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EVENTS THAT SHAPED WORLD HISTORY 4.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4.
<번역 : 에스프리>
<출처 : 번역원고>
★ 31. 인쇄술을 소개한 구텐베르그
1429 잔다르크는 오를레앙의 포위를 풀고 영국군을 격파함.
1431 타이군은 크메르의 수도 앙코르에 침입.
1434 코시모 드 메디치는 플로렌스의 권력을 장악함.
1438 잉카제국이 페루에 성립.
1448 헝가리인들은 투르크를 물리침.
1450 아라비안 나이트가 이시기에 기록됨.
1450 스뽀르자 기만이 밀라노의 권력을 장악함.
1453 오스만 투르크는 콘스탄티노플을 점령. 비잔틴제국은 멸망함.
1453 프랑스군은 보르도를 탈환. 100년전쟁 끝남.
1455 영국에서 장미전쟁 시작.
1464 순니 알리는 서아프리카에 송가이 왕국을 세움.
1469 아라곤의 페르디난드왕은 카스틸랴의 이사벨라여왕과 결혼.
1473 로마의 시스틴 성당이 건설됨.
1478 로렌조 메디치는 플로렌스를 통치함.
1480 이반 3세는 타타르족을 물리치고 러시아를 통일함.
당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책과 같이, 특정한 문서의 수많은 인쇄물사본들은, 우리가 오늘날 필수적인 기초기록으로서, 아니면 글로 쓰여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당연시 하는 것이다. 최초로 알파벳을 사용했을 때부터 15세기 중반까지, 약 5000년동안 문자로 쓰여진 모든 기록들은 중국의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세계 도처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다. 만약 초기 원고의 여러 예들을 살펴본다면, 그것은 손으로 쓰여지고,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루어졌던 광대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중세의 유럽에서는, 많은 수도원의 수사들이 성경 및 다른 중요한 기록들의 필사본을 만드는데 일생을 바쳤다.
인쇄 -기계를 이용하여 쓰여진 기록을 여러 개의 목사본으로 만드는 과정- 는 조각한 돌에 문자나 단어를 세기고, 잉크를 묻힌 후, 종이나 다른 곳에 그 초상을 찍는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의 필승(必昇)은 일반적으로 인쇄기를 발명한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진흙을 구운 다음 그안에 문장을 새겨 넣어 만든 것으로, 그의 첫번째 기록을 인쇄했다. 피챙의 이러한 방법은 1298년 왕젠(Wang Zhen)에 의해서 더욱 발전되었다. 왕젠은 문자를 딱딱한 나무에 새긴 뒤에 책은 물론 심지어는 신문까지도 인쇄했다.
이후 몇세기동안 유럽인들의 중국 교역이 점차로 확대되고 번성하면서, 곧 인쇄술이 서구에 알려지게 되었다. 1423년 폴란드의 알파벳 인쇄 숙련공인 로렌스 얀스준 코스터 (Laurence Janszoon Coster)는 금속을 사용하여 문자를 진흙판에 인쇄했다. 이러한 방법은 손으로 옮겨적는 방법으로부터는 놀라운 발전이었으나, 그래도 보편화되기에는 무리였다. 1436년에 39세의 독일인 요한 구텐베르그는 보다 빠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쇄할 수 있는 기계(the printing press)를 이용한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는 피챙의 고안이었던 움직이는 형태를 받아들여서 재발명해냈다. 여러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문자들을 전체 면에 배열하는 것이다. 구텐베르그는 1456년 독일의 마인즈에서 첫 대량 인쇄를 통한 성경을 발행했다. 그리고 몇 십년이 지나지 않아 모든 유럽에 기계에 의한 인쇄가 확산되었다.
구텐베르그는 단순히 인쇄기를 발명한 것이 아니다. 그는 인간 의사소통의 역사에 있어서, 그 이전의 어떠한 것보다도 더 훌륭한 충격이었으며, 이후 500년동안 발생했던 어떤 것보다도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위대한 혁명을 출발점이 된 인쇄 기계 사용이라는 발전을 이끈 촉매역할을 한 것이다.
★ 32. 크리스토퍼 콜롬부스의 신대륙 발견.
1482 포르투갈인은 아프리카의 황금해안(가나)에 정착.
1485 영국에서 종획운동이 시작함.
1485 보티첼리는 플로렌스에서 비너스의 탄생을 그림.
1486 아즈텍인은 멕시코에서 오자카市를 세움.
1488 바르톨로뮤 디아스는 희망봉을 최초로 발견.
1498 칫솔이 중국 치과의사에 의해 고안됨.
1504 바부르는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세움.
콜롬부스의 미대륙 도착은 인류 역사를 형성했던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확실히 콜롬부스는 아메리카를 발견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산살바도르의 해안에 상륙했을 때 9백만명의 원주민들이 이미 서반구에 살고 있었다. 그러나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의 존재를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만큼, 동반구에 대한 아무런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두 개의 반구는 서로 다른 행성에 존재하는 것처럼, 완전히 다르고, 독립적이었다. Leif Ericson의 지휘하에 일단의 바이킹들이 AD 1000년에 노바 스코티아에 정착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자신들이 새로운 반구에 상륙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결국 콜롬부스는 양 반구사이의 교류의 시대를 열어놓은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세계가 서반구와 동반구라는 커다란 땅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나 콜롬부스의 시대 이전까지 유럽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던 학설은, 지구는 마치 접시처럼 평평하고, 만약 대양쪽으로 계속 항해를 해나간다면, 그 끝의 가장자리에서 추락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땅덩어리로 된 세계는 물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그것이 전부였다.
콜롬부스는 이탈리아의 항구도시인 제노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지구는 구형이며, 동쪽이나 서쪽으로 계속해서 여행한다면 , 원래의 출발한 장소로 되돌아 올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이 이론을 입증할 실재적인 근거가 또 있다. 15세기까지 마르코 폴로의 자취를 따라 교역하던 베니스의 상인들에 의해 활발해진 극동과의 교역은 유럽에서 매우 번성한 사업이었다. 그러나 폴로의 대륙횡단 교역로는 아주 멀고 어려운 여행이었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믿는, 콜롬부스 같은 항해사들은 서쪽으로 항해하는 방법에 의해 극동에 도착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콜롬부스는 그의 모험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부를 찾아다녔다. 그는 제노아와 베니스 그리고 포르투갈에서 그의 제의를 거절당했다. 그는 다시 페르디난드 5 세와 스페인 까스틸랴의 여왕 이사벨라에게 갔으며, 이들은 세척의 배 -니나, 핀타, 산타마리아라는 이름을 가진 세 척의 배-와 항해를 위한 선원들을 제공했다. 콜롬부스는 1492년 8월 6일 항해를 시작했으며, 그의 선원들이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던 5주간의 시간을 보낸후에 10월 12일 서인도제도의 산살바도르에 원정대를 상륙시켰다.
그는 1493년 3월 15일 스페인으로 귀환했고, 1493년과 1500년 그리고 1502년 식민지 건설을 위한 일련의 항해들을 계속했다. 그러나 그는 1506년 가난과 천시속에서, 그가 여전히 아시아를 발견했다고 죽는 순간까지 믿고 있었다. 스페인인들은 열광적으로 반응했다. 그들은 정력적으로 탐험과 식민화에 노력을 기울여, 한세대안에 서반구 동쪽 해안의 대부분을 탐사하게 되고, 콜롬부스가 실제로는 ぢ새로운 세계っ를 발견했던 것임을 알게 되었다.
★ 33. 르네상스
1495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밀라노에서 최후의 만찬을 그림.
1498 루이 12세는 샤를르 8세를 이어 프랑스의 왕이 됨.
1498 미켈란젤로는 로마의 성베드로 성당에 있는 피에타 상을 만듦.
1498 포르투갈 탐험가인 바스코 다가마는 인디아에 도달함.
1500 네덜란드의 히에로니무스 보슈는 지상 광명의 낙원을 그림.
1501 이탈리아의 아메리소 베스푸치는 브라질을 탐험.
1503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모나리자를 그림.
1504 라파엘로는 성녀의 결혼을 그림.
1506 이탈리아 건축가 브라만테는 성베드로성당의 설계를 시작함.
1508 미켈란젤로는 시스틴 성당의 벽화를 그림.
