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헤드린(Sanhedrin)
1. 산헤드린이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데 앞장선 이스라엘 최고의 종교법정)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잔과 대접의 겉은 깨끗이 하되 그 안에는 탐욕과 방탕으로 가득하게 하는도다”(마태복음 23:25)
이 말씀처럼 이스라엘의 종교지도자들은 예수님께 호되게 비난을 받았으며 겉으로 보이는 모습은 깨끗하나 그 속은 썩어 버린 사람들로 비유되었다. 예수님을 눈의 가시처럼 여기던 그들은 예수님이 진정한 메시아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결국 예수님을 죽이는데 앞장섰다.
“저희가 예수를 끌고 대제사장에게로 가니 대제사장들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이 다 모이더라”(마가복음 14:53)
“아리마대 사람 요셉이 와서 당돌히 빌라도에게 들어가 예수의 시체를 달라 하니 이 사람은 존귀한 공회원이요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자라”(마가복음 15:43)
“바울이 공회를 주목하여 가로되 여러분 형제들아 오늘날까지 내가 범사에 양심을 따라 하나님을 섬겼노라 하거늘”(사도행전 23:1)
“날이 새매 백성의 장로들 곧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모이어 예수를 그 공회로 끌어들여”(누가복음 22:66)
“바리새인 가말리엘은 교법사로 모든 백성에게 존경을 받는 자라 공회 중에...”(사도행전 5:34)
위의 말씀에 등장하는 대제사장들과 장로들, 서기관들, 공회, 공회원이 바로 산헤드린(Sanhedrin)을 일컫는 말이다. 이것은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적당한 어휘가 없어서 이렇게 번역된 것인데 원어 성경에는 산헤드린(Sanhedrin = a sitting together, 둘러앉음)이라고 표기되고 있다. 산헤드린은 이스라엘 최고 평의회 겸 최고 종교 재판소였다.
2. 역사적 배경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이스라엘 노인 중 백성의 장로와 유사 되는 줄을 네가 아는 자 칠십 인을 모아 데리고 회막 내 앞에 이르러 거기서 너와 함께 서게 하라 내가 강림하여 거기서 너와 말하고 네게 임한 신을 그들에게도 임하게 하리니 그들이 너와 함께 백성의 짐을 담당하고 너 혼자 지지 아니하리라” (민수기 11:16-17)
출애굽 후 모세는 70인을 모집하여 하나님의 뜻을 따라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게 하신다. 지금 이스라엘 종교지도자들은 이 말씀이 산헤드린의 기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공회는 모세 그리고 70인의 장로와 유사들 즉, 1명의 의장(Nassi)을 포함한 71명으로 구성된 일종의 의결 기구였다. 이 시대의 산헤드린은 모든 것이 자주적으로 운영되고 재판받는 자의 권리가 보장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책임이 주어져 있었다. 신문을 하기 보다는 신문을 받는 자의 입장을 변호하는 일을 주로 했었다.
로마 지배 시대에 이 공회는 이스라엘의 가장 큰 세력이었다. 예루살렘에 있던 대공회는 대제사장들 및 서기관들 그리고 바리새인들, 사두개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사법권뿐만 아니라 유대 율법에 따른 재판권도 행사하였다. 그들은 아주 거룩한 사람들이라 여겨졌으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이라 일컬어졌다. 당시에 산헤드린이 이스라엘 최고의 기관이기는 했지만 이스라엘은 로마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사형 집행권은 로마에게 있었다. 하지만 산헤드린은 민중을 선동하여 당시 로마의 총독이었던 빌라도에게 압력을 행사했다. 결국 폭동을 우려한 빌라도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데 동의하고 말았다. 이렇듯 산헤드린은 예수님의 죽음에 직접적으로 관여했을 뿐만 아니라 순교를 당한 다른 사도들을 재판했다.
“... 그 피를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돌릴지어다...”(마태복음 27:25)
이렇게 말하며 선동했던 그들은 그 피 값이 자신들에게 어떻게 돌아올지 몰랐을 것이다. 결국 그들은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후 점차 힘이 약화되어 디베리아(Tiberias)에서 마지막 모임을 갖고 해산한다. 그때가 A.D. 450년경이다.
