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도! 사도신경!! 십계명!신앙고백

[스크랩] 신조란?

하나님아들 2013. 1. 24. 11:46

 

첨부파일 신조란-2.hwp

 

신조란

 

 

필립샤프의 책을 중심으로 요약 어원- 신조 (Creed, Rule of Faith, Symbol) Creed- 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의 시작부터 이 말이 사용됨, * Credo, I believe, 옥스포드 라틴어 사전에서, 라틴어의 원래 의미는 사업용어로서 어떤 사람에게 융자를 주다라는 의미에서 시작하여, 신뢰하고, 믿는 것. 좀더 발전하여 어떤 것을 진리로서 믿거나, 받아드리는 것

 

 

*Rule of Faith, 믿음의 규칙 κανων της πιστεως or της αληθειας, regula fidei, regula veritatis. 이 말들은 니케아신경이전 교부들, 이레니우스, 터툴리안에 의해서 사용되었고 가장 오래된 말들이다.

 

 

*Symbol Συμβολον, symbolum (συμβαλλειν, to throw together, to compare) 이말은 마크나 뺏지 혹은 표여, 시험이란 의미를 가진다. 250년 경 키프리안에 의해 처음으로 신학적인 의미로 사용됨. 분리주의자 노바티우스에 대항하여 사용.  

 

 

 

정의

 

신조란 공적 사용을 위한 믿음의 고백이요, 구원을 위해 또는 기독교 교회의 유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작성자들에 의해 간주되는 확실한 믿음의 내용들을 권위를 갖고 공포한 말들의 형태. (A Creed, or Rule of Faith, or Symbol, is a confession of faith for public use, or a form of words setting forth with authority certain articles of belief, which are regarded by the framers as necessary for salvation, or at least for the well-being of the Christian Church)

 

 

*신조는 시대의 상황을 반영한다. 대중적인 형식-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학문적- 종교개혁 시대와 그 이후, 목회자나 교사들을 위함 *신조는 역사적 발전이 있다. 성경적, 신학적 지식의 발전과 관계있다.

 

 

 

기원

 

그리스도를 고백할 필요성에 의해 신조가 생긴것은 자연스럽다. 마태 16:16. 베드로의 고백

 

 

신조의 권위

 

norma normans - 성경- 신앙의 규범(the rule of faith, regula fidei). 성경은 신적이요, 절대적인 권위를 갖음. 성경은 목사와 평신도의 믿음과 행위를 지배한다. norma normata - 신앙고백- 교리의 규범(the rule of doctrine, regula doctrina). 교회적,상대적 권위를 갖음. 신조는 교회정치, 예배 의식, 찬송가 등과 관련되는 교회의 헌법과 교헌 같은 교회 직분자들의 공적인 가르침만을 지배한다. *신조의 권위를 이보다 더 높이 보면 로마카톨릭 교회의 오류로 된다. 희랍교회와 로마교회는 자신들의 인정한 신조를 무모하다고 주장

 

 

신조의 가치와 용도

 

성경의 교훈을 요약. 올바른 이해에 도움을 주며, 성경을 가르치는자를 하나로 묶어주고, 거짓교훈과 생활을 막아내는데 공적표준으로서 방패가 된다. 신조 만능주의 또한 경계해야 한다. 교회는 신조와 더불어서 성령님과 하나님의 말씀이 역사할 때 참된 부흥

 

 

중요한 신조들

 

에큐메니칼 신조란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아다나시우스 신조.

 

 

 

사도신경

 

기원은 핵심(기독론)에서 마태 16:16, 세례의식에 사용되기 위해 삼위일체 순서 따라 배열, 저자 미상 4세기 이전 서방교회, 니케아신조(동방교회 산물), 사도의 친 저작자가 아님, 세례를 위한 신앙고백으로 사용되다가 차츰 초대 기독교의 내적 생활과 실천적 요구를 위해서도 사용됨. 루피누스의 라틴어 본문과 마르셀루스의 헬라어 본문.