역사적으로, 르네상스는 대략 1500년을 중심으로 25-50년 정도 계속된 시기였다. 이 시기의 특징은 유럽을 중세의 지적 암흑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예술, 사상, 그리고 문학의 찬란한 개화라고 말할 수있다. 이것은 중세가 자연적으로 발전하여 뻗어나간 것이 아니라 일종의 문화혁명으로, 중세 사상과 전통의 경직성에 대한 반동이었다.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재생 혹은 부활을 뜻한다. 르네상스로 알려진 이 시기는 그리스, 로마문명(ぢ고전적っ인 것으로 여겨지는)의 황금기 문명의 재발견으로 간주되었다. 사실,르네상스기에 많은 사람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고전사상을 다시 탐구하기도 했지만, 르네상스의 진정한 핵심은 수많은 기술혁신과 발명에 있다. 유럽 전역에서 대학들이 생겨났고, 여러 사상이 급격히 보급되어 나갔다. 요한 구텐베르그는 1450년에 실용적인 인쇄기계를 발명했고, 출판업이 탄생했다. 최초의 베스트셀러 작가는 로테르담의 재치있는 네덜란드인 교부인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인데, 그의 인본주의 사상들은 관대하고 진보적인 르네상스사상의 축도(縮圖)이다.
인쇄기계의 존재를 감안하더라도, 르네상스가 그렇게 빨리 발생했고 유럽전역에 걸쳐 일어났다는 사실은 놀라운 것이다. 예를 들자면, 예술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들중 상당수가 이 시대 사람들이었다. 이탈리아에는 산드로 보티첼리, 미켈란젤로 부나루티, 페루지노, 라파엘로, 티치아노 베셀리, 그리고 위대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있었다. 이 예술가들은 자연의 모습과, 빛과 그림자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그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예술을 혁신시키는데 일조를 했다.
알프스 이북에도, 같은 정도로 인상적인 예술가들이 있었다. 히에로니무스 보쉬, 루카스 크라나흐, 알프레히트 뒤러,한스 홀바인, 한스 멤링이 그들이다.르네상스는 시각예술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레미쉬의 작곡가인 죠스껭 데 프레는 긍휼미사곡(Miserere mei, Deus: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을 작곡했는데, 이곡은 초기 대위법의 진수로 여겨진다.
이 모두는 콜롬부스가 1492년 그의 영웅적인 첫항해를 달성했을 당시에 활동하던 사람들이다. 그리고 미켈란제로나 뒤러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시작한 원정대가 지구를 한바퀴 돌았을 때까지도 살아 있었다.
과학분야에서는, 르네상스기 혹은 그 직후에 태어난 새로운 세대의 학자들이 사람들의 세계관을 혁신시키고 있었다.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는 사람들이 믿고 있던 바와는 반대로 지구가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요한 케플러는 행성운동의 법칙을 설명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던중, 목성의 위성들과 토성의 띠를 발견했다. 윌리암 길버트는 1600년에 전기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고, 안드레아 베살리우스는 최초로 근대적 외과 기술을 사용했다.
르네상스는, 서양 예술과 문화의 많은 측면에서 그 진로에 급격하고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하나의 이정표적 사건이었다.
★ 34. 종교개혁
1511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신성동맹을 조직함.
1511 포르투갈인은 최초로 시암(태국)에 도달.
1512 셀림 1세는 오스만제국의 술탄이 됨.
1514 스페인 정복군은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지휘아래 쿠바정복.
1516 토마스 무어는 유토피아를 씀.
1519 쵸콜릿이 음료로서 스페인에 도입됨.
1519 헤르난 코르테즈는 아즈텍의 지도자 몽테주마와 조우함.
1520 포르투갈 항해가인 마젤란은 마젤란 해협을 발견.
예수 그리스도 사후, 그의 제자들은 오직 예수의 말씀과 사상으로만 무장한 채, 세상으로 나아갔다. 초기에는 크리스트교도들이 고난과 박해에 부딪혔지만, AD 325년에 이르러서는, 크리스트교가 로마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그이후 몇세기에 걸쳐서 로마교회는 정신적 권위뿐 아니라 정치적 힘까지 행사하게 되면서,서로마 제국의 붕괴가 남긴 공백을 메웠다.
통제받지 않는 권력은 대개 부패하기 마련이고, 교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경건하고 지적으로 뛰어난 성직자들도 있었지만, 많은 권력남용이 있었다. 그중 중요한 것중 하나가 면죄부 판매였는데, 여기서 교회는 신자들에게 교회에 돈을 지불하면 신의 심판을 면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스페인의 종교재판동안에는 교회정책에 비추어 보아 이단이라 생각되는 믿음을 가진 사람들은 고문을 받거나 처형당했다.
14세기에 이르면 영국의 존 위클리프나 프라하의 존 후스같은 존경할만한 종교인들이 부패한 교회 관습에 반대하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으며, 교회 자체내에서도 점증하는 불만의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우구스티누스 수사인 마틴 루터가 독일 비텐베르크 성당의 문에 반박문을 붙인 1517년 10월 31일, 결국 이러한 불만이 터져 나오게 되었다. ぢ면제부의 악용에 반대하는 95개조 반박문っ이라는 제목이 붙은 글에서, 루터는 마인츠의 알프레히트 대주교를 면죄부 판매에 대한 사기행위로 비난했다.(그 주교는 돈을 착복한 혐의를 받고 있었다.) 루터는 또한 면죄부 판매행위를 전반적으로 비난하였다.
루터는 이단(공식적인 교회의 가르침에 반대하는 일련의 믿음이나 의견에 집착하는 사람들)으로 고발되었으며, 1521년에 파문(교인 명부에서 삭제당하는 것)을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견해을 지키려는 그의 용기는 특히 독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고, 많은 이들이 루터의 지도에 따라 교회를 탈퇴했다. 로마교회에 대해 전면적으로 저항했기때문에, 그들은 프로테스탄트라고 불렸다. 루터 자신은 크리스트교 가르침을 포용하지만, 로마 교회의 정치적인 권위를 부정하는 새로운 종교운동을 조직했다. 결국에는 많은 프로테스탄트 단체들이 생기게 될 것이지만, 루터의 크리스트교 해석을 따르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루터파라고 불렀다. 오늘날 루터파는 스칸디나비아반도, 독일의 대부분, 북아메리카의 일부분에서 지배적인 종교로서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마틴 루터에 의해 시작된 이 혁명은 로마교회를 파괴것이 아니라, 사실상 로마교회를 구한 것인지도 모른다. 루터는 크리스트교의 대안적인 형태를 만들었을 뿐아니라, 로마교회로 하여금 권력의 남용을 스스로 억제하도록 만들었다.
★ 35. 스페인의 신세계 정복
1523 스페인 정착촌이 베네주엘라에 건설.
1524 중부 유럽에서 농민 전쟁이 일어남.
1531 종교전쟁이 스위스에서 발발. 프로테스탄트 지도자인 쯔빙글리가 전투에서 죽음.
1532 토머스 크롬웰이 영국의 호국경이 됨.
1533 프란시스코 피자로는 잉카를 정복.
1536 쟝 칼벵은 기독교 교리론을 출판.
1542 헨리 8세는 케서린 왕비를 처형함.
1556 무굴 제국의 악바르는 왕에 즉위함.
1558 여왕 엘리자베스 1세는 왕에 즉위.
1584 러시아의 이반 뇌제(雷帝) 죽음.
유럽의 역사는 정치, 경제 세력들의 흥망으로 가득차 있다. 콜롬부스가 신대륙을 발견했던 무렵,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3000년전의 페니키아나 400년 뒤의 영국과 매우 유사하게 강력한 무역국가로 가는 문턱에 서있었다. 스페인은 재빨리 움직여 신세계를 개척했고, 한편 포르투갈은 아프리카의 남단을 도는 항로를 이용하여 극동지방과 교역을 하는 데 더 관심이 많았다. 1498년 포르투갈의 항해가 바스코 다 가마()가 희망봉에 도달하였고 곧 아시아로가는 항로가 열렸다. 그렇지만 포르투갈은 서반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데에도 역시 재빨랐다.
그래서 교황은 양국의 요청에 따라 신세계를 스페인 영역과 포르투갈 영역으로 분할했다. 포르투갈에게는 불행하게도 1494년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서반구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었으므로, 양국이 합의한 남북 분할 경계선은 포르투갈이 신세계의 극동부만을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지역이 훗날 브라질이 된 것이며, 오늘날 이 나라는 서반구에서는 유일하게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지역으로 남아있다.
스페인인들은 신속하게 나머지 아메리카 지역을 경략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특히 엘도라도-불분명하기는 하지만 아마도 신화국인 황금의 도시로 불리는-를 찾으려는 노력에서 시작된 것이다. 정복 과정에서 스페인의 정복자들은 신세계에서 가장 고도로 진화한 두 개의 문명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멕시코의 테오티후아칸을 중심으로 한 아즈텍 제국과, 오늘날의 볼리비아지역에 해당하는 티티카카호수 이남-티아후아나코를 중심으로 한 잉카제국이 그것이었다. 이 두 문명은 약 천년을 이어왔는데, 거대한 도시들-테오티후아칸은 1500년 당시에는 세계 최대의 도시였다-을 건설했고, 수학,천문학과 그밖의 과학들에 통달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쟁기술을 터득하지는 못했다.
