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교회성장의 기본 원리 - 자연적 교회성장

하나님아들 2021. 6. 24. 11:21

교회성장의 기본 원리 - 자연적 교회성장

 

1.서론

 

20세기에 수많은 교회성장학 교재가 발간되었는데 이에는 두가지경향이 있다.

- 하나 : 교회성장은 오로지 기도를 통해서 온다. 기도를 통한 능력만을 강조하는<영성주의적 교회성장론>

- 다른 하나는 : 교회성장은 어떤 성장한 하나의 교회를 모델로 해서 그 교회가 사용한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면 우리교회도 똑같이 성장하게 될 것이다.<방법주의적 교회성장론>

그런데 현실적인 문제는 기도를 많이 해도 교회가 성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성장한 교회의 model(모델)을 그대로 추출해도 성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

영성주의적 교회성장론이 성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방법주의적 교회성장론이 성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뜻.

이런 문제의 궁극적인 핵심은 교회는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생명체 혹은 유기체라는데 있는 것입니다.

생명체는 건강하기만 하면 반드시 성장합니다. 성장을 인위적으로 이루려고 하지 않아도 저 절로 이루어 집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교회성장학 보다는 교회건강학이라는 분야가 더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교회성장이라는 현상만 다를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의 근본이 되는 교회건강의 문제를 다루자는 것입니다.

1.건강한 교회의 질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자는 것입니다.

2.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려면 어떤 원리가 있는지 살펴보라는 것입니다.

3.교회가 건강치 못한 영역에 있다면 어떻게 치유해야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4.이런 원리들을 어떤 신학적 사고 방식 위에 건설해야 하는 것인지를 정립하는 것입니다.

5.구체적으로 교회건강을 이루는 실천방법들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런 분야에 대해서 최근에 깊은 연구를 한 사람은 크리스챤 슈바르쯔 (Christian Schwarz)라는 독일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독일의 자연적 교회성장 연구소의 소장입니다. 이 사람의 사상은 교회 건강학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의 사상을 한마디로 "자연적 교회성장"(Natural Church Growth)이라고 합니다.(NCD). 이 사람의 사상은 미국의 Fuller신학교의 교회 성장학 교수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Robert Logan 이라는 교회성장학자는 "자연적 교회성장 "을 주제로 미국전역에서 세미나를 인도하고 있습니다. Logan교수는 한시간 강의에 미국달러를 1000$을 강의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슈바르쯔 나 로간교수가 직접와서 강의 했으면 좋겠지만 , 사정이 어려우니 조금 부족해도 그들의 책을 읽은 제가 그 사상의 핵심을 전하려고 합니다.

 

크리스챤 슈바르쯔 목사는 전세계 6대주에서 32개국에 산재해 있는 성장하는 교회 1,000교회를 선발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교회성장은 먼저 건강한 질적 특성을 가질 때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러므로 그의 사상을"자연적 교회성장"이라고 합니다.

 

고전3:6~7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은 자라나게 하셨나니, 그런즉 심는 이나 물주는 이는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자라나게 하시는 하나님 뿐이니라" 바울은 교회성장의 원리를 농사일에서 찾고 있습니다.

 

바울은 심고,아볼로는 물주고, 심고 물주는 자연적인 생명체의 농사원리를 인간이 따르기만하면, 성장을 이루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라는 말씀입니다. 성장을 이루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라도 인간이 농사일을 알고, 그 원리를 따라야 한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의 강의는 교회의 농사원리를 잘 파악하고, 그원리를 따라서 실천해 보자는 것입니다.

 

I.건강한 교회의 질적특성

 

지도력의 분야

사역분야

영성의 분야

교회조직의 분야

예배 분야

소그룹 활용분야

전도 분야

인간관계 분야

 

아무리 심고 물 주어도 잘 자라지 않는 식물을 어딘가 병들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생명체는 어떤 상태가 건강한 상태이며 어느 영역이 병들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진단을 할 때에도 내과, 외과, 안과, 치과 등으로 나누어 진단함으로써 병든 부분을 찾아 낼 수 있듯이 교회의 건강도 분야를 나누어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슈바르쯔 목사는 건강한 교회는 8가지 질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1.지도력의 분야입니다.