 

 

니케아신조 (325)

 

아리안이단에 대한 승리로, 그리스도의 신성에 관한 표현이 분명, 동질, 동등(호모우시우스), 창조이전의 발생, 참하나님의 참 하나님. 발생되고 피조되지 않으심. 동방신조는 이단과 싸움을 하던중에 신조를 만들었기에 신조가 형이상학적이고 논쟁적이고 완만한 표현을 가짐, 서방신조는 단순하고 실제적, 정적. 필리오퀘(filioque, 그리고 아들) 교황의 권위 문제 다음으로 동서 기독교를 갈라지게 한 가장 큰 요인. 희랍교회는 성부의 유일한 신성과 신성의 본체를 의미하는 monarchia를 강조함으로써 성령이 오직 성부에게서만 발출되었다는고 하는 단순발출을 가르쳐 삼위의 내재적 영원발출을 위한 길을 열어놈, 성부와 성자에 의한 지상사역을 명확하게 했다. 라틴교회는 성작가 성부와 동등함에 관심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발출(processio)을 넓은 의미로 해석, 어거스틴 이후로 성령이 성부와 그리고 성자에게(filioque) 발출했다는 이중 발출 교리를 동방교회와 협의 없이 신조속에 포함시켰다. 3차 톨레도 회의 589년에 필리에퀘 등장.

 

 

칼케돈신조- 451.

 

그리스도의 이성교리(신성과 인성)를 완성, 네스토리우스와 유티코스의 잘못된 사상을 배격.

 

 

아다나시우스신조

 

4차 에큐메니칼회의 때까지(325-451)의 교리적 결정들과 삼위일체와 성육신에 대한 어거스틴 사상을 요약 저주문은 조화미를 잃게함(삼위일체와 성육신을 반대하는자는 영원히 멸망을 받으리라고 저주, 이단의 위험을 경고)

 

 

트랜트신조

 

1563년 교리적 논쟁을 종식시키기 위한목적과 카톨릭교회 자체를 검토하여 지서를 바로잡기위함. 참조 교재, 14. 교황의 무오설을 만듬.

 

 

루터란 신앙고백서

 

아우구스부르그 신앙고백 1530, 맬랑톤이 저작. 쯔윙글리, 칼빈도 인정함 루터의 소요리 문답(칼빈에게 영향을 줌), 대요리 문답. 일치신조-1577, 문제점과 실수한 신조로 규정, *루터파과 칼빈파의 차이점은 신론, 기독론, 인간론, 구원론, 종말론에 비슷하지만, 성례의 성질과 효능, 특히 성만찬에서의 그리스도의 임재 방식에 관한 교리에서 차이가 난다.

 

 

개혁파신조

 