1521년 8월 14일 테오티후아칸에서 말을 타고 화기(火器)를 소지한-두가지 모두 남아메리카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헤르난도 코르테스가 이끄는 비교적 소수의 정복자들이 테오티후아칸에서 아즈텍의 지도자였던 몬테쥬마의 군대와 만나 이를 격퇴했다. 정복된 아즈텍 제국에서 코르테스가 보여주었던 잔혹함에는 1535년 잉카제국을 정복한 프란시스코 피사로만이 필적할 수있을 것이다.
이 두 아메리카 토착 제국들이 정복자들에게 패배한 것은 구세계와 신세계 제국들간에 일어난 최초의 중요한 충돌이었으며, 결정적인 것이었다. 이 충돌로 신세계의 광대한 광물자원이 스페인의 수중에 들어갔고, 이것이 향후 100년간 스페인을 세계 최강국을 만들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승리는 스페인 제국의 확대를 더욱 촉진했으며, 결과적으로 서반구 사상 최대 규모의 제국 출현을 가져오게 되었다. 오늘날 서반구에서 5억명이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영어 사용인구의 1.5배는 되는 것이다.
★ 36. 근대 북아메리카의 창조.
1588 스페인 무적 해군은 영국해군에게 패배함.
1590 힌데요시는 일본을 통일함.
1591 송가이 왕국은 모로코군에 패배.
1598 보리스 고두노프는 러시아의 짜르로 즉위. 혼란기가 시작.
1600 지오르다노 부르노는 로마에서 이단으로 화형당함.
1601 예수회의 전도사로서 마테오 리치는 북경에 도착.
1601 누르하치는 만주족을 통일.
1602 동인도회사가 설립됨.
1603 이예아쓰는 도쿠가와 막부를 세움.
1618 신교와 구교간의 30년 전쟁 시작.
16세기 내내 1492년 콜롬부스가 ぢ발견っ했던 신세계는 유럽의 진출과 식민화의 표적이 되었다. 스페인, 포르투갈은 서인도 이남지역를 분할한 최초의 세력이었다(포르투갈은 오늘날의 브라질을 차지했으며, 스페인은 나머지 거의 전부를 차지하였다). 탐험가인 헤르난도 코르테스는 멕시코에 발판을 구축하여 16세기 초반에 남아메리카를 약탈했다. 16세기 후반에는 스페인은 플로리다에 진출했으며, 네덜란드인과 프랑스인은 그보다 북쪽, 오늘날의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지역에 전진기지를 세웠다.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오늘날의 미국지역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하게 될 것이지만, 영국인들은 다른 나라들에 뒤이어 북아메리카대륙에 가장 큰 규모로 진출했다.
1497년, 존 캐보트가 처음으로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했고, 프란시스 드레이크경은 1572년이후 서반구 해안선의 상당부분을 탐사하였다. 그러나 초창기의 영국탐험가들은 신세계 자체보다는 중국으로 가는 무역로를 찾는데 더 관심이 많았다.
또 다른 위대한 보물 탐험가였던 월터 롤리 경은 남아메리카에서 스페인이 그랬듯이 북아메리카에서도 금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랬지만 금을 찾으려던 노력과 1584-1587에 걸쳐 영구적인 식민지를 건설하려던 계획이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는 대서양 연안의 좁은 지역을 영국영토라고 선언하고, 그의 친구이자 여왕이었던 엘리자베스 1세를 기념하여 버지니아라고 명명하였다.
1607년 영국인들은 마침내 세계 최대의 영어 사용국으로 발전할 씨를 심었다. 존 스미스 선장은 버지니아 지역의 제임스 타운(제임스 1세의 이름을 따서)에 정착지를 세웠다. 이 식민지는 여러번 거의 실패할 뻔했지만, 식민지인들은 계속 버티어 나갔다. 1619년에는 제임스 타운 주민들이 북아메리카 최초의 대의체(代議體)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후일 일반화된 정부 형태의 선구였다.
1620년에는 스스로를 순례자(Pilgrims)라고 부르던 일단의 영국인들이 오늘날의 메사추세츠 지역의 플리머스에 또 다른 정착지를 세웠다. 자신들의 신앙에 대한 정치적 박해를 피하기 위해, 청교도들은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아메리카로 와서 정부의 간섭없이 그들이 바라는 대로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할 수 있는 식민지를 세웠다. 플리머스는 최초로 유럽의 정부로부터 특허장을 받지않은 평범한 유럽인들이 세워 성공한 북아메리카 정착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후 300년을 거치는 동안, 제임스 타운과 플리머스에서 소수의 단호한 정착민집단으로 출발했던 것이 세계 최강의 정치,경제적 세력으로 성장했다.
★ 37.아이작 뉴튼의 발견
1621 네덜란드의 서인도회사 설립.
1623 압바스 1세는 투르크로부터 바그다드 정복.
1627 청나라는 조선 침입.
1630 부탄은 티벳으로부터 독립.
1636 보스턴에 하바드 대학교가 세워짐.
1637 르네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을 출판.
1639 도쿠가와는 일본의 쇄국을 시작함.
1644 올리버 크롬웰의 모범 군대는 왕당파의 군대를 격파함.
1644 만주족은 북경을 점령하고 청나라를 세움.
1649 차알스 1세가 처형당함. 영국 공화정이 성립.
1665 장 밥띠스뜨 콜베르는 루이 14세의 재무장관이 됨.
그는 아마도 세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 과학자였다. 그는 확실히 아르키메데스 시대와 아인슈타인 시대 사이에 살았던 유럽의 과학자중 가장 위대한 이였다. 24세 이전에 아이작 뉴튼은 미적분학을 고안하고 빛의 스펙트럼을 발견했으며, 중력이론을 저술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중력개념은 그가 나무로부터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있을 때 떠올랐다고 한다. 그런 평범한 사건으로부터 복잡하고, 보편적인 법칙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는 사실은 그가 확실히 천재였다는 찬사가 될 것이다.
뉴튼은 또한 반사망원경을 발명했는데, 그것은 빛이 큰 오목거울에서 작은 평면거울을 거쳐, 유리를 통과하는 일없이 직접 눈으로 반사된다는 점에서 보다 단순한 굴절망원경과 달랐다.
1667년 그가 25세였을 때, 뉴튼은 영국 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의 특별연구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미 주요한 몇가지 이정표를 경험했던 젊은 시절의, 기념비적인 업적이라고 할 수 있는 운동의 3원칙을 발견한 것은 그가 캠브리지에 있을 때였다.
1.관성의 법칙 : 모든 물체는 다른 물체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때,
정지해 있었다면 계속 정지해 있을 것이고 움직이고 있었다면 일정한 속도로 계속 운동할 것이다.
2. 가속도의 법칙 : 물체의 운동량의 변화율은, 크기와 방향에서, 그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다.
3. 작용, 반작용의 법칙 : 모든 작용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반작용이 존재한다.
1687년 그는 で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と라는 책을 출간했다. (원래 라틴어로 저술되어 출판되었기에) 프린키피아the Principia로 알려진 이 저서에서, 뉴튼은 우주의 구조와 행성의 운동를 설명하고, 태양과 행성, 달의 질량을 계산했다. 콜럼버스와 마젤란는 지구가 구형임을 증명해 놓았는데, 뉴튼은 지구가 완전한 球가 아니라 타원형-자전의 원심력에 의해 극부분이 약간 평평한-임을 증명했다.
마르코 폴로나 콜럼버스가 우리 조상들의 세상에 대한 지리적인 시야를 확대시킨 것 처럼, 뉴튼은 하늘의 유성에서 뒷뜰의 사과나무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체를 지배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는데 있어 이전의 (혹은 아인쉬타인 이전까지의)누구보다도 많은 일을 이루어놓았다. Principia는 너무 복잡해서 단지 진지한 자세를 가진 과학자들만이 이해할 수 있었지만, 일단 그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나서는 아래와 같은 싯구를 남긴 영국의 위대한 시인 알렉산더 포프와 전적으로 같은 생각을 했을 것이다.
자연과 자연의 법칙은 어둠속에 묻혀 있었다.
신이 말하기를 뉴튼이 있으라! 하자 모든 것이 밝아졌다.
★ 38. 인신 보호 영장 제도 HABEAS CORPUS 1679
1666 청교도들은 뉴저지에 코네티컷 정착촌을 세움.