종래의 교회 성장학 서적들은 교회성장에는 지도자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 했습니다. 사람보다는 <일을 중요시하고>관계지향적 보다는 <목표지향적>이고, 팀사역 위주보다는 <권위주의적인>지도자가 성장의 관건이라고 강조해 왔습니다. 그러나 슈바르쯔의 통계는 다른 결론을 보여 줍니다.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는 쇠퇴하는 교회의 목사보다 더 사람 중심이고, 관계 중심적이고, 팀 사역 중심적이라는 사실을 밝혀 냈습니다. 그러므로 성장하는 교회의 목사들은 평신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그들을 영적 잠재력을 발견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평신도에게 Vision을 주고, 할 일을 주고, 적절한 권한을 위임합니다. 이들이 영적인 "자생조직"이 되어 또 다른 일꾼들을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교회의 제1특징은 목사가 독불장군으로 혼자 열심히 일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 가운데 적절한 일꾼들을 사역자로 세워주고 권한을 위임하는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1특징은 "사역자를 세워 주는 지도력"이라고 하겠습니다.

 

2.사역분야입니다.

교회는 다양한 일이 있고, 그 일마다 일꾼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평신도들은 자신의 은사와 일치하는 사역을 할 때 열매도 맺고, 기쁨과 보람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은사에 따라 일을 하면 은사 없는 일보다도 대단히 놀라운 열매를 맺게 된다는 것입니다.

Martin Luther가 종교개혁을 하면서 "전신자의 제사장 직분"이라는 위대한 슬로건을 내세웠습니다. 모든 그리스도인 불신자들을 향해 책임도 있고, 하나님 앞에 봉사해야할 책임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각자 하나님께 봉사할 영역이 다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통탄할 사실은 슈바르쯔 목사의 조사에 따르면 독일어를 쓰는 그리스도인의 80%는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은사를 모르면 봉사할 수도없고, 따라서 교회는 잠재력을 활용치 못하고 무력한 상태에 빠지고 맙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의 은사가 무엇인지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은사에 맞는 사역을 맡겨야 합니다. 이것을 건강한 교회의 두 번째 특징으로써 "은사에 따른 사역"이라고 하겠습니다.

 

3. 영성의 분야입니다.

영성을 측정하는 두 척도는 기도생활과 성경 읽기입니다. 성장하는 건강한 교회들은 대부분 기도가 뜨겁고, 기도하는 시간이 많습니다. 기도가 차가운 교회는 영성이 미약한 교회입니다. 건강한 교회의 지도자와 교인들은 기도하는 시간을 지겨운 시간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기도시간을 즐거워하고 , 기도의 맛을 압니다. 기도를 통해서 은사를 받고 ,기도응답을 받습니다. 따라서 성도사이에 기도응답의 간증이 또 다른 기도의 열심을 일으킵니다. 기도생활이 살아나면 성경 읽기도 저절로 살아납니다. 성도 스스로가 성경을 읽고 영적인 양식을 취하고자 합니다. 기도생활과 성경 읽기가 율법 주의적인 관습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쁨과 열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장하는 교회의 영성은 열정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도가 뜨겁고, 설교가 뜨겁고, 찬양이 뜨거운 교회는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을 "열정적인 영성"이라고 하겠습니다.

 

4.교회조직의 분야입니다.

영성주의자 들은 기도만 강조하고 조직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방법주의자 들은 교회가 어떤 일정한 조직을 갖추면 성장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슈바르쯔 목사는 영성도 중요하고, 교회조직도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교회의 기본 조직을 평가해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조직은 폐지하거나 개선해야 하며 교회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조직을 계속 개발해 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교회의 조직이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야 그 조직에 필요한 은사를 가진 평신도 지도자의 발굴이 가능하고, 지도력의 위임도 가능해 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교회의 네 번째 특징을 "기능적인 조직"이라고 표현하겠습니다.

 

5.예배 분야입니다.

오늘날은 Willow Creek교회의 Bill Hybels목사의 영향을 받아서"구도자 예배"를 시행하는 교회가 많습니다. 예배는 불신자들에게 복음전파를 목표로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방법으로 Willow Creek교회는 성장했지만, 그 방법을 모방해서 "구도자 예배"를 시행한 교회가 다 성장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구도자예배"와 교회 성장과는 아무관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도자 예배이건 전통적 예배이건 간에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의 예배는 즐겁고 영감 넘치는 것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지루한 예배는 성도의 영혼을 약화시키고 교회를 병들게 합니다. 설교시간이 길으냐 짧으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설교가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고 은혜스러운가가 중요합니다.

교회음악이 전통적이냐 현대적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성도들이 즐겁고, 기쁜마음으로 참여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예배의 순서나 절차의 어떤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순서나 절차에 성령님이 진정으로 역사하시느냐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그러므로 성도들이 예배시간을 기다리고, 예배참석을 즐거워하고, "교회 가는 것이 즐겁다"고 말하기 시작하면 그런 교회는 반드시 성장합니다.