여러 지역과 나라들에서 자기들의 교리와 교회정치의 표준위한 신조를 만듬 개혁파의 신조는 루터파보다 교회의 전통을 중시하지 않고 더 성경 중심적 특성을 지닌다. 성경범위 안에서 여러형태의 교리나 신학사상을 자유롭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허용함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개혁교회의 신조들은 본질적인 신앙의 내용에서 루터파의 신조들보다 더 많이일치하고 있다. 개혁파 신조는 쯔윙글리와 칼빈적 후자가 더 발전적이고 성숙한 형태를 보임, 칼빈주의 체계를 나타냄. 쯔윙글리적 신조특징: 신앙과 조직과 관례의 모든 문제에서 교회의 전툥이 아닌 오직 성경을 의지, 올바른 해석을 위하여 일반적인 양식과 역사적 전망을 인정함, 하나님, 성만찬은 상징설. 쯔윙글리와 불링거의 신조1523년의 취리히 67개 조문(쯔윙글리) 시작으로, 일조는 교회의 권위 보다 성경의 권위를 말함. 1528년 베른의 10개 결정은 제 2조에서 성경의 권위를 강조, 1534년 바젤의 제 1 신앙고백- 쯔윙글리 사상으로 작성, 성서를 유일한 규준. 1560년 스코트랜드 신앙고백에 영향- 하나님만 섬긴다는 고백. 1536년 제 1 헬베틱(스위스) 신앙고백 혹은 바젤의 제 2 신앙고백는 거국적 스위스 신앙 고백서, 민족적 권위를 가진 것으로 첫번째 개혁교회의 신앙고백. 5조항은 성서관과 해석.루터교회와 스위스를 연합시키려는 의도에서 부처와 카피토가 작성 1549년 취리히 일치신도-불링거와 칼빈의 신학적 일치를 보임. 성경권위 강조, 성찬-영적 실재에 대한 단순한 상징. 칼빈의 사상을 불링거가 약간 수정함. 루터파에게 큰 도전을 줌 제 2 스위스 신앙고백(불링거)1566년 독일의 프레드릭이 제국회의에서 공인된 문서로 제출, 1567년 헝거리가 사용, 1571, 프랑스와 폴랜드가 받아들임. 1조는 성경의 권위와 그 문맥에 비추어 해석할 것 말함. 이 고백서는 쯔윙글리와 칼빈의 입장을 결합한 것. 신학적 장점에서 으뜸, 실용적인 면은 약함. 논리적인 명확성과 정밀도에서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뒤짐.

 

 

칼빈주의 고백서

 

 

칼빈주의는 루터파보다 더 널리 전파됨. 그 교리의 형태가 보편성이 있음이 역사적으로 증명. 민족적 차이를 넘어, 모든 곳에서 삶의 경향을 승화시킴, 종교적, 일반적 문화에 대한 열의를 줌. 칼빈의 신학사상이 많은 신앙고백서를 만들게 하였으며, 그것들이 칼빈의 신학체계와 유사하고 상호간에도 유사하다. 이런 사실은 칼빈의 신학사상의 체계가 독창적인 매력과 힘을 잘 증거한다. 특징 : 1. 성경의 권위와 해석방법 2. 하나님의 영원하고 절대적인 섭리, 예정론. 3. 영적 임재의 성만찬 4. 교회 정치는 장로들의 회의에 의한 통치. 이 네가지는 실제적인 동기에 의해 형성되고 성경과 잘 일치된다. 그러나 그의 예정론은 모든 사람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어거스틴을 따라 타락후 예정론을 주장했기 때문이며. 이중예정론을 설파했다. 기독교강요은 절대적인 영향을 신앙고백서들에게 줬다. 이것은 신앙 고백과 교리문답을 해석해 주는 원천이 되었기 때문이다 1536년 판- 여섯 장, 루터의 소요리문답에 영향받음 1. 율법 2. 신앙(사도신조) 3. 기도(주기도문) 4. 세례와 성만찬 5. 예식의 참된 성격 6. 그 리스도인의 자유, 교회의 권한, 정치적 행정. 1559년 판- 1권은 창조주 하나님을 아는 지식, 성경관 2권은 구속주 하나님을 아는 지식, 율법과 복음. 3권은 그리스도의 읕총, 4권은 그리스도와 교재, 교회. 세속통치.

 

 

스위스와 프랑스의 신앙고백서

 

1536년 제네바 교리문답- 칼빈이 작성, 시민이 서명함. 1545년 취리히 신앙고백, 1549년 취리히 일치신조, 1552년 래티아 신앙고백. 칼빈과 쯔윙글리의 입장이 결합. 1552년 제네바 일치신조-목회자들의 서명을 받은 신조. 피기우스와 볼섹이 칼빈의 예정론를 비판한 후에 칼빈의 대답한 것으로, 다소 논쟁적. 예정론이 믿는자에게는 위로돠 의지가 된다고 함 1559년 프랑스 신앙고백-칼빈의 파리교회를 위해 작성 (1557년 것에 근거하여 그의 제자 앙투안느가 작성. 라 로시엘 신앙고백이라고 부는다. 1675년 스위스 일치신도- 소뮈르의 칼빈주의자들의 혁신적 사상을 정죄한 신조 하이데거가 게르늘로와 투레틴의 도움으로 작성

