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일반 상식 이야기

"차라리 편의점 알바"…인력난 시달리는 '월 206만원' 요양보호사

하나님아들 2024. 10. 22. 23:49

"차라리 편의점 알바"…인력난 시달리는 '월 206만원' 요양보호사

구단비 기자, 박미주 기자2024. 10. 22.
[MT리포트]노인 돌보미 절벽 온다③
[편집자주] 내년부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다. 급격한 노인 인구 증가에도 이들을 돌볼 '요양보호사'는 턱없이 부족하다. 당장 내년부터 요양보호사 공급 부족이 시작되고 2028년에는 11만6734명이 모자랄 전망이다. 정부 제도 변화로 요양보호사 양성 기관은 줄폐업 수순이다. 노인 돌봄을 위한 장기적인 요양보호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기, 현황과 해결책을 짚어본다.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률 추이/그래픽=최헌정

내년 '초고령화사회'를 앞두고 있지만 노년층 돌봄 인력 대비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요양보호사교육기관협회 등은 요양보호사를 늘리기 위해선 건강보험료와 함께 납부하는 장기요양보험료를 올려 이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출받은 건강보험연구원의 요양보호사 수급전망과 확보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부터 시설 인력배치기준 상향과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요양보호사는 점차 부족해진다. 2028년에는 11만6734명이 더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연구원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수급자(노년층)에 대응해 직접 서비스의 핵심 인력인 요양보호사의 인력을 적정하게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여러 중점과제를 선정해 현장 요양보호사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보수의 적정화' '근무환경 개선' '복리후생 증진' 등이 근무인력 유지를 위한 처우개선영역 중 주요 순위로 꼽혔다.

실제 현장에서도 처우 개선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곽효민 대한요양보호사교육기관협회 사무총장은 "일은 어려운데 급여는 최저 수준인 월 206만원에 불과하니 하려는 사람이 없다"며 "요양보호사 하느니 편의점 알바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호소했다.

곽 사무총장은 "처우개선은 몇 년 전부터 계속 나오는 얘기"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수가를 올려주지 않는 이상 처우 개선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건보공단에서 장기요양보험 집행 예산이 정해져 있다"며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하니 예산을 늘려 더 투입할 여건이 안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상이 제주대 의과대학 교수도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최대 고용주이자 최대 서비스 제공자는 정부"라며 "정부가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저임금으로 만들어버렸다"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장기요양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고 봤다.

장기요양보험료는 노인 부양을 위해 국가가 시행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요양보호사가 건보공단의 장기요양보험 재정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어 정부가 임금을 올려주지 않으면 요양보호사의 처우도 개선되기 어려운 구조다. 이 교수는 "애초에 6.55%라는 작은 규모로 시작해 인상을 해도 크게 개선되기 어렵다"며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고 지적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장기 요양보험료율을 곱해 산정하는데 올해는 지난해 대비 1.09% 인상한 12.95%에 불과했다. 2017년 동결 이후 최저 수준이다. 문제는 내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이 동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산정기준이 되는 내년 건강보험료가 이미 동결돼 인상되더라도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교수는 "정부가 이제는 솔직하게 '선진국 수준으로 장기요양보험료를 올려야 한다'고 말해야 한다"며 "사회 서비스 인력에 대한 적정 임금을 제공하는 대신 이들에 대한 교육과 검증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요양보호사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요양원에 부모를 맡기고 자식은 죄책감을 느끼는 일이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복지 전문가도 장기요양보험 인상엔 동의했지만, 사회적 동의가 필요하다고 봤다. 석재은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요양보호사를 비롯한 돌봄 인력의 수급이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이유는 일자리 자체의 질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며 "일자리의 질을 높이려고 하면 결국 돌봄의 사회적 비용을 같이 부담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김지은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교수도 "보험료 인상은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이겠지만 합의 과정도 중요할 것"이라며 "나의 부모, 나의 노년을 보장받기 위해서 필요한 측면이라거나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의 보험료 등을 고려해 사회적으로 충분히 논의하고 공감하는 시간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구단비 기자 kdb@mt.co.kr 박미주 기자 beyond@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