따라서 건강한 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을 "영감 있는 예배 "라고 표현 하겠습니다.

 

6. 소그룹 활용분야입니다.

성장하는 교회는 소그룹을 적절히 활용하는 교회입니다. 소그룹은 단순히 모여서 성경 공부하는 모임이 아니라, 다양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 가깝게 교제하며 삶을 나누는 모임입니다. 은사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에게 도움을 주게 되고, 소속감을 강화시킵니다. 교인이 아무리 숫자적으로 많은 교회라 할지라도 , 각각의 성도들이 소그룹에 소속되어 자신의 은사를 발휘하고 사랑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면 교회에 강한 애착을 갖게 됩니다. 그러므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는 의도적으로 소그룹의 증가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소그룹을 나누어서 또 다른 소그룹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소그룹이 끊임없이 증가 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건강한 교회의 여섯 번째 특징을 "증가되는 소그룹"이라 하겠습니다.

 

7.전도 분야입니다.

슈바르쯔 목사는 매우 중요한 점을 여기서 지적하였습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전도자이다" 라는 논리는 매우 허점이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훌러 신학교의 교회성장학 교수로 지낸 Peter Wagner박사는 교회 안에 전도의 은사를 가진 성도는 10%에 불과하다고 했습니다. 슈바르쯔 목사도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전신자의 전도활동을 강조하면 두 가지 면에서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전도의 은사가 없는 90%의 사람들에게는 전도의 요구가 너무 무리한 요구가 된다는 것이 한가지 부정적 효과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전도를 강조하는 교회를 피하게 됩니다. 또 전도의 은사를 가진 10%을 사람들에게는 그 정도의 요구는 너무 싱거운 것이라서 특별한 자극과 도전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성장하는 교회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가졌는지 발견하고, 그들에게 전도의 사역을 좀 더 전문적으로 맡기는 교회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교회의 일곱 번째 특징은 "전도은사자 중심의 전도"라고 표현하겠습니다.

 

8.인간관계 분야입니다.

성장하는 교회의 두드러진 특징은 성도들 상호간에 사랑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이다. 서로 자주 식사초대하며, 자주 만나 차도 마시고 , 서로 칭찬하고, 서로의 문제를 알고 기도해 준다는 것입니다. 교회 안에 웃음이 많다는 것입니다. 예배시간에도 웃음이 많고 ,소그룹에도 웃음이 많습니다. 사랑이 많은 교회는 반드시 성장합니다. 그러나 사랑이 부족한 것은 어디서나 교회성장에 방해요인으로 남습니다.

지금까지 교회 성장학 서적들은 이 여덟 가지 특징들을 가운데 한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다뤄왔습니다. 그러나 이 여덟 가지는 어느 하나도 무시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이 여덟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취약하면 교회성장의 저해요인이 됩니다. 슈바르츠 목사의 통계에 따르면 이 여덟 가지 분야에서 100점 만점에 65점 이상을 받은 교회는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법칙을 "65 법칙"이라고 명명 하였습니다.

많은 교회 성장학 서적들은 2000년에는 몇명의 성도가 출석할 것을 목표로 한다는 식의 양적 성장 목표를 세워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성장하는 교회들의 70%이상이 그러한 양적 성장의 목표를 세우지 않고도 계속 성장합니다. 실제로 황당한 양적 성장 목표는 성도들에게 동기부여를 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역효과와 절망감을 일으키게 됩니다. 왜냐하면 그런 목표는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분야의 목표가 아니거니와, 교인 수를 늘린다는 것이 교회의 궁극적 목적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교회는 양적 성장 목표보다는 구체적인 질적 성장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8가지 분야에서 특별히 부족한 영역에 질적으로 성장하려는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예를 들면 교회조직이 미약한 교회는 1999년 말까지 교회 조직을 좀더 기능적이고 활성화되도록 개편하는 식의 목표입니다. 2000년 초에는 예배가 좀더 재미있고 유익한 예배가 되도록 한다는 식의 목표입니다. 2000년 말까지는 모든 성도들이 영적 은사를 발견하며 그 은사대로 봉사하는 교회가 되도록 한다는 식의 목표입니다. 이런 목표들은 달성될 수도 있으며, 그 달성정도를 측정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교회란! 예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회의 예배 형성사  (0) 2021.09.07
예배(禮拜)란 무엇인가?  (0) 2021.08.11
건강한 교회란?  (0) 2021.06.11
교회란 무엇인가?  (0) 2021.06.08
교회와 종말 장신대 김명용교수  (0) 2021.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