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스크랩] 교회 행정학의 의미

하나님아들 2018. 7. 27. 23:08

교회 행정학의 의미

1. 교회 행정의 의미
교회 행정은 목회의 일차적 업무라기보다는 이차적 업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과 다른 제반 목회상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게 해주는 역할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1) Administrare
섬기다, 돕다, 보조하다, 관리하다, 통치하다, 지도하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말은 성경의 ‘종’ 혹은 ‘청지기’와도 상응하는 말로서 흔히 목사를 가리키는 어원과도 같다. ‘minister'
예수님께서도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8)고 하셨다.

여기에서 섬긴다고 하는 것은 ‘행정하다’는 뜻이었다.

그러므로 ‘행정하다’는 의미는 섬기고 도와 주는 의미가 강하게 나타난다.

2)διακονία
행정의 성서적 어원은 διακονία이다.

이 말은 봉사의 뜻으로서 모든 직임과 직무는 봉사임을 말해 주고 있다.
두 가지 의미를 뜻한다.
①순수한 봉사의 의미 : 섬기는 일(롬15:31), 도와주다(눅10:40)
②목회적 업무 : 사도들의 업무(행1:25), 신자들의 봉사(행1:25), 성령의 역사(고후3:8), 천사의 섬기는 일(히1:14), 복음의 역사(고후3:9), 말씀을 전하고 가르치는 주의 종의 일반적 사역(행20:24), 죽음을 다스리는 직분(고후3:7)로 표현된다.
행정의 의미로 사용된 신약의 예
①고전12:5 ‘직임은 여러 가지나’, 고후9:12 ‘봉사의 직무’로 나타난다.
즉 교회의 목회적 업무로서 ‘직임’과 ‘직무’를 행정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우리말 성경에서 번역된 집사라는 말은 현재 우리가 말하는 집사라는 말과 의미가 다르며 오히려 목사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가까울 만큼 봉사의 직은 목회자의 직이었던 것을 어원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사도행전 6장의 일곱집사의 피택이 사도들의 업무를 분담하는 것이지 집사의 업무가 사도들과 상관없는 업무가 아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사도와 집사는 업무가 분담되었다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서는 사도들도 공궤에 참여했고 집사들도 설교하고 세례를 주었다.

3)ύπηρέτης
‘아래에서 노를 젓는다.’ 라는 뜻으로 고대 역사에서 배 아래에서 노를 젓는 노예의 사역에서 온 말이다.

고수의 의지와 재량에 의하여 움직이는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봉사하다.’ ‘지시에 의해서 움직이다’, ‘준비하다’, ‘뒤를 돌보아 주다’ ‘기쁘게 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교회 행정이란 목회적 업무를 봉사하고 준비하여 목회의 주체 자이신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4)κυβέρνησις
지도하는 능력, 조종, 다스림,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이러한 어원이 가리키는 행정의 의미는 교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하나님께 순종하며 봉사하며 다스리는 직무를 말한다.

교회행정은 교회가 순종하는 길로 바르게 운행되게 하기 위하여 이끌어 주는 능력이다.

2. 교회행정의 정의
1)일반행정의 정의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합리적 방법을 의미한다.
그래서 조직을 필요로 하고 조직은 행정활동을 요구한다.
일반행정에서는 봉사적 의미보다는 통치적 의미가 강하게 표현되었다.
일반적으로 행정은 공공 사무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①넓은 의미에서 볼 때 : 조직의 공동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동 행위
②좁은 의미에서 볼 때 : 상세하고 조직적인 조직의 증명을 의미한다.
총체적으로 볼 때는 국민 앞에 봉사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 일반 행정은 공행정과 사행정으로 구분한다.
①공행정: 공공성과 공익성을 전제로 하는 국가와 정부의 행정을 뜻하며 국민 앞에서 공공정책을 수행하는 것이다.
②사행정: 공익을 전제로 하지 않고 순수한 개인적 행정을 의미한다.

2)교회행정의 정의
교회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교회를 인도하는 데 관련되어지는 교회지도자들의 필요한 제반 목회활동이라고 한다.
레오나드 메이어 “ 직능을 결정하며 그 직능을 명확하게 하고 정책을 공식화하여 이를 수행해 나가며 권위를 위임하며 관리자를 선임하여 직원을 훈련하고 이것을 위한 모든 유효한 조직과 목적달성을 위한 방법과 자원의 동원이다.”
아더 아담스 “교인들을 통하여 함께 일하는 것이다.”
엘빈 린그랜 “교회의 본질과 복음선교의 발전을 포함하며 인적자원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로버트 데일 “목회 자체이며, 사람 자체이며 인격적인 과정이며 관리이다.

어떤 조직의 사람을 반전하게 하는 방법이며 그 조직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교회의 행정은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다.”
“교회행정은 과학이며 예술이며 은사이다.

과학으로서의 교회행정은 연구와 실천에 의하여 습득되어지는 진행과 기술을 포함하며, 예술로서의 교회행정은 상호 관계 속에서의 감수성, 직감, 그리고 적절한 시간 포착을 요청한다.”
챨스 티드웰 “ 교회행정은 리더쉽이다.

교회가 교회가 되게 하고 교회가 교회의 일을 할 수 있게 갖추어 주는 지도력이다.

교회의 영적, 인적, 물적, 재정적 자원을 이용하여 교회가 추구하는 목표와 교회의 영구한 목적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교회지도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이다.

교회를 구성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그들이 될 수 있고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3. 교회행정의 세 가지 용어


1)지도력
교회행정 전체를 이끌어가는 업무를 의미한다.
①목회 전반의 방향을 설정하여 교회의 미래적 환상을 제시하는 업무이다.
②교회의 목회적 현상을 설계하는 업무이다.
목회에서는 교회지도자의 지도력이 가장 중요한 행정의 요소이다.

목회에서 방향을 설정하여 환상을 제시하며 설계하는 업무는 가르치는 장로인 목사의 업무이다.

목회자는 지도력을 통하여 목회하며 행정적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도력이라 하는 것은 목회자의 교회행정을 말한다.


2)관 리
①기획하는 업무
②감시하는 업무
관리는 교회행정의 이차적 업무이며 지도력을 보충하며 협력하는 업무이다.

그래서 관리는 지도력이 있어야 가능한 기능이다.

지도력을 통하여 목회의 환상이 제시되고 설계되면 관리를 통하여 기획되고 업무에 대한 적절한 감독이 있게 된다.

교회에서 이러한 업무는 다스리는 장로의 업무이다.


3)경영
교회 행정에서 설계되어지고 설계된 목회상의 구상이 기획되어졌을 때에 보조하는 업무와 향상시키는 업무이다.

출처 : 행복†충전소
글쓴이 : 대명교회 원글보기
메모 :