로서 주옥같은 찬송시를 지었다.

토마스 아퀴나스

1225년경
-1274년
이탈리아
파리
꼴로뉴
  • 신학 대전
  • 대이방인 대전
  • 대 그리스 오류론
자연이성은 인간을 "신앙의 문"으로 안내한다.
보편실재론자
아퀴노의 귀족가문 태생으로 5세에 몬테카시노수도원에 입문하였고 19세에 도미니코수도원에 다시 입문하였다. 스승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게 사사를 받았으며 파리, 꼴로뉴, 이탈리아 등지에서 설교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어거스틴의 저작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의 신학체계를 세웠다.

존 둔스
스코투스

1266년경
-1308년
영국
파리
꼴로뉴
  • 옥스포드 저작집
  • 논제집
신(神)에 대한 지식은 이성으로가 아니라 교호의 권위에 근거해 수용해야만 한다."한가지 사물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철학에서는 진리이지만 신학에서는 그렇지 않다."
보편실재론자
영국 태생으로 프란시스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옥스퍼드에서 연구와 교수생활을 하였다. 파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아퀴나스의 적수가 되었다.
성모 마리아의 정결교리(무흠설)에 영향받았다. 후에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그는 저능아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윌리암 옥캄

1280년경
-1349년
영국
파리
뮌헨
  • 논리학 대전
  • 스승과 제자의 대화록
"교리는 독특함이란 계시된 신학이 순수이성의 증거에 민감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유명론자-보편은 사물이 있은 뒤에 실재한다.
서레이 태생으로 프란시스코수도회에 입문하였고 둔스 스코투스에게 사사를 받았다. 파리대학 교수생활을 하였으나 그의 이론으로 인하여 파문당하게 되었다.
특히 교항무오설에 반대하였고 교회의 일반적 권위를 배격하였다.

출처 : 삼용이와 순애
글쓴이 : 따스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