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과 하나님의 속성(3)
9). 사랑
1) 사랑은 정(情)을 가지고, 아끼고, 위하며, 복 되도록 육성하는 것이다.
2) 하나님의 중심적 속성으로 당신이 지으신 모든 것들을, 평강과 희락과 영생이 충만케(요16:27, 롬5:8, 요일3:1)하여, 영원 무궁토록 행복 되게 하도록 만들기 위해, 전지의 지식과 전능의 능력과 은혜와 자비와 인자와 긍휼을 가지시고, 당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시는 속성(요3:16, 마5:45)이다.
참 조 |
1) 무지 무능으로는 참사랑을 할 수 없다. 2) 선이 아니고는 참사랑을 할 수 없다. 3) 하나님의 크신 은총으로 ① 죄의 형벌 아래 있는 자를 은혜로 사랑하시며, ( 엡1:6-7, 딛2:11, 사26:10, 렘16:13, 롬3:24, 살후2:8, 행14:3, 딛3:4, 요1:16, 고전8:9 ) ② 긍휼을 베푸시고, ( 신5:10, 시57:10, 시136편, 시145:9, 스3:11, 겔18:23, 눅6:35-36 ) ③ 오래 참으심으로(출34:6, 시86:15, 롬2:4, 롬9:22, 벧전3:20, 벧후3:9,15) 죄인의 구속 사역을 이루셨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감사하며 하나님만 사랑하자. |
10). 거룩
1) 거룩은 분리(分離) 곧 구별을 의미한다.
2) 인격체나 모든 사물을 상대할 때 당신의 완전하시고, 순결하시고, 무한하신, 지공 지성(至公至聖)으로 유(類)와 유를, 질(質)과 질을, 가치와 가치를 정평정가하여, 구별하고 구별하여, 그 이상이 없는 진정성에 도달할 때 거룩이라 한다.
3) 하나님의 거룩성은 완전하시고, 지존하시며, 절대자이신 당신의 도덕적, 지능적 탁월성 내지는 초월성을 의미한다 ( 출15:11, 삼상2:2, 사57:15, 호11:9 )
참 고 |
1) ‘거룩’이란 용어가 일차적으로는 하나님께만 적용이 되지만, 2) 하나님께 속한 인물, 장소, 사물들에게 적용된 것은 그것들의 현재적 완전성을 의미하지 않고, 하나님께 속하여 그만 섬기고 그를 닮아 가야 할 존영한 관계와 위치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죄로부터 분리되어 순결해야 할 것을 요구하는 면도 포함하고 있다 ( 욥34:10, 합1:3, 히12:14, 벧전1:16, 계18:4). 3) 하나님께서는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 지어다(벧전1:16) 하셨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마5:48)고 명령하셨다.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완전하심에 보다 합치(合致) 되려 하는 것이 우리의 삶의 목표이다. 그것을 가리켜 성화(聖化)라고 한다(살전3:13). |
11). 의(義)
1) 의의 기본적인 개념(槪念)은 법칙 또는 기준에 합치(合致)하는 것이다
2) 하나님의 의는 어떤 법을 지키심이 아니고, 그의 완전한 속성 자체가 그의 행동의 표준이며, 거기에 합치되게 하시는 것이다.
3) 하나님은 그의 속성(屬性)을 거슬려 행하실 수 없는 의로운 분이다
(스9:5, 느9:8, 시119:137, 시147:17, 렘12:1, 애1:18, 단9:14, 요17:25, 딤후4:8, 요일2:29, 요일3:7, 계16:5).
참 고 |
1) 하나님은 불의함이 전혀 없으시고 통치하는 일에 공의로우셔서 법을 세우시되(사33:22, 약4:12) 그 법은 공의(公義)의 법(신4:8, 시99:4, 벧전1:17)이다. 2) 모든 도덕적 피조물에게는 하나님이 제정해 주신 법이 최고의 표준으로, 그 법에 합치되는 것을 의(義)라 하고, 배치되는 것을 죄(罪)라고 한다. 죄는 법의 요구에 명중(命中)하지 못한 이탈(離脫)이다. 3) 의인에게는 상으로, 죄인에게는 형벌로 보응하시는 하나님이시다. (사3:10,11, 롬2:6, 벧전1:17, 신7:9,12,13, 대하6:5 시58:11, 미7:20, 마5:21,34, 롬1:32, 롬2:7,9, 롬12:19, 히11:26, 살후1:8) 4) 성경에서 공의라고 할 때는 쌍방을 전제로 하여 말하며, 쌍방에 치우치지 않고, 쌍방 관계를 바로 가지는 것이 공의이다. |
5) 인간의 멸망(滅亡)은 하나님과 자기, 자기와 다른 사람, 자기와 만물과의 관계를 바로 가지지 못하는데서 오고, 인간의 구원은 하나님과 자기, 자기와 다른 사람, 자기와 만물과의 관계를 바로 가지지 못하는데서 온다. |
12). 주권(主權)
1) 주권은 주인의 권리(權利)이다.
2) 하나님의 주권은 피조물에 대한 그의 절대권인데, 이 절대권 곧 무상대권의 기초는 유일·완전한 그의 본체와 속성들이다.
3) 모든 피조물의 존재와, 활동과, 그 동작의 결과(생사화복)들이 하나님의 의지와, 그 의지 실현 능력에 근거한다.(창14:19, 신10:17, 대상19:11, 대하19:6, 시22:28, 렘22:5, 마10:29, 롬9:15, 엡1:11, 계4:11)
참 고 |
1) 주권적 의지 : 하나님의 의지 곧 그의 기쁘신 뜻은 만물 만사의 궁극적 원인이다. ① 목적 안에서 선택과 유기 (엡1장, 롬9:15,16) ② 예정(엡1장) ③ 창조(창1장) ④ 보존(시135:6, 렘18:6, 계4:11)과 통치(창21:1 단4:35)의 섭리 ⑤ 그리스도의 대속(눅22:42, 행2:23) ⑥ 거듭남(약1:18) ⑦ 신자들의 고난(벧전3:17), 인간의 삶과 운명(행18:21, 롬15:32: 약4:15)을 통한 성화(빌2:13) ⑧ 죽음 ⑨ 부활 ⑩ 무궁 세계 ⑪ 또 지극히 작은 생명체 하나까지(마10:29) 그의 의지로 예정되었다. |
2) 주권적 능력 : 하나님의 주권적 능력은 그의 주권적 의지로 목적하시고 예정하신 바를 창조와 섭리와 구속을 통하여 성취하시는 그의 무한하고 완전한 능력을 의미한다.(창18:14, 렘32:27, 슥8:6, 마3:9, 마26:53) |
연습문제
1. 사랑의 정의를 말하시오.
2. 무지 무능한 것, 악한 것이 참 사랑이 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 거룩의 정의를 말하시오.
4. 하나님이 우리에게 거룩 하라고 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5. “의” 의 정의를 말하시오.
6. 공의와 행복의 함수 관계를 말하시오.
7. 주권의 정의를 말하시오.
8.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 자세가 어떠해야 합니까?
'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리공부 - 제21과 사람과 맺은 하나님의 계약 (0) | 2013.06.12 |
---|---|
[스크랩] 교리공부 - 제11과 삼위일체(三位一體) 하나님 (0) | 2013.06.12 |
[스크랩] 교리공부 - 제 9과 하나님의 속성2 (0) | 2013.06.12 |
[스크랩] 교리공부 - 제8과 하나님의 속성1 (0) | 2013.06.12 |
[스크랩] 교리공부 - 제7과 하나님의 사역과 성호 (0) | 201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