1667 영국 시인 죤 밀턴은 실락원을 집필.
1670 스텐카라친의 지휘아래 돈 코사크인들은 러시아에서 반란일으킴.
1673 라이프티쯔는 미분, 적분법 발견.
1680 새들러스 웰즈 극장이 런던에서 문을 엶.
1688 영국 청교도에 의한 명예 혁명 일어남.
1696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를 병함.
1703 러시아의 피터 대제는 세인트 페테스부르크를 세움.
1713 유트레히트 조약이 스페인 왕위계승 전쟁을 끝냄.
1748 엑스라 샤펠조약이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을 끝냄.
왕과 지배자와 관련된 시민들의 권리는 수세기를 통해 점차 다양해져갔다. 그리스에서는 상당한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던 민주주의의 형태의 정치제도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의 통치자들은 자신의 말이 곧 법이라고 믿고서 나라를 다스려나갔다. 이러한 것은 1215년 영국의 존왕이 마그나카르타에 서명하면서 다소 변화하게 되었는데, 마그나카르타에서는 ぢ자유민은 자신의 동료들의 사법적 판결이나, 이 땅의 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연행되거나 구속되지 아니한다.っ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중심에 깔려있는 원칙은, ぢ당신은 신체를 가진다.っ라는 뜻의 라틴어인 habeas corpus(인신 보호 영장 제도)이라고 알려진 것으로서, 이 말은 인간이 죄의 증거없이 그의 의지에 반해서 감옥에 수감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었다.
1628년 영국의 챨스 1세는 계엄령을 선포했고, 왕의 신성한 권리(Divine Right of Kings)를 근거로 반대파들을 감옥에 집어넣었다. 반대파 법률가들은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들어 이의를 제기했느나, 감옥의 간수들은 왕의 특명에 의해 인신이 구속 될 수도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으며, 재판관들은 왕이 곧 법이라는 근거에서 왕들을 지지하고 나섰다. 독재자 찰스 1세는 1649년 폐위되었으며, 전제정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1660년의 전제정 복고후 오랜 시간이 지난 1679년이 되어서야 의회는 찰스II세에게 특별법으로서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받아들일 것을 명령했다.
오늘날 대부분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법체계는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의 원칙을 지지하고 있다. 미국의 헌법에도, ぢ반역이나 외국의 침범과 같은 공공 안전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의 권리는 언제나 유효하다.っ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 권한은 남북전쟁중에 링컨에 의해서 정지된 적이 있다. 처음에는 의회가 대통령의 이러한행위에 대해 반대했으나, 1863년 의회는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제한시키는 권한을 대통령이 가질 수 있도록 의결했다.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는 범죄재판체계에서 아주 기본적인 원칙중의 하나로서, 보통 특별히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경찰이나 검사들의 기본적 행동지침이라 할 수 있다.
★ 39.캐나다에서 프랑스의 패배
1756 프러시아의 선공으로 오스트리아와 7년전쟁 개전.
1761 하이든이 에스테르하지 공의 궁정 작곡가가 됨.
1763 프랑스는 인도에서의 영국의 종주권 인정.
1766 영국의 케븐디쉬는 수소를 처음으로 분리해냄.
1766 인지법이 아메리카인들의 거센 반발로 철폐됨.
1768 러시아-투르크칸 전쟁이 재발.
1769 제임스 와트는 증기기관의 성능개량을 위한 응축기의 특허를 출원.
콜롬부스가 서반구의 존재에 대한 유럽인들의 시각을 열어준후 2세기 동안, 강대국들은 여기에 그들의 지배영역을 만들었다. 스페인은 지금의 미국 남쪽에 대해서는, 포르투갈이 지배하고 있던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영국은 지금의 미국 동부를 자신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었으며, 프랑스는 북쪽의 모든 땅과 영국영토의 서쪽으로부터를 지배했다.
비버는 그레이트 레이크와 세인트 로렌스강 주변의 지역에 매우 번성하고 있었는에, 프랑스 측은 비버의 모피가 아주 높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얼마가지 않아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는 모피교역을 놓고 큰 충돌이 일어났다.
1670년에 찰스 2세(1630-1685)는 허드슨만 회사에게 특허장을 주었는데, 이것은 세인트 로렌스강 북쪽 영역의 자원개발에 대한 영국의 노력에 출발점이 된 사건이었다.
1756년에 유럽에서 7년 전쟁이 일어났는데, 영국과 프러시아가 프랑스와 그의 동맹국인 오스트리아, 러시아, Saxony, 스웨덴, 그리고 후에 동맹국이 된 스페인과 싸우는 형태였다. 이 전쟁은 영국과 프랑스의 북아메리카에 대한 관심이 얽힌 부수적인 사건으로 관련된 것이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유럽의 분쇄보다 far-reaching의 결과를 가져온 사건이었다.
조지 2세는 젊지만, 현명한 제임스 울프장군을 프랑스의 마뤼케 루이 조셉 드 몬칼므장순에 대항하는 영국 국군을 통솔하도록 파견했다. 울프장군의 임무의 절정은 프랑스 도시 퀘벡을 놓고 싸운 전투였다. 영국은 케벡으로 가는 보급을 막기위한 세인트로렌스강의 봉쇄에 성공했으나, 몬칼므장군은 중무장된 요새도시가 난공불락이라는 확신에 가득 차 있었다. 결국 요새는 영국군의 공격을 1690년과 1716년에 좌절시켰다.
울프 자신은 이 공격에서 죽음을 당했으나, 그의 계획은 진행되었고, 그의 군대는 캐나다 프랑스의 수도를 점령할 수 있었다. 프랑스의 몬깔므장군도, 실재로 그들의 사단을 전투에서 이그는 동안 두 지휘관이 모두 죽었다는 의미에서 이 전투를 유일한 것으로 만들면서, 역시 전사했다.
프랑스 인들은 케벡에서 초강대국의 지위에 있는 , 자신감에 찬 영국군을 물리쳤는데 , 이 승리는 이미 유럽인들이 정착하고 있던 대부분의 북아메리카에 대해 의심할 바 없는 우위권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점은 세인트로렌스강 이남의 13개 식민지에서 불고 있던 불안정성때문에 오래가지는 못할 운명이었다.
★ 40. 쿡 선장의 항해
1769 아크라이트는 기계식 방적기를 발명함.
1770 영국 의회는 타운젠드 법을 철회함.
1772 폴란드를 러시아,프러시아,오스트리아가 3분함.
1774 최초로 대륙의회가 소집됨.
1776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을 발표.
1776 에드워드 기본은 로마제국 쇠망사를 발표.
1776 포템킨은 러시아 흑해 함대를 건설.
영국의 선장 제임스쿡은 콜롬부스부터 시작된 발견의 시대에 존재했던 위대한 항해사들 중 제일 마지막을 장식했던 사람이다. 그는 그 이전에 존재했던 그누구보다 훨씬 더 넒은 지역을 탐사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영국의 영토로 선언하기도 했다.
왕립 해군에 몸담았던 4년동안, 쿡은 그 자신이 항해에 관한한 천재임을 입증했다. 1768년 그는 원정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임무는 남태평양에서 금성의 자오선 통과를 관찰하도록 영국의 천문학자들을 데려가는 것이었으며, 관찰후에는 자치령 확대를 위한 이 지역의 탐험을 하는 것이었다. 쿡은 뉴질랜드를 방문해서, 전 해안선에 걸친 해도를 처음으로 알아냈고, 뉴우기니를 방문했으며, 1770년에는 뉴 사우스웨일즈라는 이름의 오스트레일리아의 동부해안을 영국에 편입시켰다. 그의 첫 항해동안 쿡은 그 이전의 어떤 다른 탐험가보다도 넓은 영역을 탐험했다.
1772년에 쿡은 다시 항해를 시작했는데, 이 항해에서 남극대륙을 지도에 그린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 1776년의 세번째 여행에서는 하와이-그가 샌드위치 군도라고 불렀던-를 발견했으며, 오레곤에서 알래스카에 이르는 북아메리카의 해안을 탐사했고, 베링해협을 거쳐 북극해를 항해했다. 쿡선장은 1779년 그의 세번째 항해기간에 하와이에서 칼에 찔려 죽음을 맞이한다.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은, 그가 죽기전에 이미 시작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의 정착과, 세계에서 가장 넓은 대양안이나 주위에 있는 수많은 땅들을 탐험한 최초의 인간이었다는 것이다.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4.
<번역 : 에스프리>
<출처 : 번역원고>
★ 31. 인쇄술을 소개한 구텐베르그
1429 잔다르크는 오를레앙의 포위를 풀고 영국군을 격파함.
