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뒤흔든 딥시크, 대체 정체가 뭐야?
출처: KBS
설 명절 잘 보내셨나요? 우리나라 증시가 설 연휴를 맞아 잠시 쉬어갔던 지난 27일 미국 증시가 털썩 주저앉는 일이 발생했어요. 특히 엔비디아 주가가 17% 가까이 떨어지면서 하루 만에 시가총액만 약 5,890억 달러(약 847조 원)가 날아갔는데요. 미국 증시 역사상 하루에 기업 한 곳의 시가총액이 이만큼 사라진 적이 없었다고. 뿐만 아니라 브로드컴, 마이크론, TSMC 등 반도체주도 큰 폭으로 하락했어요.
.
미국 증시, 왜 이렇게 크게 떨어졌어?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업인 딥시크(Deepseek)가 원인이었어요. 딥시크가 지난 20일(현지시간)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된 AI 모델 ‘R1’을 선보였는데, 전 세계가 화들짝 놀랐어요. 질문에 답하고 논리 문제를 풀고 자체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능력은 여느 AI보다 뛰어났거든요.
.
그렇게 대단해?
- 챗GPT 뛰어넘는 성능 🤖: R1은 몇몇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AI가 작년 9월 출시한 ‘챗GPT-o1(오원)’을 뛰어넘었어요. 미국 수학경시대회∙코딩 테스트에서 o1보다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 것.
- 개발 비용 확 낮춘 가성비 AI 💰: 개발 비용은 확 낮췄어요. 560만 달러(약 81억 원)를 들여 챗GPT와 유사한 성능의 AI 모델을 개발한 건데요. 오픈AI의 최신 AI 모델인 챗GPT-4를 훈련하는 데 들어간 비용(1억 달러)의 약 5%에 불과하다고.
- 고성능 AI 반도체 없어도 OK 👌: AI 모델 개발에는 고성능 AI 반도체가 수십만 개 필요해요. 하지만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 제재 때문에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를 이용하지 못했고, 이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AI 반도체로 챗GPT와 맞먹는 성능의 고성능 AI 모델 개발에 성공했어요.
- 경고등 켜진 엔비디아 🚨: 딥시크는 R1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어요. 오픈소스는 코드를 누구나 보고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게 공개하는 건데요. 다른 회사들도 딥시크처럼 저렴하게 AI 모델을 만들 수 있게 된 거예요. 때문에 엔비디아의 고가 AI 반도체 판매량이 줄고 실적이 감소할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오면서 엔비디아가 가장 큰 피해를 본 거라고.
.
이에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는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 글로벌 AI를 모두 제치고 1위를 차지했어요.
.
헉, 이제 챗GPT보다 딥시크인 거야?
한동안 딥시크 열풍이 이어질 거라는 전망인데요. “조금 더 지켜봐야 해!” 하면서 딥시크를 째려보는 사람들도 있어요:
- 답변이 이상해 🧐: 외신에서는 딥시크가 실시간으로 검열하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어요. 중국은 생성형 AI가 ‘국가 안보나 이익을 위협하거나 국가 이미지를 훼손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게 규제하고 있는데요. 딥시크가 관련 내용을 제대로 답하지 못하거나 답변을 회피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 고성능 AI 반도체 썼을 거야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어요: “이미 대중 제재 전부터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를 쟁여뒀을 거야!” 과거 미국이 중국 수출을 제재하기 전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 1만 개를 모았다고 했기 때문. 딥시크가 세계를 속이고 있다고 지적한 거예요.
- 개인정보 유출 조심해야 해 👁️: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제기됐어요. 딥시크가 키보드 입력 패턴이나 IP 정보, 쿠기 등 정보를 싹 수집하는 만큼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크다는 것. 이에 미국과 몇몇 유럽 국가에서는 앱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어요.
.
우리나라 기업들도 경고등이 켜졌다고?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에도 매출 감소 등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거라는 전망이 나와요.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데다, 삼성전자도 품질테스트를 하고 있기 때문. 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경쟁으로 AI 업계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많은 돈이 몰리면 장기적으로는 HBM 수요도 늘어나 긍정적일 거라는 의견도 나와요.
.
한입 뉴스
17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일본 금리 💴
일본은행이 기준금리를 0.25%에서 → 0.5%로 끌어올렸어요. 2008년 이후 약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데요. 그동안 꿈쩍하지 않던 일본 물가가 2%대로 안정적으로 오르고 있는 데다, 임금도 4~5% 꾸준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에요.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상이 당장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거라는 전망을 내놨는데요. 엔화로 돈을 빌려 다른 나라에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작년에 한 차례 정리되면서 엔화 가치가 낮아졌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미할 거라고.
.
보조금 중단에 떨고 있는 삼성・SK하이닉스 😨
최근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바이든 정부에서 지급하기로 약속한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을 잠깐 미루겠다고 발표했어요. 내용을 직접 살펴보기 전까지는 보조금을 줄 수 없다는 것.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기업들도 식은땀을 흘리고 있어요. 보조금을 제때 받지 못하거나 아예 취소될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 하지만 미국 연방법원이 “보조금 일단 지급해야 해!” 명령을 내리면서 보조금을 둘러싼 법적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요.
.
트럼프 압박에도 기준 금리 동결한 연준 🏦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기존 4.25~4.5%로 유지하기로 했어요. 지난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연준, 즉시 금리 낮춰!” 요구했지만 이를 따르지 않은 건데요. 연준은 미국 경제가 여전히 튼튼한 만큼 조금 더 시간을 가지고 살펴보겠다는 거예요. 이에 우리나라(3.0%)와 미국 간 금리차도 1.5%포인트를 유지했어요.
.
'정보 !일반 상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세포 발생 순간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분자스위치 (0) | 2025.02.05 |
---|---|
지난해 한국 1인당 GDP 3만6024달러 추산…일본·대만 제쳤다 (0) | 2025.02.02 |
고지혈증-고혈당인 사람 “왜 이렇게 많아”...가장 나쁜 식사 습관은? (0) | 2025.01.31 |
가려운 피부염, 긁는 게 그렇게 나쁩니까? (0) | 2025.01.31 |
딥시크 써보니… 詩-e메일 척척, 中인권 질문 답변 회피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