 

 

독일 신앙고백서

 

1554년 프랑크푸르트 외국인 공동체의 신앙고백- 성례관의 올바른 인식위해 1563년년 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우루시누스와 울레비아누스. 프레드릭 3세의 도움으로. 루터파의 온화함과 인간성 그리고 칼빈의 정확성과 포괄성을 결합, 통일성과 연속성이 뛰어남. 80문은 카톨릭의 미사를 우상숭배로 강하게 비판했기 때문에 이 교리 문답서가 한때 사용되지 못하였다. 특징 : 축복으로의 선택 이외에는 예정론 생략 80-미사란 그리스도의 단번에 드린 희생제와 수난을 부인하는 것외에 다른 것이 아니며, 정죄할 만한 우상숭배라고 진술. *트랜톤 회의-성만찬에서 지금 사제들의 사역을 통하여 같은 분을 지금도 드리시는것이다. 성례와 그리스도의 두 본성은 쯔윙글리와 칼빈의 입장 협동설에 반대는 루터와 칼빈의 입장 기조가 따뜻하고 인격적 신뢰와 중도적인 천재성이라는 점은 멜랑톤의 입장 영향 : 세계 개혁교회에서 거의 사용, 미국 화란 개혁파 사용, 1870년 미국 장로교회에서 공인 받음.

 

 

벨기에와 화란(네델란드) 신앙고백서

 

1561년 벨직고백서프랑스어로 기록, 1559년 프랑스 신앙고백의 내용과 순서를 따름. 로마카톨릭교회에 자극을 주지 않음, 37개 조항, 삼위일체, 화육, 교회. 성례들의 교리를 확대, 재세레파와 구별함. 1566년 안틉르프 대회에서 라틴어로 개정(칼빈의 제자인 프란시스 유니우스), 1619년 도르트 대회에서 불어,독어,라틴어로 개정, 화란과 남아공화국,벨기에의 교회의 공식적인 신조. 1610년 항의서(Remonstrance- a protest), 41, 알르미안신조로 5개항의 엄격한 칼빈주의 비판. 하나님의 은혜 보편성과 인간의 자유의지 주장,원죄론 약화 은총을 거절할 수 있다.견인반대. 1619년 도르트신조(Dort)- 항의자들에 대한 정통 칼빈주의자들의 대답 최고의 학자들과 많은 국가에서 대대적으로 참석(프랑스는 왕이 허락하지 않아 참석치 못함), 특징 : 철저한 변증법과 신학적 정밀성과 경건한 어조를 지닌 교의적 형태로 진술. 타락후 예정설을 주장. 두파가 스콜라 신학적인 논쟁아닌가하는 비판이 있다. 화란인의 정신이 있다. 독립 투쟁. 계시의 설명에 있어서.칼빈주의 5대 교리로 구성됨 Total Inability or Total Depravity, Unconditional Election, Particular Redemption or Limited Atonement, The Efficacious Call of the Spirit or Irresistible Grace, Perseverane of the Saints.

 

 

영국 신앙고백서1595년 렘버드고백과 1615년 아이랜드 고백서 1560년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낙스가 스위스 신앙고백서와 제네바 신앙고백에 근거하여 나흘만에 만듬. 특징 : 스코틀랜드이 민족적, 토착적 신앙고백이다. 그 시대의 격동기의 정신을 보여준다. 신학적이 아닌 실제적, 논쟁적이 아닌 설득적이다.

 

 

출처 : 예수안에 하나교회
글쓴이 : danny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