1431 타이군은 크메르의 수도 앙코르에 침입.
1434 코시모 드 메디치는 플로렌스의 권력을 장악함.
1438 잉카제국이 페루에 성립.
1448 헝가리인들은 투르크를 물리침.
1450 아라비안 나이트가 이시기에 기록됨.
1450 스뽀르자 기만이 밀라노의 권력을 장악함.
1453 오스만 투르크는 콘스탄티노플을 점령. 비잔틴제국은 멸망함.
1453 프랑스군은 보르도를 탈환. 100년전쟁 끝남.
1455 영국에서 장미전쟁 시작.
1464 순니 알리는 서아프리카에 송가이 왕국을 세움.
1469 아라곤의 페르디난드왕은 카스틸랴의 이사벨라여왕과 결혼.
1473 로마의 시스틴 성당이 건설됨.
1478 로렌조 메디치는 플로렌스를 통치함.
1480 이반 3세는 타타르족을 물리치고 러시아를 통일함.
당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책과 같이, 특정한 문서의 수많은 인쇄물사본들은, 우리가 오늘날 필수적인 기초기록으로서, 아니면 글로 쓰여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당연시 하는 것이다. 최초로 알파벳을 사용했을 때부터 15세기 중반까지, 약 5000년동안 문자로 쓰여진 모든 기록들은 중국의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세계 도처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다. 만약 초기 원고의 여러 예들을 살펴본다면, 그것은 손으로 쓰여지고, 오랜 세월에 걸쳐 이루어졌던 광대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중세의 유럽에서는, 많은 수도원의 수사들이 성경 및 다른 중요한 기록들의 필사본을 만드는데 일생을 바쳤다.
인쇄 -기계를 이용하여 쓰여진 기록을 여러 개의 목사본으로 만드는 과정- 는 조각한 돌에 문자나 단어를 세기고, 잉크를 묻힌 후, 종이나 다른 곳에 그 초상을 찍는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의 필승(必昇)은 일반적으로 인쇄기를 발명한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진흙을 구운 다음 그안에 문장을 새겨 넣어 만든 것으로, 그의 첫번째 기록을 인쇄했다. 피챙의 이러한 방법은 1298년 왕젠(Wang Zhen)에 의해서 더욱 발전되었다. 왕젠은 문자를 딱딱한 나무에 새긴 뒤에 책은 물론 심지어는 신문까지도 인쇄했다.
이후 몇세기동안 유럽인들의 중국 교역이 점차로 확대되고 번성하면서, 곧 인쇄술이 서구에 알려지게 되었다. 1423년 폴란드의 알파벳 인쇄 숙련공인 로렌스 얀스준 코스터 (Laurence Janszoon Coster)는 금속을 사용하여 문자를 진흙판에 인쇄했다. 이러한 방법은 손으로 옮겨적는 방법으로부터는 놀라운 발전이었으나, 그래도 보편화되기에는 무리였다. 1436년에 39세의 독일인 요한 구텐베르그는 보다 빠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쇄할 수 있는 기계(the printing press)를 이용한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는 피챙의 고안이었던 움직이는 형태를 받아들여서 재발명해냈다. 여러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문자들을 전체 면에 배열하는 것이다. 구텐베르그는 1456년 독일의 마인즈에서 첫 대량 인쇄를 통한 성경을 발행했다. 그리고 몇 십년이 지나지 않아 모든 유럽에 기계에 의한 인쇄가 확산되었다.
구텐베르그는 단순히 인쇄기를 발명한 것이 아니다. 그는 인간 의사소통의 역사에 있어서, 그 이전의 어떠한 것보다도 더 훌륭한 충격이었으며, 이후 500년동안 발생했던 어떤 것보다도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위대한 혁명을 출발점이 된 인쇄 기계 사용이라는 발전을 이끈 촉매역할을 한 것이다.
★ 32. 크리스토퍼 콜롬부스의 신대륙 발견.
1482 포르투갈인은 아프리카의 황금해안(가나)에 정착.
1485 영국에서 종획운동이 시작함.
1485 보티첼리는 플로렌스에서 비너스의 탄생을 그림.
1486 아즈텍인은 멕시코에서 오자카市를 세움.
1488 바르톨로뮤 디아스는 희망봉을 최초로 발견.
1498 칫솔이 중국 치과의사에 의해 고안됨.
1504 바부르는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세움.
콜롬부스의 미대륙 도착은 인류 역사를 형성했던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확실히 콜롬부스는 아메리카를 발견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산살바도르의 해안에 상륙했을 때 9백만명의 원주민들이 이미 서반구에 살고 있었다. 그러나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의 존재를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만큼, 동반구에 대한 아무런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두 개의 반구는 서로 다른 행성에 존재하는 것처럼, 완전히 다르고, 독립적이었다. Leif Ericson의 지휘하에 일단의 바이킹들이 AD 1000년에 노바 스코티아에 정착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자신들이 새로운 반구에 상륙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결국 콜롬부스는 양 반구사이의 교류의 시대를 열어놓은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세계가 서반구와 동반구라는 커다란 땅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나 콜롬부스의 시대 이전까지 유럽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던 학설은, 지구는 마치 접시처럼 평평하고, 만약 대양쪽으로 계속 항해를 해나간다면, 그 끝의 가장자리에서 추락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땅덩어리로 된 세계는 물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그것이 전부였다.
콜롬부스는 이탈리아의 항구도시인 제노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지구는 구형이며, 동쪽이나 서쪽으로 계속해서 여행한다면 , 원래의 출발한 장소로 되돌아 올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이 이론을 입증할 실재적인 근거가 또 있다. 15세기까지 마르코 폴로의 자취를 따라 교역하던 베니스의 상인들에 의해 활발해진 극동과의 교역은 유럽에서 매우 번성한 사업이었다. 그러나 폴로의 대륙횡단 교역로는 아주 멀고 어려운 여행이었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믿는, 콜롬부스 같은 항해사들은 서쪽으로 항해하는 방법에 의해 극동에 도착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콜롬부스는 그의 모험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부를 찾아다녔다. 그는 제노아와 베니스 그리고 포르투갈에서 그의 제의를 거절당했다. 그는 다시 페르디난드 5 세와 스페인 까스틸랴의 여왕 이사벨라에게 갔으며, 이들은 세척의 배 -니나, 핀타, 산타마리아라는 이름을 가진 세 척의 배-와 항해를 위한 선원들을 제공했다. 콜롬부스는 1492년 8월 6일 항해를 시작했으며, 그의 선원들이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던 5주간의 시간을 보낸후에 10월 12일 서인도제도의 산살바도르에 원정대를 상륙시켰다.
그는 1493년 3월 15일 스페인으로 귀환했고, 1493년과 1500년 그리고 1502년 식민지 건설을 위한 일련의 항해들을 계속했다. 그러나 그는 1506년 가난과 천시속에서, 그가 여전히 아시아를 발견했다고 죽는 순간까지 믿고 있었다. 스페인인들은 열광적으로 반응했다. 그들은 정력적으로 탐험과 식민화에 노력을 기울여, 한세대안에 서반구 동쪽 해안의 대부분을 탐사하게 되고, 콜롬부스가 실제로는 ぢ새로운 세계っ를 발견했던 것임을 알게 되었다.
★ 33. 르네상스
1495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밀라노에서 최후의 만찬을 그림.
1498 루이 12세는 샤를르 8세를 이어 프랑스의 왕이 됨.
1498 미켈란젤로는 로마의 성베드로 성당에 있는 피에타 상을 만듦.
1498 포르투갈 탐험가인 바스코 다가마는 인디아에 도달함.
1500 네덜란드의 히에로니무스 보슈는 지상 광명의 낙원을 그림.
1501 이탈리아의 아메리소 베스푸치는 브라질을 탐험.
1503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모나리자를 그림.
1504 라파엘로는 성녀의 결혼을 그림.
1506 이탈리아 건축가 브라만테는 성베드로성당의 설계를 시작함.
1508 미켈란젤로는 시스틴 성당의 벽화를 그림.
역사적으로, 르네상스는 대략 1500년을 중심으로 25-50년 정도 계속된 시기였다. 이 시기의 특징은 유럽을 중세의 지적 암흑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예술, 사상, 그리고 문학의 찬란한 개화라고 말할 수있다. 이것은 중세가 자연적으로 발전하여 뻗어나간 것이 아니라 일종의 문화혁명으로, 중세 사상과 전통의 경직성에 대한 반동이었다.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재생 혹은 부활을 뜻한다. 르네상스로 알려진 이 시기는 그리스, 로마문명(ぢ고전적っ인 것으로 여겨지는)의 황금기 문명의 재발견으로 간주되었다. 사실,르네상스기에 많은 사람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고전사상을 다시 탐구하기도 했지만, 르네상스의 진정한 핵심은 수많은 기술혁신과 발명에 있다. 유럽 전역에서 대학들이 생겨났고, 여러 사상이 급격히 보급되어 나갔다. 요한 구텐베르그는 1450년에 실용적인 인쇄기계를 발명했고, 출판업이 탄생했다. 최초의 베스트셀러 작가는 로테르담의 재치있는 네덜란드인 교부인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인데, 그의 인본주의 사상들은 관대하고 진보적인 르네상스사상의 축도(縮圖)이다.