3. 산헤드린의 부활
2005년 10월 13일, 산헤드린은 마지막 모임을 가진 후 1,60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 바로 그 곳 디베리아에서 다시 구성되어 이 땅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랍비 아딘 스타인잘츠(Rabbi Adin Steinzaltz)를 의장(Nassi)으로 하는 71명의 구성원들로 새로운 산헤드린이 부활한 것이다. 2,000년 가까이 나라 없이 세계를 떠돌던 유대 민족이 약속의 땅 이스라엘에서 독립이라는 기적을 이루어 낸 것과 마찬가지로 산헤드린의 등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내가 너의 사사들을 처음과 같이, 너의 모사들을 본래와 같이 회복할 것이라 그리한 후에야 네가 의의 성읍이라, 신실한 고을이라 칭함이 되리라 하셨나니”(이사야 1:26)
디베리아에서의 첫 번째 회의 장면
4. 새로운 산헤드린이 하는 일
“저는 대적하는 자라 범사에 일컫는 하나님이나 숭배함을 받는 자 위에 뛰어나 자존하여 하나님 성전에 앉아 자기를 보여 하나님이라 하느니라”(데살로니가후서 2:4)
이 말씀에서 보듯이 성전이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 즉 적그리스도의 처소가 되어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에게 이용당한다는 내용이다. 후에 산헤드린이 이 적그리스도에게 속아 결국 그를 메시아로 공인하는 일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런 일이 일어나기 전에 몇 가지 준비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현재 부활한 산헤드린의 구성원 중에 이스라엘 성전연구소장 랍비 이스라엘 아리엘(Israel Ariel)과 대변인 랍비 카임 리취먼(Chaim Richman)이 포함되어 있는데, 성전연구소는 다시 지을 성전에 들어갈 각종 기구와 기물들과 제사법을 과거의 방식 그대로 복원하는 일을 하는 기관이다. 현재 이러한 복원 작업은 거의 다 완성되었고 성전을 재건할 준비도 거의 완료되었다.
B.C. 582년 예루살렘의 제 1성전인 솔로몬 성전이 파괴되면서 그 행방이 묘연해진 언약궤(법궤)를 찾는 노력이 한창이었는데 1952년 5월 동(銅) 두루마리를 찾으면서 법궤에 한걸음 다가서게 되었고, 현재에는 발굴 단계에 이르렀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만약 법궤가 발굴되고 세상에 공인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진품인지 아닌지 판단해야 하는데 이런 중요한 결정을 하는 단체가 바로 산헤드린인 것이다.
이 밖에도 현재의 산헤드린이 하는 일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다윗의 혈통을 이어 받아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인물을 찾는 일(현재 누구라는 인명까지 결정된 상태이다), 나라가 없어진 동안 흩어졌던 12지파를 찾는 일, 대제사장을 할 수 있는 혈통의 자손들을 찾는 일, 이스라엘 길이의 단위인 ‘규빗(팔꿈치에서 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의 정확한 치수를 정하고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 쓰는 숄에 들어가는 청색 실이 정확히 어떤 색인지 결정하는 일과 붉은 암송아지의 적격 여부를 결정하는 일 등이다.
5. 부활한 산헤드린의 미래
과거 산헤드린은 하나님께로부터의 직임을 확정하는 안수를 하고 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직임을 수행했었다. 현재 하나님께 위임을 받아 이러한 안수를 할 수 있는 인물이 선출(2005. 6. 7)된 상태이다. 현재의 의장(Nassi)인 랍비 아딘 스타인잘츠 (Rabbi Adin Steinzaltz)가 이런 인물이고 이스라엘 내의 여러 랍비 단체들에게 공인을 받은 인물이다. 현재의 구성원들은 보다 완전한 멤버들이 나타나기까지 창립 멤버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점차 완전한 모습으로 변화하여 이스라엘의 최고 종교법정으로 부상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법궤가 세상에 공표되면 이스라엘 사회는 신정 사회로 돌아가기 위해 급격히 변화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산헤드린이 변화의 중심에 설 것이다.
랍비 아딘 스타인잘츠 (Rabbi Adin Steinzaltz)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회개와 자복의 차이점 (0) | 2013.07.17 |
---|---|
[스크랩] "하와(Haww?h)"를 왜 "이브(Eve)"라고 할까? (0) | 2013.07.17 |
[스크랩] 율법(律法)에 대한 바른 이해 (0) | 2013.07.17 |
[스크랩] 서기관 (0) | 2013.07.17 |
[스크랩] 사마리아(Samaria), 사마리아인 (0) | 201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