인쇄기계의 존재를 감안하더라도, 르네상스가 그렇게 빨리 발생했고 유럽전역에 걸쳐 일어났다는 사실은 놀라운 것이다. 예를 들자면, 예술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들중 상당수가 이 시대 사람들이었다. 이탈리아에는 산드로 보티첼리, 미켈란젤로 부나루티, 페루지노, 라파엘로, 티치아노 베셀리, 그리고 위대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있었다. 이 예술가들은 자연의 모습과, 빛과 그림자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그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예술을 혁신시키는데 일조를 했다.
알프스 이북에도, 같은 정도로 인상적인 예술가들이 있었다. 히에로니무스 보쉬, 루카스 크라나흐, 알프레히트 뒤러,한스 홀바인, 한스 멤링이 그들이다.르네상스는 시각예술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레미쉬의 작곡가인 죠스껭 데 프레는 긍휼미사곡(Miserere mei, Deus: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을 작곡했는데, 이곡은 초기 대위법의 진수로 여겨진다.
이 모두는 콜롬부스가 1492년 그의 영웅적인 첫항해를 달성했을 당시에 활동하던 사람들이다. 그리고 미켈란제로나 뒤러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시작한 원정대가 지구를 한바퀴 돌았을 때까지도 살아 있었다.
과학분야에서는, 르네상스기 혹은 그 직후에 태어난 새로운 세대의 학자들이 사람들의 세계관을 혁신시키고 있었다.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는 사람들이 믿고 있던 바와는 반대로 지구가 태양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요한 케플러는 행성운동의 법칙을 설명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던중, 목성의 위성들과 토성의 띠를 발견했다. 윌리암 길버트는 1600년에 전기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고, 안드레아 베살리우스는 최초로 근대적 외과 기술을 사용했다.
르네상스는, 서양 예술과 문화의 많은 측면에서 그 진로에 급격하고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하나의 이정표적 사건이었다.
★ 34. 종교개혁
1511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신성동맹을 조직함.
1511 포르투갈인은 최초로 시암(태국)에 도달.
1512 셀림 1세는 오스만제국의 술탄이 됨.
1514 스페인 정복군은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지휘아래 쿠바정복.
1516 토마스 무어는 유토피아를 씀.
1519 쵸콜릿이 음료로서 스페인에 도입됨.
1519 헤르난 코르테즈는 아즈텍의 지도자 몽테주마와 조우함.
1520 포르투갈 항해가인 마젤란은 마젤란 해협을 발견.
예수 그리스도 사후, 그의 제자들은 오직 예수의 말씀과 사상으로만 무장한 채, 세상으로 나아갔다. 초기에는 크리스트교도들이 고난과 박해에 부딪혔지만, AD 325년에 이르러서는, 크리스트교가 로마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그이후 몇세기에 걸쳐서 로마교회는 정신적 권위뿐 아니라 정치적 힘까지 행사하게 되면서,서로마 제국의 붕괴가 남긴 공백을 메웠다.
통제받지 않는 권력은 대개 부패하기 마련이고, 교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경건하고 지적으로 뛰어난 성직자들도 있었지만, 많은 권력남용이 있었다. 그중 중요한 것중 하나가 면죄부 판매였는데, 여기서 교회는 신자들에게 교회에 돈을 지불하면 신의 심판을 면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스페인의 종교재판동안에는 교회정책에 비추어 보아 이단이라 생각되는 믿음을 가진 사람들은 고문을 받거나 처형당했다.
14세기에 이르면 영국의 존 위클리프나 프라하의 존 후스같은 존경할만한 종교인들이 부패한 교회 관습에 반대하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으며, 교회 자체내에서도 점증하는 불만의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우구스티누스 수사인 마틴 루터가 독일 비텐베르크 성당의 문에 반박문을 붙인 1517년 10월 31일, 결국 이러한 불만이 터져 나오게 되었다. ぢ면제부의 악용에 반대하는 95개조 반박문っ이라는 제목이 붙은 글에서, 루터는 마인츠의 알프레히트 대주교를 면죄부 판매에 대한 사기행위로 비난했다.(그 주교는 돈을 착복한 혐의를 받고 있었다.) 루터는 또한 면죄부 판매행위를 전반적으로 비난하였다.
루터는 이단(공식적인 교회의 가르침에 반대하는 일련의 믿음이나 의견에 집착하는 사람들)으로 고발되었으며, 1521년에 파문(교인 명부에서 삭제당하는 것)을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견해을 지키려는 그의 용기는 특히 독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고, 많은 이들이 루터의 지도에 따라 교회를 탈퇴했다. 로마교회에 대해 전면적으로 저항했기때문에, 그들은 프로테스탄트라고 불렸다. 루터 자신은 크리스트교 가르침을 포용하지만, 로마 교회의 정치적인 권위를 부정하는 새로운 종교운동을 조직했다. 결국에는 많은 프로테스탄트 단체들이 생기게 될 것이지만, 루터의 크리스트교 해석을 따르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루터파라고 불렀다. 오늘날 루터파는 스칸디나비아반도, 독일의 대부분, 북아메리카의 일부분에서 지배적인 종교로서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마틴 루터에 의해 시작된 이 혁명은 로마교회를 파괴것이 아니라, 사실상 로마교회를 구한 것인지도 모른다. 루터는 크리스트교의 대안적인 형태를 만들었을 뿐아니라, 로마교회로 하여금 권력의 남용을 스스로 억제하도록 만들었다.
★ 35. 스페인의 신세계 정복
1523 스페인 정착촌이 베네주엘라에 건설.
1524 중부 유럽에서 농민 전쟁이 일어남.
1531 종교전쟁이 스위스에서 발발. 프로테스탄트 지도자인 쯔빙글리가 전투에서 죽음.
1532 토머스 크롬웰이 영국의 호국경이 됨.
1533 프란시스코 피자로는 잉카를 정복.
1536 쟝 칼벵은 기독교 교리론을 출판.
1542 헨리 8세는 케서린 왕비를 처형함.
1556 무굴 제국의 악바르는 왕에 즉위함.
1558 여왕 엘리자베스 1세는 왕에 즉위.
1584 러시아의 이반 뇌제(雷帝) 죽음.
유럽의 역사는 정치, 경제 세력들의 흥망으로 가득차 있다. 콜롬부스가 신대륙을 발견했던 무렵,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3000년전의 페니키아나 400년 뒤의 영국과 매우 유사하게 강력한 무역국가로 가는 문턱에 서있었다. 스페인은 재빨리 움직여 신세계를 개척했고, 한편 포르투갈은 아프리카의 남단을 도는 항로를 이용하여 극동지방과 교역을 하는 데 더 관심이 많았다. 1498년 포르투갈의 항해가 바스코 다 가마()가 희망봉에 도달하였고 곧 아시아로가는 항로가 열렸다. 그렇지만 포르투갈은 서반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데에도 역시 재빨랐다.
그래서 교황은 양국의 요청에 따라 신세계를 스페인 영역과 포르투갈 영역으로 분할했다. 포르투갈에게는 불행하게도 1494년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서반구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었으므로, 양국이 합의한 남북 분할 경계선은 포르투갈이 신세계의 극동부만을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지역이 훗날 브라질이 된 것이며, 오늘날 이 나라는 서반구에서는 유일하게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지역으로 남아있다.
스페인인들은 신속하게 나머지 아메리카 지역을 경략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특히 엘도라도-불분명하기는 하지만 아마도 신화국인 황금의 도시로 불리는-를 찾으려는 노력에서 시작된 것이다. 정복 과정에서 스페인의 정복자들은 신세계에서 가장 고도로 진화한 두 개의 문명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멕시코의 테오티후아칸을 중심으로 한 아즈텍 제국과, 오늘날의 볼리비아지역에 해당하는 티티카카호수 이남-티아후아나코를 중심으로 한 잉카제국이 그것이었다. 이 두 문명은 약 천년을 이어왔는데, 거대한 도시들-테오티후아칸은 1500년 당시에는 세계 최대의 도시였다-을 건설했고, 수학,천문학과 그밖의 과학들에 통달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쟁기술을 터득하지는 못했다.
1521년 8월 14일 테오티후아칸에서 말을 타고 화기(火器)를 소지한-두가지 모두 남아메리카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헤르난도 코르테스가 이끄는 비교적 소수의 정복자들이 테오티후아칸에서 아즈텍의 지도자였던 몬테쥬마의 군대와 만나 이를 격퇴했다. 정복된 아즈텍 제국에서 코르테스가 보여주었던 잔혹함에는 1535년 잉카제국을 정복한 프란시스코 피사로만이 필적할 수있을 것이다.
이 두 아메리카 토착 제국들이 정복자들에게 패배한 것은 구세계와 신세계 제국들간에 일어난 최초의 중요한 충돌이었으며, 결정적인 것이었다. 이 충돌로 신세계의 광대한 광물자원이 스페인의 수중에 들어갔고, 이것이 향후 100년간 스페인을 세계 최강국을 만들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승리는 스페인 제국의 확대를 더욱 촉진했으며, 결과적으로 서반구 사상 최대 규모의 제국 출현을 가져오게 되었다. 오늘날 서반구에서 5억명이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영어 사용인구의 1.5배는 되는 것이다.
★ 36. 근대 북아메리카의 창조.
1588 스페인 무적 해군은 영국해군에게 패배함.
1590 힌데요시는 일본을 통일함.
1591 송가이 왕국은 모로코군에 패배.
1598 보리스 고두노프는 러시아의 짜르로 즉위. 혼란기가 시작.
1600 지오르다노 부르노는 로마에서 이단으로 화형당함.
1601 예수회의 전도사로서 마테오 리치는 북경에 도착.
1601 누르하치는 만주족을 통일.
1602 동인도회사가 설립됨.
1603 이예아쓰는 도쿠가와 막부를 세움.
1618 신교와 구교간의 30년 전쟁 시작.
16세기 내내 1492년 콜롬부스가 ぢ발견っ했던 신세계는 유럽의 진출과 식민화의 표적이 되었다. 스페인, 포르투갈은 서인도 이남지역를 분할한 최초의 세력이었다(포르투갈은 오늘날의 브라질을 차지했으며, 스페인은 나머지 거의 전부를 차지하였다). 탐험가인 헤르난도 코르테스는 멕시코에 발판을 구축하여 16세기 초반에 남아메리카를 약탈했다. 16세기 후반에는 스페인은 플로리다에 진출했으며, 네덜란드인과 프랑스인은 그보다 북쪽, 오늘날의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지역에 전진기지를 세웠다. 17세기에 이르러서야 오늘날의 미국지역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하게 될 것이지만, 영국인들은 다른 나라들에 뒤이어 북아메리카대륙에 가장 큰 규모로 진출했다.
1497년, 존 캐보트가 처음으로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했고, 프란시스 드레이크경은 1572년이후 서반구 해안선의 상당부분을 탐사하였다. 그러나 초창기의 영국탐험가들은 신세계 자체보다는 중국으로 가는 무역로를 찾는데 더 관심이 많았다.
또 다른 위대한 보물 탐험가였던 월터 롤리 경은 남아메리카에서 스페인이 그랬듯이 북아메리카에서도 금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랬지만 금을 찾으려던 노력과 1584-1587에 걸쳐 영구적인 식민지를 건설하려던 계획이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는 대서양 연안의 좁은 지역을 영국영토라고 선언하고, 그의 친구이자 여왕이었던 엘리자베스 1세를 기념하여 버지니아라고 명명하였다.
1607년 영국인들은 마침내 세계 최대의 영어 사용국으로 발전할 씨를 심었다. 존 스미스 선장은 버지니아 지역의 제임스 타운(제임스 1세의 이름을 따서)에 정착지를 세웠다. 이 식민지는 여러번 거의 실패할 뻔했지만, 식민지인들은 계속 버티어 나갔다. 1619년에는 제임스 타운 주민들이 북아메리카 최초의 대의체(代議體)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후일 일반화된 정부 형태의 선구였다.
1620년에는 스스로를 순례자(Pilgrims)라고 부르던 일단의 영국인들이 오늘날의 메사추세츠 지역의 플리머스에 또 다른 정착지를 세웠다. 자신들의 신앙에 대한 정치적 박해를 피하기 위해, 청교도들은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아메리카로 와서 정부의 간섭없이 그들이 바라는 대로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할 수 있는 식민지를 세웠다. 플리머스는 최초로 유럽의 정부로부터 특허장을 받지않은 평범한 유럽인들이 세워 성공한 북아메리카 정착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후 300년을 거치는 동안, 제임스 타운과 플리머스에서 소수의 단호한 정착민집단으로 출발했던 것이 세계 최강의 정치,경제적 세력으로 성장했다.
★ 37.아이작 뉴튼의 발견
1621 네덜란드의 서인도회사 설립.
1623 압바스 1세는 투르크로부터 바그다드 정복.
1627 청나라는 조선 침입.
1630 부탄은 티벳으로부터 독립.
1636 보스턴에 하바드 대학교가 세워짐.
1637 르네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을 출판.
1639 도쿠가와는 일본의 쇄국을 시작함.
1644 올리버 크롬웰의 모범 군대는 왕당파의 군대를 격파함.
1644 만주족은 북경을 점령하고 청나라를 세움.
1649 차알스 1세가 처형당함. 영국 공화정이 성립.
1665 장 밥띠스뜨 콜베르는 루이 14세의 재무장관이 됨.
그는 아마도 세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 과학자였다. 그는 확실히 아르키메데스 시대와 아인슈타인 시대 사이에 살았던 유럽의 과학자중 가장 위대한 이였다. 24세 이전에 아이작 뉴튼은 미적분학을 고안하고 빛의 스펙트럼을 발견했으며, 중력이론을 저술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중력개념은 그가 나무로부터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있을 때 떠올랐다고 한다. 그런 평범한 사건으로부터 복잡하고, 보편적인 법칙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는 사실은 그가 확실히 천재였다는 찬사가 될 것이다.
뉴튼은 또한 반사망원경을 발명했는데, 그것은 빛이 큰 오목거울에서 작은 평면거울을 거쳐, 유리를 통과하는 일없이 직접 눈으로 반사된다는 점에서 보다 단순한 굴절망원경과 달랐다.
1667년 그가 25세였을 때, 뉴튼은 영국 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의 특별연구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미 주요한 몇가지 이정표를 경험했던 젊은 시절의, 기념비적인 업적이라고 할 수 있는 운동의 3원칙을 발견한 것은 그가 캠브리지에 있을 때였다.
1.관성의 법칙 : 모든 물체는 다른 물체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때,
정지해 있었다면 계속 정지해 있을 것이고 움직이고 있었다면 일정한 속도로 계속 운동할 것이다.
2. 가속도의 법칙 : 물체의 운동량의 변화율은, 크기와 방향에서, 그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다.
3. 작용, 반작용의 법칙 : 모든 작용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반작용이 존재한다.
1687년 그는 で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と라는 책을 출간했다. (원래 라틴어로 저술되어 출판되었기에) 프린키피아the Principia로 알려진 이 저서에서, 뉴튼은 우주의 구조와 행성의 운동를 설명하고, 태양과 행성, 달의 질량을 계산했다. 콜럼버스와 마젤란는 지구가 구형임을 증명해 놓았는데, 뉴튼은 지구가 완전한 球가 아니라 타원형-자전의 원심력에 의해 극부분이 약간 평평한-임을 증명했다.
마르코 폴로나 콜럼버스가 우리 조상들의 세상에 대한 지리적인 시야를 확대시킨 것 처럼, 뉴튼은 하늘의 유성에서 뒷뜰의 사과나무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체를 지배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는데 있어 이전의 (혹은 아인쉬타인 이전까지의)누구보다도 많은 일을 이루어놓았다. Principia는 너무 복잡해서 단지 진지한 자세를 가진 과학자들만이 이해할 수 있었지만, 일단 그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나서는 아래와 같은 싯구를 남긴 영국의 위대한 시인 알렉산더 포프와 전적으로 같은 생각을 했을 것이다.
자연과 자연의 법칙은 어둠속에 묻혀 있었다.
신이 말하기를 뉴튼이 있으라! 하자 모든 것이 밝아졌다.
★ 38. 인신 보호 영장 제도 HABEAS CORPUS 1679
1666 청교도들은 뉴저지에 코네티컷 정착촌을 세움.
1667 영국 시인 죤 밀턴은 실락원을 집필.
1670 스텐카라친의 지휘아래 돈 코사크인들은 러시아에서 반란일으킴.
1673 라이프티쯔는 미분, 적분법 발견.
1680 새들러스 웰즈 극장이 런던에서 문을 엶.
1688 영국 청교도에 의한 명예 혁명 일어남.
1696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를 병함.
1703 러시아의 피터 대제는 세인트 페테스부르크를 세움.
1713 유트레히트 조약이 스페인 왕위계승 전쟁을 끝냄.
1748 엑스라 샤펠조약이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을 끝냄.
왕과 지배자와 관련된 시민들의 권리는 수세기를 통해 점차 다양해져갔다. 그리스에서는 상당한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던 민주주의의 형태의 정치제도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의 통치자들은 자신의 말이 곧 법이라고 믿고서 나라를 다스려나갔다. 이러한 것은 1215년 영국의 존왕이 마그나카르타에 서명하면서 다소 변화하게 되었는데, 마그나카르타에서는 ぢ자유민은 자신의 동료들의 사법적 판결이나, 이 땅의 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연행되거나 구속되지 아니한다.っ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중심에 깔려있는 원칙은, ぢ당신은 신체를 가진다.っ라는 뜻의 라틴어인 habeas corpus(인신 보호 영장 제도)이라고 알려진 것으로서, 이 말은 인간이 죄의 증거없이 그의 의지에 반해서 감옥에 수감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었다.
1628년 영국의 챨스 1세는 계엄령을 선포했고, 왕의 신성한 권리(Divine Right of Kings)를 근거로 반대파들을 감옥에 집어넣었다. 반대파 법률가들은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들어 이의를 제기했느나, 감옥의 간수들은 왕의 특명에 의해 인신이 구속 될 수도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으며, 재판관들은 왕이 곧 법이라는 근거에서 왕들을 지지하고 나섰다. 독재자 찰스 1세는 1649년 폐위되었으며, 전제정은 폐지되었다. 그러나 1660년의 전제정 복고후 오랜 시간이 지난 1679년이 되어서야 의회는 찰스II세에게 특별법으로서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받아들일 것을 명령했다.
오늘날 대부분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법체계는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의 원칙을 지지하고 있다. 미국의 헌법에도, ぢ반역이나 외국의 침범과 같은 공공 안전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의 권리는 언제나 유효하다.っ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 권한은 남북전쟁중에 링컨에 의해서 정지된 적이 있다. 처음에는 의회가 대통령의 이러한행위에 대해 반대했으나, 1863년 의회는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를 제한시키는 권한을 대통령이 가질 수 있도록 의결했다.
인신보호영장제도 Habeas corpus는 범죄재판체계에서 아주 기본적인 원칙중의 하나로서, 보통 특별히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경찰이나 검사들의 기본적 행동지침이라 할 수 있다.
★ 39.캐나다에서 프랑스의 패배
1756 프러시아의 선공으로 오스트리아와 7년전쟁 개전.
1761 하이든이 에스테르하지 공의 궁정 작곡가가 됨.
1763 프랑스는 인도에서의 영국의 종주권 인정.
1766 영국의 케븐디쉬는 수소를 처음으로 분리해냄.
1766 인지법이 아메리카인들의 거센 반발로 철폐됨.
1768 러시아-투르크칸 전쟁이 재발.
1769 제임스 와트는 증기기관의 성능개량을 위한 응축기의 특허를 출원.
콜롬부스가 서반구의 존재에 대한 유럽인들의 시각을 열어준후 2세기 동안, 강대국들은 여기에 그들의 지배영역을 만들었다. 스페인은 지금의 미국 남쪽에 대해서는, 포르투갈이 지배하고 있던 브라질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영국은 지금의 미국 동부를 자신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었으며, 프랑스는 북쪽의 모든 땅과 영국영토의 서쪽으로부터를 지배했다.
비버는 그레이트 레이크와 세인트 로렌스강 주변의 지역에 매우 번성하고 있었는에, 프랑스 측은 비버의 모피가 아주 높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얼마가지 않아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는 모피교역을 놓고 큰 충돌이 일어났다.
1670년에 찰스 2세(1630-1685)는 허드슨만 회사에게 특허장을 주었는데, 이것은 세인트 로렌스강 북쪽 영역의 자원개발에 대한 영국의 노력에 출발점이 된 사건이었다.
1756년에 유럽에서 7년 전쟁이 일어났는데, 영국과 프러시아가 프랑스와 그의 동맹국인 오스트리아, 러시아, Saxony, 스웨덴, 그리고 후에 동맹국이 된 스페인과 싸우는 형태였다. 이 전쟁은 영국과 프랑스의 북아메리카에 대한 관심이 얽힌 부수적인 사건으로 관련된 것이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유럽의 분쇄보다 far-reaching의 결과를 가져온 사건이었다.
조지 2세는 젊지만, 현명한 제임스 울프장군을 프랑스의 마뤼케 루이 조셉 드 몬칼므장순에 대항하는 영국 국군을 통솔하도록 파견했다. 울프장군의 임무의 절정은 프랑스 도시 퀘벡을 놓고 싸운 전투였다. 영국은 케벡으로 가는 보급을 막기위한 세인트로렌스강의 봉쇄에 성공했으나, 몬칼므장군은 중무장된 요새도시가 난공불락이라는 확신에 가득 차 있었다. 결국 요새는 영국군의 공격을 1690년과 1716년에 좌절시켰다.
울프 자신은 이 공격에서 죽음을 당했으나, 그의 계획은 진행되었고, 그의 군대는 캐나다 프랑스의 수도를 점령할 수 있었다. 프랑스의 몬깔므장군도, 실재로 그들의 사단을 전투에서 이그는 동안 두 지휘관이 모두 죽었다는 의미에서 이 전투를 유일한 것으로 만들면서, 역시 전사했다.
프랑스 인들은 케벡에서 초강대국의 지위에 있는 , 자신감에 찬 영국군을 물리쳤는데 , 이 승리는 이미 유럽인들이 정착하고 있던 대부분의 북아메리카에 대해 의심할 바 없는 우위권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점은 세인트로렌스강 이남의 13개 식민지에서 불고 있던 불안정성때문에 오래가지는 못할 운명이었다.
★ 40. 쿡 선장의 항해
1769 아크라이트는 기계식 방적기를 발명함.
1770 영국 의회는 타운젠드 법을 철회함.
1772 폴란드를 러시아,프러시아,오스트리아가 3분함.
1774 최초로 대륙의회가 소집됨.
1776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을 발표.
1776 에드워드 기본은 로마제국 쇠망사를 발표.
1776 포템킨은 러시아 흑해 함대를 건설.
영국의 선장 제임스쿡은 콜롬부스부터 시작된 발견의 시대에 존재했던 위대한 항해사들 중 제일 마지막을 장식했던 사람이다. 그는 그 이전에 존재했던 그누구보다 훨씬 더 넒은 지역을 탐사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영국의 영토로 선언하기도 했다.
왕립 해군에 몸담았던 4년동안, 쿡은 그 자신이 항해에 관한한 천재임을 입증했다. 1768년 그는 원정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임무는 남태평양에서 금성의 자오선 통과를 관찰하도록 영국의 천문학자들을 데려가는 것이었으며, 관찰후에는 자치령 확대를 위한 이 지역의 탐험을 하는 것이었다. 쿡은 뉴질랜드를 방문해서, 전 해안선에 걸친 해도를 처음으로 알아냈고, 뉴우기니를 방문했으며, 1770년에는 뉴 사우스웨일즈라는 이름의 오스트레일리아의 동부해안을 영국에 편입시켰다. 그의 첫 항해동안 쿡은 그 이전의 어떤 다른 탐험가보다도 넓은 영역을 탐험했다.
1772년에 쿡은 다시 항해를 시작했는데, 이 항해에서 남극대륙을 지도에 그린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 1776년의 세번째 여행에서는 하와이-그가 샌드위치 군도라고 불렀던-를 발견했으며, 오레곤에서 알래스카에 이르는 북아메리카의 해안을 탐사했고, 베링해협을 거쳐 북극해를 항해했다. 쿡선장은 1779년 그의 세번째 항해기간에 하와이에서 칼에 찔려 죽음을 맞이한다.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은, 그가 죽기전에 이미 시작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의 정착과, 세계에서 가장 넓은 대양안이나 주위에 있는 수많은 땅들을 탐험한 최초의 인간이었다는 것이다.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
'정보 !일반 상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51 - 60. (0) | 2012.09.23 |
---|---|
[스크랩]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41 - 50. (0) | 2012.09.23 |
[스크랩]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21 - 30. (0) | 2012.09.23 |
[스크랩]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11 - 20. (0) | 2012.09.23 |
[스크랩] 세계사를 형성한 100大 사건 1 - 10. (0) | 201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